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692A -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 Google Patents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692A
KR20040103692A KR1020030035313A KR20030035313A KR20040103692A KR 20040103692 A KR20040103692 A KR 20040103692A KR 1020030035313 A KR1020030035313 A KR 1020030035313A KR 20030035313 A KR20030035313 A KR 20030035313A KR 20040103692 A KR20040103692 A KR 2004010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creen
housing
condui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746B1 (ko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훈 filed Critical 유동훈
Priority to KR102003003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74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강우시 월류되는 하수의 1차적인 오수처리를 이룸과 동시에, 초기우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자연 하천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수류토실을 제공하거나 일반 하천수를 목적에 따라 1차적으로 정수할 목적으로,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 하부에 배치되며, 그 단면상에는 다수의 여과홀을 갖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린의 여과홀 보다 크기가 큰 여과홀을 갖는 제3 스크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의 일측에 연결되는 합류관거; 상류에서 차집된 오수가 유입되는 상류 차집관거; 상기 상류 차집관거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차집된 일정량의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하류 차집관거; 상기 합류관거 및 상기 하류 차집관거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오수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3 스크린과 연결되는 펌핑수단;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하수를 하천에 방류하기 위한 방류관;을 포함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Suspended Material Auto-draw Chamber}
본 발명은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토실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를 1차적으로 오수처리한 후,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의 배출방법은 하수(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수반되는 오수와 자연강우에 의한 우수를 합한 것을 말함)의 배제형식에 따라 오수와 우수(빗물)를 별개의 하수관거에 의하여 배제하는 분류식과, 오수와 우수를 동일 하수관거로 배제하는 합류식이 있다.
몇몇 도시의 경우에는 오수와 우수(빗물)를 별개의 관거로 구성하는 분류식 관거(分流式 管渠)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하수를 직접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기 때문에 수류토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나, 기존의 많은 도시에서는 오수와 우수를 하나의 관거를 통하여 배수하는 합류식 관거(合流式 管渠, Combined System of Sewage)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우천시 하수시설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수류토실의 사용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합류식 관거에서 이러한 수류토실은 우천시에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하고, 나머지 하수는 하천 등의 수역으로 방류하기 위한 시설이다. 종래의 수류토실은 보통 하수도 수로 끝단에, 하수구 직경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수로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하향하여 설치되는데, 그 아래 부분의 일측에 차집관거 입구를 연결하고, 상부 일측에서 하천 방류구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평상시에는 하수도 수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가 전량 수류토실로 흘러 들어가 수류토실 내부가 하부로부터 채워지면서 곧바로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된다. 또한, 우천시와 같이 자연강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우수(빗물)에 의한 유량이 평상시 오수유량의 10배 또는 많게는 1000배 이상이 될 때, 하천 방류구를 통하여 하천이나 바다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시공되던 합류식 관거의 수류토실은 철제 스크린(철제 스크린이 없는 경우도 있음)과 같은 직접 스크리닝(Direct Screening)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하수가 스크린에 정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하수중에 포함된 부유물의 입경이 스크린의 망 간격보다 큰 경우는 스크린을 막고 다른 이물질들이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수류토실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처리되지 못한 오수 및 스크린에 걸린 부유물들의 부패로 인한 악취 및 미관저해 등의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우천으로 인한 홍수시, 수류토실의 용량을 초과하는 많은 유량, 특히 오염도가 큰 초기우수로 인하여 오수(모래, 토사 등을 함유하는) 및 부유물을 적절히 분리하여 처리하지 못하고, 전체 하수에 함유된 상태로 하천 또는 바다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평상시보다 홍수시에 하천 또는 인근 해역의 오염이더욱 심각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하수의 1차적인 오수처리와 부유물을 유효 적절하게 차단하고 우천으로 인한 오염도가 큰 초기우수를 오수와 우수로 적절하게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류토실을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2중벽으로 구성하며, 내부의 스크린을 통해 1차적인 오수처리를 이룸과 동시에 벤츄리 원리를 이용한 노즐과 연결된 오수 흡입관을 통해 하우징내부에서 비중이 큰 오수만을 펌핑하여 차집관거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하수의 1차적인 오수처리를 이룸과 동시에, 초기우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자연 하천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합류식 하수도의 수류토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의 1차적인 처리를 통하여 오수 및 오염된 부유물들을 초기에 제거 및 처리함으로서 하수처리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합류식 하수도의 수류토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홍수시 차집관로로 차집되는 하수는 오수와 다량의 우수가 혼합되어 일반 오수에 비하여 오염 농도가 상당히 낮게 되는데 이렇게 오염 농도가 낮은 경우 하수 종말처리장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기존 수류토실의 위치에 설치할 경우 차집오수의 농도를 평상시와 거의 같은 정도로 유지시켜 하수 종말처리장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수류토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합류식 관거의 수류토실과 같은 원리로 우수관 맨홀, 발전소 냉각수 유입구, 하수종말 처리장의 침사지/침전지, 소하천의 월류댐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류토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벤튜리 노즐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일반적인 작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우천시 작용 상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1': 하우징 2,2': 내부 스크린
