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700A -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700A
KR20040102700A KR1020030034264A KR20030034264A KR20040102700A KR 20040102700 A KR20040102700 A KR 20040102700A KR 1020030034264 A KR1020030034264 A KR 1020030034264A KR 20030034264 A KR20030034264 A KR 20030034264A KR 20040102700 A KR20040102700 A KR 2004010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hands
free
link system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준
박윤호
이하운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3003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700A/ko
Publication of KR2004010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용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은, 제1 통신 기기에서 발생하는 제1 신호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제2 신호를 제2 통신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나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착탈이 용이한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편리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A connection link system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hands-free by using the connection link system}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용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은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가전 제품 등을 상호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하고, 기기 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방법이다. 이것은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서 기기 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원거리의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기기 간 직접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에 통신 부하가 걸리지 않고 대기 시간이 없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소비자가 가정 내에서 일일이 통신 선로를 연결하고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와 같은 정보 기기와 전화 등의 통신 기기 간의 융합을 촉진시키게 된다.
더불어, 블루투스 모듈을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내장하고, 이 이동 통신 단말기와 헤드셋 장치 사이를 블루투스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자가 직접 들고 있지 않고서도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해서 각 전자/통신 기기 마다 블루투스 통신용 블루투스 모듈이 필수적으로 내장되어야 함으로써, 그 구현 비용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헤드셋 장치 간의 무선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원은 각각 내장되는 배터리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 이로 인해 블루투스 통신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수단은 차량 내에서는 그 통화 품질이 보장될 수 있지만 차량 외부나 사람 음성의 감쇄가 심한 장소, 예컨대 잡음이 심한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통화 품질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을 직접 내장하지 않고 다양한 통신/전자 기기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계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는 접속 장치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어 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용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 통화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으며, 휴대가 용이한 블루투스 헤드셋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이외의 지역에서는 차량내 거치대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분리하여 통신단말기에 블루투스 접속 링크 시스템을 연결함으로써, 단말기와 헤드셋 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간편한 전화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즈프리 모드 및 블루투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장착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충전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장착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링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제1 신호의 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복조 모듈 및 수신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b는 제1 신호의 변조 과정을 수행하는 변조 모듈 및 송신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변환 방식의 일실시예로서 직접 변환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링크 시스템의 장착 및 탈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을 장착하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제어부의 작동 모드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통신 기기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블루투스 헤드셋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접속 링크 시스템 210 : 신호 변환부
212 : 변조 모듈 214 : 복조 모듈
220 : 송신부 230 : 수신부
240 : 접속 인터페이스부 245 : 연결포트
250 : 제1 통신 기기 260 : 제2 통신 기기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은, 제1 통신 기기에서 발생하는 제1 신호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제2 신호를 제2 통신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제1항의 접속 링크 시스템이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스피커/마이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100)은 차량용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의 포트부(111)에 연결되며, 블루투스 헤드셋(130)과의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
접속 링크 시스템(100)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고 있으며, 저전력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블루투스 모듈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2.45GHz 밴드이며, 비교적 낮은 전력 소모량인 30uA로 약 10미터 반경 내에서 고감도의 통화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는 접속 링크 시스템(100)은 주로 차량 등에서 핸즈프리용으로 사용되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에 연결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와의 연결은 접속 링크 시스템(100)이 블루투스 통신용 포트부(111)에 장착됨으로써 연결되며,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에 사용되는 전원 일부를 접속 링크 시스템(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접속 링크 시스템(100)은 포트부(111)에서 분리되며, 예컨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리얼 포트에 직접 연결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접속 링크 시스템(100)은 핸즈프리 통신 기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공히 착탈이 용이하게 설계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 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서, 휴대폰,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직접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의 음성만으로 통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장치로서,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1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핸즈프리 통화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핸즈프리 통신 기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착 거치대(112), 장착 거치대(112)에 거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113), 핸즈프리 통화용 스피커/마이크(114), 및 각종 부속 장치(볼륨 조절키, 상태 램프 등 :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헤드셋(130)의 충전을 위한 충전 거치대(115)가 더 포함되어 블루투스 헤드셋(130)의 전원 방전 시, 충전 작업이나 보관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헤드셋(13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마이크가 내장된 통신 기기로서, 접속 링크 시스템(100)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 주로 사용자의 청각 기관에 마이크가 위치하도록 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100)이 장착되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는 기존의 핸즈프리 통화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여 고감도의 통화 환경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착탈이 용이하여 핸즈프리 통신 기기(110) 이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리얼 포트와 연결함으로써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접속 링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접속 링크 시스템(200)은 제1 통신 기기(250)에서 발생하는 제1 신호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210)와, 상기 제2 신호를 제2 통신 기기(260)로 송신하는 송신부(220)와, 제2 통신 기기(260)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30), 및 상기 제1 통신 기기(250)와 상기 제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통신 기기(2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고, 제2 통신 기기(260)는 블루투스 헤드셋일 수 있다.
