KR20040110259A -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259A
KR20040110259A KR1020030039481A KR20030039481A KR20040110259A KR 20040110259 A KR20040110259 A KR 20040110259A KR 1020030039481 A KR1020030039481 A KR 1020030039481A KR 20030039481 A KR20030039481 A KR 20030039481A KR 20040110259 A KR20040110259 A KR 2004011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unit
main
fir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국
Original Assignee
중앙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259A/ko
Publication of KR2004011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송수신기를 이용하여 평상시 잠겨져있는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을 무선 원격 제어하여 자동 개폐함으로서 건물 내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화도어 및 비상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메인마이컴, 구동버튼부, 그룹지정스위치부, 파트별 선택버튼부, 메인송수신부, 파트별 점검확인 표시등부,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 메인화재경보부, 메인영상음성부, 이상표시등, 화재수신반 입력부 및 송신출력버튼으로 구성된 메인컨트롤부와, 서버마이컴, 구동부, 딥스위치부, 서버송수신부, 서버화재경보부, 서버영상음성부 및 서버전원 이상확인 입력부로 구성된 다수의 서버컨트롤부로 구성된 것으로, 아파트 및 건물 등에 화재, 안전, 침입자방지 등의 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하고, 사고 미연 방지를 위해 방화도어 시건장치 및 음성감청, 영상감시, 화재수신반과의 연동 등을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및 음성/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 화재 등 비상상태에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여 화재 등 비상사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Apparatus of monitoring and opening and closing for fire door using radio}
본 발명은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양방향 무선송수신기를 이용하여 평상시 잠겨져있는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을 무선 원격 제어하여 자동 개폐함으로서 건물 내 화재발생 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은 수동으로 열쇠에 의해 개폐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중앙통제실에서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을 개폐되게 한 것들이 있다.
상기와 같이 열쇠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은 소방대상물에 따른 소방시설의 기준에 의해 항상 피난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방범의 어려움 때문에 잠겨있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을 개폐되게 한 것은 유선선로 상에 화재가 발생하여 단선이 될 경우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를 작동시킬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그로 인해 상기와 같이 수동 또는 유선에 의해 개폐되는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은 화재 발생 시 매년 여러 차례 인명과 재산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선을 이용하여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을 화재발생 또는 필요시에 무선원격조정 양방향통신으로 자동 혹은 필요할 때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고 개폐 후 센서에 의해 개폐여부의 확인할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로 실시간 감시 및 감청을 통하여 방범활동이 가능하고, 화재발생 시 화재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경보가 작동하도록 한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컨트롤부의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서버컨트롤부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인컨트롤부, 2: 서버컨트롤부
100: 메인마이컴, 110: 구동버튼부,
120: 그룹지정스위치부, 130: 파트별 선택버튼부,
140: 메인송수신부, 150: 파트별 점검확인 표시등부,
160: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 170: 메인화재경보부,
180: 메인영상음성부, 191: 서버전원 이상표시등,
192: 화재수신반 입력부, 195: 송신출력버튼,
200: 서버마이컴, 210: 구동부,
220: 딥스위치부, 240: 서버송수신부,
270: 서버화재경보부, 280: 서버영상음성부,
291: 서버전원 이상확인 입력부
본 발명은 방화도어 및 비상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행하는 메인마이컴, 각 방화도어 및 비상문, 영상 및 음성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버튼부, 그룹을 선택 지정하는 그룹지정스위치부, 지정된 그룹의 파트를 선택하는 파트별 선택버튼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인송수신부,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파트별 점검확인 표시등부, 방화도어 및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 화재경보를 작동하는 메인화재경보부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제어하는 메인영상음성부,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서버전원 이상표시등과, 화제수신반의 신호를 입력받는 화재수신반 입력부 및 상기 구동버튼부의 신호를 최종적으로 송출하는 송신출력버튼으로 