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063A -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063A
KR20040106063A KR1020030037251A KR20030037251A KR20040106063A KR 20040106063 A KR20040106063 A KR 20040106063A KR 1020030037251 A KR1020030037251 A KR 1020030037251A KR 20030037251 A KR20030037251 A KR 20030037251A KR 20040106063 A KR20040106063 A KR 2004010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lephone number
telephone
call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063A/ko
Publication of KR2004010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망식별 번호나 지역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만 입력하여 전화를 걸게 되더라도 자동으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제외된 전화번호와 함께 "Send"키를 입력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전체 전화번호를 읽어와 상기 전체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시도할 때, 망식별 번호나 지역번호를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간단히 전화번호만 입력해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가 이동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운데 전화 통화를 시도할 때, 일일이 해당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전화번호만으로 용이하게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Telephone Capable of Providing Abbreviated Dial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망 식별 번호나 지역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만 입력하여 전화를 걸게 되더라도 자동으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획득을 대단히 필요로 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이동 단말기는 전화 통화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매체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화 통화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하는 중에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12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32),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4)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는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 전송기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132)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32)에는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단말기(11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34)는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기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단말기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즉, 위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서,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전화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키입력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대방의 전화 번호는 지역 번호가 포함된 전화 번호이거나, 망식별 번호(011, 017, 019, 016 등)가 포함된 전화 번호이므로,키버튼을 조작하여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전화 번호 등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필요시마다 간단한 키입력만으로 저장된 전화 번호를 찾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 번호의 갯수가 수 십개 내지 수 백개 이상될 경우에는 전화 번호의 리스트가 표시될 때 해당 전화번호를 일일이 찾아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화 통화 시도에 따른 일정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하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장점이 있는 통신 수단으로서, 이동시에 전화 통화를 위해 일정 시간 이상으로 집중하여 전화 번호 키입력을 수행하는 것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도로를 보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위험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해 전화 통화를 수행할 때 간단한 키입력 조작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술적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망식별 번호나 지역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만 입력하여 전화를 걸게 되더라도 자동으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 통신 시스템 110 : 이동 단말기
120 : 무선 접속망 130 : 이동 교환국
132 : HLR 134 : VLR
200 : 이동 단말기 202 : 프로그램 메모리
204 : 키입력부 206 : LCD 표시부
208 : 데이터 저장부 210 : 모드 상태 저장부
212 : 전화번호 저장부 214 : 가입자 정보 저장부
216 : 마이크로프로세서 218 : DSP
220 : 베이스 밴드 변환부 222 : 스피커
224 : 마이크로폰 226 : 안테나
228 : RF 신호 처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번호의 일부만을 기억하고 있어도 용이하게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로서, 키입력으로 전화번호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가 포함된 해당 전화번호를 검색해, 검색된 해당 전화번호로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여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고, 상기 단축 다이얼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와 전화 통화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숫자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며, 키입력에 따른 상기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통화자의 이름과 상기 통화자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번호에 대한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상기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전화번호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로부터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와 함께 상기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를 읽어와 상기 전체 전화번호로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 상기 이동 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변환부;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상기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거나, 상기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로 변환해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 인가하는 RF 신호 처리부; 및 상기 RF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상기 RF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화번호의 일부만을 기억하고 있어도 용이하게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으로서, (a) 이동 단말기가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대기하는 대기 단계; (b) 키입력에 의해 전화번호의 일부와 함께 상기 무선 호 접속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입력된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체 전화번호를 읽어와 상기 전체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프로그램 메모리(202), 키입력부(204), LCD 표시부(206), 데이터 저장부(208), 모드 상태 저장부(210), 전화번호 저장부(212), 가입자 정보 저장부(214), 마이크로 프로세서(216), DSP(Digital Signal Processor)(218), 베이스밴드 변환부(220), 스피커(222), 마이크로폰(224), 안테나(226), RF 신호 처리부(228)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키입력으로 전화번호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전화번호 저장부(212)로부터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포함된 해당전화번호를 읽어와 해당 전화번호로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여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키입력부(204)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다.
LCD 표시부(206)는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고, 특히 단축 다이얼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와 전화 통화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저장부(208)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키입력부(204)로부터 입력된 숫자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이동 단말기(200)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모드 상태 저장부(210)는 키입력부(204)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특히, 키입력에 따른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한다.
전화번호 저장부(212)는 사용자가 키입력부(204)를 통해 입력한 통화자의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때 전화번호는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이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214)에는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는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314)는 카드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이동 통신망에서 이용하는 통상적인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모드 상태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사용자가 키입력부(204)를 조작하여 전화번호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Send)을 입력하면, 전화번호 저장부(212)로부터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포함된 해당 전화번호를 읽어와 해당 전화번호로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물론,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전화번호 저장부(212)에 해당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에 이동 단말기(200)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의 망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키입력부(204)에 의해 호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호 접속 요구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 전달한다(TX DATA).
DSP(2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와 주고 받는 오디오 데이터(SPEECH)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2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스피커(222), 마이크로폰(224) 및 RF 신호 처리부(228)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DSP(218)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22)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224)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해 DSP(218)로 출력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228)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228)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DSP(218)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는 RF 신호 처리부(228)의 전력(POWER)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스피커(222)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24)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RF 신호 처리부(228)는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226)로 출력하거나, 안테나(226)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20)로 출력한다. 안테나(226)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228)로 전달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휴대한 채 어느 일정한 장소에 위치한 경우, 이동 단말기(200)는 현재 자신이 위치해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에 대해 위치 등록을 실행한다.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은 당 업계에서 평이하게 알려진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과정은 생략한다.
