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865A -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 화장료 첨가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 화장료 첨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865A
KR20040106865A KR1020030037741A KR20030037741A KR20040106865A KR 20040106865 A KR20040106865 A KR 20040106865A KR 1020030037741 A KR1020030037741 A KR 1020030037741A KR 20030037741 A KR20030037741 A KR 20030037741A KR 20040106865 A KR20040106865 A KR 2004010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ethanol
composition
sodium lau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307B1 (ko
Inventor
조영국
김기호
박선희
이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Priority to KR102003003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30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등의 한약제를 용매로 추출한 화장료 첨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합성 화장료 첨가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피부 생리의 저하, 화장품 중독증, 피부 자위력의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영양이 풍부하고 항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자극 완화효과가 있으므로 항노화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첨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 화장료 첨가조성물{THE COMPOSITION OF ADDING TO COSMETIC MATERIAL, EXTRUCTED FROM CHINESE MEDICINE MATERIALS HAVING EFFECT OF ANTIAGEING}
본 발명은 항노화 효과를 지닌 한약제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한약제인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으로부터 추출한 항염, 보습, 자극 완화효과 성분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첨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염증반응은 외부 자극에 의한 동통, 발열, 발적, 종창, 기능상실 등을 특징으로 하며, 조직학적으로는 소동맥, 모세혈관 및 소정맥의 투과성과 혈류증가를 동반한 확장, 혈장단백을 함유한 혈장의 삼출, 백혈구의 염증부위로의 이동 등을 포함한 복잡한 증상 등이 관찰되며 항염은 외부자극으로부터 위와 같은 현상으로 나타나는 조직의 파괴를 막는 일련의 작용을 말한다.
생리학적인 조절 유전자로서 피부는, 신체에서 물의 일반적인 신진대사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각질층의 수분함량(moisture level)은 유연하고 건강한 피부의 표면을 유지하기 위해 주요하다. 각질층의 수분함량(moisture level)은 각질층의 유연성과 보호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진피에서 각질층으로 도달하는 물의 비율, 증발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비율 및 각질층의 물 보유능력에 의해 좌우된다. 또한 규칙적인 각질화로 생성된 각질층 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20%를 유지한다. 이것은 땀과 피지의 혼합으로 되어 있는 피지막 때문으로,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각질층에서 수분의 증발되는 것을 막고 있다.
그러나 피부가 노화되면 피부의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matrix)안의 콜라겐(collagen), 코폴리사카다이드(mucopolysaccharide), 히야루로닉산(hyaluronic acid)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라겐의 양이 증가한다. 이렇게 되면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는 거칠게 된다. 더 나아가 노화와 더불어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피지막은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능력을 잃게 되어 결국에는 피부는 건조하게 되고 윤기(translucence)를 잃는다.
이 뿐만 아니라 진피에서의 불용성 콜라겐은 UV빛에 노출되어 변성되고 피부의 탄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표피와 진피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표면에 주름과 늘어짐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피부의 보습력 상실 또한 피부주름생성의 주요요인이 되고 있다.
피부의 대표적인 자극원은 자외선이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광화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최근 자외선(UV-B 및 UV-A)에 의한 사람 피부 세포의 손상의 주원인은 여러 활성 산소종 중에서 가장 반응성이 큰 신글리트옥시겐(singlet oxygen)이며 이는 태양광선 노출시 피부에서 생성되어 피부 단백질의 변성 및 지질의 과산화를 통하여, 피부염 및 광발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방어하지 못할 경우 피부세포 및 조직손상은 상당히 크며, 결과적으로 단백질, 지질, DNA와 같은 세포 성분들이 활성 산소의 손상을 받게 되고, 세포기능이 변질되어 피부노화가 촉진되고 피부암과 같은 병을 유발한다.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년 Maxim)의 추출액은 엘레우테로시드 성분이 있어 기초 대사와 저항성을 높이고 혈당량을 줄이며 성선자극작용이 있다. 임상실험에 의하면 방사선 방어효과가 있으며 종양세포의 활착과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를 억제한다. 또한 항암약에 대한 건강한 조직의 내성을 높여 준다.
백복령(Poria cocos(Schw.) Wolf.)은 벌목한지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란 균핵이다. 다당류인 파키만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파키마란으로 전환시 탁월한 암 억제효과가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mb)에는 쿠에르시트린, 이소쿠에르시트린 및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가 함유되어 있어 항균작용,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다. 전초는 염증약, 이뇨 해독약으로 쓰이며 차처럼 매일 마시면 동맥경화를 예방 할 수 있다.
