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00B1 -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00B1
KR100517700B1 KR10-2003-0003105A KR20030003105A KR100517700B1 KR 100517700 B1 KR100517700 B1 KR 100517700B1 KR 20030003105 A KR20030003105 A KR 20030003105A KR 100517700 B1 KR100517700 B1 KR 10051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carrier
frame
front side
e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905A (ko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7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방 차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상측부를 지지하며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을 가지는 상부곡률프레임과, 상기 상부곡률프레임과 대응하게 상기 캐리어의 하측부를 지지하며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을 가지는 하부곡률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측 충격에 대하여 강성이 증가된 캐리어 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차체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Carrier of front End Modul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곡률을 이루는 것에 의하여 외부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구조는 모노코크 바디형과 프레임 구조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상기 모노코크 구조는 다시 FF,FR 등의 구동방식과 서스펜션의 방식에 따라 다르며, 제조 메이커에 따라 부품의 조립순서, 분할방식 등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모노코크 바디 구조를 설명한다면 프런트 바디와 센터 바디 그리고 리어 바디로 분할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상기에서 프런트 바디의 프런트 펜더(front fender), 후드(hood), 프런트 밸런스 패널(front balance panel) 등의 외관 부품은 볼트로 체결하며 차체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구조 부재는 거의 메인 바디에 스폿 용접되어 있다.
상기 모노코크 바디는 프레임이 없는 것으로 오늘날 자동차의 대부분이 상기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바디가 새시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돌했을 때 에너지 흡수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외력을 바디 전체로 커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코크형 바디(1)는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차체(3)와 중심차체(5) 및 후방차체(7)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전방차체(3)는 대시패널과 휠하우스 및 전방펜더를 갖춘 내판부분과, 후드와 전방선단패널로 된 외판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차체(5)는 플로워 뒤쪽에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는 외부에서의 힘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엷은 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플로워패널과 사이드패널, 루프패널(8), 카울패널(9) 및 도어 등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후방차체(7)는 후방플로워 패널과 후방펜더 및 하부백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체에는 하부에 좌우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차체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차체프레임은 차체의 하부에서 기본 골격을 형성하여 차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해주면서 자동차의 충돌시에 우선적으로 충격을 받아서 적절히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방차체(3)의 앞에는 캐리어(10)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는 헤드램프, 라이에이터, 콘덴서, 범퍼 등과 차체패널을 하나로 조립하여 현장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대상 부품 수를 감소시켜 조립 시간을 단축하며, 제품의 조립 정도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인 프론트 엔드 모듈(FEM:Front End Module)이 적용된다.
상기 캐리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 양측에 형성된 헤드램프 장착부(11)와, 그 전방에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와 같은 쿨링모듈을 장착하는 쿨링모듈장착부(12)와, 상기 쿨링모듈장착부(12)의 상부프레임(13)의 중간에서 아래로 연결되어 자동차의 혼 스피커 등을 장착하도록 브라켓(14)과 상기 쿨링모듈장착부(12)의 하부에 형성되어 범퍼 및 안개등 등을 장착하는 하부프레임(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3)과 하부프레임(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분이 직선부를 이루는 것에 의하여, 전방에서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캐리어(10)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내측 부품에 그대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비교적 가벼운 외부충격에도 내구성이 약하여 캐리어(10)가 변형되며 내측 부품이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측 충격에도 내구성을 갖는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 차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상측부를 지지하며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을 가지는 상부곡률프레임과, 상기 상부곡률프레임과 대응하게 상기 캐리어의 하측부를 지지하며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을 가지는 하부곡률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곡률프레임 보다 상기 하부곡률프레임의 곡률이 작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측 충격에 대하여 강성이 증가된 캐리어 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차체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체의 전방 프레임을 구성하는 캐리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리어(50)의 상부 좌우측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인 헤드램프 장착부(52)가 형성된다.
좌우측에 구비된 상기 헤드램프 장착부(52)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곡률프레임(60)은 캐리어(50)의 상측부를 지지하게 되며, 전방측을 향하여 제1곡률(R1)의 값을 갖게 되며 중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한 가상선과 상기 상부곡률프레임(60)의 접합부 사이의 간격을 제1옵셋(h1)이라 한다.
상기 상부곡률프레임(60)과 대응하도록 하측에 형성된 하부곡률프레임(70)도 전방측을 향하여 제2곡률(R2)의 값을 가지게 되며, 중심부에서 접합부까지 제2옵셋(h2)의 값을 갖게 된다.
상기 상부곡률프레임(60)과 하부곡률프레임(70)은 브라켓(8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80) 후측 공간은 쿨링모듈 장착부(90)로서 라지에이터 등의 쿨링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곡률프레임(60)과 하부곡률프레임(70)은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R1,R2)을 가지게 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제1곡률(R1)을 갖는 상기 상부곡률프레임(60)의 휘어지는 부분의 반지름은 5000mm로 이루어지며, 제2곡률(R2)을 갖는 상기 하부곡률프레임(70) 반지름은 6685mm를 갖도록 하여, 제1옵셋(h1)은 17mm, 제2옵셋(h2)은 10mm를 갖도록 하나,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전방측을 향하여 상기 상부곡률프레임(60)과 하부곡률프레임(70)이 일정 곡률을 갖는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수치는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상기 상부곡률프레임(60)이 하부곡률프레임(70) 보다 곡률이 크게 이루어지는 것은 자동차의 전방 상측이 하측보다 라운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이나, 차체의 형상에 의하여 하부곡률프레임(70)의 곡률이 상부곡률프레임(60)의 곡률과 같거나 크게 이루어지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의 값으로 곡률을 이루는 상부곡률프레임(60)과 하부곡률프레임(70)은 전방측으로 부터의 충돌시 변형을 줄이게 되며, 곡률진 형상에 의하여 충격을 보다 많이 흡수하게 되어 제품의 강성이 증가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에 의하면, 곡률진 상하부 곡률프레임에 의하여 전방위 충격에 대해서 강성이 증가되는 것에 의하여 차체 충격이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내구성 향상 및 운전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캐리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캐리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캐리어 52 : 헤드램프 장착부
60 : 상부곡률프레임 70 : 하부곡률프레임
80 : 프레임 90 : 쿨링모듈 장착부

