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628A - 기능성 장갑 - Google Patents

기능성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628A
KR20040103628A KR1020030034674A KR20030034674A KR20040103628A KR 20040103628 A KR20040103628 A KR 20040103628A KR 1020030034674 A KR1020030034674 A KR 1020030034674A KR 20030034674 A KR20030034674 A KR 20030034674A KR 20040103628 A KR20040103628 A KR 2004010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thelium
finger
index finger
thumb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082B1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to KR102003003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8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3Monitoring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솔기가 손가락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상피 및 하피로 구성되고, 엄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가 형성된 장갑에 있어서, 상기 상피와 하피의 테두리가 접합되어 형성된 봉제솔기는 상피와 하피의 외측면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검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에 형성된 봉제솔기는 착용시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의 측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의 상부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구성되며; 봉제솔기가 장갑의 외부에 형성되어 피부에 봉제솔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손의 피로감은 감소되는 반면, 작업능률 및 사용상 편의성은 향상되며, 봉제솔기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봉제솔기를 배제한 상태로 물건을 취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피의 손등부위와 엄지 및 검지용 손가락삽입부에 보강피를 마련하면 상피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엄지 및 검지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어, 장갑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나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장갑{FUNCTIONAL GLOVES}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장갑의 봉제솔기가 손가락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감 향상으로 작업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은 체온유지나 작업상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되며, 볼링이나골프와 같은 운동경기에서는 손의 보호 및 자세교정을 위하여 착용된다.
그러므로, 장갑은 그 용도에 따라 섬유나 피혁, 또는 금속재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뿐만 아니라 그 용도에 적합하게 디자인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갑은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조되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봉제솔기(20)는 모두 내향형태로 형성되어 그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이러한 일반적인 장갑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은 일반적인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장갑은 상피(11)와 하피(12)가 동일한 크기로 재단되되, 상피(11)와 하피(12)의 테두리가 장갑의 내측면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박음질되므로, 봉제솔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장갑의 내측을 향하게 되며, 상피(11)와 하피(12)의 테두리가 박음질됨에 따라 손가락삽입부(1~5)에는 봉제솔기(20)가 중간부분에 형성된다.
이렇게, 봉제솔기(20)가 장갑의 내측을 향하면 장갑의 외측에는 접합선(15) 만 나타나지만, 손가락(f)과 손등의 피부에 봉제솔기(20)가 직접 접촉되므로 착용감이 저하되는 단점과, 내향된 봉제솔기(20)의 두께 만큼 상·하피(11, 12)가 손가락(f)에 밀착되지 않아 압박력이 감소되는 단점도 있다.
특히, 손가락(f)의 양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f)의 경우,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2~5) 별로 형성된 봉제솔기(20)들이 서로 마주하므로, 각각의 손가락(f)은 봉제솔기(20)의 두께(l) 만큼 이격되어 더욱 착용감이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물건의 파지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엄지 및 검지의 경우에도 엄지 및 검지 손가락삽입부(1, 2)에 형성된 봉제솔기(20)가 서로 마주함에 따라 파지력이 저하되어 물건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뿐만 아니라, 봉제솔기(20)의 방해로 물건의 접촉에 의한 식별감 역시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시 반복동작에 따라 상피(1)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삽입부(1, 2)가 늘어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적인 장갑은 착용감과 압박력, 그리고 식별감의 저하로 인하여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정밀작업을 수행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며, 또한 이러한 장갑을 장시간 착용하면 손가락(f)의 봉제솔기(20)가 접촉되는 부위의 감각이 점차적으로 둔화될 뿐만 아니라, 궁국적으로는 손가락(f) 및 손 전체가 피로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봉제솔기가 장갑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며, 각각의 손가락삽입부에는 봉제솔기가 상·하부측에 형성되어,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의 양측면이 서로 밀착가능하여 착용감이 뛰어난 기능성 장갑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상피의 손등부위와 엄지 및 검지 손가락삽입부의 상부면에는 상·하피와는 별개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질의 이질재료가 마련되어, 상피의 팽창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기능성 장갑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갑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상피 52 : 중간피
53 : 하피 61~65 : 손가락삽입부
70 : 봉제솔기 80 : 보강피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장갑은, 상피(51) 및 하피(53)로 구성되고, 엄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61~65)가 형성된 장갑에 있어서, 상기 상피(51)와 하피(53)의 테두리가 접합되어 형성된 봉제솔기(70)는 상피(51)와 하피(53)의 외측면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검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62~65)에 형성된 봉제솔기(70)는 착용시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측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부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장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시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장갑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은 상피(51)와 하피(53)가 서로 마주한 상태로 박음질된 봉제솔기(70)가 상·하피(51, 53)의 외측에 외향상태로 돌출형성되어 봉제솔기(70)가 피부에 직접적으로 마찰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리고,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에 형성된 봉제솔기(70)의 경우,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서로 맞닿는 부분이 긴밀한 상태로 밀착가능하도록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된 것이 다른 특징이다.