감초(Glycyrrhiza glabra L.)뿌리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시리진은 호흡기도를 완화시키고 자체로는 독성이 없으나 여러 독성물질에 대한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항염증 및 항균작용이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리쿠라시드는 진경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항궤양 활성도 알려져 있다.
녹용의 효과는 고대 한방문헌에 수록되어 현대에 전해지고 있으며 오늘날 과학적인 임상실험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아미노산을 비롯한 강글리오사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조혈기능을 항진시키고 세포성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며 근육, 골격약화를 예방,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억제, 보습, 피부 자극시험 등에서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안전성과 효능성이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이라 하겠다.
종래 석유화학제품으로부터 얻거나 광물성 물질로부터 얻어지는 화장료 첨가조성물의 사용은 피부의 호흡작용, 분비작용, 혈액순환, 영양흡수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화장품 중독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밖에도 피부의 자위력 저하를 초래하여 외부 유해요인으로부터 피부 보호기능을 상실하며 따라서 피부부식, 영양결핍, 노화촉진, 각질탈락현상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현상에 의하여 기미, 주근깨, 반점, 소양증 등을 제반하고 피부질환을 발생시키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합성 화장료 첨가물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항노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첨가조성물로서 한약제인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영 등으로부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화장료 첨가조성물을 얻고 이를 화장료에 첨가하므로서 영양이 풍부하고 항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성이 없는 화장료 첨가조성물 및 화장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하겠다.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을 각각 동일량(중량)으로 조성하여 완전 건조한 후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1∼2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01∼10%, 바람직하게는 0.001∼5%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숀),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등에 첨가하는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한 가시오가피 100g, 백복령 100g, 어성초 100g, 감초 100g, 녹용 100g을 30% 함수 에탄올 6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5일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um 의 필터 여과하여 추출액 4.8kg 을 얻었다.
실시예 2-9.
하기 표1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1>
용 매 수 득 량 (㎏)
실시예 2 정 제 수 4.6
실시예 3 95% 에탄올 5.2
실시예 4 글 리 세 린 4.8
실시예 5 부틸렌글리콜 4.8
실시예 6 프로필렌글리콜 4.8
실시예 7 30% 함수프로필렌글리콜 4.6
실시예 8 30% 함수부틸렌글리콜 4.7
실시예 9 30% 함수글리세린 4.7
실시예 10.
정제수로 세척한 가시오가피 100g, 백복령 100g, 어성초 100g, 감초 100g, 녹용 100g을 30% 함수 에탄올 6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3시간 가열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um 의 필터 여과하여 추출액 5.3kg을 얻었다.
실시예 11-18.
하기 표2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2>
용 매 수 득 량 (㎏)
실시예 11 정 제 수 5.1
실시예 12 95% 에탄올 5.3
실시예 13 글 리 세 린 5.2
실시예 14 부틸렌글리콜 5.2
실시예 15 프로필렌글리콜 5.2
실시예 16 30% 함수프로필렌글리콜 5.3
실시예 17 30% 함수부틸렌글리콜 5.1
실시예 18 30% 함수글리세린 5.1
실시예 19.
정제수로 세척한 가시오가피 100g, 백복령 100g, 어성초 100g, 감초 100g, 녹용 100g을 30% 함수 에탄올 6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6일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um의 필터 여과한다. 여과되어 나온 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건조시켜 32g의 분말상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0-22.
하기 표3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3>
용 매 고 형 분 (㎏)
실시예 20 38
실시예 21 95% 에탄올 30
실시예 22 50% 에탄올 32
실험1. 항염증 실험
본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5에 나타내었다.
