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071A -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071A
KR20040106071A KR1020030037263A KR20030037263A KR20040106071A KR 20040106071 A KR20040106071 A KR 20040106071A KR 1020030037263 A KR1020030037263 A KR 1020030037263A KR 20030037263 A KR20030037263 A KR 20030037263A KR 20040106071 A KR20040106071 A KR 2004010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disk
leaf spring
center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은기
신장순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071A/ko
Priority to DE602004020019T priority patent/DE602004020019D1/de
Priority to PT04013640T priority patent/PT1486694E/pt
Priority to EP04013640A priority patent/EP1486694B1/en
Priority to US10/863,286 priority patent/US7044284B2/en
Priority to CNB2004100487235A priority patent/CN100443757C/zh
Priority to JP2004172959A priority patent/JP4065439B2/ja
Publication of KR2004010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디스크와 풀리 사이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내피로특성이 우수한 판 스프링을 갖는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코일의 작용에 의해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 또는 이탈되는 중공의 디스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고,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허브와,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중심을 향하고 타단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대략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슬롯과, 상기 슬롯들 중 서로 인접한 슬롯과의 사이에서 상기 슬롯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한정되는 탄성부와, 중심부에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허브 결합부와, 가장자리부에 상기 디스크가 결합되는 디스크 결합부를 갖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판 스프링과, 상기 디스크와 상기 판 스프링의 사이에 개재된 흡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Disk and hub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clutch in compressor}
본 발명은 차량용 압축기로의 엔진 동력 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기조화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압축기는 풀리를 통하여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전자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는 장치이다.
차량의 엔진과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압축기는 엔진에 연결된 풀리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으며, 이 엔진의 동력을 전자 클러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전달한다.
이렇게 압축기로의 엔진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는 엔진 등의 구동원에 직접 연결되는 풀리 조립체(Pulley Assembly)와, 허브에 의하여 압축기의 구동축 끝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밀착되거나 풀리의 마찰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선택적 전달하는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Disc & Hub Assembly)와, 전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와 풀리 조립체가 연결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필드 코일 조립체(Field Coil Assembly)로 구성된다.
상기 필드 코일 조립체는 상기 풀리 조립체의 풀리 내부에 설치되어 전자석의 작동에 따라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의 디스크를 풀리의 마찰면으로 끌어당기는 기능을 한다.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디스크와 허브로 구성되는 데, 디스크는 풀리에 대해 미소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허브에는 압축기의 구동축이 결합된다. 이 디스크와 허브의 사이에는 이들 디스크와 허브를 상호 연결시켜주고 상기 필드 코일 조립체의 전자석의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 풀리의 마찰면에 부착되어 있던 디스크를 원상으로 회복시켜 상기 디스크가 상기 풀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탄성구조가 구비된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압축기에 있어서,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상기 탄성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로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라운드 러버(Round Rubber)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가 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라운드 러버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10)는 구동축에 연결되는 내측 허브(11)와 디스크(12)에 연결되는 외측 허브(13)가 분리되어져 있고,이 내측 허브(11)와 외측 허브(13)는 고무와 같은 러버 부재(14)에 의해 결합되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라운드 러버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디스크(12)와 내측 허브(11)의 사이를 러버 부재(14)가 완충역할을 해 주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나, 러버 부재(14)가 디스크(12)의 일면과 내측 및 외측 허브(11)(12)에 모두 접합되어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른 형태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허브(21)와 디스크(22)의 사이에 다수의 리프(leaf) 스프링(23)들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리프 스프링 범퍼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리프 스프링(23)이 그 일단은 디스크(22)의 가장자리에 리벳(23a)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허브(21)의 플랜지(21a)에 고정되어, 필드 코어 조립체의 전자석에 의해 풀리의 마찰면에 부착된 디스크(22)가 상기 전자석의 전자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리프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원되도록 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리프 스프링 범퍼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20)에서는 디스크(22)의 흡착 및 이격시에 소음이 발생하는 데, 이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디스크(22)와 허브 플랜지(21a)를 범퍼 리벳(26)에 의해 결합하고, 이 범퍼 리벳(26)의 외주면 둘레로 러버재로 이루어진 댐퍼(25)를 설치하여, 이 댐퍼(25)의 플랜지가 디스크(22)와 허브 플랜지(21a)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고, 아울러 범퍼 리벳(26)의 머리에는 소음감소용 범퍼(24)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에어컨이 작동되어 필드 코어 조립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범퍼(24)의압축에 의해 리프 스프링(23)의 흡착 소음을 줄이고, 필드 코어 조립체에 전원이 해제되면 댐퍼(25)에 의해 리프 스프링(23)의 이탈 진동이 흡수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리프 스프링 범퍼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러버재로 구비된 댐퍼와 범퍼가 각각 그 기능을 달리하여 분리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 그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며, 탄성 구조의 형상 및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리프 스프링 범퍼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흡진재인 러버부재가 디스크와 허브의 매우 적은 영역에만 설치되어 있어 그 소음을 줄이는 데도 한계가 있게 된다.