우선, 신호 변환부(210)는 제1 통신 기기(25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 즉 전화 통화와 연관된 기저 대역(base-band)을 블루투스 통신용 신호로 변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변조 방식으로는, 전력 효율이 우수한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과, 스펙트럼 효율이 우수한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변조 방식은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는 접속 링크 시스템(200)과 블루투스 헤드셋(260) 간의 거리 정도나 소정의 영역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사용자의 범위(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GFSK는 낮은 전력으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지만 QPSK에 비해 높은 신호대 잡음비(SNR)가 요구되어 접속 링크 시스템(200)과 블루투스 헤드셋(260)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 반면,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접속 링크 시스템(200)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경우, 밴드 스펙트럼 효율이 높은 QPSK 변조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링크 시스템(200)과 블루투스 헤드셋(260) 간의 1대 1 블루투스 통신을 전제하여 GFSK로 변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GFSK로 변조된 제1 신호와,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변복조 처리는 신호 변환부(210)에 포함되는 변조 모듈(212) 및 복조 모듈(214)에서 담당한다. 이하,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220)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0) 및 신호 변환부(210)에서의 변복조 처리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제1 신호의 복조 과정을 수행하는 복조 모듈 및 수신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부(310)는 안테나(311)를 통해 제2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 선택 필터(Band select filter:312) 및 저잡음 증폭기(LNA:313)에 의해 수신 대역 내에서 노이즈를 최대 억제하여 증폭한다. 이미지 제거 필터(Image reject filter:314)에서는 이미지 주파수(image frequency)와 스퓨리어스(spurious) 주파수들을 제거한다.
복조 모듈(320)은 제2 통신 기기(26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제2 신호를 다운-컨버젼(down conversion)한다.
복조 모듈(320)은 하향 변환 혼합기(down mixer:321)에서 충분히 저잡음 증폭된 신호를 IF 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이때, PLL(Phase Locked Loop:323)을 포함하는 국부 발진기(322)는 하향 변환 혼합기(321)에 주파수 합성을 위한 LO주파수를 공급한다. 이후, 채널 선택 필터(Channel select filter:324)와 IF 증폭기(IF amplifier:325)를 거치며 채널 선택과 증폭하고, IF 하향 변환 혼합기(326)에서 캐리어 주파수를 제거하여 원래 신호가 담긴 주파수 대역인 기저 대역으로 변환한다.
도 3b는 제1 신호의 변조 과정을 수행하는 변조 모듈 및 송신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조 모듈(330)은 제1 신호를 업-컨버젼(up conversion)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제2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제2 통신 기기(260)로 송신한다. 변조 모듈(330)은 상술한 도 3a의 복조 모듈(320)의 블록도와 유사하고 단지 그 신호 처리 방향이 역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변조 모듈(330)은 PLL(331)을 포함하는 VCO(332)로부터 2.4㎓의 국부 발진 신호를 얻으며, 이 국부 발진 신호에 제1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업-컨버젼한다.
송신부(340)는 업-컨버젼된 제2 신호를 구동 증폭기(Drive amplifier:341)에서 큰 이득(gain)을 갖는 입력 신호로 증폭되고,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342)에서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로 전력 증폭하여 안테나(345)에 의해 공중으로 복사한다. 각 단 사이에는 대역 선택 필터(343)가 있어 스퓨리어스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안테나(345)를 통해 신호가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신호의 방향을 고정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34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출력방향으로는 신호가 흐르고, 역방향으로 들어온 신호는 종단(termination)시켜 역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조 모듈(320) 및 변조 모듈(340)의 변복조 처리에 있어,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거치지 않는 직접 변환(Direct Conversion), 즉 캐리어-기저 대역 간에 바로 변환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변환 방식의 일실시예로서 직접 변환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를 담는 기저 대역의 저주파 대역을 직접 주파수 변환하는 것으로, IF와 관련된 장치, 예컨대, 중간 주파수 오실레이터, 중간 주파수 혼합기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IF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블루투스 통신 기기의 소형화 및 원-칩화에 의한 가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로 다시 돌아와, 접속 인터페이스부(240)는 제1 통신 기기(250)와 연결되어 제1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제1 통신 기기(250)의 시리얼 포트와 접속되는 연결포트(245)를 내장한다. 통상적으로 제1 통신 기기(250)의 시리얼 포트는 24핀의 수포트로 제작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포트(245)는 암포트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1 통신 기기(250)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접속 링크 시스템(200)에 의해 제2 통신 기기(260)인 블루투스 헤드셋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 기기(250)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즈프리 키트 수단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접속 링크 시스템(200)을 연결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다.
