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7Y1 -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7Y1
KR200401087Y1 KR20-2005-0025318U KR20050025318U KR200401087Y1 KR 200401087 Y1 KR200401087 Y1 KR 200401087Y1 KR 20050025318 U KR20050025318 U KR 20050025318U KR 200401087 Y1 KR200401087 Y1 KR 200401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high pressure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성
손수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쿠아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쿠아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쿠아닥터
Priority to KR20-2005-0025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등에 삽입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는, 고압의 스팀이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분사 부재; 분사 부재로부터 분사된 스팀이 통과될 수 있는 중공부가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중공부에는 스팀의 통과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수단이 설치된 회전부; 및 회전 수단과 결합되어 회전 수단과 함께 회전되고, 스팀을 분사하는 봉 형상의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Apparatus for sterilization using high pressure steam}
본 고안은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등에 삽입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생수통 등에 수용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고, 정수기는 수돗물 등을 정수한 후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키거나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음료 자동판매기는 물과 커피와 설탕 등을 혼합하여 커피 등을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에어컨은 실내의 공기가 증발기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소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냉온수기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수통(11)으로부터 생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수 용기(12)와, 냉수 용기(12)로부터 공급된 생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온수 용기(13)와, 냉수 용기(12)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냉수 밸브(14) 및, 온수 용기(13)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온수 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냉수 용기(12)는 냉각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된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고, 온수 용기는 소정의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된다.
상기 냉수 용기(12)에 수용된 물은 연결관(15)을 통하여 온수 용기(13)로 이동된다. 또한, 냉수 용기(12)에 수용된 물은 냉수관(16)을 통하여 냉수 밸브(14)로 이동되고, 온수 용기(13)에 수용된 물은 온수관(미도시)을 통하여 온수 밸브로 이동된다. 냉온수기(10)를 소독 또는 세척할 경우에는 배수 마개(17a)를 개방하여 배수관(17)을 통하여 냉온수기(1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냉온수기(10) 내부는 냉각부의 증발기(미도시) 또는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서식하기에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냉온수기(10)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소독 또는 세척을 해 주어야 한다. 특히, 냉수 용기(12), 연결관(15), 온수 용기(13), 냉수관(16), 온수관 및, 배출관(17)은 냉온수가 이동되는 경로이기 때문에 세균, 바이러스, 또는 먼지 등에 의하여 오염되기가 용이한데 비하여, 그 내부를 소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냉ㆍ온수의 이동경로'라 함은 냉수 또는 온수가 이동되는 경로 즉, 냉수 용기(12), 연결관(15), 온수 용기(13), 냉수관(16), 온수관 및, 배출관(17)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정수기(10a)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돗물 등을 정수하고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공급부(11a)와, 정수 공급부(11a)로부터 공급된 물을 소정 온도로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 용기(12)와, 냉수 용기(12)로부터 공급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온수 용기(13)와, 냉수 용기(12)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냉수 밸브(14) 및, 온수 용기(13)로부터 공급된 물을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온수 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냉수 용기(12)는 냉각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된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고, 온수 용기(13)는 소정의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된다.
또한, 정수 공급부(11a)의 물은 공급관(12a)을 통하여 냉수 용기(12)로 이동되고, 냉수 용기(12)의 물은 연결관(15)을 통하여 온수 용기(13)로 이동된다. 냉수 용기(12)에 수용된 물은 냉수관(16)을 통하여 냉수 밸브(14)로 이동되고, 온수 용기(13)에 수용된 물은 온수관(미도시)을 통하여 온수 밸브(미도시)로 이동된다. 정수기(10a)를 소독 또는 세척할 경우에는 배수 마개(17a)를 개방하여 배수관(17)을 통하여 정수기(10a)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정수기(10a) 내부는, 냉온수기(10)의 내부와 마찬가지로, 냉각부의 증발기(미도시) 또는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서식하기에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수기(10a)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소독 또는 세척을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정수 공급부(11a), 공급관(12a), 냉수 용기(12), 연결관(15), 온수 용기(13), 냉수관(16), 온수관 및, 배출관(17)은 정수가 이동되는 경로이기 때문에 세균, 바이러스, 또는 먼지 등에 의하여 오염되기가 용이한데 비하여, 그 내부를 소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수의 이동경로'라 함은 정수가 이동되는 경로 즉, 정수 공급부(11a), 공급관(12a), 냉수 용기(12), 연결관(15), 온수 용기(13), 냉수관(16), 온수관 및, 배출관(17)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음료 자동판매기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 공급부(22)와, 커피와 설탕 등을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23)와, 물과 커피와 설탕 등을 혼합하는 혼합부(24) 및, 혼합된 혼합액을 컵(25)으로 배출하는 배출관(27)을 포함한다.