Claims (2)

  1. 자동차 전방 차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상측부를 지지하며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을 가지는 상부곡률프레임과,
    상기 상부곡률프레임과 대응하게 상기 캐리어의 하측부를 지지하며 전방측을 향하여 일정 곡률을 가지는 하부곡률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률프레임 보다 상기 하부곡률프레임의 곡률이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2003-0003105A 2003-01-16 2003-01-16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KR10051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105A KR100517700B1 (ko) 2003-01-16 2003-01-16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105A KR100517700B1 (ko) 2003-01-16 2003-01-16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905A KR20040065905A (ko) 2004-07-23
KR100517700B1 true KR100517700B1 (ko) 2005-09-29

Family

ID=3735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105A KR100517700B1 (ko) 2003-01-16 2003-01-16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7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905A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766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CN108216373B (zh) 适应小重叠碰撞的车身加强结构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JP2011520697A (ja) 衝撃吸収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フロントエンド
KR10053575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캐리어의 보강구조
CN114074715A (zh) 车身的前结构
US6923496B1 (en) Anti-flutter bumper for hood mounted grilles
KR10051770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모듈의 캐리어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JP4101818B2 (ja) ウインドシールド下端支持構造
KR100380497B1 (ko) 자동차용 차체 프레임의 전방 캐리어
KR100517699B1 (ko) 자동차용 캐리어의 하부프레임 일체형 구조
CN217778555U (zh) 汽车前防撞梁结构及汽车
KR100489002B1 (ko) 차량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범퍼빔 마운팅부 충격흡수구조
KR100517701B1 (ko) 래치커버 일체형 캐리어구조
KR100568705B1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 파이프의 고정구조
KR100728725B1 (ko) 캐리어의 보강구조
KR100517702B1 (ko) 캐리어의 결합구조
JPH07215071A (ja) エンジンの取付構造
KR100315060B1 (ko) 자동차의 후론트 엔드 구조
KR20220087236A (ko) 차량용 범퍼 빔
KR0119205Y1 (ko) 자동차의 범퍼스테이구조
KR100392272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JP2995424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140010837A (ko) 차량의 카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