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742A - 압전 점화 기구 - Google Patents

압전 점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742A
KR20040105742A KR10-2004-7013625A KR20047013625A KR20040105742A KR 20040105742 A KR20040105742 A KR 20040105742A KR 20047013625 A KR20047013625 A KR 20047013625A KR 20040105742 A KR20040105742 A KR 20040105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mechanism
piezoelectric
piezoelectric ignition
body members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762B1 (ko
Inventor
아모로스엔릭
곤잘보엘로이
무스테조르디
Original Assignee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874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1057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10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2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1Hand-held lighters, e.g. for cigaret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Abstract

압전 점화 기구는 제1 및 제2 본체 부재, 본체 부재 중 하나와 결합된 압전 소자, 본체 부재 중 하나와 결합된 플렉서 부재, 본재 부재 중 하나와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체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렉서 부재는 압전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해제 가능하게 보유되며, 본체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플렉서 부재는 압전 소자에 충격을 가하도록 해제되어 구동된다. 결합부는 본체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구성 및 치수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전 점화 기구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일회용 가스 라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입수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일회용 라이터의 하나의 공통적인 요소는 연료의 유동을 개시하는데 사용되는 연료 방출 레버이다. 연료 방출 레버는 통상적으로 스파크 생성 기구와 함께 작동하여 연료의 유동이 시작된 후 바로 점화되도록 한다. 예컨대, 일 형식의 라이터에서는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치형 스파크 휘일을 부싯돌에 대해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또는 이에 바로 후속하여 연료 방출 레버를 눌러 가스를 방출하고 화염을 생성해야 한다.
일회용 라이터를 위한 다른 점화 수단은 압전 기구를 채용한다. 이러한 형식의 점화 기구에서, 압전 수정 등의 압전 재료가 해머에 의해 타격되어 전기 스파크를 생성한다. 스파크는 연료 출구 또는 노즐에서 생성되어 가스 상태 연료를 점화시킨다. 사용자가 강제로 누를 때, 연료 방출 레버는 통상적으로 연료의 유동과 그 후의 점화 과정 모두를 시작한다. 이러한 압전 점화 기구의 예는 발명의 명칭이 "가스 라이터용 압전 기구"인 미국 특허 제5,262,697호에 개시되어 있다.
라이터의 발동을 더욱 어렵게 하는 방법이 도입되어 왔다. 채용된 통상적인 한가지 방법은 연료 방출 레버를 누르는 것을 억제하는 래치 부재를 합체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구의 예는 미국 특허 제5,435,719호, 제5,584,682호 및 제5,636,979호에 도시되어 있다. 작동에 대해 증가된 저항을 제공하는 압전 라이터의 다른 예는 미국 특허 제5,854,5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5,854,530호 특허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분리된 내부 부재와 외부 부재를 구비한 신축식 조립체를 갖는 압전 점화 기구를 설명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은 내부 부재와 외부 부재를 편의시켜 이격시키고, 사용자는 점화 기구를 발동시키기 위해 내부 부재와 외부 부재를 서로를 향해 눌러야 한다. 제5,854,530호 특허의 장치는 작동에 대해 증가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를 향한 내부 부재와 외부 부재의 이동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을 제공하는 저항 스프링도 포함한다.
그러나, 작동에 대해 증가된 저항을 제공하고 소비자 친화성을 개선하고 필수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점화 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점화 기구와, 예컨대 포켓 라이터, 손잡이 연장형(extended-wand) 라이터, 일회용 라이터 및 비일회용 라이터를 포함하는 라이터 등의 점화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특히 작동에 대해 증가된 저항을 나타내는 점화 기구 및 라이터 등을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와 압전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조 및 작동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여러도면 또는 실시예에 걸쳐 유사한 요소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시한 본 발명의 양호한 형상이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압전기 점화 기구의 제1 실시예의 제1 또는 휴지 위치에서의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점화 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점화 기구의 제1 본체 부재(가상선으로 표시)의 일부 및 단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점화 기구의 플렉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플렉서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점화 기구의 제2 본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6a는 도6의 제2 본체 부재의 결합부 및 보유면의 상세도이다.