3: 제1 스크린 4: 제2 스크린
5: 제3 스크린 6: 상류차집관거
7: 하류차집관거 8: 합류관거
10: 벤추리관 11: 오수 흡입관
12: 방류관 13: 위어
24: 체크밸브 16: 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수 자동인입 수류토실은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 하부에 배치되며, 그 단면상에는 다수의 여과홀을 갖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린의 여과홀 보다 크기가 큰 여과홀을 갖는 제3 스크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의 일측에 연결되는 합류관거; 상류에서 차집된 오수가 유입되는 상류 차집관거; 상기 상류 차집관거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차집된 일정량의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하류 차집관거; 상기 합류관거 및 상기 하류 차집관거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오수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3 스크린과 연결되는 펌핑수단;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하수를 하천에 방류하기 위한 방류관;을 포함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합류식 하수도의 수류토실 뿐만 아니라 하천의 수중보 상이나 하수종말처리장의 침사지 또는 침전지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류토실의 경우가 가장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수류토실의 경우에 한정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기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전체 사시도이고(토실의 전체 형상이 팔각형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원형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스크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는 하수가 유입되는 합류관거(8)와 1차 처리된 하수를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관(12), 상류에서 차집된 오수가 유입되는 상류 차집관거(6)와 상류에서 유입된 오수와 본 수류토실을 통해 차집된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하류차집관거(7)가 하우징(1)의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의 중공부 내에는 하우징(1)의 모양과 동일한 팔각형 또는 원형의 스크린(2)이 배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과 스크린(2)은 팔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점을 고려한 것일 뿐,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하우징(1)의 형상은 수류토실을 설치하는 지형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하우징(1') 및 스크린(2')은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에는 합류관거(8)와 1차 처리된 하수를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한 방류관(12), 상류에서 차집된 오수가 유입되는 상류 차집관거(6)와 상류에서 유입된 오수와 본 수류토실을 통해 차집된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하류차집관거(7)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 및 스크린을 사용하면, 하수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되고 하우징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2)은 상류차집관거(6)와 하류차집관거(7)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단부가 방류홈이 없는 형태로 설치되는 제1스크린(3)을 포함한다. 제1 스크린(3) 하단부의 제2스크린(4)은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에는 다수개의 여과홀(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스크린(4)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여과홀(14)은 제1 스크린(3) 내로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그 단면에 대하여 소정각(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하수 내에 함유되는 토사와 오수가 내부의 제2 스크린(4)의 여과홀을 잘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스크린(4) 내에 잔류시킴으로서, 우하수 내의 토사와 오수의 여과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b)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는 여과홀(14')이 벌집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망형식의 제2 스크린(4')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c)에는 수평의 긴 슬릿(14'')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른 형상의 제2 스크린(4'')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마치 소음벽과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형상의 제2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오수 흡입관(11)과 연결되는 제3스크린(5)은 여과홀의 크기를 제2 스크린(4)보다 크게 함으로서, 스크린 내부로의 오수의 유입이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오수 흡입관(11)과 제3 스크린(5)의 사이에는 작은 턱(16)을 두어 슬러지의 갑작스러운 유입으로 야기되는 오수 흡입관(1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상기 흡입관(11) 내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흡입되는 하수 또는 상기 벤츄리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에 수평방향으로 1단 또는 2단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입경이 큰 부유물질들을 1차 또는 2차적으로 걸러 흡입관에서는 입자가 매우 작은 부유들만을 펌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한 제3스크린(5)을 미닫이 형식으로 하여 수류토실 정비시 흡입관 주변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합류관거(8)와 하류차집관거(7)의 일측을 연결하는 노즐(10)은 합류관거(8)와 연결되는 일측에 단면적이 큰 대경부가 형성되고, 하류차집관거(7)와 연결되는 일측에는 단면적이 작은 소경부로 형성된다. 또한 하류 차집관거(7) 일측에 연결된 소경부에는 하우징(1)의 하단부에서 뻗어나온 오수 흡입관(11)이 연결된다.오수를 펌핑하는 다른 방법으로 벤츄리 노즐과 같은 위치에 노즐을 대신하여 무동력 펌프 또는 동력 펌프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선택사항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은 그 규격산정에 있어, 합류관거(8)의 상태와 지역, 지형적인 특성과 강우 특성에 따른 하수량을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이러한 규격 산정은 수문 유출모형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의 유출모의 실험을 통해 산정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의 작동을 도 7와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일반적인 작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의 우천시 작용 상태도이다.