접속 링크 시스템(200)이 접속된 핸즈프리 통신 기기는 통상적인 핸즈프리 통화를 지원하는 것과 별개로 접속 링크 시스템(200)과 제2 통신 기기(260)와의 블루투스 통신으로 블루투스 통신도 지원하게 된다.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200)은 핸즈프리 통신 기기의 시리얼 포트를 통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접속 링크 시스템의 장착 및 탈착 예를 상술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통신 기기가 이동 통신 단말기일 경우, 접속 링크 시스템의 탈착 및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시리얼 포트에 접속 링크 시스템(400)의 연결 포트가 연결되면서 장착된다(도 4b 참조). 이때의 접속 링크 시스템(4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공유하게 된다. 또한, 접속 링크 시스템(400)이 이동 통신 단말기 장착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셋(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행 중인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운전자의 손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한 통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4c 및 도 4d는 제1 통신 기기가 핸즈프리 킷트를 내장하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일 경우, 접속 링크 시스템(400)의 탈착 및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통신 기기는 통상적인 차량용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블루투스 통신용 포트부를 더 포함하는 형태이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도시하지 않음)에서 생성되는 통화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한다(도 4d 참조). 접속 링크 시스템(4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은 핸즈프리 통신 기기의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링크 시스템(400)을 장착한 상기 핸즈프리 통신 기기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의 특성상 핸즈프리 통화와 블루투스 통신을 모두 지원할 수 있으며, 이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을 장착하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5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접속 링크 시스템(510)이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515)와, 이동 통신 단말기(520)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525) 및 이동 통신 단말기(52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가공하는 핸즈프리 통신용 스피커/마이크부(530)를 포함한다.
더불어,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 인터페이스부(515)는 본 발명의 접속 링크 시스템(510)이 착탈되며 연결되는 접속 부분으로서 소정의 전원 공급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5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접속 링크 시스템(510)과 제1 인터페이스부(515)는 시리얼 포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525)는 이동 통신 단말기(520)가 거치되어 연결되는 접속 부분으로서, 상술의 제1 인터페이스부(515)와 동일하게 소정의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5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시킨다.
모드 선택부(540)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의 작동 모드, 즉 핸즈프리 모드 또는 블루투스 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즉,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에 접속 링크 시스템(510)과 이동 통신 단말기(5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핸즈프리 모드가 선택되면 스피커/마이크부(530)에 의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반면, 블루투스 모드가 선택되면 접속 링크 시스템(510)과 블루투스 헤드셋(550)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50)의 충전 및 보관에 있어, 상기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는 블루투스 헤드셋(550)을 충전시키기 위한 헤드셋 충전부(555)와, 상기 헤드셋 충전부(555)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550)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 감지부(560) 및 연결 감지부(56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동작 모드 제어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 충전부(555)는 블루투스 헤드셋(550)이 거치되는 장소로서, 사용자가 블루투스 통신을 하지 않을 때의 보관 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헤드셋(550)의 충전 포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의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 충전도 가능하게 된다.
연결 감지부(560)는 블루투스 헤드셋(555)의 충전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헤드셋 충전부(555)에 블루투스 헤드셋(550)이 거치되어 충전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570)에서 작동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제어부(570)는 모드 선택부(540)에 의한 동작되는 작동 모드를 소정의 조건에서 작동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장치이다. 동작 모드 제어부(570)에 의한 작동 모드 제어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제어부의 작동 모드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이동 단말 통신기(520)가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하여, 접속 링크 시스템(510) 만이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에 연결되었을 때는 모드 선택부(540)에 의해 선택된 작동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케이스 2). 만약, 블루투스 헤드셋(550)이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에 연결되면 접속 링크 시스템(510)의 연결과 무관하게 핸즈프리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케이스 1). 또한, 접속 링크 시스템(510)이 연결되지 않으면 핸즈프리 모드로 작동된다(케이스 3).
더불어, 블루투스 헤드셋(550)이 방전되거나 접속 링크 시스템(510)과의 블루투스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등의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가 블루투스 헤드셋(550)과의 통신이 단절되면, 동작 모드 제어부(570)는 핸즈프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의 작동 모드에 따라 스피커/마이크부(530) 또는 접속 링크 시스템(5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580)를 더 포함한다. 즉, 전원 제어부(580)는 핸즈프리 모드시에는 접속 링크 시스템(5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블루투스 모드시에는 스피커/마이크부(530)에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접속 링크 시스템(510)을 장착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500)는 작동 모드에 따른 핸즈프리 통화와 블루투스 통신을 모두 지원하게 된다.