도7은 도1의 점화 기구의 제1 본체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7a는 도7의 제1 본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벽부의 측면도이다.
도8은 저부 경사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갖는 도1의 제1 본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9는 부분적으로 압축된 도1의 점화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의 점화 기구의 제2 또는 해제 위치에서의 정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3은 라이터 조립체 내에 합체되어 제1 위치에서의 점화 기구와 함께 도시된, 도1의 압전기 점화 기구의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14는 압전기 점화 기구의 제2 실시예의 정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14a는 도14의 점화 기구의 제1 본체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벽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작동에 대해 증가된 저항을 나타내는 압전 점화 기구와, 이러한 압전 점화 기구를 포함하는 포켓 라이터 또는 손잡이 연장형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압전 점화 기구는 제1 및 제2 본체 부재와, 압전 소자와, 플렉서 부재와, 본체 부재와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체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렉서 부재는 압전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되고, 제2 위치를 향해 본체 부재들이 이동할 할 때 플렉서 부재가 압전 소자에 충격을 가하도록 해제되어 구동된다. 결합부는 제2 부재를 향한 본체 부재들의 이동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 및 치수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부재 중 하나는 플렉서 부재를 압전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에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보유면을 형성할 수 있고, 결합부는 보유면으로부터의 플렉서 부재의 해제에 저항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부를 형성할 수 있고, 결합면은 보유면으로부터의 러그부의 해제에 저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본체 부재 중 하나는 제2 위치를 향한 제1 및 제2 본체 부재의 이동시 러그부에 접촉하고 보유면으로부터 러그부를 해제하도록 구성 및 치수 결정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결합부는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전 점화 기구는 예컨대 연장된 손잡이의 일단부에 배치된 노즐을 갖는 실용 라이터 또는 포켓 라이터 등의 라이터 내에 스파크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압전 점화 기구의 다른 적용 및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유사한 부품을 유사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점화 기구의 양호한 형상 및 실시예가 설명을 목적으로 도시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점화 기구(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점화 기구(10)는 종축(18)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구조 및 치수 결정된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각각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재(12, 14)는 제2 부재(14)가 제1 부재(12)에 수용되는 동심 중공 튜브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역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여러 가지 기하학적 형상이 제1 부재(12)와 제2 부재(14) 사이의 이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또한, 제1 및 제2 부재(12, 14)가 종축(18)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에 대해 임의의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는 것도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공지된 사실이다. 덧붙여, 제1 및 제2 부재(12, 14)는 예컨대 종축(1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거나 피봇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각각 편의시키기 위하여, 복귀 스프링(16)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의 탄성 부재가 제1 부재(12)와 제2 부재(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16)은 제2 부재(14)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다른 구조의 복귀 스프링(16)도 고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부재(12, 14)는 복귀 스프링(16)의 작용력 하에서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부, 립부 또는 다른 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함께 유지하기 위해, 예컨대 라이터 본체 또는 하우징에 의해 외부력이 부재들에 가해질 수도 있다.
