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125A -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125A
KR20040104125A KR1020030035630A KR20030035630A KR20040104125A KR 20040104125 A KR20040104125 A KR 20040104125A KR 1020030035630 A KR1020030035630 A KR 1020030035630A KR 20030035630 A KR20030035630 A KR 20030035630A KR 20040104125 A KR20040104125 A KR 2004010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panel
fender panel
shock absorb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4125A/ko
Publication of KR2004010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05B41/29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8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83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power supply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더에이프론멤버와 펜더패널 사이에 충격흡수부재 및 펜더마운팅브래킷을 설치하여 펜더패널 부위에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충분한 충격흡수에 의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패널과 펜더패널이 이루는 경계부 하부에 위치되는 펜더에이프런멤버에 상기 펜더패널의 일측 끝단이 마운팅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펜더패널의 일측 끝단과 상기 펜더에이프론멤버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의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bile fender panel mounting area}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더에이프론멤버와 펜더패널 사이에 충격흡수부재 및 펜더마운팅브래킷을 설치하여 펜더패널 부위에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충분한 충격흡수에 의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패널이나 펜더패널에 보행자가 충돌하는 경우 상기 후드패널이나 펜더패널이 소성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보행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시킬 것이 요구된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2는 차량의 프론트바디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3은 도1 및 도2의 A-A부위를 나타낸 종래 펜더패널 마운팅구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펜더패널 고정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후드패널(1) 하부에 위치되는 펜더에이프런멤버(에이프런 인너패널과 에이프런 아웃터패널로 구분됨)(2)의 상면에 펜더패널(3) 끝단의 절곡부(3a) 하면이 얹혀지고 그 얹혀진 펜더패널(3)의 절곡부(3a)와 펜더에이프런멤버(2)는 상호 용접 또는 볼트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는 펜더패널(3)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서스펜션(미도시)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강도 및 강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상기 펜더패널(3)은 자동차의 휠 하우스 상부에 위치되는 패널로서 그 끝단은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에 마운팅되는데, 이렇게 펜더에이프런멤버(2)에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은 마운팅되는 곳은 도2에 원형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곳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펜더패널 고정구조에서는 펜더에이프런멤버(2)의 상부에 펜더패널(3)의 끝단부가 수직하게 내려와서 마운팅되므로 그 부위의 강도가 국부적으로 높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머리가 펜더에이프런멤버(2)에 마운팅되는 펜더패널(3)과 충돌하게 되면 그 펜더패널(3)의 충격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자 충돌에 따른 충돌에너지는 보행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보행자의 머리부위 상해치(HIC)가 높아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펜더에이프런멤버에 마운팅되는 펜더패널 위로 보행자가 충돌하였을 때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펜더패널과 펜더에이프런멤버 사이에 소정높이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펜더패널과 펜더에이프런멤버의 일측면 사이에는 펜더마운팅브래킷을 설치함으로써 펜더패널의 충격에너지의 분산을 용이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시도,
도2는 차량의 프론트바디를 보인 평면도,
도3은 도1 및 도2의 A-A부위를 나타낸 종래 펜더패널 마운팅구조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드패널 2 : 펜더에이프런멤버
3 : 펜더패널 10 : 충격흡수부재
11 : 펜더마운팅브래킷 12 : 마운팅클립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패널과 펜더패널이 이루는 경계부 하부에 위치되는 펜더에이프런멤버에 상기 펜더패널의 일측 끝단이 마운팅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펜더패널의 일측 끝단과 상기 펜더에이프론멤버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의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지금부터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론트바디에는 여닫을 수 있도록 회동되는 후드패널(1)이 마련되고, 자동차의 전방 양측면에 해당하는 앞바퀴 상부에는 펜더패널(3)이 상기 후드패널(1)과 경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드패널(1)과 펜더패널(3)이 이루는 경계부의 하부에는 사각 형상의 밀폐단면을 갖는 펜더에이프런멤버(2)가 위치되는 바,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는 펜더패널(3)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서스펜션(미도시)이 지지되도록 소정의 강도 및 강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는 에이프런 인너패널(2a)과 에이프런 아웃터패널(2b)이 서로 결합되어 사각 형상의 밀폐단면을 이루게 되는데, 그 펜더에이프런멤버(2)의 상부에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부가 도4에 보인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재(10)를 매개로 하여 간접 설치된다.
