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654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654A
KR20070028654A KR20050080159A KR20050080159A KR20070028654A KR 20070028654 A KR20070028654 A KR 20070028654A KR 20050080159 A KR20050080159 A KR 20050080159A KR 20050080159 A KR20050080159 A KR 20050080159A KR 20070028654 A KR20070028654 A KR 2007002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call waiting
sound
cal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8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654A/ko
Publication of KR2007002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654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대기음 서비스 방법은, 수신측 단말기가, 호착신시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음원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원번호를 가지고 음원서버로 통화대기음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음원서버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서버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음원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대기음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음원서버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음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전화나 인터넷 접속 없이도 단말기를 이용해서 통화대기음을 쉽게 설정할 수 있고, 개인별로(전화번호별로) 다양하게 통화대기음을 지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통화대기음, 컬러링, 단말기, 음원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IZED RING BACK TONE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별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자별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수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원을 상대방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기에서 통화대기음으로 들리도록 하는 통화 대기음(RET : Ring Back Tone) 서비스, 소위 컬러링 통화 대기음(CRB : Coloring RBT)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는 수신자가 지정한 음원을 발신자에게 제공한다는 개념으로, 기존의 통화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 예컨대 '따르릉 따르릉'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이고 새소리, 물소리 등을 통화 대기음으로 사용할수 있다.
종래의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단말기에서 어떠한 조작도 불가능하고 모든 서비스 절차는 이동통신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전화나 인터넷을 검색해서 음원서버(또는 음원 IP(Intelligent Peripheral)에 통화대기음으로 등록하고, 이동통신사에서 상기 음원서버에 등록된 통화대기음을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방식이다. 최근까지만 해도 수신자별 통화대기음은 하나였다. 근래 들어 그룹과 개인별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동통신사에 따라 그 수를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기술은 수신자가 원하는 음악을 인터넷이나 전화를 이용해 검색해서 음원서버로 다운로드하여 통화대기음을 등록(음원과 발신자, 수신자 정보를 연결해서 등록)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그룹별 또는 개인별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매번 전화나 인터넷을 이용해서 원하는 음악을 음원서버에 등록해야 한다. 이런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서비스사 입장에서도 음원뿐만 아니라 수신자와 발신자의 정보도 함께 관리함으로써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자별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착신시 발신자에게 기 설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을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방법이, 통화대기음 설정모드시, 통화대기음을 설정한 전화번호와 해당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음원번호를 서로 대응시켜 통화대기음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과, 호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해 상기 통화대기음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는, 다양한 음원들을 저장하며, 이동통신망의 요청에 의해 해당 음원을 재생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서버와, 호착신시,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음원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원번호를 가지고 상기 음원서버로 통화대기음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음원서버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통화로가 형성되기 전까지, 상기 음원서버로부터 통화대기음을 수신하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을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자별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고, 호착신시 해당 발신자에게 기 설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 150), 무선 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110, 140),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16),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18),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20), 음원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 150)는 무선접속망(110,140)을 통하여 서로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100)를 발신측 단말기로 가정하고, 단말기(150)를 수신측 단말기로 가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신측 단말기(150)는 발신자별로(또는 전화번호별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호착신시 해당 발신자에 대응되어 있는 음원번호를 무선접속망(140)을 통해 이동통신교환국(116)으로 전송한다. 발신측 단말기(100)는 무선접속망(110)을 통하여 수신측 단말기(150)와의 음성 통화를 이동통신 교환국(116)으로 요청하며, 통화요청후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가 응답하기 전까지 상기 음원서버(130)로부터 통화대기음을 수신한다.
상기 무선접속망(110,14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150)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상의 인프라로서,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자원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접속망(110,140)은 기지국 전송기(112,142) 및 기지국 제어기(114, 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동기식 시스템이라면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되고, 비동기식 시스템이라면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된다. 물론, 무선접속망(110,14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망 및 향후 구현될 4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접속망일수 있다.
이동통신 교환국(116)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호 처리, 위치등록처리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118)는 가입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며, 단말기의 위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단말기의 MIM(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가입된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20)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원서버(130)는 통화대기음으로 제공될 다양한 음원들을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16)로부터의 음원 요청이 수신될시 수신된 음원번호에 대응되는 음원을 재생하여 발신측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도 1의 구성에 근거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측 단말기(150)의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에 통화대기음 서비스를 신청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통화대기음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다운로드한다. 혹은 이러한 프로그램은 단말기 제조시 미리 단 말기에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는 단말기에 내장된 전화번호부(phone book)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전화번호별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등을 이용해서 원하는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알아야 한다. 사용자는 상기 통화대기음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전화번호별로(또는 전화번호 그룹별로) 통화대기음(음원번호)을 지정한다.