상기 음료 자동판매기(20)의 구성 요소 중에서 배출관(27)은 외부와 접촉되는 부분이고 혼합액이 통과하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번식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그러나, 배출관(27)은 그 내부가 매우 좁고 길기 때문에 소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어컨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키는 공기 흡입부(32)와, 냉각된 공기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35) 및, 상측으로 이동된 공기를 외부로 공급하는 토출부(37)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컨(30)의 구성 요소 중에서 공기 흡입부(32)는 흡입구(32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1차적으로 정화하는 필터(32b)(32c) 및, 그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증발관(32d)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입부(32)는 외부 공기를 필터(32b)(32c)를 통하여 흡입한 후, 증발관(32d) 사이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공기 흡입부'라 함은 에어컨에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키는 부분을 뜻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미설명 참조부호 33은 흡입구(32a)에 설치되는 흡입 루버이고, 34는 송풍팬(35)을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이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는 필터(32b)(32c)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 증발관(32d)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 온도로 냉각된다. 따라서, 증발관(32d) 사이와 필터(32b)(32c)에는 많은 이물질이 접착될 수 있고, 각종 바이러스와 세균 등이 용이하게 번식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관(32d) 사이와 필터(32b)(32c)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공간이 좁기 때문에 소독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등에 삽입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는, 고압의 스팀이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분사 부재; 상기 분사 부재로부터 분사된 스팀이 통과될 수 있는 중공부가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스팀의 통과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수단이 설치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 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 수단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봉 형상의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는 이동되는 스팀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피치의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스팀이 유입되는 제1 유입공이 그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공과 연통되는 제1 관통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 관통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팀이 상기 제1 유입공에 유입됨으로 인하여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수단은, 그 측면에 상기 스팀이 유입되는 제2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스팀이 노즐부로 이동될 수 있는 제3 관통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가 그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다른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소독 장치는 회전 수단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 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스팀이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을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에는 솔 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노즐은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상기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세척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세척 장치의 회전부와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 장치(100)는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부재(40)와, 분사 부재(40)로부터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수단(55)을 구비하는 회전부(50) 및, 회전 수단(55)과 연결되어 회전 수단(55)과 함께 회전되며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 부재(40)는 고압의 스팀이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부재이다. 분사 부재(40)는 스팀 호스(41)와 연결된 본체(43)와, 스팀이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43) 내부에 형성된 스팀 이동로(45) 및, 스팀의 분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46)를 포함한다. 본체(43)의 선단(先端)에는 회전부(5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44)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 부재(40)는 유체의 고압 분사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부재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팀은 4∼5bar 정도의 압력을 가진다.
