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609A -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609A
KR20040100609A KR1020030033025A KR20030033025A KR20040100609A KR 20040100609 A KR20040100609 A KR 20040100609A KR 1020030033025 A KR1020030033025 A KR 1020030033025A KR 20030033025 A KR20030033025 A KR 20030033025A KR 20040100609 A KR20040100609 A KR 2004010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leaning
screen
collector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0609A/ko
Publication of KR2004010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반으로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제어하도록 구성시켜 DCS(Distribution Control System) 룸(Room)에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및 모니터링(Monitoring)하도록 한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전소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세정 설비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 후에 해당 시스템을 기동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의 수동 운전 설정을 확인하여 자동 밸브류의 구동 입력을 감지해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순환용 장치를 구동시켜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세정 볼 수집 입력을 감지하여 볼 수집기의 스크린을 닫아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한 후에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역세정 입력을 감지하여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상승했는지를 확인하여 역세정을 수행하여 해당 스크린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동작하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CRT 그래픽으로 설계하여 누구나 쉽게 동작 가능하다.

Description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denser Tube Cleaning System in the Power Plant}
본 발명은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Condenser Tube Cleaning System; CTCS)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제어반으로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제어하도록 구성시켜 DCS(Distribution Control System) 룸(Room)에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및 모니터링(Monitoring)하도록 한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정 설비는 화력, 복합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에 꼭 필요한 설비로서, 제어 방식으로는 CR(Conventional Relay) 형태(Type)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형태가 있다.
일반적인 발전소에서는 상기 두 형태를 혼용하고 있으며, 현재 PLC 형태로 주로 구성되어지고 있다. 보통 4개의 세정 설비와 4개의 DPMS(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system)가 각각의 제어 패널(Control Panel)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었으며, 현장 관리자가 세정 장치를 관리 감독해야 한다. 이것은 종래의 화력 발전소 및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시스템 로직 다이아그램(System Logic Diagram) 및 개략도(Schematic Diagram)를 모든 화력 및 원자력 프로젝트(Project)에 적용하였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각각의 제어 패널이 4대의 세정 설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며 현장 관리자가 현장에서 감시 및 동작을 하였으므로, 현장 작업 시에 동시에 동작이 불가능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발전소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다수 개의 제어반을 하나의 제어반으로 구성시켜 DCS 룸에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도록 한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에 있어서 하나의 제어반으로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제어하도록 구성시켜 DCS 룸에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도록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동작하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CRT 그래픽으로 설계하여 누구나 쉽게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세정 볼 20 : 스트레이너
30 : 볼 순환용 장치) 21 : 스트레이너 하우징
22 : D2형 스크린 23 : 점검구
24 : 스크린 엑추에이터 25 : 다이어프램 밸브
31 : 볼 순환 펌프 32 : 볼 수집기
33 : 볼 밸브 34 : 볼 순환용 배관
36 : 볼 순환 감지기(Ball Recirculation Monitor)
341 : 볼 스크린(22) 342 : 볼 주입 노즐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은 발전소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세정 설비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 후에 해당 시스템을 기동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의 수동 운전 설정을 확인하여 자동 밸브류의 구동 입력을 감지해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순환용 장치를 구동시켜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세정 볼 수집 입력을 감지하여 볼 수집기의 스크린을 닫아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한 후에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역세정 입력을 감지하여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상승했는지를 확인하여 역세정을 수행하여 해당 스크린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 기동 과정은,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주입 노즐에서부터 볼 추출구에 이르기까지 존재 가능한 각종 사점과 이물질을 보완 및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세정 설비의 스트레이너 스크린 및 볼 수집기용 엑추에이터의 토크 스위치 및 차압 측정기의 기준 차압 설정값이 적정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각종 밸브류의 위치, 전선의 연결 유무 및 펌프의 윤활유가 적당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스위치의 수동 상태 온을 감지하여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볼 순환 펌프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와;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역세정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해당 스크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작동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냉각수에서 상기 세정 볼을 추출하여 추출구로 보내는 단계와; 볼 수집 스크린이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볼 