이와 같이, 수신측 단말기(150)는 전화번호별로 통화대기음(음원번호)을 지정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후, 발신측 단말기(100)가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로 호연결을 요청하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발신자 번호를 가지고 메모리(예 : 전화번호부)를 검색해서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이 있으면,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는 상기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해서 상기 무선접속망(14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16)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16)은 수신된 음원번호를 가지고 상기 음원서버(130)로 통화대기음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수신시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와 상기 음원서버(130)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기 음원서버(130)에서 제공하는 통화대기음을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가 통화연결을 시도하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16)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 사이에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 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4세대 광대역시스템(Broadband system)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별 혹은 전화번호 그룹별로 통화대기음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및 호착신시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메모리(202), 데이터 메모리(204) 및 불휘발성 메모리(206)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02)는 상기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204)는 상기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206)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및 기타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모리는 전화번호(혹은 전화번호 그룹)와 통화대기음(음원번호)의 대응관계를 관리하는 통화대기음 리스트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2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상/하/좌/우)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212)과, 상기 코덱(212)에 접속된 스피커(216) 및 마이크(214)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212)은 상기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2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20)은 안테나(2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 주파수(RF)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2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22)는 상기 RF모듈(220)과 상기 제어부(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CDMA통신방식을 사용할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 고,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별로 통화대기음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통화대기음 설정모드가 실행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통화대기음 설정모드가 실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예: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통화대기음 설정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대기음을 설정할 전화번호(또는 전화번호 그룹) 입력요구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전화번호부(phone book)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 혹은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 입력요구를 디스플레이한후, 상기 제어부(200)는 305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화번호 입력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전화번호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20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대기음으로 설정한 음원 번호 입력요구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은 음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표 1>과 같이 음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수 있다.
음원 번호 곡명
1 #7890 제자리걸음-김종국
2 #7654 사랑했나봐-윤도현
3 #1627 짠짜라-장윤정
.. ... ...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09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음원번호가 입력(또는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음원번호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2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상기 입력된 음원번호를 서로 대응시켜 메모리(통화대기음 리스트)에 저장한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와 통화대기음 리스트를 별도로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통화대기음 설정 기능을 전화번호부의 일부 기능으로 구현할수 도 있다. 즉, 전화번호부에서 각 전화번호와 해당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서로 대응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번호를 이용한 통화대기음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401단계에서 호(call) 연결을 요청하는 착신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착신메시지 수신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착신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3단계에서 상기 착신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해 통화대기음 리스트를 검색해서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음원번호를 독출한후 411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말해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상기 통화대기음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디폴트(default) 값을 독출한후 상기 41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디폴트 값은 일반적인 링백톤을 나타내거나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특정 음악(음원)을 나타낼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음원번호 혹은 디폴트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413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시스템으로 전송한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는 무선접속망(140)을 통해 이동통신 교환국(116)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16)은 수신된 음원번호를 가지고 상기 음원서버(130)로 통화대기음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수신시 발신측 단말기(100)와 상기 음원서버(130)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상기 음원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대기음을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가 통화연결을 시도하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16)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100)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150) 사이에 통화로를 연결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전화나 인터넷 접속 없이도 단말기를 이용해서 통화대기음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화번호별로 다양하게 통화대기음을 지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료만으로 다양한 음원을 이용할 수 있고 손쉽게 개인별로 통화대기음을 설정할 수 있다. 사업자 측면에서도 발신자, 수신자 및 음원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통화연결 시마다 발신자 및 수신자 정보에 기반하여 음원을 송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신자가 보내주는 메시지에 담고 있는 정보에 기반하여 음원을 송출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대기음 설정모드시, 통화대기음을 설정한 전화번호와 해당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음원번호를 서로 대응시켜 통화대기음 리스트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호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해 상기 통화대기음 리스트를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음원들을 저장하며, 이동통신망의 요청에 의해 해당 음원을 재생하여 발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서버와,
    호착신시,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음원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원번호를 가지고 상기 음원서버로 통화대기음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음원서버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통화로가 형성되기 전까지, 상기 음원서버로부터 통화대기음을 수신하는 상기 발신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수신측 단말기가, 호착신시 발신자에게 지정된 통화대기음의 음원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음원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원번호를 가지고 음원서버로 통화대기음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시 발신측 단말기와 상기 음원서버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음원서버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음원번호에 대응하는 통화대기음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단말기가, 상기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상기 음원서버로부터 상기 통화대기음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050080159A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70028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0159A KR20070028654A (ko)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0159A KR20070028654A (ko)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654A true KR20070028654A (ko) 2007-03-13

Family

ID=3810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0159A KR20070028654A (ko) 2005-08-30 2005-08-30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824A (ko) * 2013-09-10 2015-03-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링백 모드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824A (ko) * 2013-09-10 2015-03-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링백 모드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47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IM card in CDMA service area
KR1006513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알림 설정방법
KR100916730B1 (ko) 푸쉬투토크 시스템에서 경보 톤을 송신하고 플레이하는시스템 및 방법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10876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종료 후 이동통신망에서의음성 녹음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5316A (ko)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2865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78361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587716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신 마취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20050011786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웹 앨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627792B1 (ko) 그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637593B1 (ko) 멀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91595B1 (ko)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6091A (ko) 발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20050079577A (ko)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기간 동안 이동 통신 단말기에이미지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70010956A (ko) 컬러링 음악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855031B1 (ko)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2930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날씨별 통화 대기음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