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228A -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228A
KR20040110228A KR1020030039442A KR20030039442A KR20040110228A KR 20040110228 A KR20040110228 A KR 20040110228A KR 1020030039442 A KR1020030039442 A KR 1020030039442A KR 20030039442 A KR20030039442 A KR 20030039442A KR 20040110228 A KR20040110228 A KR 2004011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character input
character
key button
co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621B1 (ko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621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발송을 위한 메뉴에서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도중에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고자 할 경우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메시지 내용 입력 시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누르는 키버튼 입력과정;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method for changing character input mode}
본 발명은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메시지 발송을 위한 메뉴에서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도중에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고자 할 경우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기본적인 기능은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특정 계층의 사용자들은 음성통화보다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키버튼에는 한글 자.모음, 영문 알파벳, 숫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현재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에 따라 한글 또는 알파벳 대문자 또는 알파벳 소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되게 된다.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때에는 키버튼 입력회수가 많아지게 되는데,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로 지정된 키버튼을 눌러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이 불편해 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예로, 현재 한글 입력모드로 설정되어 있는데 알파벳 소문자를 입력해야 한다면, 지정된 키버튼을 2-3회 눌러 알파벳 소문자 입력모드로 변환한 뒤, 해당 알파벳 소문자를 입력하고 다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키버튼을 눌러 한글 입력모드로 변환하여 한글을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던 중에 상기 별도로 지정된 키버튼을 눌러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기가 다소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문자 메시지 발송과정에서 메시지 내용입력 중에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입력 시 문자 입력모드 변환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지원하기 위한 휴대폰의 간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의 일 실시예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패드 20: 제어부
30: 무선 주파 송/수신부 40: 표시부
50: 메모리 60: 배터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메시지 내용 입력 시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누르는 키버튼 입력과정;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일 실시예는, 상기 키버튼이 지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면, 변경되는 문자 입력모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문자 입력모드 정보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변환과정은, 문자 입력모드 정보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상기 키버튼 눌림이 해제되면, 출력된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 실시예는, 변환된 문자 입력모드 상태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과정; 변환된 문자 입력모드에서 문자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설정되어 있는 처음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 복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복귀과정은, 현재 문자 입력모드의 다음으로 설정되어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일 실시예는, 문자 입력모드가 변환되는 순서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문자 입력모드 순서 설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지원하기 위한 휴대폰의 간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키패드의 일 실시예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모드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는 키패드(10)와,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와, 음성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 등을 기지국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 송/수신부(30)와, 휴대폰의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40)와, 휴대폰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및 전화번호 또는 단문 메시지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50) 및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휴대폰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구현된 알고리즘에 차이가 있으므로 도 1에는 휴대폰의 구성요소 중 개략적인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음을 명시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키패드의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키패드의 각 키버튼에는 숫자, 한글의 자.모음, 영문 알파벳이 인쇄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에서는 사용의 편리함을 위해 문자 메시지 입력창이 제시될 때 '한글' 문자 입력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면, 초기 문자 입력모드가 '한글'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문자 입력모드 변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한글 다음에는 '숫자' -> '알파벳(영문) 대문자' -> '영문 소문자' -> 기호 순서로 문자 입력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문자 메시지 발송과정에서 발신자 번호 및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면 메시지 입력창이 출력되고(S10), 제어부(20)는 키버튼이 지정된 시간 이상 눌리는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키버튼은 별도로 지정된 키버튼이 아닌,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키버튼 중 어느 것 하나일 수 있다.
즉, 숫자 '2' 키버튼 또는 숫자 '7' 키버튼 등 사용자가 편리하게 누를 수 있는 키버튼을 선택하면 된다.
키버튼이 지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면 제어부(20)는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입력신호로 판단하고 기설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시킨다.
즉, 순차적으로 '숫자' -> 영대(영문 대문자) -> 영소 -> 기호 순으로 문자 입력모드가 변환되도록 하며, 변환될 때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가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40)에 출력되는 문자 입력모드 정보를 보고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 입력모드 정보가 출력되면 눌렀던 키버튼의 눌림을 해제시킨다.
