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404A -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404A
KR20040101404A KR10-2004-7015928A KR20047015928A KR20040101404A KR 20040101404 A KR20040101404 A KR 20040101404A KR 20047015928 A KR20047015928 A KR 20047015928A KR 20040101404 A KR20040101404 A KR 20040101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lectrical energy
transferring electrical
inductively transferring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그린
Original Assignee
웜프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웜프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웜프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10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7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mprising a passive stage to generate a rectified sinusoidal voltage and a controlled switching element in series between such stage and the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고정 1차 인덕턴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동적인 2차 인덕턴스를 가지는 가동 수용기(movable consumer)에 전력을 유도성 송전(inductive transmission)하기 위한 장치와 2차 인덕턴스의 하류에 적정 크기의 최초 직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정류기(rectifier)와 교환 안정기(switching regulator)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직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교환 안정기의 출력단(A, B)은 전체전압이 최초 직류 전압 UL인 용량성 분압기(C21, C22)로 구성되어 있고, 분지점(E)에서 추가 직류전압 UL2를 얻을 수 있다. 용량성 분압기(C21, C22)의 분지점(E)은 (+)극이 접속점(C)에 연결된 다이오드(D2)를 통하여 동일 분할율을 가지는 2차 인덕턴스(L11, L12)의 접속점(C)과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정되고 낮은 출력 전압을 매우 손쉽게 낮은 송전율을 가지는 직류 변환기로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the Inductive Transmission of Electric Power}
상기와 같은 장치는 어떤 기계적이거나 전기적인 접촉없이 전기 에너지를 가동 수용기(movable consumer)에 전이시키는데 유용하다. 그것은 변압기의 원리를 닮은 방식으로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1차와 2차 부분으로 구성된다. 1차 부분은 전자 공급 시스템(feed electronic system)과 일정 스트렛치(stretch)를 따라 구비된 전도성 루프(conductive loop)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용기들 및 관련된 수용기 전자 시스템(consumer electronic system)은 2차 부분을 구성한다. 변압기의 1차와 2차 부분들이 가능한 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데 반하여, 본 장치는 밀접하지 않게 연결된 시스템을 다룬다. 이것은 킬로헤르쯔(kiloHertz) 범위의 상대적으로 높은 작동 주파수(operating frequency)로 인해 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수 센티미터까지의 큰 공극(air gap)도 교락(橋絡)될 수 있다. 이로써 2차 측의 작동 주파수는 수용기 코일(consumer coil)에 콘덴서(capacitor)를 병렬연결하여 구성되는 병렬 발진회로(parallel oscillatory circuit)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로 조정된다.
마모가 없고 유지, 보수가 자유로우며 접촉에 관한 안전성과 즉각적인 이용성은 이런 종류의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장점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제조 기술상의 자동 물자운송 시스템에 응용되며, 또한 엘리베이터와 전기로 구동되는 버스와 같은 대인운송 시스템에도 응용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르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한다. 각 도면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용기 전자 시스템의 기본적인 회로도(circuit diagram)이다.
도 2는 2차 출력전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수용기 전자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변환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장치의 형태인 부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수용기 전자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수용기 측의 기초적인 회로도는 WO 92/17929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정류기(rectifier)(1)는 수용기 인덕턴스 L1과 발진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거기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 C1의 하류에 연결되어 있고, 조정기(regulator)(2)뿐만 아니라 인덕턴스 L2, 다이오드 D1, 콘덴서 C2, 전자스위치 S로 구성된 보편적인 종류의 교환 안정기(switching regulator)가 정류기에 접속되어 있다. 조정기(2)는 필수적 구성요소로서 전압기준(voltage reference)과 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며, 콘덴서 C2 양단의 전압이 최초 적정가를 초과할 때는 제어선(3)을 통해 전자스위치 S를 닫고, 최초 적정가의 약간 아래인 제2의 값 아래로 떨어질 때는 전자스위치 S를 열어 콘덴서 C2와 단자 A와 B에서 콘덴서 C2와 병렬로 접속된 부하(load)(4)에 대한 전압 UL이 거의 적정 목표가가 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부하(4)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이다.