도 3에는 또 다른 형태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30)는 허브(31)가 디스크(32)의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33)이 허브(31)와 디스크(32)에 각각 리벳팅되어 있다.
상기 리프 스프링(33)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절곡부(33b)를 중심으로 일단(33a)까지의 길이가 타단(33c)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리프 스프링(33)은 세 개가 구비되어 허브(31) 및 디스크(32)에 연결되는 데, 상기 절곡부(33b)는 허브(31)에 리벳팅되고, 길게 형성된 일단(33a)은 디스크(32)의 외측 플랜지에, 짧게 형성된 타단(33c)은 디스크(32)의 내측 플랜지에 각각 리벳팅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클러치 온,오프 작동시 구조적으로 노이즈가 크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크에 형성되어 있는슬롯이 대부분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이 디스크의 슬롯을 통하여 풀리로 유입되어 결국에는 풀리와 디스크와의 마찰력을 저하시켜 동력전달 효율이 감소되고, 디스크 또는 풀리의 마찰면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이렇게 댐퍼와 범퍼가 분리된 구조의 탄성 구조에 대하여,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48155호에는 범퍼와 댐퍼의 기능을 겸비한 러버부재가 디스크와 허브의 사이에 개재된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 의하면, 원판상의 플레이트에 삼각형상의 슬롯이 형성되고, 삼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 판 스프링이 허브에 연결되고, 이 판 스프링의 슬롯 바깥측의 내면은 러버부재가 접합된 상태로 디스크에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러버부재가 디스크의 흡착 및 이탈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 즉, 범퍼와 댐퍼의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상기 러버 부재가 판 스프링 및 디스크에 접합된 구조로 이 러버 부재의 몰딩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그 설비도 크게 되어 제조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서, 상기 러버부재를 접합식이 아닌 비접합식으로 조립할 경우에는 고속회전시 러버부재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3년 2월 14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9355호에 의해 스프링 구조가 개선된 전자 클러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전자 클러치의 판 스프링에 있어서,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브 결합부(305)에 리벳팅되는 허브의 플랜지부(미도시)가 이 허브 결합부(305)를 연결한 동심원(A1)보다 약간정도 외측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상기 판 스프링(300)을 지지한다. 따라서, 클러치의 ON/OFF 시 가장 큰 힘을 받는 탄성부(340)의 시작 부분인 슬롯(310)의 요입부(311)의 단부(311a)의 부근이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지 못하게 되어 이 부근에서 파단의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디스크와 풀리 사이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피로특성이 우수한 판 스프링을 갖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종래의 라운드 러버(Round Rubber)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 및 그 A-A'에 대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리프 스프링 범퍼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 및 그 B-B'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리프 스프링 범퍼형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제2003-000000호의 판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판 스프링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크 200 : 허브
220: 플랜지부 300 : 판 스프링
305: 허브 결합부 310: 슬롯
340 : 탄성부 400 : 흡음 부재
A2 : 허브 결합부를 연결한 원 B : 슬롯의 요입 단부의 최소 내접원
C : 허브 결합부의 최소 내접원 D : 플랜지부의 단부의 경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코일의 작용에 의해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 또는 이탈되는 중공의 디스크와,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고,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허브와,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중심을 향하고 타단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대략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슬롯과, 상기 슬롯들 중 서로 인접한 슬롯과의 사이에서 상기 슬롯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한정되는 탄성부와, 