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031B1 -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031B1
KR100855031B1 KR20070027771A KR20070027771A KR100855031B1 KR 100855031 B1 KR100855031 B1 KR 100855031B1 KR 20070027771 A KR20070027771 A KR 20070027771A KR 20070027771 A KR20070027771 A KR 20070027771A KR 100855031 B1 KR100855031 B1 KR 100855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form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2007002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0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발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성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기저장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착신호에 상응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27771
착신호, 발신호, 위치 정보 제공

Description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offering of locat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의 내부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사용자 단말기
120 : 기지국
130 : 교환기
140 : 홈위치 등록기
150 : 위치 획득 서버
155 : 위치 결정 서버
160 : 음성 정보 제공 서버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의 위치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변하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더 이상 전화만을 위한 통신 기계가 아니라, 게임, 동영상, 무선 인터넷,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통신 기술에 힘입어 휴대용 단말기는 더욱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기능을 탑재하여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및 부가 서비스 기능이 추가된 휴대용 단말기가 매우 짧은 사이클로 새롭게 출시됨으로 인해,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스팸(SAPM), 협박전화, 장난전화와 같이 미확인된 발신자에 의한 전화가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받지 않아도 되는 불필요한 전화를 받게 되며, 심한 경우 정신적인 피해를 입는 사용자 들이 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신호에 상응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맹인에게 발신자의 위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여 불필요한 통신호를 사전에 파악하도록 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신 단말기의 착신호 연결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시스템이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발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성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기저장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신호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나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위치 획득 서버로 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독출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추출된 음성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벨소리로써 음향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착신 단말기의 착신호 연결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획득 서버;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교환기; 및 상기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기저장된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신호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나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 부; 및 상기 추출된 음성 정보를 벨소리로써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 기지국(120), 교환기(130), 홈위치 등록기(140), 위치 획득 서버(150), 위치 결정 서버(155) 및 음성 정보 제공 서 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통신호 요청 명령에 따라 통신망으로 발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발신 단말기"라 칭하며, 해당 발신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통신망에 의해 통신호가 연결되는 단말기를 "착신 단말기"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기본적인 전화 서비스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또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는 GPS 위성으로부터 각각의 단말기의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의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12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의 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기(120)와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미도시)와의 유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과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130)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신 단말기와의 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측 기지국이라 칭하며, 착신 단말기와의 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신측 기지국이라 칭하기로 한다.
교환기(130)는 회선망과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입자간 회선 교환, 입출 중계 관리, 핸드오프, 로밍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교환기(130)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신 단말기의 통신호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측 교환기로 통칭하며, 착신 단말기의 통신호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착신측 교환기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가 각각 연결되는 기지국 및 교환기가 상이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나 동일한 기지국 또는 동일한 교환기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홈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하기로 함)(14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단말기 정보, 가입자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교환기(130)를 통해 요청되는 가입자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홈위치 등록기(140)는 교환기(130)와 VLR(미도시) 노드와 더불어 신호망 프로토콜(SS7)을 제어하고 입중계 호(incoming call)를 완료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을 수행한다.