<표5>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억제율
※ 억제율(%) = (A ̄B) / A ×100
A : 대조군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 - 처리 전 귀의두께)
B : 시료도포군 귀의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 - 처리 전 귀의 두께)
시 료 농도(%) 용 매 귀두께(㎛ 억제율(%)
아라키돈산처리 전 아라키돈산처리 후
아라키돈산 - 에탄올 277 570 -
Indomethacin 1 에탄올 273 415 51.5
실시예 1 추출물 2.5 에탄올 277 540 10.2
실시예 1 추출물 5 에탄올 265 531 9.2
실시예 2 추출물 5 에탄올 275 532 12.3
실시예 3 추출물 5 에탄올 290 556 9.2
실시예 4 추출물 5 에탄올 301 569 8.5
실시예 5 추출물 5 에탄올 257 521 9.9
실시예 6 추출물 5 에탄올 245 507 10.6
실시예 7 추출물 5 에탄올 275 543 8.5
실시예 8 추출물 5 에탄올 258 509 14.3
실시예 9 추출물 5 에탄올 292 563 7.5
실시예 10 추출물 5 에탄올 275 542 8.9
실시예 11 추출물 5 에탄올 274 538 9.9
실시예 12 추출물 5 에탄올 265 530 9.6
실시예 13 추출물 5 에탄올 254 519 9.6
실시예 14 추출물 5 에탄올 275 533 11.9
실시예 15 추출물 5 에탄올 292 558 9.2
실시예 16 추출물 5 에탄올 245 499 13.3
실시예 17 추출물 5 에탄올 285 544 11.6
실시예 18 추출물 5 에탄올 258 518 11.2
실험 2. 분말상 시료의 항염증 실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5g을 100g의 에탄올에 녹여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6 에 나타내었다.
<표6>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억제율
시 료 농도(%) 용 매 귀두께(㎛ 억제율(%)
아라키돈산처리 전 아라키돈산처리 후
아라키돈산 - 에탄올 277 570 -
Indomethacin 1 에탄올 273 379 63.8
실시예 19 추출물 0.5 에탄올 276 539 10.2
실시예 20 추출물 0.5 에탄올 265 525 11.3
실시예 21 추출물 0.5 에탄올 273 539 9.2
실시예 22 추출물 0.5 에탄올 273 540 8.9
표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은 높은 염증 억제율을 보였다.
실험 3. 보습실험(1)
상기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 실시예 8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정제수,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을 각각의 Plate에 적정한 후, 완전 건조된 CaCl2를 흡습제로 사용하여 상대습도를 40%, 온도 35℃로 조절한 데시게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며 각 시료의 무게를 6회 측정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약전동싸리 추출물의 보습효과
흡습율(%) = (Wa-Wb) / Wa ×100
여기서 Wa는 방치 전의 시료 무게이며, Wb는 일정 시간 방치 후의 시료 무게이다.
시료측정시간 정 제 수 30% 함수부틸렌글리콜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
0 100.00 100.00 100.00
2 88.73 90.22 91.75
4 81.68 82.70 83.70
19 35.23 48.56 54.06
21 25.62 41.19 46.35
24 15.91 34.76 39.81
실험 4. 보습실험(2)
상기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 실시예 8에 대하여 Courage+Khazaka 사의 Corneometer CM 825를 사용하여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2 ㎠ , 8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 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5분 경과 후, 정제수,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을 각각 2구획에 대하여 10㎕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10분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회 측정한다. 1구획에 대하여 5분 간격으로 6회 측정한다. 실내온도는 20℃, 상대습도 20%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의 보습효과(2)
흡습율(%) = 시료 도포 후 Corneometer Value - 시료 도포전 Corneometer Value이며, data 값은 20명에 대한 평균치로 나타냈다.
시료시간(분) 정 제 수 30% 함수부틸렌글리콜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
10 15.2 23.8 29.5
15 10.4 12.5 18.7
20 4.2 9.8 15.9
25 3.5 7.6 13.1
30 1.9 6.9 11.8
35 0.6 5.5 8.9
40 0.0 5.2 7.7
실험 5. 피부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본 추출물 1.0%, 3.0% 수용액 및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수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여 2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결과를 표9에 나타내었다.
<표 9> 피부 자극성 시험결과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수×1} + {(+)수×2} + {(++)수×3}
자극도 = ----------------------------------
피시험자수
시 료 피시험자 수 판 정 결 과 자극도
++ + +-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20 1 1 3 16 0.4
정 제 수 20 0 0 3 17 0.15
실시예1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1 1 18 0.15
실시예2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0 18 0.2
실시예3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1 17 0.25
실시예4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1 3 16 0.25
실시예5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3 15 0.35
실시예6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0 2 17 0.25
실시예7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1 4 15 0.3
실시예8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0 2 18 0.1
실시예9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1 2 17 0.25
실시예10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3 15 0.35
실시예11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1 1 17 0.3
실시예12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0 3 17 0.15
실시예13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1 2 17 0.35
실시예14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0 18 0.2
실시예15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2 16 0.3
실시예16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0 4 16 0.2
실시예17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2 0 17 0.25
실시예18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3 0 17 0.3
실험 6. 분말상 시료의 피부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5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10에 나타내었다.