수집 스크린의 위치에 따라 작동, 수집 및 비작동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기능은 상기 세정 볼이 출구측 노즐을 빠져나가 냉각수와 함께 순환하도록 하며, 상기 수집 기능은 상기 볼 수집 스크린이 출구측 노즐을 막아서 냉각수가 스크린을 빠져 나가 계속 흐르고 상기 세정 볼이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수집기 안에 수집되도록 하며, 상기 비작동 기능은 상기 세정 볼을 충분히 수집하였으면 해당 볼 수집기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를 닫고 해당 볼 수집기를 배기 및 배수시키고 엑추에이터 레버를 오른쪽으로 젖힌 후에 뚜껑을 열어 상기 세정 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 볼 순환 과정은,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수집기의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볼 밸브를 닫은 후, 해당 볼 수집기의 배수 및 배기 밸브를 열어 내부의 물을 배수시킨 다음에 배수 밸브를 닫는 단계와; 상기 볼 수집기의 뚜껑을 열고 상기 세정 볼을 집어넣고 해당 뚜껑을 닫은 후에, 상기 볼 수집기의 출구측 볼 밸브를 열어 상기 볼 수집기 내부로 물을 유입시켜 줌과 동시에 공기를 상기 배기 밸브를 통해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배기 밸브를 닫은 후에 작동 명령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볼 순환 펌프를 기동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볼 수집기의 입구측 볼 밸브를 열어 주는 단계와;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볼 수집기의 스크린을 열어 상기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은 발전소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세정 설비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 후에 해당 시스템을 기동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가 기본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볼 수집기 입구측 볼 밸브를제외한 모든 밸브를 열어 해당 볼 수집기를 작동 준비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시스템의 자동 운전 설정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선택 스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순환용 장치를 구동시켜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세정 볼 수집 입력을 감지하여 볼 수집기 스크린을 닫아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한 후에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은 상기 세정 볼 순환 과정 수행 중에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상승했는지를 확인하여 역세정을 수행하여 해당 스크린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 과정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소정의 시간 동안 상승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볼 수집기 스크린을 닫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세정 볼을 상기 볼 수집기 내부에 두고 볼 순환 펌프를 구동하고 상기 볼 수집기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열어 역세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이 깨끗이 세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스크린을 닫고 볼 수집기 스크린을 개방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압력 차가 임계 기준 압력 차이 값 또는 그 이상을 초과했는지를 확인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 수행 과정은, 트러블 경고등을 온시켜 주고 상기 스크린을 개방시켜 주고 상기 볼 순환 펌프를 오프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에서의 과부하 문제점이 해결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시스템을 기본 위치로 조정한 후에, 상기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시스템은 세정 볼을 복수기 튜브로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순환시켜 줌으로써, 복수기 튜브 내면에서 생기기 쉬운 이물질이나 물때를 닦아 주어서 튜브 내에서의 각종 부식/침식/생물적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며, 이로써 튜브의 열전달률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발전소 효율 향상에 기여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기 수실(Water Box)에 탄성을 가진 세정 볼(예로, 스폰지 볼)을 투입시켜 줌으로써, 해당 세정 볼들이 수실에서 골고루 분산되어 각각의 튜브 내로 흘러 들어감으로써 튜브 내면을 세정하게 된다. 이렇게튜브를 통과한 세정 볼은 출구에 위치한 스트레이너 스크린(Strainer Screen)에 의해 냉각수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볼 재순환 펌프(Ball Re-circulation Pump) 및 볼 제어기(Ball Collector)와 볼 재순환 라인(Ball Re-circulation Line)을 통과하여 볼 주입 노즐(Ball Injection Nozzle)을 통해 수실 입구로 재 주입됨으로써, 연속적인 튜브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은 제어반(Control Panel)에 의해 제어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세정 볼(10)과, 스트레이너(20)와, 볼 순환용 장치(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 볼(10)은 복수기 관 내부를 통과하여 복수기 관에서의 이물질 및 점 부식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관 내경보다 약간 크고 탄성이 있고 비중이 냉각수와 비슷해서 냉각수에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정 볼(10)의 경도 및 크기는 관의 내경, 관에서의 압력 강하, 상기 스트레이너(20)에서의 유속 등에 의하여 선정되어진다.
상기 스트레이너(20)는 고무 라이닝된 스트레이너 하우징(21)과, D2형 스크린(22)과, 점검구(23)와, 스크린 엑추에이터(24)와, 다이어프램 밸브(25)를 구비하며, 상기 볼 순환용 장치(30)에 의해서 순환된 상기 세정 볼(10)을 냉각수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운용 위치를 작동(Operation)과 역세정(Backwash)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해당 작동 위치에서는 냉각수에서 상기 세정 볼(10)을 추출하여 추출구(Extraction Nozzle)로 보내며, 해당 역세정 위치에서는 스크린(22)에 쌓인 이물질을 씻어내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때상기 세정 볼(10)은 순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볼 순환용 장치(30)는 냉각수가 흐르는 복수기 수실에 상기 세정 볼(10)을 투입시켜 해당 수실에서 골고루 분산되어 각각의 튜브 내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여 튜브 내면을 세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볼 순환용 장치(30)는 볼 순환 펌프(31)와, 볼 수집기(32)와, 볼 밸브(33)와, 볼 순환용 배관(34)과, 차압 측정기(35)(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볼 순환 감지기(36)와, 제어반(37)(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 순환 펌프(31)는 상기 스트레이너(20)에서 분리된 세정 볼(10)을 상기 볼 순환용 배관(34)의 볼 주입 노즐(Ball Injection Nozzle)(342)까지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볼 순환 펌프(31)의 임펠러(Impeller)는 통과하는 세정 볼(10)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구현되어진다.