중심부에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허브 결합부와, 가장자리부에 상기 디스크가 결합되는 디스크 결합부를 갖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판 스프링과, 상기 디스크와 상기 판 스프링의 사이에 개재된 흡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의 플랜지부의 단부보다 중심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 결합부보다 중심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를 연결한 원의 지름을 B라 하고, 상기 허브 결합부들의 최소 내접원의 지름을 C라 할 때, 상기 B 및 C는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허브 결합부의 내측으로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 결합부들을 연결한 원과 상기 중공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허브 결합부의 내측으로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도록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는 압축기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전자 코일이 내재되어 전자력을 발생하는 필드 코어 조립체와, 외주부에 풀리가 구비된 풀리 조립체와, 압축기 본체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로 구비된다.
필드 코어 조립체는 코일 하우징과 상기 코일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전자 코일로 구비되고, 풀리 조립체는 단면이 ??자 형상의 2중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구동측 로터의 내부 공간에는 코일 하우징이 미세하게 배설되어, 벨트에 의해 엔진에 연결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풀리 조립체의 풀리의 압축기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으로는 상기 풀리의 마찰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한 체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가 결합된다.
도 5는 이러한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중 판 스프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는 크게 디스크(100)와, 허브(200)와, 판 스프링(300)과, 흡음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풀리와 미소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것으로, 철 등의 자성체로 중공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2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자기 차단용 슬롯(1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 판 스프링(300)과 결합되는 결합공(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200)는 철계 금속에 의해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에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220)는 상기 디스크(100)의 중공부(103)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로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220)에는 판 스프링(3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2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200)의 중앙부에는 스플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압축기 본체의 구동축과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결합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200)는 상기 디스크(100)의 중공부(103)에 삽입된 체로 판 스프링(30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100)는 흡음부재(400)가 개재된 체로 판 스프링(300)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100)와 허브(200)의 판 스프링(300)에의 결합은 각각 디스크 리벳(320)과, 허브 리벳(325)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 상기 디스크 리벳(320)에는 탄성 링(321)이 더 개재되어 상기 디스크(100)와 판 스프링(300)의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이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크(100) 및 허브(20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구조의 디스크(100) 및 허브(200)도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100) 및 허브(200)와 결합되는 판 스프링(300)은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300)은 평판상의 금속으로 구비되고, 대략 외경이 디스크(100)와 동일하여 이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중공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301)로는 허브(200)의 결합공(210)내로 스플라인 결합된 압축기의 구동축에 허브(200)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볼트(미도시)가 삽입된다.