압전 소자(24) 및 선택적인 충격 패드(26)가 제1 및 제2 부재(12, 14)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빌 부재(22)가 제2 부재(14)의 단부에 부착되어 제2 부재(14) 내의 압전 소자(24)와 충격 패드(26) 모두를 유지할 수 있다. 앤빌 부재(22)는 바람직하게는 탭부 및 홈을 합체하여 제2 부재(14)에 부착되지만, 이와 달리 또는 추가적으로 나사, 스크류 합체, 핀, 용접 및 접합 등과 같은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앤빌 부재(22) 및 제2 부재(14)는 압전 소자(24)와 선택적인 충격 패드(26) 주변에 (예컨대 삽입 성형에 의해)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 패드(26)는 바람직하게는 압전 소자(2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충격 패드(26)로부터의 충격 에너지를 압전 소자(24)에 직접 전달한다. 따라서, 앤빌 부재(22), 압전 소자(24) 및 충격 패드(26)는 모두 전기 회로의 부품이며,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격 패드(26)가 충분한 힘으로 플렉서 부재(plexor member, 28)에 의해 타격될 때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합체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충격 패드(26)가 선택적이며 플렉서 부재(28)가 압전 소자(24)를 직접 타격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단부 부재(32)는 제1 부재(12)의 일 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부재(12) 상에 단부 부재(32)를 보유하기 위해 제1 부재(12)에서 (도1에 도시된) 개구(58)와 결합하는 그의 대향 측부들에 배치된 후크(54)를 가질 수 있다. 접착(glueing), 용접, 나사 결합 또는 핀 결합 등의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른 체결 방법은 제1 부재(12) 상에 단부 부재(32)를 보유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단부 부재(32)는 제1 부재(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부재(32)에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충격 스프링(30)의 일 단부를 보유하기 위해 보스(48) 및/또는 레지(ledge)(46)가 제공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가상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플렉서 부재(28)는 제1 및 제2 부재(12, 14)와 결합되며, 제2 부재(14) 내에 양호하게 위치된다. 플렉서 부재(28)는 종축(18)을 따라 제2 부재(14)의 중공 통로(35)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충격 스프링(30)은 제1 및 제2 부재(12, 14) 및 플렉서 부재(28)와 결합되며, 압전 소자(24) 및 충격 패드(26)의 방향으로 플렉서 부재(28)를 편의시킨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스프링(30)은 일 단부가 단부 부재(32)의 보스(48) 상에 양호하게 설치되며, 플렉서 부재(28)가 충격 스프링(30)의 타단부에 부착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플렉서 부재(28)는 무딘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그의 대향 측부들에 위치되는 2개의 러그부(34)를 가질 수 있다. 러그부(34)는 플렉서 부재(2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플렉서 부재(28)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러그부(34)는 플렉서 부재(28)를 통해 형성된 보어 외부로 연장하는 단부들을 갖는 원통형 로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 부재(28)는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제1 및 제2 부재(12, 14)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36)은 본체 부재들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트랙(36)은 러그부(34)를 수용하기 위해 치수 결정되어 구성되며, 종축(18)을 따라 플렉서 부재(28)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보유면(38)은 본체 부재들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유면은 제2 부재(14) 상에 형성되며, 러그부(34)를 보유하도록 치수 결정되어 구성되며, 압전 소자(24)를 향한 플렉서 부재(28)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도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랙(36)은 제2 부재(14)의 측벽에 형성되는 기다란 홈이며, 보유면(38)은 기다란 홈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노치에 의해 형성되지만,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예컨대 보유면(38)은 트랙(36)의 폭이 증가함으로써 형성되는 선반부(shelf) 또는 레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사면(42) 및 하부 경사면(44)은 본체 부재들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측면(41) 및 제2 측면(43)도 본체 부재들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경사면(42, 44)과 제1 및 제2 측면(41, 43)은 제1 부재(12)의 각 측부에 형성된다. 러그부(34)는 트랙(36) 및/또는 보유면(38)을 지나서 돌출하고 상부 및 하부 경사면(42, 44),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제1 및 제2 측면(41, 43)과 접촉하도록구성되고 치수 결정된다. 도7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경사면(42, 44)과 제1 및 제2 측면(41, 43)은 제1 부재(12)의 측벽을 통해 완전히 연장하는 구멍의 에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면들은 제1 부재(12)의 측벽에 형성되는 홈 또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부 및 하부 경사면(42, 44)과 제1 및 제2 측면(41, 43)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구조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하고 이해할 것이다.
도6을 다시 참조하면, 보유면(38)은 보유면(38)으로부터 그리고 트랙(36) 내로 러그부(34)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치수 결정될 수 있다. 도6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면(38)에는 러그(34)를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일치하여, 그 결과 러그(34)가 보유면(38)에 남아있도록 만곡되는 결합부(39)가 제공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결합부(39)가 도시되고 설명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유면(38)으로부터 러그부(34)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절한 다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하고 이해할 것이다. 또한, 예컨대 결합부(39)는 보유면(38)으로부터 러그(34)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경사형, 노치형 또는 치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결합면(39)은 탄성이거나 강성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이와달리, 결합부(39)는 러그부(34)의 해제를 추가로 방지하도록 보유면(38) 상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형성된 톱니 치형 부재(39A), 또는 보유면(38) 상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형성된 탄성 래치 또는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결합부(39) 및/또는 부재(39A)가 도시되고 설명된 위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경사면(44)에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보유면(38)으로부터 러그부(34)가 해제되는 것을 결합부(39) 및/또는 부재(39A)가 방지하는 점화 기구(10) 상의 임의의 위치[또는 점화 기구(10)가 합체되는 조립체의 임의의 부분]에 결합부(39) 및/또는 부재(39A)가 제공될 수 있다.