상기 볼 수집기(32)는 상기 세정 볼(10)의 수집, 재투입 등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품이다. 여기서, 상기 세정 볼(10)의 순환은 확인경(Sightglass)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배기 밸브를 통해서 상기 볼 수집기(32)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배수 밸브를 통해서 필요한 만큼 물을 배수해 준다. 또한, 상기 볼 수집기(32)의 상하에 뚜껑이 있어 이를 통해 볼을 투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볼 수집기(32)는 볼 수집 스크린(Ball Catching Screen)의 위치에 따라 작동, 수집(Catching) 및 비작동의 세 가지로 그 기능을 구분하는데,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세정 볼(10)이 출구측 노즐을 빠져나가 냉각수와 함께 순환하며,수집 위치에서는 볼 수집 스크린이 출구측 노즐을 막아서 냉각수가 스크린을 빠져 나가 계속 흐르고 상기 세정 볼(10)이 상기 볼 수집기(32) 안에 수집되며, 비작동(Out of Service) 위치에서는 상기 세정 볼(10)을 충분히 수집하였으면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33)를 닫고 상기 볼 수집기(32)를 배기 및 배수시키고 엑추에이터 레버를 오른쪽으로 젖힌 후에 뚜껑을 열어 상기 세정 볼(10)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볼 밸브(33)는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세정 볼(10)이 순환되고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볼 수집기(32)에서의 세정 볼(10)의 교환, 충전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반드시 상기 볼 밸브들(33)을 닫은 후에 상기 볼 수집기(32)를 배기 및 배수시키고 이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볼 순환용 배관(34)은 상기 세정 볼(10)이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추출구(Extraction Nozzle)를 빠져 나와 볼 주입 노즐(342)까지 이동하는 관이며, 상기 스트레이너(20), 상기 볼 순환 펌프(31), 상기 볼 수집기(32) 및 볼 주입 노즐(342) 사이를 연결시켜 준다. 또한, 상기 볼 순환용 배관(34)은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 및 출구측의 볼 밸브(33) 이외에도 볼 주입 노즐(342) 앞과 스트레이너(20)의 추출구 쪽에도 밸브(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밸브(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볼 순환 펌프(31)와 볼 수집기(32)를 고립시켜 보수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볼 순환용 배관(34)은 볼 분배기(Distributor)(341)와, 볼 주입노즐(342)을 구비한다. 상기 볼 분배기(341)는 상기 스트레이너(20)에 있는 두 개의 볼 추출구를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시키며, 하나의 볼 주입 라인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볼 주입 노즐(342)로 분할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확인경을 통하여 순환하고 있는 세정 볼(10)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 주입 노즐(342)은 상기 세정 볼(10)이 흐르는 냉각수 속에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차압 측정기(35)는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스크린(22)에 쌓이는 이물질에 의한 차압을 감지하는데, 상기 스트레이너(20)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플러싱되고 PLC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어반(37)에 표시등이 켜져 조작자가 LCD 모니터상의 플러쉬 온 버튼으로 플러싱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소정의 시간(약 3~5분) 열어두면 차압은 '0'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볼 순환 감지기(36)는 라이트 배리어(Light Barrier)와 프로세서(Processor)로 구성된다. 해당 라이트 배리어는 연결부(Connection Piece)와 그 속에 장착된 이미터(Emitter)와 리시버(Receiver)로 구성되며, 상기 볼 순환 배관(34)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세정 볼(10)이 통과하도록 해 준다. 해당 이미터는 강한 적외선을 해당 리시버에 방사하여 직경 6(mm)이상의 물체를 상기 세정 볼(10)로 간주하게 되며, 혼탁한 냉각수가 흐르더라도 측정이 가능하다. 전송선(Transmission Line)이 해당 라이트 배리어와 해당 프로세서를 연결하며, 해당 프로세서는 순환하고 있는 세정 볼(10)의 실제 수량이 해당 프로세서에 설정한 수량(예를 들어, 집어넣은 볼 수량의 70(%) 정도)보다 적을 경우에 경적을 울린다.
상기 제어반(37)은 모든 세정 설비의 작동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1대의 제어반(37)으로 4대의 세정 설비를 제어하고 다시 이를 DCS로 신호를 송출하여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의 관리 및 감독을 DCS 룸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동작 모드를 수동인 부쉬 버튼(Push Button) 방식에서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성하여 현장 작업 시에 동작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를 실제 운전하기에 앞서서, 제어반(37)에서는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점검하여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S1), 수실(Water Box)을 점검하여 사점(Dead Spot)이 있는지, 그물망이 벗겨진 배수구가 있는지, 튜브 입구나 각종 구멍(예를 들어, 배수구 등)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았는지 등과 같이 볼 주입 노즐(342)에서부터 볼 추출구에 이르기까지 존재 가능한 각종 사점과 이물질을 보완 및 제거하도록 한다. 여기서, 해당 사점이라고 하는 곳은 세정 볼(10)이 유실될 수 있거나, 순환되지 못하고 계속 맴돌게 되는 수실의 일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스트레이너(20)의 스크린(22) 및 볼 수집기용 엑추에이터(24)의 토크 스위치 및 차압 측정기(35)의 기준 차압 설정값이 적정한지를 확인하며, 각종 밸브류가 위치한 곳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반(37)과 기기에 연결된 전선에 단락된부분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며, 펌프 등의 윤활유가 적당한지를 확인한다.