많은 응용사례에서 보듯이, 제어 전자 시스템(control electronic system)은 전기구동 장치의 형태인 주 부하(main load)(4)와 별도로 전기를 공급 받아야만 하고, 그 곳에 필요한 전압수준은 주 부하에 필요한 전압수준과 상당히 다르다. 구동 장치에 전기공급을 위한 일반적인 전압 값은 약 560V인 반면에, 제어 전자 영역의 전압은 예를 들어 24V 정도로 한 단위(10%) 이상 작다. 2차의, 현격히 더 낮은 출력전압의 공급을 위한 가능한 방법은 단자 A와 B에 주 부하(4)와 병렬로 직류 변압기(DC transformer)를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언급된 560V에서 24V 정도로의 변환율을 위한 직류 변압기는 고가라서, 생산비용이 많이 든다.
청구항 1 전제부의 기초를 형성하는 DE 100 14 954 A1에 다른 방법이 제안된다. 부가의 2차 코일이 2차의 현격히 더 낮은 직류전압을 수득하기 위해 수용기 철심(consumer core)에 제공되며, 이 2차 코일은 2차 정류기에 연결된다. 비록, 이것이 상기의 명세서에 언급되진 않지만,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해 2차 조정기가 2차 정류기의 하류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며, 그 결과 낮은 전압수준에서의 수용기 전자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복제된다. 또한, 수용기 측에 부가의 2차 코일을 사용할 필요성은 수용기 측 구조의 설계 자유도를 제한한다.
음극선 관(cathode ray tube)의 양극(anode)을 위한 킬로볼트 범위의 고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 전압 발전기는 US 6,005,435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출력 전압을 고 플랭크 준도(high flank steepness)를 갖는 조정변수의 형태로 분할하기 위해 출력단에 필요한 RC 병렬요소는 각각의 두 RC 병렬요소를 직렬연결한 형태로구성된다. 이 결과로, 회로의 보다 조밀한 조립뿐만 아니라, 사용될 콘덴서의 전기강도(electric strength)에 대한 엄격성이 덜 하게 된다.
DE 38 32 442 A1은 견인차(towing car)를 이동시키는 전류 공급을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대형견인(heavy duty towing)과 전기접속 배선으로부터 끌어낸 교류전압은 정류되고, 저 전압 변환기로 인해 600V의 중간회로 직류전압(intermediate circuit DC voltage)으로 변환된다. 두 개의 동일한 교류전류 역 정류기와 그의 하류에 연결된 LC 여과기들로 인해, 이로부터 3x 380V의 사인모양 교류전압(sinusoidal alternating voltage)이 수득된다. 이로써 저 전압 변환기는 직렬로 서로 연결되며, 그 접속점들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동일한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통해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 두 직렬연결된 GTO 사이리스터(thyristor)로 구성된다. 이 저 전압 변환기를 위한 회로구성은 입력 전기강도를 두배로 하기에 알맞다.
상술한 종래기술을 바탕으로,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2차측의 수용기로 단지 약간의 유입을 가지는 상기 일반형의 장치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2차 출력전압을 사용가능하게 만드는 최대한 간단한 선로(route)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1에 개시된 특성을 가지는 장치로 해결된다. 종속항에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개량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잇점은 단지 약간의 부가적인 구성 요소만 필요하고, 추가적인 출력전압을 수득하기 위한 회로 위상의 큰 변화가 필요없다는 것이다. 수용기 자체로의 유입은 2차 코일의 한 분지점(tapping off point)에 한정되기 때문에최소화된다. 또한, 에너지 전이의 효율은 수용기 전자 시스템의 개조로 인하여 그다지 큰 손실은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콘덴서들의 직렬 회로로의 분할은 각 개별의 콘덴서에 대해 더 낮은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양의 부효과를 가지며, 이는 사용되는 콘덴서들의 전기강도에 대해 그다지 엄격함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외에 특별한 장점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어 전자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한 300V 이하의 입력전압을 가진 직류 변압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직류 변압기들은 주 공급전압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의 품목으로 많은 수가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값싸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동작시키는 변환기와 함께 하나의 단일구조물내에 특히 바람직하며 저가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였는 바, 장치를 구현시킴으로써, 이러한 결합의 개념은 일반형태의 통상적인 장치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A,B 양 단자 사이에 변하지 않는 크기, 예를 들어 560V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주 부하(4)를 위해 필요한 전압 UL의 거의 절반정도의 크기인 2차 출력 전압 UL2를 사용가능하게 함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수용기 인덕턴스 L1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인덕턴스 L11과 L12로 분할되며, 그 합은 인덕턴스 L1과 일치한다. 이 인덕턴스 L1의 분할은 코일이나 철심에 다른 영향을 주지 않고, 코일의 중간 분지점 C에 의해 분할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콘덴서 C1과 C2는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콘덴서 C11과 C12 또는 C21과 C22의 직렬연결로 분할되며, 공지된 바과 같이 부분 커패시턴스 각각은 전체 커패시턴스 값의 2배를 가져야만 한다. 콘덴서 C11과 C12의 접속점은 수용기 코일의 중간 분지점 C에 연결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인덕턴스 L11과 L12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고, 이들 두 접속점들은 공동 접합부(communal junction) C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정류기(1)에 연결된 외부연결이란 점에서 수용기 발진 회로의 특성에 관한 어떤 것도 바꾸지 않는다.