키버튼이 지정된 시간 이상 눌리고, 숫자 입력모드 상태(S30)에서 키버튼 눌림이 해제되면(S40)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는 숫자 입력모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특정 숫자 키버튼을 누르면(S50) 해당 숫자가 표시부(40)에 출력되게 된다(S60).
S40 과정에서 키버튼 눌림이 해제되지 않으면 다음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 상태가 되고(S41), 이때 키버튼 눌림이 해제되고(S42) 특정 키버튼이 눌려지면(S43) 해당 키버튼에 인쇄되어 있는 영문 대문자가 출력되게 된다(S44).
S42 과정에서 키버튼 눌림이 해제되지 않으면 다음 문자 입력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 입력모드 상태가 되며(S45), 이후 과정은 상술한 S50과정 이후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문자 입력모드가 변환되어 변환된 문자 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를 입력하고 난 후에 다시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문자 입력모드의 초기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가 변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혼동없이 모드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에서 '영소' 문자 입력모드에서 문자를 입력하고 난 후,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다시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는 한글 -> 숫자 -> 영대(영문 대문자) -> 영소 -> 기호 순으로 변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키버튼이 지정된 시간 이상 눌릴 때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의 순서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한글 -> 숫자 -> 영대(영문 대문자) -> 영소 -> 기호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였지만, 문자 입력모드의 변환순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메뉴에서 상기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한글 -> 영소 -> 영대 -> 숫자 등의 순서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의 변환순서를 설정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발송 시 메시지 내용을 입력할 때 문자 입력모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소정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설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모드가 변환되므로 사용자가 메시지를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메시지 내용 입력 시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문자 입력모드를 변환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누르는 키버튼 입력과정;
    현재의 문자 입력모드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이 지정된 시간 이상 눌려지면, 변경되는 문자 입력모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문자 입력모드 정보 출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변환과정은,
    문자 입력모드 정보가 출력되는 시점에서 상기 키버튼 눌림이 해제되면, 출력된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된 문자 입력모드 상태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과정;
    변환된 문자 입력모드에서 문자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키버튼을 지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설정되어 있는 처음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문자 입력모드 복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모드 복귀과정은
    현재 문자 입력모드의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문자 입력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모드가 변환되는 순서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문자 입력모드 순서 설정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KR1020030039442A 2003-06-18 2003-06-18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KR10065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42A KR100656621B1 (ko) 2003-06-18 2003-06-18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42A KR100656621B1 (ko) 2003-06-18 2003-06-18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28A true KR20040110228A (ko) 2004-12-31
KR100656621B1 KR100656621B1 (ko) 2006-12-11

Family

ID=3738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442A KR100656621B1 (ko) 2003-06-18 2003-06-18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15A2 (ko) * 2008-04-03 2009-10-29 Cheon Kang Il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15A2 (ko) * 2008-04-03 2009-10-29 Cheon Kang Il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WO2009131315A3 (ko) * 2008-04-03 2009-12-23 Cheon Kang Il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100948606B1 (ko) * 2008-04-03 2010-03-18 천강일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621B1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65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 cas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47767B1 (ko) 휴대폰에서 다기능키 이용방법
US8499015B2 (en)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KR19990036989A (ko)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EP1777609A1 (en) Keypad for a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keypad for an electronic equipment
GB2443653A (en) A partial predictive text entry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56268B1 (ko)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에서 영문 글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56621B1 (ko) 문자 입력모드 변환방법
WO200411179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text entry using a keypad
WO2005064446A1 (en) Method of data entry
US20070004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numeric telephone address
JP2001265506A (ja) 入力装置および通信端末
WO20010914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numeric data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200609177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への点字入力方法
JP2003316500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100938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970010837B1 (ko) 전화기의 한글 저장 방법
KR1006526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20040033691A (ko) 영문입력을 위한 휴대폰의 키패드
KR101188133B1 (ko) 휴대단말의 문자입력 키패드
KR200300323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60011213A (ko) 단문 메시지 저장 및 로딩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2082760A (ja) 携帯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