이에, 상기 제1단계(S1)에서 시스템 점검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반(37)에서는 시스템을 기동시켜 주는데(단계 S2), 이때 시스템 내부에는 냉각수가 흐르고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어반(37)의 스위치를 수동 상태(Manual Mode)로 위치시켜 주는데, 상기 제어반(37)의 각종 LCD 모니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를 이용해서 볼 순환 펌프(31)를 온하면, 해당 볼 순환 펌프(31)는 상기 제어반(37)의 제어 신호에 따라 기동하게 되며, 해당 LCD 모니터의 펌프 하단의 적색등을 온시켜 실제로 해당 볼 순환 펌프(31)가 작동하는지를 확인해 준다.
그리고, 상기 LCD 모니터를 이용해서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역세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스트레이너(20)는 스크린(22)에 쌓인 이물질을 씻어내어 주며, 이때 상기 세정 볼(10)은 순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37)에서는 상기 LCD 모니터의 녹색등을 온시켜 실제로 스크린(22)이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해 준다.
그런 후, 상기 LCD 모니터를 이용해서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작동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스트레이너(20)는 냉각수에서 상기 세정 볼(10)을 추출하여 추출구로 보낸다. 또한, 상기 제어반(37)에서는 상기 LCD 모니터의 적색등을 온시켜 실제로 스크린(22)이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해 준다.
그리고, 상기 LCD 모니터를 이용해서 볼 수집 스크린이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상기 제어반(37)에서는 수집 위치에 와 있을 때에 표시등을 녹색으로 온시켜 주며, 작동 위치에 와 있을 때에 표시등을 적색으로 온시켜 준다.
이에, 볼 순환용 장치(30)의 볼 수집기(32)에서는 볼 수집 스크린의 위치에 따라 작동, 수집 및 비작동의 세 가지로 그 기능을 수행하는데, 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세정 볼(10)이 출구측 노즐을 빠져나가 냉각수와 함께 순환하도록 해 주며, 수집 위치에서는 볼 수집 스크린이 출구측 노즐을 막아서 냉각수가 스크린을 빠져 나가 계속 흐르고 상기 세정 볼(10)이 상기 볼 수집기(32) 안에 수집되도록 해 주며, 비작동 위치에서는 상기 세정 볼(10)을 충분히 수집하였으면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33)를 닫고 상기 볼 수집기(32)를 배기 및 배수시키고 엑추에이터 레버를 오른쪽으로 젖힌 후에 뚜껑을 열어 상기 세정 볼(10)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단계(S2)의 시스템 기동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반(37)에서는 시스템을 운전하게 되는데, 이때 수동 운전 또는 자동 운전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
첫 번째로, 수동 운전(Manual Operati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모든 작동을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를 이용해서 수행하도록 하는데, 물론 볼 수집기(32)의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볼 밸브(33) 등과 같은 자동 밸브류는 상기 제어반(37)의 버튼으로 조작하며, 해당 LCD 모니터 우측 상단의 선택 스위치를 수동 상태(Manual Mode)에 위치시키고 볼 수집 스크린을 수집 위치에 두고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작동 위치에 두도록 한다.
이에, 상기 세정 볼(10)의 순환이 이루어지는데(단계 S4), 우선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33)를 상기 LCD 모니터를 이용해서 닫은 후,상기 볼 수집기(32)의 배수 및 배기 밸브를 열어, 내부의 물이 약 3/4 정도만 남아 있도록 하고 배수시킨 다음에 배수 밸브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볼 수집기(32)의 뚜껑을 열고 상기 세정 볼(10)을 집어넣는데, 이때 상기 세정 볼(10)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빠져 나가도록 물 속에 넣고 눌러 주어야 한다.
그런 후, 상기 볼 수집기(32)의 뚜껑을 다시 닫은 후, 상기 볼 수집기(32)의 출구측 볼 밸브(33)를 열어, 상기 볼 수집기(32) 내부로 물이 흘러 들어오도록 하며, 공기가 상기 볼 수집기(32)의 배기 밸브를 통해서 빠져 나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볼 수집기(32)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빠지고 물이 가득 차 넘치면 상기 배기 밸브를 닫도록 하며,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이 작동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적색 표시등이 온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이 작동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볼 순환용 장치(30)의 볼 순환 펌프(31)를 기동시켜 주며, 적색 표시등을 온시켜 실제로 해당 볼 순환 펌프(31)가 작동하는지를 확인해 준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측 볼 밸브(33)를 즉시 열어 주며,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약 30분) 후에 상기 볼 수집기(32)의 스크린을 열어서 볼을 순환시켜 주게 된다.