<표 10> 피부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 수 판 정 결 과 자극도
++ + +- -
실시예19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0 3 17 0.15
실시예20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2 2 16 0.3
실시예21 추출물3.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1 1 0 18 0.25
실시예22 추출물1.0%+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0.08% 20 0 0 4 16 0.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 원료를 사용하여 아래 처방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처방예 1.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은 실시예 8의 것이다.
번호 원 료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실시예8) 10.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1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1: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숀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은 실시예 8의 것이다.
번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실시예8) 10.0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0.0 10.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3 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2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후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 한다. 그 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2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후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 한다. 그 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3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은 실시예 8의 것이다.
번호 원 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 혼합 추출물(실시예8) 10.0 -
2 시토 스테롤 4.0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3.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2.0 2.0
6 콜레스테롤 3.0 3.0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22.0 22.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11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3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다. 그리고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10, 11, 12, 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다. 그리고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10, 11, 12, 13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시험예 1.
상기 처방예 1∼3에서의 제형예 1∼3과 비교 제형예 1∼3에 대하여 피부 자극 효과에 관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제형 및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수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 여 2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표11에 나타내었다.
<표11> 피부 자극성 시험결과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수×1} + {(+)수×2} + {(++)수×3}
자극도 = ----------------------------------
피시험자수
시 료 피시험자 수 판 정 결 과 자극도
++ + +- -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08% 20 1 2 2 15 0.45
처방예1의 제형예1+소디움라우릴페이트 0.08% 20 0 2 2 16 0.3
처방예1의 비교제형예2+소디움라우릴페이트 0.08% 20 1 1 3 15 0.4
처방예2의 제형예2+소디움라우릴페이트 0.08% 20 0 1 2 17 0.2
처방예2의 비교제형예2+소디움라우릴페이트 0.08% 20 0 0 4 16 0.2
처방예3의 제형예3+소디움라우릴페이트 0.08% 20 2 0 1 17 0.35
처방예3의 비교제형예3+소디움라우릴페이트 0.08% 20 1 2 0 17 0.35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첨가조성물은 천연의 한약제들의 추출물로서 종래 합성 화장료 첨가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피부생리의 저하, 화장품 중독증, 피부자위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영양이 풍부하고 항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함에 따라 항노화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첨가조성물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가시오가피, 백복령, 어성초, 감초, 녹용을 각각 같은 함량비로 하여 용매로 추출한 화장료 첨가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첨가조성물의 건조 중량으로서 화장료에 대하여 0.001∼0.5%를 첨가해서된 화장료.
  3. 청구항 2에 있어서,
    화장료가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숀),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인 화장료.
KR1020030037741A 2003-06-12 2003-06-12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KR10055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741A KR100552307B1 (ko) 2003-06-12 2003-06-12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741A KR100552307B1 (ko) 2003-06-12 2003-06-12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865A true KR20040106865A (ko) 2004-12-18
KR100552307B1 KR100552307B1 (ko) 2006-02-20

Family

ID=3738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741A KR100552307B1 (ko) 2003-06-12 2003-06-12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3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79B1 (ko) * 2006-10-30 2008-06-13 김도완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560B1 (ko) * 2008-07-14 2012-02-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유연성 개선 화장료 조성물
WO2012144405A1 (ja) * 2011-04-18 2012-10-26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の製造方法及び貼付剤
CN104688552A (zh) * 2015-01-30 2015-06-10 天津市顶硕科贸有限公司 一种含有薁磺酸钠的抗过敏药用沐浴液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79B1 (ko) * 2006-10-30 2008-06-13 김도완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7560B1 (ko) * 2008-07-14 2012-02-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유연성 개선 화장료 조성물
WO2012144405A1 (ja) * 2011-04-18 2012-10-26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の製造方法及び貼付剤
JP5698837B2 (ja) * 2011-04-18 2015-04-0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の製造方法及び貼付剤
CN104688552A (zh) * 2015-01-30 2015-06-10 天津市顶硕科贸有限公司 一种含有薁磺酸钠的抗过敏药用沐浴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307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6397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N104814908A (zh) 一种具有抗皱嫩肤功效的面膜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00396A (ko) 미백 화장료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20050073918A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02012B1 (ko)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180353413A9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CN108938511B (zh) 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在皮肤保湿祛痘产品中的应用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KR100887294B1 (ko)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20060093164A (ko)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3908087A (zh) 一种天然保湿组合提取物,其制备方法以及其应用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3254A (ko)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