먼저, 평상시에는 합류관거(8)내에 비교적 소량의 오수만이 흐르게 되며, 유입된 오수는 합류관거(8)와 제1스크린(3)의 접합부에 설치된 소형 위어(13)에 의해서 제1스크린(5)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하류차집관거(7)로 바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오수는 상류차집관거(6)에서 유입된 오수와 합류해 하수처리장으로 바로 이송되어 방류관(12)을 통한 하천 방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강우시에는 도 5와 같이 다량의 우수를 포함한 하수가 합류관(8)을 통해 유입되며, 일정유량 이상이 되면 소형 위어(13)를 넘어 스크린(2)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2스크린(4)의 여과홀을 통해 1차 정화되어 스크린(2)의 내부에는 하수 중에서 오염된 오수나 부유물 등의 침전이 발생하게 되며 스크린(2)의 외부로는 1차 정화된 하수만이 배출되어 방류관(12)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
이 때, 노즐(10) 또는 무동력 펌프와 하우징(1)에 연결된 오수 흡입관(11)의 자동 펌핑 기능을 이용하여 스크린(2)과 외벽 사이에 침전된 오수와 오염된 부유물을 흡입하여 하류차집관거(7)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된다.
스크린(2) 내의 오수나 오염된 부유물을 자동 펌핑하는 원리를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벤튜리 노즐의 단면 사시도이다.
합류관거(8)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10)은 합류관거(8)의 유량이 증가하여 일정 수위 이상되면 유량이 유입하게 되며 대경부(10a)로부터 소경부(10b)로 가면서 유동단면이 축소됨에 따라 연속방정식에 의해 유속이 증가하고(Va < Vb), 이러한 유속 증가는 아래의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력강하(Pa > Pb)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V는 유속, P는 압력, Z는 높이, hL은 수두차, ρ는 밀도, g는 중력가속도이다.
이러한 압력강하에 의해 노즐(10) 소경부(10b)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작아질 수 있는데, 이 때, 하우징(1) 내에는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소경부(10b)와 하우징(1) 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하우징(1) 내의 오수나 부유물 들을 오수 흡입관(11)을 통하여 소경부(10b) 측으로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노즐(10)의 대경 및 소경의 관경이나, 수두차(hL) 등은 해당 지역의 수류토실 내로 유입되는 오수의 양과 농도, 우수의 양, 예상되는 수류토실 내의 최저수심 등의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값을 결정한다.
이로서, 상기 스크린(2) 내의 하부에 침전되는 오수 및 부유물은 별도의 동력원없이 오수 흡입관(11)을 통하여 흡입되어 하류 차집관거(7)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며, 이로 인하여 수류토실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유물 및 오수의 흡입 동력으로 상기 벤츄리 노즐을 대신하여 무동력 펌프 또는 전력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펌프의 동력과 흡입해야 하는 부유물 및 오수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장비를 따로 또는 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 흡입관(11) 내에는 하우징으로부터 흡입되는 하수 또는 상기 벤추리관(1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오수 및 부유물을 장시간 수류토실 내부에 방치하지 않음으로서, 수질 오염 및 악취 등의 환경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물론, 오수 흡입관(11)을 통해 펌핑되지 않고 스크린(2) 내부에 잔류하는 쓰레기 등은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수거해 주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은 합류식 관거의 수류토실과 같은 원리로 우수관 맨홀, 발전소 냉각수 유입구, 하수종말 처리장의 침사지/침전지, 소하천의 월류댐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류토실을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2중으로 구성하여 평상시 우수토실 내의 오수를 등을 하수로 여과한 상태에서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므로 하수종말처리장에서의 오수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폭우로 인한 홍수시에도 수류토실의 용량을 초과하는 큰 유량, 특히 오염도가 큰 초기우수에 포함되는 오수(모래, 토사 등을 함유하는) 및 부유물을 내부의 스크린에서 적절히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하천 또는 인근 해역의 환경오염 발생요인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우수 토실 내의 오수 등을 차집관거로 이동시킬 때 벤튜리 원리에 따라 무동력으로 흡입하여 이동시키므로 우수 토실의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홍수시 차집관로로 차집되는 하수는 오수와 다량의 우수가 혼합되어 일반 오수에 비하여 오염 농도가 상당히 낮게 되는데 이렇게 오염 농도가 낮은 경우 하수 종말처리장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수류토실을 기존 수류토실의 위치에 설치할 경우 차집오수의 농도를 평상시와 거의 같은 정도로 유지시켜 하수 종말처리장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합류식 관거의 수류토실과 같은 원리로 우수관 맨홀, 발전소 냉각수 유입구, 하수종말 처리장의 침사지/침전지, 소하천의 월류댐 등으로 적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수류토실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스크린 하부에 배치되며, 그 단면상에는 다수의 여과홀을 갖는 제2 스크린;
    상기 제2 스크린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스크린의 여과홀 보다 크기가 큰 여과홀을 갖는 제3 스크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스크린의 일측에 연결되는 합류관거;
    상류에서 차집된 오수가 유입되는 상류 차집관거;
    상기 상류 차집관거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차집된 일정량의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수송하기 위한 하류 차집관거;
    상기 합류관거 및 상기 하류 차집관거를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오수를 흡입하도록 상기 제3 스크린과 연결되는 펌핑수단; 및