상기 제4단계(S4)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한 후에, 해당 순환된 세정 볼(10)을 수집하는데(단계 S5), 우선 상기 볼 수집기(32)의 스크린을 닫는다. 즉, 수집 위치로 두게 되며, 이때 표시등을 녹색으로 온시켜 준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약 30분)이 경과한 뒤에, 상기 세정 볼(10)이 충분히 회수되었으면,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측 볼 밸브(33)를 닫음과 동시에, 상기 볼 순환 펌프(31)를 즉시 정지시켜 주며,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준다.
그런 후, 상기 볼 수집기(32)의 출구측 볼 밸브(33)를 닫으며, 배기 및 배수 밸브를 천천히 열어 줌으로써, 상기 볼 수집기(32) 내부의 공기와 물을 빼낸다.
그리고, 상기 볼 수집기(32)의 뚜껑을 열고 필요한 대로 세정 볼(10)을 빼내거나 검사하며,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역세정 위치에 두고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준다.
이에, 역세정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단계 S6), 세정 설비가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스크린(22)에서의 압력 차가 스크린(22)이 깨끗한 상태에서의 압력보다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예로, 25(mbar))만큼 더 올라 가게 되면, 해당 스크린(22)은 반드시 역세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동 상태에서는 해당 스크린(20) 상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역세정을 실시해야 하며, 물론 역세정을 실시하기에 앞서서 반드시 순환하고 있는 볼은 미리 회수해야 한다.
우선, 상기 볼 수집기 스크린을 수집 위치에 두게 되면, 상기 제어반(37)에서는 표시등을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경시켜 주며, 이에 상기 세정 볼(10)은 상기 볼 수집기(32)의 스크린에 모이게 되고 냉각수는 그냥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 볼(10)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약 30분 정도) 동안 회수하며, LCD 모니터를 눌러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역세정 위치에 두고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역세정되는 동안에, 상기 볼 순환 펌프(31)는 켜진 채로 그냥 있게 놔 두며, 상기 볼 수집기(32)내에는 상기 세정 볼(10)이 그냥 남아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이 역세정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차압을 차압 측정기(35)를 통해서 판독해 보면, 역세정하기 전보다 차압이 상당히 많이 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예로, 10분 정도) 기다린 후에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작동 위치에 두도록 하며, 이때 표시등을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시켜 준다.
그런 후, 상기 차압 측정기(35)를 다시 점검해 보면, 정상 유량 상태에서 스크린이 깨끗한 상태에서의 값(예로, 약 16(mbar))이 출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볼 수집기 스크린을 열어 작동 위치에 두며, 경고등을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시켜 줌으로써, 시스템은 다시 순환 상태로 돌아가 상기 제4단계(S4)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두 번째로, 자동 운전(Automatic Operati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우선 시스템을 자동 작동 상태로 설정하기 이전에 세정 설비가 기본 위치(Basic Position)에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하는데(단계 S7),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은 역세정 위치로 녹색등이 온된 상태이며, 상기 볼 수집기 스크린은 수집 위치로 녹색등이 온된 상태이며, 상기 볼 수집기 입구측 볼 밸브(33)는 닫힌 상태로 녹색등이 온된 상태이며, 상기 볼 수집기 출구측 볼 밸브(33)는 닫힌 상태로 녹색등이 온된상태이며, 상기 볼 순환 펌프(31)는 꺼진 상태로 녹색등이 온된 상태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수동 운전에서 상기 제4단계(S4)의 세정 볼 순환 동작과 같이, 상기 세정 볼(10)을 필요한 만큼 추가한 후에, 상기 볼 수집기(32)의 배기 밸브를 열어 공기를 빼내며, 상기 볼 수집기(32)가 확실하게 밀봉되었는지를 확인한 후에 상기 볼 수집기(32) 입구측 볼 밸브(33)를 제외한 모든 밸브를 열어 줌으로써, 상기 볼 수집기(32)는 작동 준비 상태가 된다(단계 S8).
이에,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 선택 스위치를 자동 상태(Auto Mode)에 두며, 이때 상기 제어반(37) 전면의 각종 LCD 모니터를 수동으로 조작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37) 전면의 볼 순환 온 모니터를 누르면, 적색 표시등을 온시켜 시스템이 볼 순환 상태로 움직이기 시작했음을 나타내며, 상기 세정 볼(10)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S9).
그러면, 스트레이너 스크린이 작동 위치로 움직이기 시작하며, 이에 적색 표시등을 온시켜 주고 스크린이 작동 위치로 가고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때, 역세정을 표시하는 녹색 표시등은 온된 상태로 가만히 있다가 스크린이 완전히 작동 위치에 가게 되면, 녹색등은 오프되고 적색등이 온된 상태로 가만히 있게 된다.
그런 다음에,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측 및 출구측 볼 밸브(33)를 열어 줌과 동시에, 상기 볼 순환 펌프(31)를 구동시켜 주고 기동(Start) 상태를 표시하는 적색등을 온시켜 준다. 이때, 상기 볼 순환 펌프(31)가 일단 완전히 작동되면, 그 동안 온 상태로 있던 정지(Stop) 상태를 표시하는 녹색등을 오프시켜 주고 적색등을 계속 온 상태로 둔다.