상기 판 스프링(300)에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형상의 슬롯(310)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되는 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슬롯(310)은 판 스프링(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대략 사선 방향으로 소정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데, 대략 국자 모양을 갖는다. 즉, 상기 슬롯(310)은 일단부는 국자 모양의 요입부(311)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국자의 손잡이에 해당하는 대략 직선부(312)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요입부(311)가 형성된 슬롯(310)의 일단, 즉, 요입단부(311a)는 상기 판 스프링(30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직선부(312)가 형성된 슬롯(310)의 타단, 즉, 직선단부(312a)는 상기 판 스프링(300)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즉, 대략 사선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이러한 형상의 슬롯(310)들에 의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340)와, 연장부(3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340)는 서로 인접한 슬롯(310)들의 사이에서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부분으로, 어느 한 슬롯의 요입부(311)로부터 요입단부(311a)까지의 부분과, 이에 인접한 다른 슬롯의 직선부(3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335)는 상기 탄성부(340)로부터 상기 슬롯(310)의 요입부(311)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해당한다. 이 연장부(335)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댐퍼(350)가 결합되는 댐퍼 결합부(336)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 결합부(336)는 관통공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판 스프링(300)의 중심부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허브(200)가 결합되는 허브 결합부(305)가 위치하고, 가장자리부에는 디스크(100)가 결합되는 디스크 결합부(303)가 위치한다. 상기 허브 결합부(305)는 허브(200)의 체결공(201)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디스크 결합부(303)도 디스크(100)의 결합공(102)에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허브 결합부(305) 및 디스크 결합부(303)는 리벳팅이 가능한 결합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허브(200)와 디스크(100)는 각각 허브 리벳(325) 및 디스크 리벳(320)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30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판 스프링(300)과 디스크(100)의 사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음부재(400)가 개재되는 데, 이 흡음부재(4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300)의 슬롯(310) 외측에 구비된 흡음부재 결합부(30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흡음부재(400)는 판 스프링(300)의 탄성부(340)의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음부재(400)는, 일측면에 일체로 체결 후크(4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후크(410)는 상기 판 스프링(300)에 형성된 흡음부재 결합부(302)에 관통 결합되어 돌출된다. 상기 체결 후크(410) 중 적어도 하나는 단지 상기 흡음부재 결합부(302)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400)는 이 밖에도 중앙에 허브의 플랜지부가 위치하도록 소정 크기의 삽입공을 갖는 일체의 링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디스크(100)의 착탈 시 소음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흡음부재(400)는 디스크(100)와 항상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디스크(100)의 착탈시 소음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댐퍼(350)는 판 스프링(300)의 연장부(335)의 댐퍼 결합부(336)에 설치되는 것으로, 풀리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디스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00)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탄성부(340)의 중심을 향한 단부(341)가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340)에서 판 스프링(300)의 파열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여 볼 때, 허브가 결합되는 허브 결합부(305)는 대략 탄성부(340)의 중심쪽 시작부, 즉, 탄성부(340)의 중심을 향한 단부(341)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허브의 플랜지부(220)의 외주의 경계는 라인 D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340)의 중심을 향한 단부(341)는 허브의 플랜지부(220)의 외주경계인 라인 D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결국, 탄성부(340)의 단부(341)는 플랜지부(220)에 의해 충분히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의 ON/OFF에 따라 힘을 받게 되는 부분인 탄성부(340)의 단부(341)가 플랜지부(220)에 의해 지지됨으로 클러치의 ON/OFF 반복에도 내피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내피로 특성은 슬롯(310)의 요입 단부(311a)를 플랜지부(220)의 외주 경계(D)보다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즉, 슬롯(310)의 요입 단부(311a)를 플랜지부(220)의 외주 경계(D)보다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강도가 취약한 요입 단부(311a)와 허브 결합부(305)와의 사이가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310)의 요입 단부(311a)는 상기 허브 결합부(305)보다 더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 즉, 상기 슬롯(310)의 요입 단부(311a)가 상기 허브 결합부(305)의 중심을 연결한 라인인 동심원 A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슬롯(310)들의 요입 단부(311a)를 연결한 원의 지름을 B라 하고, 상기 허브 결합부들의 최소 내접원의 지름을 C라 할 때, 상기 B 및 C는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입 단부(311a)와 허브 결합부(305)와의 사이가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충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탄성부(340)의 내피로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판 스프링은 슬롯(310)의 요입 단부를 중공부(301)까지 연장시켰다. 