이때,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하부에 형성된 봉제솔기(70)는 상피(51)와 하피(53) 사이에 구비된 중간피(52)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중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중간피(52)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봉제솔기(70)는 중간피(52)의 테두리와 상피(51) 및 하피(53)의 테두리를 서로 맞닿도록 하여 그 테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봉제솔기(70)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하부에 수직으로 이중형성된다.
물론, 중간피(52)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에 손가락(f)이 삽입되면 손가락(f)의 전면 및 측면을 감싸게된다.
한편, 중간피(52)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폭(W1, W2)이 넓게 형성되며, 전방측 폭(W1)의 경우 상·하부에 형성된 봉제솔기(70)가 서로 맞닿을 정도의 폭(W1)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중간피(52)의 전방측 폭(W1)을 좁게 형성하는 이유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단부가 손가락(f)의 단부 모양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손가락삽입부(62~65)의 끝부분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은 봉제솔기(70)가 피부에 접촉되지않아 착용감이 뛰어나며,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f)을 밀착한 상태로 모아도 봉제솔기(70)에 의하여 그 사이가 벌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봉제솔기(7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봉제솔기(70)를 배제한 상태에서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물건을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상피(51)의 상부면, 즉 엄지와 검지 손가락삽입부(61, 62)의 상부면과 손등(66)의 상부면에는 도시된 것 처럼 보강피(80, 80a)를 일체화하여 마련할 수 있으며, 이 보강피(80, 80a)는 상·하피(51, 53)와는 별개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삽입부(61, 62)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엄지 및 검지를 외곽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직성을 가지며 수축이 거의 불가능한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질의 재질을 예시하면 통가죽 등의 피혁재나 금속재, 합성수지재, 또는 화학물에 해당하는 무기섬유로 이루어진 원단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을 착용하고 손을 움직일 경우 보강피(80, 80a)는 자체 특성상 상피(51)의 손등(66)과 엄지 및 검지의 손가락삽입부(61, 62)의 신축을 억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피(51)가 늘어나서 팽창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엄지 및 검지 손가락삽입부(61, 62)의 보강피(80)는 엄지와 검지로 물건을 파지할 경우, 외곽에서 엄지와 검지를 강직하게 지지해 주므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물건을 파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은 작업용과 운동용으로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일예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용으로 적용한 일예를 설명하면, 화기관련작업 중 특히 용접작업용 장갑으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상피(51)와 하피(53)를 보통의 유기섬유에 비해 매우 우수한 인장강도와 고탄성률을 가지며 뛰어난 내열성(450°C 이상에서 탄화됨) 및 저수축율 등의 특성을 갖는 파라(Para)계 아라미드(Aramid) 원단으로 만들되, 이 원단의 표면을 멤브레인(membrane)으로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한다.
그러면, 이 원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 손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활동에 불편을 주지않으며, 내열성에 의하여 용접불꽃이나 고열에서도 연소되거나 용융되지 않아 작업자의 신체적 손상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처리로 인하여 기름이나 액상의 오염물질, 또는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파라계 아라미드 원단으로 상·하피(51, 53)를 만들면 작업능률과 안전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의 탄성력과 외향 형성된 봉제솔기(70)에 의하여 손동작이 자유로와 용접작업 이외의 정밀 작업도 가능하다.
또한, 라미네이팅 처리에 의해 방수가 가능하여 액상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건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보강피(80)가 엄지 및 검지를 지지해줄 뿐만 아니라, 상피(51)에 충격이 전달되어도 경질의 보강피(80, 80a)가 그 충격을 우선적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프레스작업 등과 같은 극도의 안전이 요구되는 작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상·하피(51, 53)의 재질은 작업내용에 따라 파라계 아라미드 이외의 원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두 종류 이상의 원단을 상·하피(51, 53)에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 운동용으로 골프용 장갑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상·하피(51, 53)를 얇고 부드러운 양피나 캥거루가죽 등의 원단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원단으로 제조된 장갑으로 골프를 하면, 봉제솔기(70)가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 사이를 이격시키지 않으므로 골프클럽의 그립을 부담없이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립의 파지시 보강피(80)가 엄지 및 검지를 지지해 주므로 그립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립의 파지가 수월하므로 다운스윙 및 임팩트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퍼팅감각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골프 초보자의 경우에는 보강피(80)가 엄지 및 검지를 지지해줌에 따라, 그립에 많은 힘을 가하지 않아도 그립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그립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초보자들의 일반적인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91 및 93은 장갑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벨크로화스너(일명 찍찍이)이며, 92는 손목부위를 조여주도록 박음질된 고무재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은 봉제솔기(70)가 상·하피(51, 53)의 외부에 형성되어, 봉제솔기(70)가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압박감 및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봉제솔기(70)의 접촉에의한 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에는 봉제솔기(70)가 상·하부에 형성되어 검지 내지 소지의 측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검지 내지 소지를 모아서 물건을 잡아도 물건이 안정되게 파지되며, 봉재솔기(70)가 육안으로 식별되므로 봉재솔기(70)가 배제된 상태로 물건을 파지할 수 있어 정확히 