그리고, 상기 세정 볼(10)을 뒤섞는 소정의 시간(예로, 약 30분)이 경과되면, 볼 수집기 스크린을 개방시켜 상기 세정 볼(10)을 순환시켜 주게 된다. 이때,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적색 표시등을 온시켜 볼 수집기 스크린이 작동 위치로 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일단 완전히 작동 위치에 가게 되면 온 상태로 있던 수집 상태를 표시하는 녹색등을 오프시키고 적색등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만약, 프로그램에 입력된 할당 시간 내에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에 결함이 생기게 되면, 상기 제어반(37)의 플러쉬 타임 초과(Flush Time Exceeded)의 노란색 표시등을 온시켜 주는데, 해당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은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 우측 상단의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멈출 수 있으며, 이때 수동 상태로 전환한 후에 해당 결함을 수정하도록 해 준다.
그런 후, 상기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을 오프시키며, 타이머는 다시 프로그램에 입력된 시간대로 시간을 세어 나가면서 시스템의 오류 상태를 다시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모든 결함이 수정되었으면 자동 상태로 환원하기 전에 수동 상태에서 구성품을 기본 위치로 조정해 준 후에, 자동 상태로 환원하여 상기 제9단계(S9)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상기 제9단계(S9)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의 볼 수집 온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를 확인하여(단계 S10) 해당 순환된 세정 볼(10)을 수집하는데(단계 S11), 해당 볼 수집 온 버튼의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점멸하여 시스템이 상기 세정 볼(10)의 수집 상태로 진행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그리고, LCD 모니터에 있는 볼 수집기 스크린의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점멸하여 볼 수집기 스크린이 수집 위치로 진행하고 있음을 가리키며, 일단 수집 위치에 이르게 되면 온 상태로 있던 작동 표시등을 오프시키고 해당 녹색 표시등을 온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그런 후, 기설정된 볼 수집 시간(예로, 약 30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볼 순환 펌프(31)의 정지 표시등을 온시켜 점멸하여 상기 볼 순환 펌프(31)가 꺼지고 있음을 알려 준다. 이렇게 하여 상기 볼 순환 펌프(31)가 완전히 멈추면, 온 상태로 있던 기동 표시등을 오프시키고 해당 정지 표시등을 온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역세정 표시등을 온시켜 점멸하여 스크린이 역세정 위치로 가고 있다는 것을 알리며, 스크린이 완전히 역세정 위치에 이르게 되면 온 상태로 있던 작동 표시등을 오프시키고 해당 역세정 표시등을 계속 온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이에, 시스템의 상태는 볼의 수집 또는 비작동 위치이며, 모든 표시등은 녹색으로 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때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33)를 닫도록 하며, 배기 및 배수 밸브를 열어 상기 볼 수집기(32) 내의 공기 및 물을 배기 및 배수시킨 후에, 뚜껑을 열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프로그램에 입력된 할당 시간 내에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즉, 제11단계(S11))에서 시스템에 결함이 생기게 되면, 상기 제어반(37)의 플러쉬 타임 초과(Flush Time Exceeded)의 노란색 표시등을 온시켜 주는데, 해당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은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 우측 상단의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멈출 수 있으며, 이때 수동 상태로 전환한 후에 해당 결함을 수정하도록 해 준다.
그런 후, 상기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을 오프시키며, 타이머는 다시 프로그램에 입력된 시간대로 시간을 세어 나가면서 시스템의 오류 상태를 다시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모든 결함이 수정되었으면 자동 상태로 환원하기 전에 수동 상태에서 구성품을 기본 위치로 조정해 준 후에, 자동 상태로 환원하여 상기 제11단계(S11)의 세정 볼 수집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다르게는, 세정 설비가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스트레이너(20)의 스크린(22)에서의 압력 차가 스크린(22)이 깨끗한 상태에서의 압력보다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예로, 25(mbar))만큼 더 올라 가게 되면, 이를 확인하여(단계 S12) 역세정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단계 S13), 이때 스크린에서의 순간적인 과부하에 의한 압력차 상승 때문에 스크린이 역세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시간(예로, 약 2분간) 유지 후에 압력차가 계속 유지되어야 역세정을 시작하도록 해 준다.
우선,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의 볼 수집 온 표시등을 온시켜 점멸하며, 볼 수집기 스크린을 닫아 수집 상태로 되고 이에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준 후에, 소정의 시간(예로, 약 30분) 동안 수집 상태를 지속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세정 볼(10)을 상기 볼 수집기(32) 내부에 두며,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열어 역세정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때 녹색 표시등을 온시켜 준다. 역세정하는 동안에 상기 볼 순환 펌프(31)는 온 상태이고 상기 볼 수집기(32)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33)는 열려진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후, 소정의 시간(예로, 약 10분)이 경과한 후에, 스크린을 작동 위치로 움직이고 적색등을 온시켜 주며, 스크린이 깨끗이 세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때 스크린에 여전히 이물질이 많이 남아 있다면 다시 상기 세정 볼(10)을 상기 볼 수집기(32) 내부에 두는 동작부터 되풀이한다.