도 7은 전원 제어부에 의한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즈프리 센스 회로(710) 회로에서 핸즈프리 모드로 작동할 것인지를 감지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핸즈프리 회로(720) 또는 접속 링크 시스템(700)으로의 전원을 온/오프한다. 만약, 핸즈프리 모드로 작동되면 간섭(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해 접속 링크 시스템(700)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다.
반면, 핸즈프리 모드가 아닌 블루투스 모드일 경우에는, 스피커/마이크부(530)로 인한 하울링 현상(howling)을 방지하기 위해 핸즈프리 회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블루투스 헤드셋(750)과 접속 링크 시스템(700)과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730)의 통화 내용을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의 제어는 각 케이스에 대한 제어 방법이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블루투스 코어 칩(7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핸즈프리 센스 회로(710)는 블루투스 헤드셋(750)이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연결되면 블루투스 코어 칩(740)의 입력 포트로 신호를 입력시키고, 전원 제어 신호가 스피커 컨트롤 포트로 출력되도록 하여 핸즈프리 통신 기기가 핸즈프리 모드로 작동하도록 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b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블루투스 헤드셋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즈프리 통신 기기(800)는 이동 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가 거치된 상태에서, 정면으로 접속 링크 시스템(810)이 연결된다. 또한, 각 장치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820)가 구비된다. 이때에 핸즈프리 통신 기기(80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핸즈프리 모드 또는 블루투스 모드로 작동한다.
도 8b에서는 헤드셋 거치대(830)로 블루투스 헤드셋(840)이 연결되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840)은 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800)는 핸즈프리 모드로 작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나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착탈이 용이한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편리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이가능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용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 통화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으며, 휴대가 용이한 블루투스 헤드셋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이외의 지역에서는 차량내 거치대에 접속되어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분리하여 통신단말기에 블루투스 접속 링크 시스템을 연결함으로써, 단말기와 헤드셋 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간편한 전화 통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즈프리 모드 및 블루투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장착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헤드셋을 충전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접속 링크 시스템을 장착한 핸즈프리 통신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접속 링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통신 기기에서 발생하는 제1 신호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상호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제2 신호를 제2 통신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제2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상기 제1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은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통신 기기의 시리얼 포트와의 접속을 위한 연결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기기는 핸즈프리 통신 기기이며,
    상기 연결 포트는 상기 핸즈프리 통신 기기에 포함된 소정의 접속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기기는 블루투스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6.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제1항의 접속 링크 시스템이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스피커/마이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모드는 핸즈프리 모드 또는 블루투스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충전시키기 위한 헤드셋 충전부;
    상기 헤드셋 충전부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 감지부; 및
    상기 연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동작 모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헤드셋 충전부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핸즈프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과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핸즈프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스피커/마이크부 또는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핸즈프리 모드시, 상기 접속 링크 시스템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드시, 상기 스피커/마이크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KR1020030034264A 2003-05-29 2003-05-29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KR20040102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264A KR20040102700A (ko) 2003-05-29 2003-05-29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264A KR20040102700A (ko) 2003-05-29 2003-05-29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700A true KR20040102700A (ko) 2004-12-08

Family

ID=3737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264A KR20040102700A (ko) 2003-05-29 2003-05-29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7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42B1 (ko) * 2006-10-04 2008-03-25 주식회사 카모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42B1 (ko) * 2006-10-04 2008-03-25 주식회사 카모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2870B2 (en)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multiple units
US5054115A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KR100247199B1 (ko) 이동통신전화기장치및통화방법
EP0683938B1 (en) Apparatus of frequency generation for use with digital cordless telephones
US5930729A (en) Range extension accessory apparatus for cellular mobile telephones
US7072675B1 (en) Wireles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le handset cordless telephone system
JPH0815267B2 (ja) 無線電話機
JPH07226807A (ja) 赤外線ポート付電池パックを備えた無線式送受話器
CN101170774A (zh) 具有对讲及手机功能的集成通讯装置
WO1994029968A1 (en) Pcmcia cellular card adaptable to a portable computer or a cellular phone handset
JPH1066156A (ja) モード対応型電話機
JPH09186620A (ja) 通信用機器および通信方法
US20080096484A1 (e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FM band communication links and related systems
KR20040102700A (ko) 블루투스 통신용 접속 링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핸즈프리용 통신 기기
EP1414221B1 (en) Battery supply for a headset system
EP0746131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6775317B1 (en) Method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of the same
JPH11155001A (ja) 携帯無線電話装置および機能付加装置
JP2944180B2 (ja) 無線電話装置
US6895260B2 (en) Hands-free handset for a cordless telephone
CN216122399U (zh) 一种插卡式直通无延时公网对讲机
KR20020046744A (ko) 차량용 무선 핸드프리 유니트
KR200176936Y1 (ko) 무선.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송수화기 장치
JP2780694B2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システム
JP3123552B2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