상기 회전부(5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 중공부(52)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51) 및, 중공부(52)에 설치된 회전 수단(5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51)은 본체(43)의 선단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51)에는 본체(43)의 나사산(44)과 형합하는 나사산(53)이 유입구(54)에 형성된다. 분사 부재(40)로부터 분사된 스팀은 유입구(54)를 통하여 유입되고 중공부(52)를 통하여 이동된 후, 노즐부(60)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공부(52)의 내면에는 이동되는 스팀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피치의 나사선(52a)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선(52a)은 중공부(52)의 내면에 소정 깊이로 연속적으로 음각된 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구(54)의 전방에는 유입된 스팀이 중공부(5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스팀을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59)이 설치된다. 상기 확산 수단(59)으로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의 부재(59)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유입된 스팀이 반구 형상의 부재(59)에 부딪쳐 중공부(52)의 내면 쪽으로 확산되고, 내면 쪽으로 확산된 스팀은 나사선(52a)에 의해 회전된다. 이와 같이, 스팀이 회전되게 되면 회전 수단(55)이 더욱 효과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수단(55)은 스팀에 의하여 회전되며 노즐부(6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수단(55)은 원기둥 형성의 회전체(55a) 및, 회전체(55a)와 일체로 형성되고 노즐부(60)와 결합되는 회전축(55h)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55a)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유입공(55b) 및, 상기 제1 유입공(55b)과 연통되고 회전체(55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관통공(55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입공(55b)은 회전체(55a)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팀은 제1 유입공(55b)을 통하여 제1 관통공(55c)으로 유입되면서 회전체(55a)를 회전시킨다.
상기 외주면에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유입공(55b)을 서로 연결하는 요홈 라인(55d)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홈 라인(55d)은 스팀에 의하여 회전체(55a)가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곡률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스팀이 회전체(55a)의 외주면으로 이동된 후, 요홈 라인(55d)을 따라 흐르면서 회전체(55a)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스팀은 요홈 라인(55d)을 따라 흐르면서 회전체(55a)를 회전시키고, 또한, 제1 유입공(55b)을 통하여 제1 관통공(55c)으로 유입되면서 회전체(55a)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55h)은 제1 관통공(55c)과 연통되는 제2 관통공(55i) 및, 노즐부(6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55j)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관통공(55i)은 제1 관통공(55c)과 연통되어, 제1 유입공(55b)과 제1 관통공(55c)을 통하여 이동된 스팀을 노즐부(60)로 배출한다. 상기 나사부(55j)에는 그 외주면에 노즐부(60)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부(60)는 봉 형상의 노즐(62) 및, 나사부(55j)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66)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62)에는 스팀의 분사를 위한 분사공(63)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측면에 분사공(63)이 형성된 노즐(62)을 나타내고 있으나, 분사공(63)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62)의 전면에 분사공(6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62)은 냉온수기(10)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10a)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20)의 배출관(27) 및, 에어컨(30)의 공기 흡입부(32)에 삽입되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냉온수기(10)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10a)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20)의 배출관(27) 및, 에어컨(30)의 공기 흡입부(32)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상기 냉온수기(10)의 냉수 밸브(14)를 제거한 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62)을 냉수관(16)에 삽입하여 스팀을 분사하여 냉수관(16) 내부를 소독한다.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및 음료 자동판매기(20)의 배출관(27)도 같은 방법으로 소독될 수 있다.
또한, 에어컨(30)의 공기 흡입부(32)를 소독하는 경우에는 흡입 루버(33)를 제거한 후, 증발관(32d) 사이에 노즐(62)을 삽입하여 스팀을 분사하거나, 필터(32b)(32c)에 스팀을 분사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의 회전부와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도 7에서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가진 부재는 도 7의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상기 소독 장치(100')는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부재(40)와, 분사 부재(40)로부터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수단(55')을 구비하는 회전부(50') 및, 회전 수단(55')과 연결되어 회전 수단(55')과 함께 회전되며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 부재(40)와 노즐부(60)는 전술한 소독장치(100)의 분사 부재(40) 및 노즐부(60)와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 수단(55')은 노즐부(60)와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55h') 및, 회전 샤프트(55h')에 설치되어 스팀에 의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55a')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55h')는 스팀이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형성된 제2 유입공(55k')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유입공(55k')과 연통된 제3 관통공(55i') 및, 노즐부(60)와의 결합을 위하여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55j')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55a')는 유입구(54)를 통하여 유입되고, 확산 수단(59)에 의하여 확산된 스팀에 의하여 회전된다. 프로펠러(55a')의 회전력은 회전 샤프트(55h')를 통하여 노즐부(60)에 전달된다.