반면에, 스크린이 깨끗이 세정되었다면, 시스템은 스크린을 닫고 이와 동시에 볼 수집기 스크린을 개방시켜 주는데, 이때 상기 세정 볼(10)은 충분히 젖어 있고 잘 섞여 있기 때문에 볼 에지테이터 타이머(Ball Agitator Timer)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볼 수집 온 표시등을 오프시키고 상기 볼 순환 온 표시등을 온시켜 주는데, 이렇게 하여 이제부터 시스템은 볼 순환 상태로 되돌아가 상기 제9단계(S9)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프로그램에 입력된 할당 시간 내에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즉, 역세정 동작)에서 시스템에 결함이 생기게 되면, 상기 제어반(37)의 플러쉬 타임 초과(Flush Time Exceeded)의 노란색 표시등을 온시켜 주는데, 해당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은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 우측 상단의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멈출 수 있으며, 이때 수동 상태로 전환한 후에 해당 결함을 수정하도록 해 준다.
그런 후, 상기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을 오프시키며, 타이머는 다시 프로그램에 입력된 시간대로 시간을 세어 나가면서 시스템의 오류 상태를 다시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모든 결함이 수정되었으면 자동 상태로 환원하기 전에 수동 상태에서 구성품을 기본 위치로 조정해 준 후에, 자동 상태로 환원하여 상기제9단계(S9)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스크린에 이물질이 급격하게 몰려 차압이 깨끗한 상태보다 임계 기준 압력 차이 값(예를 들어, 약 44 mbar) 또는 그 이상을 초과했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역세정 동작을 수행할 만한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으므로,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차압이 임계 기준 압력 차이 값에 이르렀어도 바로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예로, 약 4분) 동안 대기한 후에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을 시작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역시 순간적인 압력 상승으로 인한 잘못된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트러블(Trouble) 경고등을 온시켜 주는데, 해당 경고등을 오프시키려면 리셋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에, 스크린을 개방시켜 주고 상기 볼 순환 펌프(31)를 오프시키며, 표시등을 녹색으로 변경시켜 준다.
그리고, 차압이 이미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예로, 25(mbar))을 넘어 섰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역세정 동작이 이미 진행 중에 있는데, 즉 상기 트러블 경고등을 온시키기 전에 상기 볼 수집기 스크린은 이미 닫혀져 있을 것이고 일부 세정 볼(10)은 수집되어져 있을 것이다.
이에, 수집 표시등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며, 스크린에서의 과부하 문제점이 해결되었으면 시스템을 기본 위치로 조정한 후에, 볼 순환 상태로 되돌아가 상기 제9단계(S9)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과부하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이 작동 위치로 돌아갔다면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러블 경고등을 온시켜 주는 동작부터 다시 반복하게 된다.
만약, 프로그램에 입력된 할당 시간 내에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즉,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에서 시스템에 결함이 생기게 되면, 상기 제어반(37)의 플러쉬 타임 초과(Flush Time Exceeded)의 노란색 표시등을 온시켜 주는데, 해당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은 상기 제어반(37)의 LCD 모니터 우측 상단의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멈출 수 있으며, 이때 수동 상태로 전환한 후에 해당 결함을 수정하도록 해 준다.
그런 후, 상기 플러쉬 타임 초과 표시등을 오프시키며, 타이머는 다시 프로그램에 입력된 시간대로 시간을 세어 나가면서 시스템의 오류 상태를 다시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모든 결함이 수정되었으면 자동 상태로 환원하기 전에 수동 상태에서 구성품을 기본 위치로 조정해 준 후에, 자동 상태로 환원하여 상기 제9단계(S9)의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발전소에 있어서 하나의 제어반으로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제어하도록 구성시켜 DCS 룸에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하도록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동작하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세정 설비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CRT 그래픽으로 설계하여 누구나 쉽게 동작 가능하다.