점화 기구(10)가 도1 및 도2에 도시된 제1 또는 휴지 위치에 있을 때, 복귀 스프링(16)은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각각 편의 시킨다. 또한, 충격 스프링(30)은 러그(34)가 상부 경사면(42)과 접촉하도록 플렉서 부재(28)를 상방으로 편의 시킨다. 상부 경사면(42)의 경사로 인해, 러그부(34)와 상부 경사면(42) 사이의 상호 작용은 러그부(34)의 회전을 유발하여 플렉서 부재(28)를 회전시킴으로써, 러그부(34)가 좌측으로 회전되어 보유면(38) 상으로 편의된다. 따라서 플렉서 부재(28)는 충격 패드(26)로부터 거리(X') 만큼 떨어져 보유되며, 충격 스프링(30)은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점화 기구(10)를 작동하기 위해, 사용자는 우선 러그부(34)가 먼저 하부 경사면(44)과 접촉할 때까지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복귀 스프링(16)과 충격 스프링(30)의 힘에 대해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를 향해 압축시킨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이러한 지점 또는 이러한 지점의 부근에서, 러그부(34)와 하부 경사면(44) 사이의 상호 작용은 러그부(34)를 보유면(38)으로부터 트랙(36)으로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다. 러그부(34)와 결합부(39)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제1 및 제2 부재(12,14)를 함께 추가로 압축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이 급속히 증가된다. 특히,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추가적인 압축은 러그부(34)를 하부 경사면(44)을 따라 하향 압축하는 경향이 있어, 러그부(34)를 보유면(38)으로부터 회전시킨다. 하지만, 결합부(39)는 러그부(34)가 보유면(38)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제2 위치로 계속 압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복귀 스프링(16)과 충격 스프링(30)의 연속적인 저항과 러그부(34) 및 결합부(39)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생성되는 추가적인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증가된 힘을 제공해야만 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필수적인 추가력이 가해질 때,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지속적인 후퇴로 인해 복귀 스프링(16)과 충격 스프링(30)은 추가로 압축되고 러그부(34)는 경사면(44)을 따라 하향 가압된다. 제1 및 제2 부재(12, 14)가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플렉서 부재(28)와 러그부(34)는 러그부(34)가 보유면(38)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부 경사면(44)에 의해 회전된다. 이 지점에서, 플렉서 부재(28)는 압축된 충격 스프링(30)에 의해 충격 패드(26)를 향해 구동되어 충격 패드(26)를 타격하며, 그 결과 충격 스프링(30)에 축적된 에너지를 압전기 소자(24)로 전달하여 압전 소자(24)가 전위를 생성하도록 한다.
충격 패드(24)가 플렉서 부재(28)에 의해 타격되고 압력이 제1 및 제2 부재(12, 14)로부터 제거된 후, 복귀 스프링(16)이 팽창되어 제1 및 제2 부재(12, 14)가 서로 분리된다. 러그부(34)가 상부 경사면(42)과 접촉할 때, 복귀 스프링(16)의 작용력 하에서의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지속적인 분리는 러그부(34)가 보유면(38) 상에 다시 위치될 때까지 러그부(34)가 상부 경사면(42)을 따라 활주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부재(12, 14)가 완전히 분리되고, 러그부(34)가 보유면(38) 상에 위치되면, 점화 기구(10)는 상술한 제1 또는 휴지 위치에 있게 되며 후속 작동을 위해 대기한다.