이동 단말기(200)가 기지국에 대해 위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평상시에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에 대해 통화할 수 있도록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모드 상태 저장부(210)에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고, 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전화 통화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는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S310).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204)를 조작하여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전화를 걸기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화 통화를 위해 호 접속 요구 명령인 "Send" 버튼을 입력한다(S320).
예컨대, 상대방 이동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019-498-7438"인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204)를 조작해 망식별 번호가 제외된 "498-7438"만을 입력한다.
한편, 전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의 번호가 유선 전화 번호인 경우, 예컨대, "032-886-7438"일 경우에도 사용자는 지역 번호를 제외한 전화 번호만 입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키입력부(204)로부터 전화 번호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Send)이 입력되면, 전화번호 저장부(212)를 검색하여 입력된 전화번호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30). 여기서, 전체 전화번호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전화번호를 일컫는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전화번호 저장부(212)에 키입력부(204)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체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S340), 전화번호 저장부(212)로부터 해당 전체 전화번호를 읽어와, 호 접속 요구 데이터를 생성해 전체 전화번호와 함께 RF 신호 처리부(228)를 통해 무선 신호로 송출함으로써, 무선 전화 통화를 시도한다(S350).
한편, 상기 단계 S340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16)가 전화번호 저장부(212)를 검색하여, 키입력부(204)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전체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입력된 전화번호, "886-7438"에 이동 단말기(200)가 가입된 이동 통신망의 망식별 번호, 예컨대, "019"를 부여하여 호 접속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새로운 전체 전화번호 "019-498-7438"와 함께 무선 신호로 송출함으로써, 무선 전화 통화를 시도한다(S342).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입력부(204)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 국(498)과 번호(7438)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다 입력하지 않고, 전화번호의 일부, 예컨대, 전화번호의 앞에서부터 "4987" 또는 전화번호의 뒤에서부터 "7438"만 입력하더라도, 마이크로 프로세서(216)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체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저장부(212)로부터 검색하여 읽어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망식별 번호나 지역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만 입력하여 전화를 걸게 되더라도 자동으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시도할 때, 망식별 번호나 지역번호를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간단히 전화번호만 입력해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가 이동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가운데 전화 통화를 시도할 때, 일일이 해당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전화번호만으로 용이하게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사용자가 전화번호의 일부만을 기억하고 있어도 용이하게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로서,
    키입력으로 전화번호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가 포함된 해당 전화번호를 검색해, 검색된 해당 전화번호로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여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 통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을 비롯해 문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가 표시된 문자 버튼, 메뉴의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고, 상기 단축 다이얼링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와 전화 통화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시에 데이터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숫자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며, 키입력에 따른 상기 전화 통화 모드를 상태 플래그로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통화자의 이름과 상기 통화자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고유 번호에 대한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상기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와 함께 호 접속 요구 명령(Send)을 입력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를 읽어와 상기 전체 전화번호로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상기 이동 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변환부;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상기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거나, 상기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상기 베이스밴드 변환부로 인가하는RF 신호 처리부; 및
    상기 RF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한 상기 RF 신호를 상기 RF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는 망 식별 번호나 지역 번호를 제외한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체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의 일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의 망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는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포함된 하나의 전체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관할하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에 대해 위치 등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 국과 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다 입력하지 않고, 일정 갯수 이상의 번호만 입력하더라도, 입력된 번호를 포함하는 전체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읽어와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7. 사용자가 전화번호의 일부만을 기억하고 있어도 용이하게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으로서,
    (a) 이동 단말기가 전화 통화 모드로 설정되어 대기하는 대기 단계;
    (b) 키입력에 의해 전화번호의 일부와 함께 상기 무선 호 접속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입력된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체 전화번호를 읽어와 상기 전체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전화 통화 모드를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전화 통화 모드를 근거로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가 포함된 전체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가입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의 망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키입력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의 일부는 망식별 번호 또는 지역번호가 제외된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키입력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 국과 번호로 구성된 전화번호를 다 입력하지 않고, 일정 갯수 이상의 번호만 입력하더라도, 입력된 번호를 포함하는 전체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읽어와 무선 호 접속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1020030037251A 2003-06-10 2003-06-10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106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51A KR20040106063A (ko) 2003-06-10 2003-06-10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51A KR20040106063A (ko) 2003-06-10 2003-06-10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63A true KR20040106063A (ko) 2004-12-17

Family

ID=3738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251A KR20040106063A (ko) 2003-06-10 2003-06-10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0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725A (zh) * 2021-08-06 2021-11-02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定位匹配固定电话区号的方法及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6725A (zh) * 2021-08-06 2021-11-02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定位匹配固定电话区号的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718B1 (ko)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하이퍼링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288926A1 (en) Network support for wireless e-mail using speech-to-text conversion
JP200224714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その着信方法
KR20070065688A (ko)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876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망에서의음성 녹음 방법 및 시스템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CN115396542A (zh) 控制拨号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40005333A (ko) 이동 통신의 통화 내용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106063A (ko)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3534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팅하는방법
JP2001103530A (ja) 通信装置
JP2003008769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要求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5240B1 (ko) 통신 채널의 모니터링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617542B1 (ko) 발수신 에스엠에스 식별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20040035525A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88369B1 (ko) 무선 인터넷 책갈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32295A (ko) 지능적으로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시스템
KR101172262B1 (ko) 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와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2865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