구성된 메인컨트롤부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행하는 서버마이컴, 방화도어 및 비상문을 개폐하는 구동부, 그룹과 파트를 결정하는 딥스위치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송수신부, 화재경보를 작동하는 서버화재경보부,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영상음성부 및 전원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전원 이상확인 입력부로 구성된 다수의 서버컨트롤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의 메인컨트롤부의 블록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의 서버컨트롤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각 방화도어 및 비상문의 상태를 무선으로 감시 및 구동하는 메인컨트롤부(1)와 각 방화도어 및 비상문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컨트롤부(1)의 명령을 수행하고, 현 상태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메인컨트롤부(1)로 전송하는 다수의 서버컨트롤부(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컨트로부(1)는 각 서버컨트롤부(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행하는 메인마이컴(100)과, 각 서버컨트롤부(2)의 방화도어 및 비상문, 영상 및 음성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버튼부(11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그룹을 선택 지정하는 그룹지정스위치부(120)와, 그룹 지정된 각 서버컨트롤부(2)의 파트를 선택하는 파트별 선택버튼부(130)와, 상기 메인마이컴(100)과 서버컨트롤부(2)의 서버마이컴(20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인송수신부(14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파트별 점검확인 표시등부(15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방화도어 및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160)와, 화재경보를 작동하는 메인화재경보부(17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제어하는 메인영상음성부(18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전원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서버전원 이상표시등(191)과, 화제수신반의 신호를 입력받는 화재수신반 입력부(192)와, 상기 구동버튼부(110)의 신호를 최종적으로 각 서버컨트롤부(2)에 송출하는 송신출력버튼(19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 서버컨트롤부(2)는 메인컨트롤부(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행하는 서버마이컴(200)과, 각 메인컨트롤부(1)의 지시에 따라 방화도어 및 비상문을 개폐하는 구동부(21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속한 그룹과 파트를 결정하는 딥스위치부(220)와, 상기 메인컨트롤부(1)의 메인마이컴(100)과 서버컨트롤부(2)의 서버마이컴(20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송수신부(240)와, 화재경보를 작동하는 서버화재경보부(27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영상음성부(280)와, 각 서버컨트롤부(2)의 전원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전원 이상확인 입력부(291)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컨트롤부(1)의 메인마이컴(100)은 서버컨트롤부(2)에서 송신하여 수신된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정보 및 음성, 영상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체의 프로그램에 의해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 등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구동버튼부(110)는 도어구동버튼(111), 음성모니터버튼(112) 및 카메라작동버튼(113)으로 구성되어, 각 서버컨트롤부(2)의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 감청마이크(282) 및 감시카메라(284)의 구동을 수동으로 지시할 때 사용된다.
상기 그룹지정스위치부(120)는 스위치(121)(122)(123) 3개로 구성되어 각 서버컨트롤부(2)의 그룹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
상기 파트별 선택버튼부(130)는 각 파트별 서버컨트롤부(2)와 대응되는 다수의 각 파트별 버튼(131)과 전체를 선택하는 버튼(132)으로 구성되어, 각 서버컨트롤부(2)에서 하나의 서버컨트롤부(2)를 선택하거나 전체를 선택할 때 사용된다.
상기 메인송수신부(140)는 송신기(141), 수신기(142) 및 안테나(143)(144)로 구성하여 메인마이컴(100)과 서버마이컴(200)과의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또한 메인마이컴(100)과 수신기(142)사이에 절환스위치(145)를 구성하여 전환스위치(145)를 통하여 메인영상음성부(180)와 연결하여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메인영상음성부(180)를 통해 직접 재생되게 구성한다.
상기 파트별 점검확인 표시등부(150)는 각 파트별 서버컨트롤부(2)와 대응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51) 등으로 구성하여, 각 서버컨트롤부(2)의 이상유무를 표시한다.
상기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160)는 각 파트별 서버컨트롤부(2)와 대응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61) 등으로 구성하여, 각 서버컨트롤부(2)의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메인화재경보부(170)는 건물 등에 형성된 화재감지표시등(171) 및 부저(172) 등에 연결되어 화재 등 비상시 화재감지표시등(171) 및 부저(172) 등을 작동시킨다.
상기 메인영상음성부(180)는 음성제어부(181), 증폭부(182), 스피커(183) 및녹음기(184)와, 영상제어부(186), 모니터(187) 및 녹화기(188)로 구성되며, 각 서버컨트롤부(2)에서 보내진 음성 및 영상정보를 재생하고 녹음기(184), 녹화기(188)에 저장한다.