물건을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피(80, 80a)에 의하여 손등(66)과 엄지 및 검지 손가락삽입부(61, 62)의 늘어남을 방지할 수 있어 장갑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보강피(80)가 엄지 및 검지 손가락을 지지하므로 엄지 및 검지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작업이나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은 외향 형성된 봉재솔기(70)와 보강피(80, 80a)에 의하여 작업능률과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의 측면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어 정밀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여도 손이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봉제솔기(70)가 오버로크(overlock) 재봉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면과 달리 일반 박음질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외부로 돌출된 봉제솔기(70)의 미관을 위하여 봉제솔기(70)의 표면에 피혁이나 비닐내자 등을 감싼 후 박음질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장갑은, 봉제솔기가 장갑의 외부에 형성되어 피부에 봉제솔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손의 피로감은 감소되는 반면, 작업능률 및 사용상 편의성은 향상되며, 봉제솔기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봉제솔기를 배제한 상태로 물건을 취급할 수 있으므로 작업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피에 의하여 손등부위와 엄지 및 검지용 손가락삽입부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엄지 및 검지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어, 장갑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나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상피(51) 및 하피(53)로 구성되고, 엄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61~65)가 형성된 장갑에 있어서,
    상기 상피(51)와 하피(53)의 테두리가 접합되어 형성된 봉제솔기(70)는 상피(51)와 하피(53)의 외측면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검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62~65)에 형성된 봉제솔기(70)는 착용시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측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부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내지 소지의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피(51)와 하피(53) 사이에는 전방 및 측방을 감싸는 중간피(52)가 구비되고, 상기 상피(51) 및 하피(53)의 테두리는 중간피(52)의 테두리와 마주한 상태로 접합됨으로써, 상기 봉제솔기(70)는 검지 내지 소지 손가락삽입부(62~65)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51)의 엄지 및 검지의 손가락삽입부(61, 62)나 손등(66) 부위에는 상피(51)와 일체를 이루며, 강직성을 갖는 경질의 보강피(80, 80a)가 마련되어, 상피(51)의 팽창변형을 억제하고 엄지 및 검지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51) 및 하피(53)는 표면이 멤브레인(membrane)으로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되고, 인장강도와 탄성률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수축변화율은 낮은 파라(Para)계 아라미드(Aramid)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갑.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51) 및 하피(53)는 착용감과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양가죽이나 캥거루 가죽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피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갑.
KR1020030034674A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장갑 KR10057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674A KR100574082B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674A KR100574082B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장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989U Division KR200323451Y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628A true KR20040103628A (ko) 2004-12-09
KR100574082B1 KR100574082B1 (ko) 2006-05-02

Family

ID=3737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674A KR100574082B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78B1 (ko) * 2006-08-22 2007-06-15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작업용 장갑
KR100786959B1 (ko) * 2007-02-20 2007-12-17 박찬문 봉제장갑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031U (ko) * 1976-01-17 1977-07-26
KR800001433Y1 (ko) * 1979-08-08 1980-09-08 조천수 이음매 없는 망장갑
JPH09279408A (ja) * 1996-04-12 1997-10-28 Towa Corp:Kk 皮革製手袋
JP2002249908A (ja) * 2001-02-26 2002-09-06 Fuji Glove Kk 作業用皮革手袋
KR100426604B1 (ko) * 2001-12-04 2004-04-14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방수 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78B1 (ko) * 2006-08-22 2007-06-15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작업용 장갑
KR100786959B1 (ko) * 2007-02-20 2007-12-17 박찬문 봉제장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082B1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4971B1 (en) Sports gloves
US20070226873A1 (en) Stretchable, multi-layered gloves
JP4124793B2 (ja) 手袋
US8291517B2 (en) Correct grip sports glove
US8505115B2 (en) Sewn glove
US5664260A (en) Glov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40221365A1 (en) Glove with seamless finger tips and gussets
KR100574082B1 (ko) 기능성 장갑
KR200323451Y1 (ko) 기능성 장갑
JP2006291400A (ja) 手袋
KR200259773Y1 (ko) 장갑
KR200380724Y1 (ko) 골프용 장갑
JP2009197364A (ja) スポーツ用手袋
KR200472300Y1 (ko) 작업용 장갑
KR200497449Y1 (ko) 골프장갑
JPH1088410A (ja) 手 袋
JPH0736693Y2 (ja) 手 袋
GB2311714A (en) Waterproof glove
KR200384452Y1 (ko) 검도용 장갑
JPH0718765U (ja) ゴルフ用の手袋
JP3072962U (ja) ウォータースポーツ用手袋
KR20220168322A (ko) 볼마크를 구비한 골프 장갑
JP3048832U (ja) 手 袋
KR100752518B1 (ko) 장갑
JPH09279408A (ja) 皮革製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