복귀 스프링(16) 및/또는 충격 스프링(30) 뿐만 아니라 결합부(39)도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압축에 대한 소정의 저항을 제2 위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귀 스프링(16) 및/또는 충격 스프링(30)은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이동에 대한 제1 저항량을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소정의 위치에 제공하도록 (예컨대, 스프링들의 스프링 상수를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9)는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이동에 대한 더욱 큰 제2 저항량을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제2 또는 해제 위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점화 기구(10)는 점화기 내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점화 기구(10)는 그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명료하게 합체된 미국 특허 제5,854,530호에 개시된 포켓 라이터와 같은 포켓 라이터의 전기 회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기구(10)는 라이터 본체(60) 내에 배치될 수 있어, 제1 및 제2 전극(62, 64)을 포함하는 전기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점화 기구(10)의 발동으로 인해 이 회로를 통해 전도되는 전위가 생성되고, 두 전극 사이에서 스파크를 방전시키기에 충분한 제1 및 제2 전극(62, 64) 전위차가 생성된다. 또한, 점화 기구(10)는 노즐(68)로부터 연료를 방출하기 위해 밸브를 작동하는 버튼(66)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66)을 가압함으로써 동시에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점화 기구(10)가 작동하게 되고 노즐로부터 연료가 방출되어 화염이 생성된다.
점화 기구(10)는 역시 그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명료하게 합체된 미국 특허 제6,086,360호에 개시된 실용 라이터와 같은 손잡이 확장형 점화기의 전기 회로 내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는 점화 기구(10)가 임의 유형의 라이터 또는 예컨대, 스토브 또는 외부 그릴과 같은 다른 장치 내에서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14는 참조 부호 100으로 지시된 압전기 점화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점화 기구(100)의 구조 및 작동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를 제외하면 상술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 부재(128)와 충격 스프링(130)은 제2 부재(114)와 결합되고, 압전기 소자(124)는 제1 부재(112)와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 경사면(142, 144)과 선택적인 제1 및 제2 측면(141, 143)은 제2 부재(114) 상에 형성된다. 트랙(136), 보유면(138) 및 선택적인 결합부(139)는 제1 부재(112) 상에 형성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136)과 보유면(138)은 제1 부재(112)의 벽을 통해 완전히 연장된 구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136) 및/또는 보유면(138)은 제1 부재(112)의 벽 내에 형성된 홈 또는 만입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은 다양한 구조가 트랙(136)과 보유면(138)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점화 기구 및 점화 기구를 사용하는 점화기의 양호한 실시예 및 구조가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 및 구조는 청구범위를 그에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Claims (33)

  1. 압전 점화 기구이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와 결합된 압전 소자와,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와 결합된 플렉서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와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 부재가 제1 위치에서는 압전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해제 가능하게 보유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본체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플렉서 부재는 해제 및 구동되어서 압전 소자에 충격을 가하며, 상기 결합부는 본체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구성 및 치수 결정되는 압전 점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 중 하나는 압전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플렉서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면을 형성하고, 결합부는 플렉서 부재가 상기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저항하는 압전 점화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보유면 상에 배치된 압전 점화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플렉서 부재는 러그부를 형성하고, 플렉서 부재는 제1 및 제2 본체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플렉서 부재의 제1 및 제2 본체 부재에 대한 회전으로 인해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고, 결합부는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저항하는 구성 및 치수 결정되는 압전 점화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러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톱니 치형부를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탄성적인 압전 점화 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플렉서 부재는 러그부를 형성하고, 본체 부재 중 하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은 제1 및 제2 본체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러그부와 접촉하고 보유면으로부터 러그부를 해제시키는 구성 및 치수 결정되며, 결합부는 경사면 상에 있는 압전 점화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플렉서 부재는 제1 및 제2 본체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플렉서 부재의 제1 및 제2 본체 부재에 대한 회전으로 인해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고, 결합부는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저항하는 구성및 치수 결정되는 압전 점화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러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톱니 치형부를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탄성적인 압전 점화 기구.
  13. 제8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 중 하나는 보유면에 사실상 인접한 트랙을 더 형성하고,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면 러그는 플렉서 부재가 압전 소자쪽으로 구동됨에 따라 트랙에서 활주하는 압전 점화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압전 소자쪽으로 플렉서 부재를 편의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라이터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압전 점화 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연장된 손잡이의 단부에 배치된 가스 출구를 갖는 실용 라이터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압전 점화 기구.