    상기 제2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하수를 하천에 방류하기 위한 방류관;을 포함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수단과 제3스크린의 사이에는 턱을 두어 슬러지의 갑작스러운 유입으로 인한 펌핑수단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합류관거 측으로는 단면적이 큰 대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류 차집관거 측으로는 단면적이 작은 소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벤추리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벤추리관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오수를 원활하게 유입하기 위하여 동력 또는 무동력 펌프를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내에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흡입되는 하수 또는 상기 벤츄리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팔각기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유입되는 하수의 흐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4각의 슬릿형상의 여과홀을 다수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여과홀이 벌집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철망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슬릿으로 형성된 여과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20030035313A 2003-06-02 2003-06-02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062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313A KR100625746B1 (ko) 2003-06-02 2003-06-02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313A KR100625746B1 (ko) 2003-06-02 2003-06-02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692A true KR20040103692A (ko) 2004-12-09
KR100625746B1 KR100625746B1 (ko) 2006-09-20

Family

ID=3737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313A KR100625746B1 (ko) 2003-06-02 2003-06-02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7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61B1 (ko) * 2006-11-30 2007-06-07 우암종합건설(주)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침전장치
CN104652579A (zh) * 2015-02-03 2015-05-27 韩少鹏 一种建筑物排水设施
CN107587579A (zh) * 2017-09-30 2018-01-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带有截污管和雨水处理设施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111042297A (zh) * 2019-12-28 2020-04-21 江苏惠生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收集污水、雨水的新型一体化智能弃流井
CN117065446A (zh) * 2023-10-17 2023-11-17 天津国瑞蓝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景观园林的池塘水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2883A1 (de) 1981-12-24 1983-07-06 Werner Paarmann Anordnung und Ausbildung eines Wasserspeichers als Pumpensaugraum, Regen- oder Schmutzwasserspeicher, mit tiefer, als der Speicher, liegender Saug- oder Ablaufleitung
JPS58134478U (ja) 1982-03-03 1983-09-09 西武機材株式会社 厨房排水の処理槽
AUPM628594A0 (en) 1994-06-17 1994-07-07 Blanche, Paul A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solids from flowing liquid
KR20000064153A (ko) 2000-08-24 2000-11-06 전양근 하이드로 싸이클론을 이용한 오물수거식 맨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161B1 (ko) * 2006-11-30 2007-06-07 우암종합건설(주)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침전장치
CN104652579A (zh) * 2015-02-03 2015-05-27 韩少鹏 一种建筑物排水设施
CN107587579A (zh) * 2017-09-30 2018-01-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带有截污管和雨水处理设施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107587579B (zh) * 2017-09-30 2023-11-17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带有截污管和雨水处理设施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111042297A (zh) * 2019-12-28 2020-04-21 江苏惠生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收集污水、雨水的新型一体化智能弃流井
CN111042297B (zh) * 2019-12-28 2021-10-29 江苏惠生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收集污水、雨水的一体化智能弃流井
CN117065446A (zh) * 2023-10-17 2023-11-17 天津国瑞蓝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景观园林的池塘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746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8065B2 (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20110119451A (ko) 초기우수의 지하침투 처리시설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0786511B1 (ko) 탄화물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47561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44428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CN206308771U (zh) 双通互补式城市排水系统
JP2006082005A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濁水処理方法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JP2006328640A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KR101314575B1 (ko) 빗물이용을 위한 수처리장치
KR20040048556A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1017980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KR20100039086A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JP200813837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