도 2에 개시된 수용기 발진회로의 하류에 연결된 4개의 다이오드들 D11에서 D14는 정류기(1)를 구성하며, 그것은 통상의 방법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이 회로부분에는 어떠한 변화도 야기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A와 B 양 단자 사이의 부하(4)에 대한 전압 UL을 끌어오고, 이 전압을 제어선(3)을 통한 스위치 S의 적절한 작동에 의해 적정값에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다이오드 D1, 전자스위치 S, 및 조정기(2) 또한 변하지 않는다. 회로도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조정기(2)는 도 2에 달리 도시하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가지며 부가요소의 형태로 연결된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레지스터 R21과 R22는 각 경우의 회로 내 콘덴서 C21과 C2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L11과 L12로 구성된 수용기 인덕턴스의 중간 분지점 C가 레지스터 R21과 R22뿐만 아니라 콘덴서 C21과 C22의 접속점 D에 다이오드 D2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오드의 연결은 전류가 C에서 D로만, 즉, 수용기 발진 회로로부터 출력단의 RC 요소로만 흐르도록 허용한다.
C21과 R21로 구성된 병렬회로 양단의 부분압 UL1과 거의 동일하며, 주 부하(4) 양단에 적용된 출력전압 UL의 절반 크기가 되는 C22와 R22로 구성된 병렬회로 양단의 부분압 UL2는 직류 변압기(5)의 입력단에 공급되어 거기로부터 출력전압 Us를 발생시킨다. 변압기(5)의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출력단자는 도 2에 E로 표시되어 있다. 지정된 전압의 예시 값은 UL1=UL2=280V, 및, Us=24V 이다.
무엇보다도, 회로의 기능은 초기의 출력 콘덴서 C2를 2개의 상호 직렬연결되고 동일한 용량을 갖는 콘덴서인 C21과 C22로 분할하여, 전체 출력전압 UL의 절반이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UL이외에 필요한 낮은 전압 Us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당하게 낮은 호칭 입력전압(nominal input voltage)이 걸리는 콘덴서 C21 또는 C22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직류 변압기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는데, 이는 이 결과로 인한 부하 비대칭(load asymmetry)이 상기 콘덴서 양단의 전압에 항복(breakdown)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병렬연결된 수용기 인덕턴스 L1과 동조 콘덴서(tuning capacitor) C1이 부분 인덕턴스 L11과 L12, 부분 콘덴서 C11과 C12로 적절하게 분할되고, 접합부 C에서 수득된 두 개의 부분 발진회로와 함께 연결되며, 접합부 C는 두 개의 출력 콘덴서의 연결 접합부 D에 연결되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경우에 제시된, 추가적인 직류/직류 변압기(5)로 인한 부분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콘덴서 C22 양단의 전압 항복현상은 이런 방법으로 회피할 수 있으나, C22 양단의 직류 전압을 위해 스위치 S를 닫게 되면 부분 인덕턴스 L12, 정류 다이오드 D13, 인덕턴스 L2와 스위치 S를 통한 경로의 단락(short circuit)이 발생한다. 추가적인 다이오드 D2의 역할은 이 단락경로를 통한 콘덴서 C22의 방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회로는 단독으로도 기능을 발휘한다. 다시 말해, A, B 양 단자사이에 적용되는 전압의 절반이 추가적으로 C22 양단에 걸리게 될 수 있고, 직류/직류 변압기(5)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어떤 이유에서든 주 부하(4)가 수용기 전자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면, 전압 UL2의 항상성(constancy)은 그 후 더 이상 보장되지 않고, 이 경우 단지 남아 있는 저항 부하가 C22에 병렬로 연결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조정기(2)는 전체 전압 UL=UL1+UL2를 유지한다.