  17. 압전 점화 기구이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본체 부재로서,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가 트랙 및 이 트랙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보유면을 형성하며, 상기 보유면은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 상에 배치된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쪽으로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러그부를 갖는 플렉서 부재를 포함하며,
    본체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러그부는 보유면에 의해 보유되고 플렉서 부재는 압전 소자쪽으로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하며, 제1 및 제2 부재가 제2 위치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면 결합부는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저항하는 압전 점화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러그부는 본체 부재가 제2 위치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항하도록 결합부와 협동하는 압전 점화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러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20. 제17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톱니 치형부를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21. 제17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탄성을 갖는 압전 점화 기구.
  22. 제17항에 있어서, 압전 소자쪽으로 플렉서 부재를 편의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23. 제17항에 있어서, 라이터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압전 점화 기구.
  24. 제17항에 있어서, 연장된 손잡이의 단부에 배치된 가스 출구를 갖는 실용 라이터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압전 점화 기구.
  25. 압전 점화 기구이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본체 부재로서,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가 트랙 및 이 트랙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보유면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부재 중 다른 하나가 결합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 중 하나 상에 배치된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쪽으로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러그부를 포함하는 플렉서 부재를 포함하며,
    본체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러그부는 보유면에 의해 보유되고 플렉서부재는 압전 소자쪽으로 탄성적으로 편의 가능하며, 제1 및 제2 부재가 제2 위치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면 결합부는 러그부가 보유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저항하는 압전 점화 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러그부는 본체 부재가 제2 위치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항하도록 결합부와 협동하는 압전 점화 기구.
  27. 제25항에 있어서, 본체 부재 중 다른 하나는 러그부를 보유면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며, 결합부는 경사면 상에 배치되는 압전 점화 기구.
  28. 제25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러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29. 제25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톱니 치형부를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30. 제25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탄성을 갖는 압전 점화 기구.
  31. 제25항에 있어서, 압전 소자쪽으로 플렉서 부재를 편의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압전 점화 기구.
  32. 제25항에 있어서, 라이터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압전 점화 기구.
  33. 제25항에 있어서, 연장된 손잡이의 단부에 배치된 가스 출구를 갖는 실용 라이터에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압전 점화 기구.
KR1020047013625A 2002-03-01 2003-02-27 압전 점화 기구 KR100962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85,100 US6856074B2 (en) 2002-03-01 2002-03-01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US10/085,100 2002-03-01
PCT/US2003/006200 WO2003074939A2 (en) 2002-03-01 2003-02-27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742A true KR20040105742A (ko) 2004-12-16
KR100962762B1 KR100962762B1 (ko) 2010-06-09

Family

ID=2778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625A KR100962762B1 (ko) 2002-03-01 2003-02-27 압전 점화 기구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856074B2 (ko)
EP (1) EP1481196B1 (ko)
JP (1) JP4230922B2 (ko)
KR (1) KR100962762B1 (ko)
CN (1) CN100550454C (ko)
AR (1) AR038637A1 (ko)
AU (1) AU2003216463B2 (ko)
BR (1) BRPI0308169B1 (ko)