도 11은 도 5 또는 도 10의 소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노즐부(60')는 봉 형상의 노즐(62)과, 나사부(55j)(55j')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66) 및, 노즐(62)에 설치된 솔 부재(67)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62)과 결합부(66)는 전술한 노즐부(60)의 노즐(62) 및 결합부(66)와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솔 부재(67)는 냉온수기(10)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10a)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20)의 배출관(27) 및, 에어컨(30)의 공기 흡입부(32)에 삽입된 경우에 냉온수기(10) 또는 정수기(10a) 내부의 불순물, 증발관(32d) 사이의 불순물, 필터(32b)(32c)에 부착된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은 노즐(62)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솔 부재(67)를 나타내고 있으나, 솔 부재(67)는 노즐(62)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노즐부(60'')는 봉 형상의 노즐(62)과, 회전 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66'')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62)은 전술한 노즐부(60)의 노즐(62)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66'')는 회전 수단에 끼움 방식 즉, 커플러 방식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커플러 방식은 샤워기, 분무기, 호스 연결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노즐(62)에는 솔 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노즐부(60''')는 봉 형상의 노즐(62)과, 회전 수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66''')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62)은 전술한 노즐부(60)의 노즐(62)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결합부(66''')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나사는 암나사가 형성된 회전 수단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상기 노즐(62)에는 솔 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봉 형상의 노즐(62)을 설명하였으나, 노즐은 소정 각도 예를 들면, 45°로 굽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노즐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소정 각도로 굽은 노즐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제조된 노즐은 에어컨 공기 흡입부(32)의 증발관(32d) 사이 등을 소독하는 데 효과적이다.
아울러, 노즐은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플렉시블한 소재로 제조된 노즐은 냉수관(16), 온수관, 연결관(15), 공급관(12a), 배수관(17), 배출관(27)이 굽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노즐을 분사 부재(40)의 나사산(44)에 직접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즐을 회전시키지 않고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100)를 사용하여 냉온수기(10)의 냉ㆍ온수 이동경로를 소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정수기(10a)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20)의 배출관(27) 및, 에어컨(30)의 공기 흡입부(32)를 소독하는 방법은 냉온수기(10)의 냉ㆍ온수 이동경로를 소독하는 방법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냉수 밸브(14)를 냉수관(16)으로부터 분리하고, 냉수관(16)에 적합한 노즐(60)을 회전축(55h)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노즐(60)을 냉수관(16)에 삽입하고, 분사 부재(40)의 조절부(46)를 당겨 스팀을 분사한다.
분사된 스팀은 유입구(54)를 통하여 유입된 후, 확산 수단(59)에 의하여 중공부(5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확산된다. 중공부(5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확산된 스팀은 나사선(52a)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동하게 된다. 회전하며 이동되는 스팀은 회전체(55a)의 제1 유입공(55b)과 제1,2 관통공(55c)(55i)을 통하여 이동하며 회전체(55a)를 회전시킨다.
스팀은 제1,2 관통공(55c)(55i)을 통하여 노즐부(60)로 배출되고, 노즐부(60)는 회전체(55a)와 함께 회전된다. 노즐부(60)는 회전하며 분사공(63)을 통하여 스팀을 분사하게 된다. 이 때, 솔부재(67)가 설치된 노즐부(60')는 냉수관(16)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온수관 및 배수관(17)의 소독 방법은 냉수관(16)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냉수 용기(12), 연결관(15) 및, 온수 용기(13)는 냉수 용기(12)의 상측으로부터 노즐(62)을 주입하여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소독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명세서는 분사 부재(40)로부터 분사된 스팀이 회전부(50)(50')를 경유하여 노즐부(60)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팀은 분사 부재(40)로부터 직접 노즐부(60)로 이동되어 분사될 수도 있다. 즉, 노즐부(60)를 분사 부재(40)의 나사산(44)에 직접 체결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노즐부(6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등에 삽입되어 고압의 스팀을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다.