주 부하(4)의 분리가 일어난 경우에도 안정한 부분전압 UL2를 보장받기 위하여, 두 개의 동일한 크기의 레지스터 R21과 R22가 콘덴서 C21과 C2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그 결과 A, B 양 단자사이의 저항 부하가 확실히 존재하게 된다. 이 부하는 계속적으로 비대칭적이며, 비대칭 정도는 주로 직류/직류 변압기(5)의 F와 G 단자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크기에 의존한다. 이것은 이 단자들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전력이 주 부하(4)의 접속없이 수용기 전자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특히 한정됨을 의미한다. 이미 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추가전압 Us는 주 부하(4)와 비교하여 단지 낮은 전력 요구량을 가지는 제어 전자 시스템을 동작하는 경우에만 필요하다. 추가 레지스터 R21과 R22는 10 내지 100 kΩ대의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비록 전술한 실시태양이 수용기 진동회로와 출력측의 RC 구성요소들의 대칭적인 분할을 제시하지만, 출력전압 UL의 절반 보다 크거나 작은 추가적인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비대칭적인 분할율을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여러 다른 추가전압이 필요한 경우에 두 전압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도 기본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이나 확장들은 상술한 각 실시태양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당업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이나 확장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
도 3은 3상 변환기(three phase converter) 7에 의해 작동되는 비동기식 전동기(nonsynchronous motor) 6의 형태의 주 부하(4)와 상기 기술한 수용기 전자 시스템과의 상호연결의 적절한 형태를 보여준다. 도 3에는 수용기 전자 시스템이, 수용기 인덕턴스 L11+L12, 직류 변압기(5), 주 부하(4)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모든 회로구성을 포함하는 블록 8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변환기(7)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6)를 가진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의 단자 A, B와의 연결을 위해 제시된 주 부하(4)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여기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은 제동과정(braking procedure)동안 발생하는 것과 같은 전동기(6)의 발전기 작동의 경우, 전력이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의 방향으로 변환기(7)를 통해 역으로 흐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용기 전자 시스템의 경우에는, 출력 콘덴서 C2 양단의 전압상승을 가져와, 수용기측으로부터의 출력전압 UL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조정기(2)를 통해 스위치 S를 닫도록 한다. 조정기(2)가 감당할 수 있는 한, 전압상승은 방해받지 않는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경우, 상술한 출력전압 UL=UL1+UL2의 증가는 직류 변압기(5)의 입력전압 UL2의 안정성을 파괴하므로, 전동기(6)의 발전 작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허용될 수 없다. 출력전압의 현저한 증가는 부분전압 UL2에 상응하는 현저한 증가를 가져와 직류 변압기(5)의 입력단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로 직렬로 연결된 두 콘덴서 C31과 C32로 구성된 추가적인 콘덴서의 병렬연결뿐만 아니라,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의 출력단자 A와 변환기(7) 사이의 추가적인 다이오드 D3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호연결이 변환기(7)의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동 모드에서의 전동기(6)의 작동으로 인한 변환기(7)의 입력단에서의 전압증가는 콘덴서 C31과 C32의 충전을 가져오게 하고,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의 출력단으로 역전류가 흘러 출력측의 콘덴서 C21과 C22를 충전하면서 전압을 상승시키는 역전류의 생성은 다이오드 D3에 의해 방지된다. 콘덴서 C31과 C32는 변환기(7)로부터 역으로 흐르는 에너지를 수용하는데 필요한데, 거기에서 두 개의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들로의 커패시턴스의 분할은 필수적이진 않으나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 낮은 전기 강도의 콘덴서를 가지는 것이 유용하다.
특히, 수용기 전자 시스템(8), 변환기(7), 및 이들 사이에 연결된 구성요소들, 즉, 도 3에서의 다이오드 D3와 콘덴서 C31과 C32가 모두 하나의 구조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면 유용할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적어도 하나의 공유된 하우징(housing)에 수용됨을 의미하는데, 또한, 그들은 하나의 공유된 기판위에 편리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간, 중량, 및 구성요소들이 절약되고, 수용기 전자 시스템(8)과 변환기(7)이 각각 분리된 유닛으로 각자의 하우징을 갖고 전선이나 플러그로 서로가 연결되어야만 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훨씬 소형이고 저가인 해결책으로 제공된다.