CA (1) CA2478495C (ko)
ES (1) ES2399818T3 (ko)
HK (1) HK1081328A1 (ko)
MX (1) MXPA04008447A (ko)
MY (1) MY131487A (ko)
RU (1) RU2288409C2 (ko)
TW (1) TWI340223B (ko)
WO (1) WO2003074939A2 (ko)
ZA (1) ZA200407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4899B2 (en) 2006-11-13 2016-10-25 Tecnimed S.R.L. Portable device for treating insect bites and the like
ITMI20062178A1 (it) * 2006-11-13 2008-05-14 Tecnimed Srl Dispositivo portatile per il trattamento di morsi-punture di insetto e-o animali nocivi
LT5724B (lt) 2010-07-02 2011-04-26 Valstybinis mokslinių tyrimų institutas Fizinių ir technologijos mokslų centras Signalizacijos įrenginys nuo mechaninio poveikio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9892A1 (de) 1967-02-22 1971-03-11 Bosch Gmbh Robert Piezoelektrische Zuendvorrichtung zur Entflammung von brennbaren Gasen
US3540823A (en) 1968-03-28 1970-11-17 Crown Sangyo Kk Piezoelectric spark generator
GB1363570A (en) * 1971-04-02 1974-08-14 Murata Manufacturing Co Piezoelectric igniter
US3734680A (en) 1972-03-06 1973-05-22 Auto Time Dist Inc Lighter
FR2193955B1 (ko) * 1972-07-28 1975-03-07 Genoud & Cie Ets
AR206995A1 (es) 1972-09-06 1976-09-09 Braun Ag Piezoignitor con mecanismo gol peador
US3817691A (en) 1973-10-16 1974-06-18 Murata Manufacturing Co Piezoelectric cigarette lighter
US3883289A (en) 1973-12-04 1975-05-13 Leo Mfg Co Ltd Piezo-electric type gas lighter
JPH0718548B2 (ja) 1983-10-19 1995-03-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電圧発生装置
US4608508A (en) * 1984-08-31 1986-08-26 Intermatch S.A. Piezoelectric igniter, especially for a cigarette lighter or the like
GB2169068B (en) * 1984-11-16 1989-04-12 Tdk Corp Piezoelectric gas-lighter
US4758152A (en) 1987-06-01 1988-07-19 Gary Michael Price Safety mechanism for a cigar lighter
US4830603A (en) 1988-03-04 1989-05-16 Salvatore Cirami Child-resistant disposable lighter
US5215458A (en) 1988-03-04 1993-06-01 Bic Corporation Child-resistant lighter with spring-biased, rotatable safety release
US5125829A (en) 1988-09-02 1992-06-30 Bic Corporation Bidirectional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584682A (en) 1988-09-02 1996-12-17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with anti-defeat latch
US5002482B1 (en) 1988-09-02 2000-02-29 Bic Corp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642993A (en) 1988-09-02 1997-07-01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456598A (en) 1988-09-02 1995-10-10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435719A (en) 1988-09-02 1995-07-25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ES2014189A6 (es) 1989-08-02 1990-06-16 Laforest Sa Mecanismo piezoelectrico para encendedores de gas.
US5092764A (en) 1990-07-11 1992-03-03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with locking valve cap
US5035608A (en) 1990-10-10 1991-07-30 Parren Joseph R Safety locking device
FR2668816B1 (fr) 1990-11-07 1993-01-15 Cricket Sa Dispositif d'allumage electronique pour appareil consommant du combustible gazeux et, notamment, pour briquet a gaz.
CH683455A5 (de) * 1991-03-13 1994-03-15 Laforest Bic Sa Piezoelektrischer Mechanismus für Gasanzünder.
US5171143A (en) 1991-09-25 1992-12-15 Myung Sung Ltd. Safety lighter with pivotable actuating member
JP2784977B2 (ja) 1992-01-13 1998-08-13 株式会社東海 安全装置付ガスライター
JPH06249438A (ja) 1993-02-25 1994-09-06 Masayuki Iwabori 圧電着火ライター
US5417571A (en) 1994-05-09 1995-05-23 Kvalseth; Tarald O. Child resistant lighter
DE69626638T2 (de) 1995-12-04 2003-12-18 Laforest Bic Sa Piezoelektrischer mechanismus für gasfeuerzeuge mit aussen geschlossenem teleskopkörper
DE69713566T2 (de) 1996-07-30 2003-01-09 Cricket Sa Gasfeuerzeug
US5788474A (en) 1996-09-05 1998-08-04 Thai Merry Co. (America) Ltd. Safety lighter