만일 통신망이 WCDMA망이라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노드-B(node-B), 무선 접속망(UTRAN),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SGSN은 WCDMA망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와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로써, 패킷 라우터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GGSN은 GPRS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로써, SGSN으로부터 오는 GPRS 패킷을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형식(예를 들어, IP, X.25)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수신자의 전 지국적 이동통신 시스템(GSM)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GSN의 위치 레지스터에 있는 가입자의 SGSN의 주소와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인증 수행 및 요금 부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망이 CDMA망인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응되는 WCDMA망의 구성 요소로 대체되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위치 획득 서버(MPC: mobile positioning center, 이하, "MPC"라 칭하기로 함)(150)는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ing determining entity, 이하 "PDE"라 칭하기로 함)(155)로부터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하여 PDE(155)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캐싱(cach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PC(15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의 인증, 사용자 프로파일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MPC(150)는 PDE(155)로 위치 정보 검색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PDE(155)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PDE(155)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통화를 시작하거나 통화중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10)의 정밀 위치 또는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DE(155)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셀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DE(155)는 3개의 기지국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와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과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PDE(155)가 3개의 기지국을 이용한 셀 방식 및 사용자 단말기(1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교환기(13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교환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는 발신 및 착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가입자 신상 정보(예를 들어, 가입자 이름, 가입자 나이, 가입자 성별, 가입자 주민등록번호 등,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입자 정보"라 칭하기로 함)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발신 단말기의 발신호 요청에 상응하여 교환기(130)로부터 해당 발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MPC(150)로 해당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MPC(150)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후 수신된 위치 정보와 합성하여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교환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의 내부 기능 블록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가 위치 획득 서버(150)와 연결되어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나 교환기(130)가 위치 획득 서버(150)로부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발신 및 착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교환기(130)로부터 제공된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기저장된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독출하여 합성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데이터 분석부(220), 정보 생성부(230) 및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교환기(130) 및 MPC(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교환기(130)로부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아 데이터 분석부(220)로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데이터 분석부(220)의 제어에 의해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MPC(150)로 전송한 후, MPC(1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정보 생성부(23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분석부(22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에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음성 정보 제공 서비스의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가입되어 있는 경우, 추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추출하여 정보 생성부(230)로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220)는 추출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MPC(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생성부(230)는 데이터 분석부(220)로부터 입력된 가입자 정보 및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한 후 데이터 송수신부(210)를 통해 교환기(13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가입자 이름, 가입자 나이, 가입자 성별, 가입자 주민등록번호) 및 서비스 가입 정보(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 일시 정보, 서비스 가입 유형 정보 등)가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에 상응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호를 요청하는 단말기를 발신 단말기(301), 통신호 요청에 연결되는 단말기를 착신 단말기(304)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301)와 연결되는 교환기를 발신측 교환기(302)로 칭하며, 착신 단말기(304)에 연결되는 교환기를 착신측 교환기(303)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착신 단말기(304)가 발신 단말기(30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므로,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가 착신측 교환기(30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발신 단말기(301) 및 착신 단말기(304)가 각각 연결되는 교환기가 동일할 수도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상이한 것을 가정하며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10에서 발신 단말기(301)는 사용자의 통신호 요청에 상응하여 발신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기지국을 통해 발신측 교환기(302)로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호 요청 메시지는 발신 단말기(301) 및 착신 단말기(304)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MIN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15에서 발신측 교환기(302)는 발신 단말기(301)의 발신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착신측 교환기(303)로 통신호 연결을 요청한다.
단계 320에서 착신측 교환기(303)는 발신측 교환기(302)의 통신호 연결 요청에 상응하여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로 전송한다.
단계 325에서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착신측 교환기(303)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에서 미리 설정된 발신 단말기(301) 및 착신 단말기(304)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이동통신 번호, MIN 번호 등)를 추출한 후 해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MPC(150)로 전송하여 해당 발신 단말기(301)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다.
단계 330에서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는 추출된 발신 단말기(301)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여 MPC(150)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기(301)의 위치 정보와 함께 합성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망을 통해 착신측 교환기(303)로 전송한다.
단계 335에서 착신측 교환기(303)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연결 시도 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 단말기(304)로 전송한다.