이것은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이 2차 출력전압의 발생을 허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통상적인 수용기 전자 시스템과 구동장치(6)의 작동을 위한변환기(7)과 조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하나의 공유된 구조요소를 제공하는 전술한 시스템 요소들의 조합은 분리된 구조유닛 형태의 실시태양과 비교하여 항상 공간, 중량 및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출력 전압을 가지는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의 경우에는, 역전류가 흐를 때, 변환기(7)로부터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을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가요소 D3, C31, 및 C32가 저렴하게 공유구조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는 특별한 이점이 발생한다.

Claims (14)

  1. 위치 고정 1차 인덕턴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동적인 2차 인덕턴스를 가지는 가동 수용기(movable consumer)에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inductive transfer)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ⅰ) 적정 크기의 최초 직류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정류기(rectifier)와 교환 안정기(switching regulator)가 상기 2차 인덕턴스의 하류에 연결되어 있고;
    (ⅱ)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직류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추가 직류 전압 UL2를 발생시키기 위한 교환 안정기의 출력단(outlet)(A, B)이 용량성 분압기(capacitive voltage divider)(C21, C22)의 형태로 구성되며; 및,
    (ⅲ) 상기 출력단의 전체 전압은 최초 직류 전압 UL이고, 상기 분압기(C21, C22)의 분지점(E)은 다이오드 D2를 통해, 다이오드의 (+)극으로 접속된 동일 분할율(subdivision ratio)의 상기 2차 인덕턴스(L11, L12)의 분지점(C)에 연결되어, 추가 직류 전압 UL2가 분지점(E)에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두 콘덴서(C11, C12)가 직렬로 연결된 형태인 용량성 분압기는 상기2차 인덕턴스(L11, L1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콘덴서의 분할율은 상기 2차 인덕턴스(L11, L12)의 분지점(C)에서의 분할율과 일치하며, 두 콘덴서의 접속점은 상기 분지점(C)에 연결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분압기는 두 개의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C21, C22)를 포 함하고, 상기 콘덴서의 접속점은 분지점(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분압기는 또한, 상기 콘덴서(C21, C22)의 값처럼 서로 동일한 비율의 값을 가지는 두 개의 직렬로 연결된 레지스터(R21, R22)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콘덴서(C21, C22)의 접속점(E)과 상기 두 개의 레지스터(R21, R22)의 접속점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R21, R22)는 큰 저항값을 가져 그 내부에서 변환되는 전력은 출력단(A, B)에서 방출될 수 있는 호칭 출력(nominal power)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직류 전압 UL2는 출력단(A, B)의 전체 전압 UL의 절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전압 UL은 상기 출력단(A, B)에서 500 내지 600V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분압기(C21, C22)는 분지점(E)에서 직류 변압기(5)와 접 속되며, 상기 직류 변압기는 추가 직류 전압 UL2를 거의 한 단위 크기 (10%) 정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변압기(5)는 20 내지 30V대의 출력 전압(Us)을 가짐을 특 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인덕턴스(L11, L12)에 연결된 수용기 전자 시스템 (consumer electronics system)의 출력단(A, B)에 접속된 부하(4)는 전기 구동 장치(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절한 변환기(converter)(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7)는 다이오드(D3)를 통해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의 출력 단(A, B)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극이 수용기 전자 시스템 (8)의 출력 단자(A)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용량성 분압기(C31, C32)는 상기 변환기(7)의 입력단과 병렬로 연결됨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7)는 수용기 전자 시스템과 결합하여 하나의 구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7)와 상기 수용기 전자 시스템(8)은 공유 회로 기판에 같 이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04-7015928A 2002-04-06 2003-02-05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KR20040101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15236A DE10215236C1 (de) 2002-04-06 2002-04-06 Vor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DE10215236.5 2002-04-06
PCT/EP2003/001099 WO2003085797A2 (de) 2002-04-06 2003-02-05 Vor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404A true KR20040101404A (ko) 2004-12-02

Family

ID=2805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928A KR20040101404A (ko) 2002-04-06 2003-02-05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495525A2 (ko)