즉, 판 스프링의 중공부(301)와 슬롯(310)의 요입부(311)가 연통되어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하면, 탄성부(340)의 시작 단부(341)가 허브의 플랜지부의 외주 단부(D)의 내측에 배치되고, 아울러 슬롯(310)과 허브 결합부(305)의 사이부분이 모두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판 스프링, 특히, 탄성부(340)의 내피로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압축기의 ON/OFF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둘째,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에 사용되는 흡음 부재를 직접 몰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저감되며, 제조 공정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셋째, 압축기의 ON/OFF 가 반복되어도 판 스프링의 내피로특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디스크와 풀리 사이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전자 코일의 작용에 의해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 또는 이탈되는 중공의 디스크;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고,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허브;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중심을 향하고 타단은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대략 사선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슬롯과, 상기 슬롯들 중 서로 인접한 슬롯과의 사이에서 상기 슬롯에 의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한정되는 탄성부와, 중심부에 상기 허브가 결합되는 허브 결합부와, 가장자리부에 상기 디스크가 결합되는 디스크 결합부를 갖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의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디스크와 상기 판 스프링의 사이에 개재된 흡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의 플랜지부의 단부보다 중심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 결합부보다 중심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를 연결한 원의 지름을 B라 하고, 상기 허브 결합부들의 최소 내접원의 지름을 C라 할 때, 상기 B 및 C는 하기 수학식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허브 결합부의 내측으로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허브 결합부들을 연결한 원과 상기 중공부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허브 결합부의 내측으로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롯들의 상기 판 스프링의 중심부를 향한 단부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자 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20030037263A 2003-06-10 2003-06-10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40106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63A KR20040106071A (ko) 2003-06-10 2003-06-10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DE602004020019T DE602004020019D1 (de) 2003-06-10 2004-06-09 Scheiben- Nabenanordnung für elektromagnetische Kupplung in einem Kompressor
PT04013640T PT1486694E (pt) 2003-06-10 2004-06-09 Conjunto de disco e cubo para a embraiagem electromagnética de um compressor
EP04013640A EP1486694B1 (en) 2003-06-10 2004-06-09 Disc and hub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clutch in a compressor
US10/863,286 US7044284B2 (en) 2003-06-10 2004-06-09 Disc and hub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clutch in a compressor
CNB2004100487235A CN100443757C (zh) 2003-06-10 2004-06-10 压缩机的电磁离合器用盘和盘毂组装体
JP2004172959A JP4065439B2 (ja) 2003-06-10 2004-06-10 圧縮機の電磁クラッチ用ディスク及びハブ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63A KR20040106071A (ko) 2003-06-10 2003-06-10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71A true KR20040106071A (ko) 2004-12-17

Family

ID=3738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263A KR20040106071A (ko) 2003-06-10 2003-06-10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0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971B1 (ko) * 2005-03-29 2006-08-21 주식회사 피이케이 압축기용 클러치의 리프스프링
KR101220973B1 (ko) * 2005-10-21 2013-0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WO2020004757A1 (ko) * 2018-06-27 2020-01-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971B1 (ko) * 2005-03-29 2006-08-21 주식회사 피이케이 압축기용 클러치의 리프스프링
KR101220973B1 (ko) * 2005-10-21 2013-0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WO2020004757A1 (ko) * 2018-06-27 2020-01-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59901A1 (en) Electromagnetic clutch
KR101559446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허브조립체
KR100635117B1 (ko) 전자기 클러치
EP1486694B1 (en) Disc and hub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clutch in a compressor
KR101099116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KR20040106071A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40106070A (ko) 전자 클러치
KR100650378B1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926933B1 (ko) 전자 클러치
KR101104280B1 (ko) 전자클러치의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561938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_
KR20040073686A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937346B1 (ko) 전자 클러치
KR200372698Y1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JP2001221259A (ja) カップリング
KR20070054477A (ko) 자동차 압축기용 클러치
KR20040034191A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822603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514918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_
KR20040073687A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608554B1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70025241A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20040085723A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KR100880896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어셈블리
KR20070081634A (ko) 압축기의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