US5854530A (en) * 1996-12-18 1998-12-29 Bic Corporation Piezoelectric lighter which has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for operation
US6065958A (en) 1997-01-22 2000-05-23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JP3098042B2 (ja) * 1997-02-14 2000-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開閉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63498A (ja) 1997-08-21 1999-03-05 Koei Kogyo Kk タバコ型ライター
US6077070A (en) 1997-09-02 2000-06-20 Bic Corporation Child resistant lighter
US5980239A (en) 1997-09-02 1999-11-09 Bic Corporation Child resistant lighter
US6046528A (en) * 1997-11-03 2000-04-04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US6099296A (en) 1998-07-23 2000-08-08 Wang; Jyh-Shenq Safety mechanism of lighter
CN2333904Y (zh) 1998-08-28 1999-08-18 杨锦忠 打火机
US6102689A (en) 1998-09-29 2000-08-15 Man; Aman Chung Kai Push button safety lighter
US6382960B1 (en) * 1998-10-15 2002-05-07 B I C Corporation Child resistant lighter
US6010328A (en) 1999-03-26 2000-01-04 Sung; Kil Yong Double-trigger child-resistant utility lighter
US6095795A (en) 1999-05-03 2000-08-01 Potskhishvili; David Vakhtangovich Gas lighter with safety device
US6099297A (en) 1999-06-14 2000-08-08 Cli-Claque Campany, Limited Childproof cigarette lighter
US6086358A (en) 1999-11-04 2000-07-11 Potskhishvili; David Vakhtangovich Piezoelectric gas lighter with safety device
US6106277A (en) 1999-11-26 2000-08-22 Xie; Yiling Safety arrangement of piezoelectric unit for piezoelectric lighter
US6077071A (en) 1999-11-26 2000-06-20 Yeh; Chun Ching Safety apparatus of barbecue lighter
US6095796A (en) 1999-12-02 2000-08-01 Sung; Kil Yong Double-button piezoelectric child-resistant cigarette lighter
US6099298A (en) 1999-12-02 2000-08-08 Potskhishvili; David Vakhtangovich Gas lighter with safety device
US6086359A (en) 1999-12-13 2000-07-11 Polycity Enterprise Limited Lighter with a safety system
JP3730481B2 (ja) 2000-06-02 2006-01-05 株式会社東海 圧電着火式ライターの着火操作機構
JP2002054814A (ja) 2000-08-08 2002-02-20 Tokai Corp 圧電着火式点火棒の着火操作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19254A (ja) 2005-06-30
BR0308169A (pt) 2006-06-06
CN1650441A (zh) 2005-08-03
WO2003074939A3 (en) 2003-11-20
MXPA04008447A (es) 2004-12-06
TW200401093A (en) 2004-01-16
US6856074B2 (en) 2005-02-15
TWI340223B (en) 2011-04-11
KR100962762B1 (ko) 2010-06-09
AU2003216463B2 (en) 2008-05-01
CA2478495A1 (en) 2003-09-12
AR038637A1 (es) 2005-01-19
US20030164662A1 (en) 2003-09-04
ZA200407151B (en) 2006-02-22
EP1481196A2 (en) 2004-12-01
EP1481196B1 (en) 2012-11-28
AU2003216463A1 (en) 2003-09-16
RU2004129309A (ru) 2005-04-10
HK1081328A1 (en) 2006-05-12
WO2003074939A2 (en) 2003-09-12
MY131487A (en) 2007-08-30
RU2288409C2 (ru) 2006-11-27
CA2478495C (en) 2014-09-30
BRPI0308169B1 (pt) 2016-08-30
ES2399818T3 (es) 2013-04-03
EP1481196A4 (en) 2006-06-07
JP4230922B2 (ja) 2009-02-25
CN100550454C (zh)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547B1 (en) Triggering device of nail driver with single shooting mode and continuous shooting mode
KR100388689B1 (ko) 압전점화기구 및 압전라이터.
US6116892A (en) Safety flint-type lighter
US6059563A (en) Gas lighter with dual safety mechanism
KR100495621B1 (ko) 어린아이들은 켜기 어려운 다목적 가스라이타
JP3739281B2 (ja) 選択的に作動可能な圧電形点火機構
KR100962762B1 (ko) 압전 점화 기구
JP4121944B2 (ja) 子供のいたずら防止形圧電ライター
US7165969B2 (en) Childproof safety disposable lighter
US6948927B2 (en) Childproof safety disposable lighter
US7625202B2 (en) Child-resistant lighter having a flexing latch
US6520768B1 (en) Lighter structure
EP1881271A1 (en) Lighter having a safety device
US6257876B1 (en) Disposable lighter holder
EP1445536A1 (en) Piezoelectric lighter
KR920007923Y1 (ko) 리볼버 권총형 가스라이터
ES1045713U (es) Encendedor de gas con doble mecanismo.
CA2555420A1 (en) Lighter having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