상기 서버컨트롤부(2)의 서버마이컴(200)은 메인컨트롤부(1)에서 송신하여 수신된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정보와, 자체에서 수집한 음성, 영상정보 데이터를 자체의 프로그램에 의해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 등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구동부(210)는 제어부(211), 도어시건장치(212) 및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213)로 구성되어 서버마이컴(200)의 명령에 의해 방화도어 또는 비상문의 개폐를 개폐하고, 개폐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딥스위치부(220)는 8개의 스위치(221)로 구성되어 메인컨트롤부(1)에서 각각의 서버컨트롤부(2)를 인식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서버컨트롤부(2)의 표시정보를 결정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 서버송수신부(240)는 송신기(241), 수신기(242) 및 안테나(243)(244)로 구성하여 메인마이컴(100)과 서버마이컴(200)과의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또한 서버마이컴(200)과 송신기(241)사이에 절환스위치(245)를 구성하여 전환스위치(245)를 통하여 서버영상음성부(280)와 연결하여 음성정보를 서버영상음성부(280)를 통해 직접 송신되게 구성한다.
상기 서버화재경보부(270)는 유도등제어부(271)를 통해 건물 등에 형성된 화재유도등(272) 등에 연결되어 화재유도등(272) 등을 작동시킨다.
상기 서버영상음성부(280)는 증폭부(281), 감청마이크(282)와, 제어부(283), 감시카메라(284)와 감청마이크(282)의 동자버튼(285)으로 구성되며, 각 서버컨트롤부(2)가 위치한 부분의 음성 및 영상정보를 서버마이컴(200)에 입력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에 앞서 아파트, 빌딩, 기타, 건물들에서 몇 개의 건물 파트를 1개 그룹으로 지정하여 각 서버컨트롤부(2)의 딥스위치부(220)의 8개의 스위치(221)로 각각의 서버컨트롤부(2)의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선택된 어드레스는 딥스위치부(220)에 의해 다시 변경 전까지는 고정되어 사용된다.
그 다음 메인컨트롤부(1)와 각 서버컨트롤부(2)에 전원을 투입하면 메인마이컴(100)과 각 서버마이컴(200)이 자동 리세트 되어 각 변수의 초기화 상태가 된다.
먼저 방화도어시건장치(212)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해서는 메인컨트롤부(1)의 구동버튼부(110)의 도어구동버튼(111)을 온하고, 선택하려는 건물의 그룹을 그룹지정스위치부(120)의 스위치(121)(122)(123)를 온/오프 하여 그룹을 지정한다.
그룹이 지정되면 선택하려는 건물 파트를 선택하여 파트별 선택버튼부(130)의 선택된 파트의 버튼(131)을 온 한 후, 최종적으로 송신출력 버튼(195)을 온 하면 메인마이컴(100)에 저장된 송출용 데이터가 메인송수신부(140)의 송신기(141)를 통해 선택된 서버컨트롤부(2)에 송신된다.
선택 송신된 송신출력을 선택된 서버컨트롤부(2)의 서버송수신부(240) 수신전용 안테나(244)에 의해 수신기(242)로 수신하여 복조된 데이터를서버마이컴(200)으로 입력된다. 서버마이컴(200)은 데이터를 딥스위치부(220)의 스위치(221)로 선택 고정한 그룹과 파트의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서버마이컴(200)은 구동부(210)의 제어부(211)에 제어신호를 주어 도어시건장치(212)로 직류출력을 일정시간 공급하여 방화도어 및 비상문 도어시건장치(212)를 풀리게 한다.
또한 메인컨트롤부(1)는 초기상태에서 도어시건장치(212)를 잠기게 할 것이라면 상기의 동작순서대로 동작 버튼들을 동일하게 선택 동작시키면 된다. 즉 메인컨트롤부(100)의 송신출력버튼(195)이 토글 방식으로 되어있어 각 선택버튼들이 선택되어진 후 에는 송신출력버튼(195)만 온/오프 하게 되면 도어가 한번 열리고 그 다음 동작 때는 잠김이 된다.
다음 도어시건장치(212)에 개폐감지 확인용 센서(213)를 부착하여 도어가 개폐될 때 센서신호를 받아 제어부(211)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서버마이컴(200)에 입력되면, 서버마이컴(200)은 입력된 도어개폐 유무신호를 서버송수신부(240)의 송신기(241)를 통해 서버컨트롤부(2)의 그룹/파트 어드레스 데이터와 함께 메인컨트롤부(1)로 송신되면 안테나(144)와 수신기(142)를 통해 메인마이컴(100)에 입력되어 메인마이컴(1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160)를 점멸함으로서 무선원격 조작 양방향통신으로 도어개폐 확인을 할 수 있다.