즉,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충격흡수부재(10)가 설치되어 상기 펜더패널(3)에 충격이 가해질 때 미세한 충격에 대해서는 상기 충격흡수부재(1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고, 큰 충격이 가해질 때는 상기 충격흡수부재(10)가 크게 변형되면서 탄성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펜더패널(3)은 그 충격흡수부재(10)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충격흡수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펜더패널(3)에 충돌한 보행자에게 직접적인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의 상부면에 천공된 끼움공에 끼움부(10a)를 매개로 끼움설치되도록 본 발명은 실시되었으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0)는 내부 전체가 꽉 채워지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충격흡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일부가 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충격흡수부재(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충격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은 상기 충격흡수부재(10)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은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의 일측 수직면에 일측단이 고정된 펜더마운팅브래킷(11)을 매개로 하여, 그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타측단과 결합되고, 상기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하부에 상기 충격흡수부재(1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펜더마운팅브래킷(11)은 일측단이 상기 펜더에이프런멤버(2)의 일측 수직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어야 하는 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이때의 구부러지는 각도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크게 제한받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타측단은 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타측단이 마운팅클립(12)을 매개로 서로 결합되도록 실시된다.
즉,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타측단은 편평한 마운팅클립(12)을 통해 결합되므로 상기 후드패널(1)이나 펜더패널(3) 쪽으로 돌출되지 않아, 보행자가 펜더패널(3)이나 후드패널(1)과 충돌하게 되어도 보행자에게 전혀 위협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에서, 펜더패널(3)에 보행자가 충돌하게 되면 펜더패널(3)이 1차적으로 변형됨과 동시에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결합된 펜더마운팅브래킷(11)이 탄성 변형되면서 소정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펜더패널(3)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가 펜더패널(3)과 펜더마운팅브래킷(11)에서 흡수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크다면, 상기 펜더패널(3)의 하부에 위치한 충격흡수부재(10)가 탄성 압축되는 형태로 변형되어 큰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펜더패널(3)에 충돌하게 되더라도 보행자는 펜더패널(3)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크게 다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에 의하면, 보행자가 주행중인 자동차와 충돌하여 펜더패널로 쓰러지게 되더라도 펜더패널이 펜더마운팅브래킷과 충격흡수부재를 매개로 펜더에이프런멤버와 결합되어 있어서 보행자로부터 전달된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함으로써 보행자가 받게 되는 충격량이 현저히 저하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후드패널(1)과 펜더패널(3)이 이루는 경계부 하부에 위치되는 펜더에이프런멤버(2)에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이 마운팅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상기 펜더에이프론멤버(2)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충격흡수부재(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은 상기 펜더에이프론멤버(2)의 일측 수직면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소정형상으로 구부러진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타측단과 결합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10)는 상기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하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패널(3)의 일측 끝단과 펜더마운팅브래킷(11)의 타측단은 마운팅클립(12)을 매개로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KR1020030035630A 2003-06-03 2003-06-03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KR2004010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630A KR20040104125A (ko) 2003-06-03 2003-06-03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630A KR20040104125A (ko) 2003-06-03 2003-06-03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125A true KR20040104125A (ko) 2004-12-10

Family

ID=3737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630A KR20040104125A (ko) 2003-06-03 2003-06-03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4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039A (ko) * 2003-06-10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펜더 패널의 상부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039A (ko) * 2003-06-10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펜더 패널의 상부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2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CN103587366A (zh) 用于车辆的减震器外壳支撑装置
US20090026798A1 (en)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for front end of vehicle
KR10053575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의 보강구조
KR20040104125A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KR100692532B1 (ko) 차량 범퍼 충격흡수 조립체
KR20110023347A (ko) 자동차용 범퍼 페시아
KR100511528B1 (ko) 자동차의 휀더와 후드의 연접구조
KR100471477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488996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CN213649508U (zh) 一种高安全性汽车保险杠
KR100569965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후드 힌지 레인포스먼트구조
KR20040042555A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507646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KR10039843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고정구
KR100489259B1 (ko) 자동차의 펜더 패널의 구조
KR200144094Y1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100418674B1 (ko) 보행자 보호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카울
KR20040050204A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KR20020094228A (ko) 자동차 프론트 휀더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62921Y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100482101B1 (ko) 자동차 도어의 승객 보호용 충격 흡수 장치
KR10051770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KR20020071988A (ko) 자동차의 카울패널 충격흡수 구조
KR19980043534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