JP (1) JP2005522974A (ko)
KR (1) KR20040101404A (ko)
CN (1) CN1647339A (ko)
AU (1) AU2003205734A1 (ko)
CA (1) CA2481442A1 (ko)
DE (1) DE10215236C1 (ko)
MX (1) MXPA04009241A (ko)
WO (1) WO20030857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6394B4 (de) * 2006-11-07 2008-08-07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Induktiver Drehübertrager
DE102007024528A1 (de) * 2007-05-24 2008-11-27 Voith Patent Gmbh Energieerzeugungsanlage, angetrieben durch eine Wind- oder Wasserströmung
DE102013004179A1 (de) * 2013-03-12 2014-09-18 Paul Vahle Gmbh & Co. Kg Erhöhung der Phasenlagentoleranz von magnetischen Kreisen bei der berührungslosen Energieübertragung
DE102014002876A1 (de) * 2014-03-05 2015-09-10 Supa Wireless Gmbh Anordnung für eine induktive Energieübertragung
US10348130B2 (en) 2016-07-27 2019-07-09 Nxp B.V. Power harvesting for RFID/NFC-applications
AU2018424953B2 (en) 2018-05-25 2021-07-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588522B1 (ko) * 2018-10-26 2023-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2442C3 (de) * 1988-02-29 1994-04-14 Duscholux Gmbh Lüftungsanordnung
US5701121A (en) * 1988-04-11 1997-12-23 Uniscan Ltd. Transducer and interrogator device
US5293308A (en) * 1991-03-26 1994-03-08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distribution system
JPH10201226A (ja) * 1996-12-30 1998-07-31 Murata Mfg Co Ltd 高電圧発生回路
DE19856937A1 (de) * 1998-12-10 2000-06-21 Juergen Meins Anordnung zur berührungsfreien induktiven Übertragung von Energie
EP1014531B1 (de) * 1998-12-23 2010-03-10 Hans Turck Gmbh & Co. KG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für explosionsgeschützte elektronische Funktionseinheiten
DE10014954A1 (de) * 2000-03-22 2001-10-04 Lju Industrieelektronik Gmbh Elektrohängebahn mit berührungsloser Energieübertragung
DE10048040A1 (de) * 2000-09-29 2002-04-11 Abb Research Ltd Schwingkreis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aus einem Magnetf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22974A (ja) 2005-07-28
AU2003205734A1 (en) 2003-10-20
DE10215236C1 (de) 2003-10-16
EP1495525A2 (de) 2005-01-12
CN1647339A (zh) 2005-07-27
WO2003085797A3 (de) 2004-02-05
CA2481442A1 (en) 2003-10-16
MXPA04009241A (es) 2005-01-25
WO2003085797A2 (de) 200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8887A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particularly fluorescent lamp high-frequency operating system with low inductance power network circuit
EP1226994B1 (en) Medium frequency energy supply for rail vehicles
RU2562814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энергообеспечения для при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8130524B2 (en) Bi-directional DC to DC power converter having a neutral terminal
US3986097A (en) Bilateral direct current converters
US20030202367A1 (en) Power converter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ors with dynamically variable power output
KR100345589B1 (ko) 회로장치
US835123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plural resonant converters and variable frequency
KR20080068829A (ko) 전기 머신용 여기 장치
CN111697847B (zh) Weissach整流器组件
WO1995010930A1 (en) Integrated electronic energy converter
US8559194B2 (en) Converter circuit and unit and system comprising such converter circuit
US6697268B2 (en) Dc-Dc power supply
KR100578210B1 (ko) 아크 응용 기기 전원 장치
US20090097291A1 (en) Universal power supply for a laptop
US9888553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sumers
KR20040101404A (ko) 전기 에너지를 유도전이시키기 위한 장치
KR100635680B1 (ko) 역률 보정 회로
KR100391396B1 (ko) 전력 절감용 트랜스포머
US5721675A (en) Power supply converting circuit
FI100502B (fi) Piirijärjestely
US20050083019A1 (en) Device for the inductive transfer of electrical energy
US4386396A (en) Self-commutated inverter
KR20210037610A (ko) 중간 회로 밸런싱을 위한 회로 조립체
CN206332661U (zh) 一种隔离式射频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