다음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수신반의 신호를 화재수신반 입력부(192)를 통하여 메인마이컴(100)이 입력받아 구동버튼부(110)의 도어구동버튼(111), 카메라작동버튼(113), 음성모니터버튼(112), 메인영상음성부(180)의 증폭기(182) 및 녹음기(184)와 모니터(187) 및 녹화기(188)의 전원공급 역할을 하는 음성제어부(181)와 영상제어부(186), 메인화재경보부(170)의 부저(172), 화재감지표시등(171), 파트별 선택버튼부(130)의 전체선택 버튼(132) 등이 메인마이컴(10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짧은 시간에 순차적으로 상기 기능을 전 자동작동으로 동시에 작동된다.
상기의 방화도어 시건장치(212)를 수동으로 개폐할 때와 같이 서버컨트롤부(2)로 각 데이터를 전송하면 데이터 순서대로 구동부(210)의 제어부(211)와 도어시건장치(212), 서버영상음성부(280)의 증폭부(281), 감청마이크(282), 제어부(283), 감시카메라(284), 서버화재경보부(270)의 유도등제어부(271), 화재유도등(272) 등이 모두 작동된다.
상기의 작동을 수행한 후 방화도어 도어시건장치(212) 개폐확인용 센서(213)가 작동하면 상기에서 기술한 내용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 데이터신호를 전송한 후 즉시 서버컨트롤부(2)에서 절환스위치(245)를 서버영상음성부(280)로 절환하면 음성과 영상통신이 실시간으로 메인컨트롤부(2)로 전송되어 메인영상음성부(180)의 모니터(187)와 스피커(183)를 통하여 실시간에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녹음기(184) 및 녹화기(188)에 저장하여 현장상황을 기록하여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모든 기능을 초기화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메인컨트롤부(1)의 송신출력버튼(195)을 0.5초 이상의 시간동안 3회이상 작동(순간작동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3회 이상 누름)하면 복구되도록 설정한다.
다음 비상시에 서버컨트롤부(2)에서 메인컨트롤부(1)로 음성 메시지 전달이 필요할 때는 감청마이크 동작버튼(285)을 한번 누르면 온 되어 감청마이크(282)가 작동하고, 한번더 누르면 오프 된다. 이때 서버마이컴(200)의 감청마이크 동작버튼(285)의 데이터신호와 그룹 및 파트별 어드레스신호와 함께 메인컨트롤부(1)의 메인마이컴(100)에 전달되어 메인영상음성부(180)의 음성제어부(181)와 영상제어부(186)의 작동으로 증폭기(182)와 모니터(187)를 작동시킨다.
메인송수신부(140)의 전환스위치(145)와 서버송수신부(240)의 전환스위치(245)는 평상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전환되어 있으나, 메인컨트롤부(1)의 구동버튼부(110)의 카메라작동버튼(113)이나 음성모니터버튼(112) 또는 서버컨트롤부(2)의 감청마이크 동작버튼(245)이 작동될 때는 전환스위치(145)(245)가 각각 메인영상음성부(180)와 서버영상음성부(280) 쪽으로 전환되어 메인컨트롤부(1)의 메인영상음성부(180)에서 음성 및 영상모니터가 가능하다.