둘째,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음료 자동판매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소독 장치의 회전부와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소독 장치의 회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정수기의 출수관을 소독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의 회전부와 노즐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 또는 도 10의 소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노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온수기 10a : 정수기
20 : 음료 자동판매기 30 : 에어컨
40 : 분사 부재 50, 50' : 회전부
60, 60', 60'', 60''' : 노즐부
100, 100' :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Claims (6)

  1. 고압의 스팀이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분사 부재;
    상기 분사 부재로부터 분사된 스팀이 통과될 수 있는 중공부가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스팀의 통과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수단이 설치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 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 수단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봉 형상의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는 이동되는 스팀이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피치의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스팀이 유입되는 제1 유입공이 그 외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입공과 연통되는 제1 관통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 관통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팀이 상기 제1 유입공에 유입됨으로 인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그 측면에 상기 스팀이 유입되는 제2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공과 연통되고 상기 스팀이 노즐부로 이동될 수 있는 제3 관통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가 그 끝단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다른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 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스팀이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팀을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솔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냉온수기의 냉ㆍ온수 이동경로, 정수기의 정수 이동경로, 음료 자동판매기의 배출관 및, 에어컨의 공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상기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KR20-2005-0025318U 2005-09-01 2005-09-01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KR200401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18U KR200401087Y1 (ko) 2005-09-01 2005-09-01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18U KR200401087Y1 (ko) 2005-09-01 2005-09-01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427A Division KR100682606B1 (ko) 2005-09-01 2005-09-01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7Y1 true KR200401087Y1 (ko) 2005-11-29

Family

ID=4370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318U KR200401087Y1 (ko) 2005-09-01 2005-09-01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3B1 (ko) * 2007-02-28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물 배출구 살균장치
KR101018250B1 (ko) 2008-07-25 2011-03-03 김영문 증기발생기를 내장한 정수기
CN110576011A (zh) * 2019-10-12 2019-12-17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洗瓶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3B1 (ko) * 2007-02-28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물 배출구 살균장치
KR101018250B1 (ko) 2008-07-25 2011-03-03 김영문 증기발생기를 내장한 정수기
CN110576011A (zh) * 2019-10-12 2019-12-17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洗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606B1 (ko)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및 그 방법
ES2318188T3 (es) Maquina expendedora de productos alimenticios con mecanismo de limpieza.
US6561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water cooler reservoir and its dispensing spigot(s)
US9440266B2 (en) Washer / disinfector having a water inlet diffuser
KR101199558B1 (ko) 멸균 냉온수 공급기기
ES2398745T3 (es) Dispositivo dispensador de fluidos con tobera autolimpiante y procedimiento de limpieza
CN103939992B (zh) 空调器室内机
CN103313674A (zh) 洗净处理装置及洗净处理方法
KR200401087Y1 (ko) 고압 스팀을 이용한 소독 장치
DK1940744T3 (en) An apparatus for producing physiological, therapeutic and chemotherapeutic aqueous rinse solutions
KR20220169124A (ko) 고압 스팀을 분사하여 소독하는 장치
KR200249522Y1 (ko) 공기 청정기
CN201267625Y (zh) 饮水机清洗灭菌消毒设备
KR101012229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CN214318697U (zh) 婴儿奶瓶消毒柜
CN218853149U (zh) 一种蒸汽消毒柜
JPH0545282Y2 (ko)
JPH01119225A (ja) 内視鏡消毒器
KR101899060B1 (ko) 정수기
KR200265755Y1 (ko) 항균기능을 갖는 급수전
KR19990024511U (ko) 냉온정수기의 냉수통 살균장치
KR100454044B1 (ko) 항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공급기기
KR200270129Y1 (ko) 온천수 공급장치
CN113854465A (zh) 一种采用旋转喷淋式的食品巴氏消毒设备
CN110359209A (zh) Uv灯杀菌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