단계 340에서 착신 단말기(304)는 착신측 교환기(303)로부터 통신호 연결 시도 메시지에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음성 정보를 추출하여 복호화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벨소리로써 외부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착신 단말기(304)로 임의의 발신 단말기(301)에 의한 통신호 연결이 요청된 경우, 착신 단말기(304)는 해당 발신 단말기(301)의 위치 정보를 음성의 형태인 벨소리로써 제공받음으로써 발신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서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가 착신측 교환기(30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가 발신측 교환기(302)와 연결된 경우, 발신 단말기(301)가 발신측 교환기(302)로 발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발신측 교환기(302)가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로 당해 발신 단말기(30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여 수신한 후, 해당 음정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의 연결을 착신측 교환기(303)로 요청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 성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받는 착신 단말기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30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110)는 송수신부(410), 입력부(415), 디스플레이부(420), 음향 출력부(425), 저장부(430) 및 제어부(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410)는 통신망을 통해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로부터 발신 단말기의 발신호 요청에 상응하여 해당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35)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410)는 사용자에 의해 통신호 요청에 상응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35)의 제어에 의해 통신호 요청을 위한 명령을 통신망(예를 들어, 기지국(120), 교환기(130) 등)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수신부(410)는 교환기(130)로부터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요청 시도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해당 통신호 요청 시도 메시지를 제어부(435)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415)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선택 명령들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415)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 키, * 또는 #과 같은 기호키, 하나 이상의 기능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키, 확인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키 등))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제어부(435)의 제어에 의해 입력부(415)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상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입력부(415)를 통해 입력한 명령, 선택 명령 등), 송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임의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서버(예를 들어, 메시지 콜 센터(미도시))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 등)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20)는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425)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제어부(335)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425)는 음원칩(예를 들어, 야마하 음원칩),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43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음성 정보 제공 서버(16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43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내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송수신부(410), 입력부(415), 디스플레이부(420), 음향 출력부(425), 저장부(430) 등)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착신 단말기(304)인 것을 가정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나, 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기(110)의 GPS 정보를 수신받는 GPS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착신호에 상응하여 발신자의 위치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맹인에게 발신자의 위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여 불필요한 통신호를 사전에 파악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시스템이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발신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음성 정보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와 기저장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서 상기 음성 정보를 추출하여 벨 소리로써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호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나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에 미리 설정된 발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위치 획득 서버로 전송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독출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4. 삭제
  5. 발신 및 착신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획득 서버;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교환기; 및
    상기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획득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기저장된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음성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음성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서 상기 음성 정보를 추출하여 벨 소리로써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호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음성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성별, 나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통신호 연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발신 단말기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음성 정보를 벨소리로써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70027771A 2007-03-21 2007-03-21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5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7771A KR100855031B1 (ko) 2007-03-21 2007-03-21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7771A KR100855031B1 (ko) 2007-03-21 2007-03-21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031B1 true KR100855031B1 (ko) 2008-08-29

Family

ID=3987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7771A KR100855031B1 (ko) 2007-03-21 2007-03-21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0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256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발신자 위치정보가 결합된 발신인 표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30061515A (ko) * 2002-01-14 200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건식식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식식각방법
KR20040041226A (ko) * 2002-11-08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위치정보제공방법
KR20050029316A (ko) * 2003-09-22 2005-03-28 김의선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50045682A (ko) * 2003-11-12 2005-05-17 주식회사 콜바다 이동전화 위치 음성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7672A (ko) *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팬택 유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256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발신자 위치정보가 결합된 발신인 표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30061515A (ko) * 2002-01-14 200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건식식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식식각방법
KR20040041226A (ko) * 2002-11-08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위치정보제공방법
KR20050029316A (ko) * 2003-09-22 2005-03-28 김의선 식별번호 통합 환경에서의 발신 지역명 표시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50045682A (ko) * 2003-11-12 2005-05-17 주식회사 콜바다 이동전화 위치 음성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7672A (ko) *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팬택 유선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125B2 (ja) 選択的なメッセージサービスブロッキングに関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36586A (ko) 무선 단말기 간의 연동 가능 애플리케이션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55031B1 (ko)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39538B1 (ko) 콜센터와 연동되어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860144B1 (ko) 모바일 패킷망을 이용한 영상 블로그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134774B1 (ko) 음성호 연결중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100427186B1 (ko) 발신 가입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0811700B1 (ko) 음성통화중 영상블로그 서비스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082719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KR100792832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체감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836143B1 (ko)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교환기 및 방법
KR101178807B1 (ko) 이동통신 교환기 경계지역에서 gsm 단말기의 위치등록을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0558A (ko)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20070010624A (ko) 모바일 시그너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129198B1 (ko) 멀티미디어 통화연결음/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방법
KR100629143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마케팅정보 서비스 방법
KR20090002967A (ko) 발신자 번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31477B1 (ko) 문자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81403A (ko) 매치매이킹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서버,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260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이스 레터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57237B1 (ko) 전화 번호 변경 정보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갱신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