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754A -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754A
KR20040101754A KR1020030033470A KR20030033470A KR20040101754A KR 20040101754 A KR20040101754 A KR 20040101754A KR 1020030033470 A KR1020030033470 A KR 1020030033470A KR 20030033470 A KR20030033470 A KR 20030033470A KR 20040101754 A KR20040101754 A KR 20040101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ripo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1754A/ko
Publication of KR2004010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찰영시 떨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찰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삼각대에 고정설치 및 탈거가 가능한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부위에 형성한 카메라삼각대용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삼각대용 체결부는 나사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찰영시 떨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찰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삼각대에 고정설치 및 탈거가 가능한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방식으로 전화통화를 가능하게하는 통신기기이며, 최근에는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첨가되어 그 쓰임이 다양화되었다.
즉, 문자의 전송, 인터넷접속, 녹음 및 사진촬영과 동영상촬영 등의 다양한 기능이 첨부되었다.
상기한 기능중 특히 사진촬영 및 동영상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라 칭하며, 이와같은 일반적인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상적이 카메라 및 무비카메라와 같이 피사체의 정지사진 및 동영상을 찰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카메라 및 무비카메라는 일반적인 카메라삼각대의 카메라장착부에 고정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가 자체에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들고 찰영시 발생할 수 있는 떨림을 방지하여 피사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나, 상기 일반적이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한 일반적인 카메라삼각대의 카메라장착부에 고정 및 탈거할 수 있는 별도의 탈착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카메라삼각대를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히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부위에 카메라삼각대의 카메라장착부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는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를 형성하여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카메라삼각대에 거치하여 피사체를 찰영시 떨림이 없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부위에 형성한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는 카메라삼각대의 카메라장착부의 상단에 형성된 카메라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을 개폐하는 덮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통상적인 카메라삼각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카메라삼각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상부폴더
111 : 액정표시화면 120 : 하부폴더
121 : 키패드 130 : 힌지결합부
140 : 디지털카메라 141 : 렌즈
150 :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
151 : 너트홈 152 : 덮개
본발명의 구성 및 올바른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1, 2, 3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통상적인 카메라삼각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카메라삼각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본 발명인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폴더(110)와, 하부폴더(120), 상기 상부폴더(110)와 하부폴더(120)를 상호일정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결합부(130)와, 상기 힌지결합부(130)의 일단에는 소정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디지털카메라(140)와,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150)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150)는 상부폴더(110), 하부폴더(120)의 좌,우,상,하측면부 및 힌지결합부(130)의 일단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도 2 에 도시한 일반적인 카메라삼각대(200)의 카메라장착부(220)의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체결볼트(230)와 결합되도록 나사홈(151)의 형태로 형성하고, 더불어서 평상시 상기 나사홈(15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152)를 더 구비한다.
(참고사항)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150)의 구조는 상기한 나사홈(151)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카메라삼각대(200)의 카메라체결부(220)에 형성된 카메라고정장치의 형태에 따라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착탈하기 위하여 그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미설명 141은 렌즈이고, 111은 액정표시화면이고, 121은 입력조작부로써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된 키패드이고, 210은 카메라삼각대(200)의 다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메라삼각대(200)를 이용한 촬영시 우선 다리를 펼쳐서 카메라장착부(220)를 지면에서 일정높이에고정되게 하고, 그 상단에 있는 체결볼트(230)와 카메라체결장치(150)인 나사홈(151)을 체결하므로써, 본발명인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상기 카메라삼각대(200)에 고정결합한다.
이때, 상기 나사홈(151)의 덮개(152)를 먼저 개방하고 상기 체결볼트(230)에 나사홈(151)을 체결함은 자명하다 하겠다.
이후, 상부폴더(110)와 하부폴더(120)를 개방하며 또한 카메라(140)의 렌즈(141)를 피사체(미도시)에 맞춘 다음 작동부인 키패드(121)의 키버튼을 작동하여 카메라(140)로 피사체의 정지된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삼각대(200)에 고정지지된 상태로 떨림이 없이 피사체를 카메라(140)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40)에 찍히는 피사체의 영상은 액정표시화면(111)에 나타난다.
이상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카메라삼각대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시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원하는 장소 및 위치에서 피사체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부위에 형성한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삼각대용 체결장치는 카메라삼각대의 카메라장착부의 상단에 형성된 카메라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을 개폐하는 덮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30033470A 2003-05-26 2003-05-26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40101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470A KR20040101754A (ko) 2003-05-26 2003-05-26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470A KR20040101754A (ko) 2003-05-26 2003-05-26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754A true KR20040101754A (ko) 2004-12-03

Family

ID=3737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470A KR20040101754A (ko) 2003-05-26 2003-05-26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17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444B2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US7128297B2 (en) Imaging device having stand connection
US7742285B2 (en) Folding portable terminal
US20100048243A1 (en) Clamshell-type mobile phone with camera
US20070249389A1 (en) Cellular Phone Device
KR20040104777A (ko) 듀얼 카메라 장착 단말기
JP2008236489A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US7136685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4274777A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KR20040101754A (ko) 카메라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카메라일체형이동통신단말기
KR100690741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JP2007281621A (ja) 撮影装置
KR20070018514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착탈 장치
KR1010491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5724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3845374B2 (ja) 携帯電話装置
KR101034123B1 (ko) 광학줌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JP2605343B2 (ja) Tv電話装置
KR20050045320A (ko) 삼각대 마운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333141A (ja) 携帯電話装置
JP2011072019A (ja) 携帯電話機
KR100995035B1 (ko) 카메라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05016B1 (ko) 카메라용 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그네틱타입 체결장치
JP2004080343A (ja) 携帯電話装置
JP2004274096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