Claims (9)

  1. 발전소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세정 설비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 후에 해당 시스템을 기동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시스템의 수동 운전 설정을 확인하여 자동 밸브류의 구동 입력을 감지해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순환용 장치를 구동시켜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세정 볼 수집 입력을 감지하여 볼 수집기의 스크린을 닫아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한 후에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역세정 입력을 감지하여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상승했는지를 확인하여 역세정을 수행하여 해당 스크린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기동 과정은,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주입 노즐에서부터 볼 추출구에 이르기까지 존재 가능한 각종 사점과 이물질을 보완 및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세정 설비의 스트레이너 스크린 및 볼 수집기용 엑추에이터의 토크 스위치 및 차압 측정기의 기준 차압 설정값이 적정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각종 밸브류의 위치, 전선의 연결 유무 및 펌프의 윤활유가 적당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스위치의 수동 상태 온을 감지하여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볼 순환 펌프를 구동시켜 주는 단계와;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역세정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해당 스크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작동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냉각수에서 상기 세정 볼을 추출하여 추출구로 보내는 단계와;
    볼 수집 스크린이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볼 수집 스크린의 위치에 따라 작동, 수집 및 비작동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능은 상기 세정 볼이 출구측 노즐을 빠져나가 냉각수와 함께 순환하도록 하며, 상기 수집 기능은 상기 볼 수집 스크린이 출구측 노즐을 막아서 냉각수가 스크린을 빠져 나가 계속 흐르고 상기 세정 볼이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수집기 안에 수집되도록 하며, 상기 비작동 기능은 상기 세정 볼을 충분히 수집하였으면 해당 볼 수집기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를 닫고 해당 볼 수집기를 배기 및 배수시키고 엑추에이터 레버를 오른쪽으로 젖힌 후에 뚜껑을 열어 상기 세정 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볼 순환 과정은,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수집기의 입구 및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볼 밸브를 닫은 후, 해당 볼 수집기의 배수 및 배기 밸브를 열어 내부의 물을 배수시킨 다음에 배수 밸브를 닫는 단계와;
    상기 볼 수집기의 뚜껑을 열고 상기 세정 볼을 집어넣고 해당 뚜껑을 닫은 후에, 상기 볼 수집기의 출구측 볼 밸브를 열어 상기 볼 수집기 내부로 물을 유입시켜 줌과 동시에 공기를 상기 배기 밸브를 통해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배기 밸브를 닫은 후에 작동 명령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볼 순환 펌프를 기동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볼 수집기의 입구측 볼 밸브를 열어 주는 단계와;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볼 수집기의 스크린을 열어 상기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5. 발전소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세정 설비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후에 해당 시스템을 기동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가 기본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한 후에, 볼 수집기 입구측 볼 밸브를 제외한 모든 밸브를 열어 해당 볼 수집기를 작동 준비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시스템의 자동 운전 설정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선택 스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세정 설비의 볼 순환용 장치를 구동시켜 세정 볼을 순환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세정 설비의 세정 볼 수집 입력을 감지하여 볼 수집기 스크린을 닫아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한 후에 상기 볼 순환용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볼 순환 과정 수행 중에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상승했는지를 확인하여 역세정을 수행하여 해당 스크린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과정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압력 차가 소정 기준 압력 차이 값만큼 소정의 시간 동안 상승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볼 수집기 스크린을 닫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세정 볼을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세정 볼을 상기 볼 수집기 내부에 두고 볼 순환 펌프를 구동하고 상기 볼 수집기의 입구 및 출구측 볼 밸브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을 열어 역세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이 깨끗이 세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스크린을 닫고 볼 수집기 스크린을 개방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에서의 압력 차가 임계 기준 압력 차이 값 또는 그 이상을 초과했는지를 확인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과부하 처리 동작 수행 과정은,
    트러블 경고등을 온시켜 주고 상기 스크린을 개방시켜 주고 상기 볼 순환 펌프를 오프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에서의 과부하 문제점이 해결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시스템을 기본 위치로 조정한 후에, 상기 세정 볼 순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KR1020030033025A 2003-05-23 2003-05-23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KR20040100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25A KR20040100609A (ko) 2003-05-23 2003-05-23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25A KR20040100609A (ko) 2003-05-23 2003-05-23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09A true KR20040100609A (ko) 2004-12-02

Family

ID=3737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025A KR20040100609A (ko) 2003-05-23 2003-05-23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06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07322A1 (en) A washing device comprising a microfiber filter assembly
RU2391526C1 (ru) Продувочный спускной клапан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промы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етек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омывочного цикла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промывочного цикла
CN113384942A (zh) 一种过滤器免拆卸自动快速冲洗装置及冲洗方法
KR20040100609A (ko) 발전소에서 세정 설비 제어 방법
US20120067826A1 (en) Filtration system
KR100768080B1 (ko) 스크린 브러쉬를 구비한 필터 장치
CN210269055U (zh) 一种脉冲除尘器滤袋破损检测装置
DE202008006811U1 (de) Automatisches Freiblassystem für Rauchansaugsysteme im Brandschutz
CN2892278Y (zh) 全数字控制的磁性渣水分离器
CN109745761B (zh) 一种排水装置及其控制方法
JP3332683B2 (ja) 軸受オイルフラッシング装置
WO2004071681A1 (en) A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leaning process and a method of checking cleanliness
KR20000029711A (ko) 미립자오염물질의평가방법
KR10116416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KR101164161B1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KR101647646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CN104900377A (zh) 一种对变压器冷却器自动控制冲洗的装置
KR102666861B1 (ko) 폐수 자동 채수 장치 및 방법
CN217721835U (zh) 一种带除渣装置的自动反冲洗系统
CN113550384B (zh) 一种高压水路系统、环卫车
CN212453793U (zh) 新型智能厨房
JPH03105101A (ja) 蒸気発生装置
CN211896083U (zh) 一种caf自动水过滤器
EP3611580B1 (de) Steuervorrichtung für automatikfilter
JP4011721B2 (ja) 製氷機の異常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