또한 해당 서버컨트롤부(2)의 전원 이상 유무를 체크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류전원이 항상 전원이상 확인입력부(291)를 통하여 서버마이컴(200)에 공급되고 있어 서버마이컴(200)에서 회로 동작 전압기준점을 설정하여 그 이하 일 경우와, 전원이 단선 및 단락 일 경우에만 메인컨트롤부(1)로 데이터를 보내어 서버전원 이상 표시등(191)과 해당 파트별 서버점검 표시등부(150)의 발광다이오드(151) 등을 점멸시킨다. 그리고 전원이 정상 복구되면 자동 소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태양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는 아파트 및 건물 등에 화재, 안전, 침입자방지 등의 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하고, 사고 미연 방지를 위해 방화도어 시건장치 및 음성감청, 영상감시, 화재수신반과의 연동 등을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및 음성/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 화재 등 비상상태에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여 화재 등 비상사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방화도어 및 비상문 개폐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행하는 메인마이컴, 각 방화도어 및 비상문, 영상 및 음성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버튼부, 그룹을 선택 지정하는 그룹지정스위치부, 지정된 그룹의 파트를 선택하는 파트별 선택버튼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인송수신부,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파트별 점검확인 표시등부, 방화도어 및 비상문의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파트별 도어개폐 표시등부, 화재경보를 작동하는 메인화재경보부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제어하는 메인영상음성부,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서버전원 이상표시등과, 화제수신반의 신호를 입력받는 화재수신반 입력부 및 상기 구동버튼부의 신호를 최종적으로 송출하는 송신출력버튼으로 구성된 메인컨트롤부와,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따라 시행하는 서버마이컴, 방화도어 및 비상문을 개폐하는 구동부, 그룹과 파트를 결정하는 딥스위치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송수신부, 화재경보를 작동하는 서버화재경보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영상음성부 및 전원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전원 이상확인 입력부로 구성된 다수의 서버컨트롤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송수신부는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및 전환스위치로 구성되어, 메인마이컴과 서버마이컴과의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영상음성부는 음성제어부, 증폭부, 스피커 및 녹음기와, 영상제어부, 모니터 및 녹화기로 구성되어, 각 서버컨트롤부에서 보내진 음성 및 영상정보를 재생하고 녹음기, 녹화기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송수신부는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및 전환스위치로 구성되어, 메인마이컴과 서버마이컴과의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서버영상음성부는 증폭부, 감청마이크와, 제어부, 감시카메라(284)와, 감청마이크의 동자버튼으로 구성되며, 각 서버컨트롤부(2)의 음성 및 영상정보를 서버마이컴에 입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송수신부와 서버송수신부의 전환스위치는 각각 메인영상음성부와 서버영상음성부로 전환되어 서버영상음성부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직접 메인영상음성부로 전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 장치.
KR1020030039481A 2003-06-18 2003-06-18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KR20040110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81A KR20040110259A (ko) 2003-06-18 2003-06-18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81A KR20040110259A (ko) 2003-06-18 2003-06-18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221U Division KR200325799Y1 (ko) 2003-06-18 2003-06-18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59A true KR20040110259A (ko) 2004-12-31

Family

ID=3738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481A KR20040110259A (ko) 2003-06-18 2003-06-18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25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7B1 (ko) * 2008-03-31 2008-10-16 주식회사 마이다스엔지니어링 비상문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8389349A (zh) * 2018-02-10 2018-08-10 武汉绿工洁能物业服务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及精准定位报警的智能防侵入系统
KR20210061636A (ko) * 2019-11-20 2021-05-28 허성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220046057A (ko) * 2020-10-06 2022-04-14 허성범 피난유도부를 구비한 비상문 개폐장치용 로컬제어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7B1 (ko) * 2008-03-31 2008-10-16 주식회사 마이다스엔지니어링 비상문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8389349A (zh) * 2018-02-10 2018-08-10 武汉绿工洁能物业服务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及精准定位报警的智能防侵入系统
KR20210061636A (ko) * 2019-11-20 2021-05-28 허성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220046057A (ko) * 2020-10-06 2022-04-14 허성범 피난유도부를 구비한 비상문 개폐장치용 로컬제어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2923B2 (en) Alarm system interaction with a movable barrier operator method and apparatus
WO2009116203A1 (ja) 警報器
US10685557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83735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enrollment of two-way wireless sensors in a security system
KR100793390B1 (ko) 무인국사 원격 환경 감시 시스템
KR100872868B1 (ko)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KR200325799Y1 (ko)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KR20040110259A (ko) 무선을 이용한 방화도어 개폐 및 감시장치
CN111784991A (zh) 智能报警系统
KR101151626B1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JP3663843B2 (ja) 非常放送回線付集合住宅システム
KR20140044422A (ko) 카메라와 블랙박스를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통합 속보기
KR102055360B1 (ko) IoT 적용 전국 공동주택 원격점검용 수신기 및 수신기 관제시스템
CN212624370U (zh) 报警系统
JP6941583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および自動火災報知設備の音響警報表示方法
JPH11154287A (ja) 緊急監視装置
JP3608387B2 (ja)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警報監視システム
JP3074017U (ja) 簡易監視システム
CN118158255A (zh) 一种工业现场远程监控及控制系统及方法
KR200373500Y1 (ko) 학교관리시스템
KR200346258Y1 (ko) 무선방범경비장치
TWM595931U (zh) 居家防護系統
JP2002251676A (ja) 防災監視設備
JP2002309855A (ja) 自動ドアの保守装置
KR200324121Y1 (ko) 경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