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007A -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007A
KR20040100007A KR1020030032201A KR20030032201A KR20040100007A KR 20040100007 A KR20040100007 A KR 20040100007A KR 1020030032201 A KR1020030032201 A KR 1020030032201A KR 20030032201 A KR20030032201 A KR 20030032201A KR 20040100007 A KR20040100007 A KR 2004010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nitor
cube
seam
optic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선
Original Assignee
윤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선 filed Critical 윤정선
Priority to KR102003003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0007A/ko
Publication of KR2004010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멀티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는 모니터 또는 스크린 사이의 이음매 부분으로 인하여 전체화면에 격자무늬의 이음매가 발생하여 시청자들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다중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조합으로 큰 화면을 표현하는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이음매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수와 동일한 수의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 패널을 상기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큐브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 상의 화상을 확대함으로써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을 한다.

Description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A joint decrease method to occurred in a multi-screen and multi-cube system}
본 발명은, 광학적인 방법을 통해 다중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조합으로 구성된 대형 화면인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격자 무늬의 이음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대의 모니터를 벽돌처럼 쌓아서 대형 화면 표시를 하는 멀티스크린 제품이 많이 개발되었다. 도 1과 같이 초기의 CRT 브라운관을 이용한 멀티 비전을 거쳐, 박스안에 투과형 스크린과 프로젝터를 설치해서 이음매를 3mm내외로 줄인 멀티큐브 제품과 LCD모니터를 이용해 만든 제품, DLP를 이용한 멀티큐브 등의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모니터와 모니터사이의 프레임으로 인하여 완벽하게 이음매없는(seamless) 제품은 없으며, 대형화면에 나타나는 격자무늬(Mullion 이라고도함)로 인하여 눈에 거슬리는 큰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멀티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의 모니터 또는 스크린 사이의 이음매부분으로 인하여 전체화면에 격자무늬의 이음매가 발생하여 시청자들에게 불편한 느낌이나 화면이 깨끗하지 못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은 다수의 모니터 또는 스크린을 조합하여 대형의 멀티화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러한 모니터 또는 스크린을 완전하게 밀착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 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멀티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의 모니터 또는 스크린 사이의 이음매부분으로 인하여 전체화면에서 발생하는 격자무늬의 이음매 부분을 감소시켜 시청자로 하여금 불편한 느낌없는 깨끗한 화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중 모니터 또는 스크린 등을 이용한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수와 동일한 수의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 패널을 상기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큐브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 상의 화상을 확대함으로써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이음매가 있는 기존에 사용되는 멀티스크린 및 멀티 큐브 예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3은 프레넬 렌즈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패널을 이용하기 전과 후의 이음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학 패널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음매가 있는 기존에 사용되는 멀티스크린 및 멀티 큐브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확대 투명부의 하나의 예로서 사용되는 프레넬 렌즈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패널을 이용하기 전과 후의 이음매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학 패널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의 핵심은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수와 동일한 수의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 패널을 상기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큐브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 상의 화상을 확대함으로써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때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중심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광학 패널상의 각각의 확대 투영부의 초점이 일치해야 확대된 화면이 생략된 부분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멀티 스크린의 이음매를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리는 멀티 스크린의 전면부에 스크린 수와 동일한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패널을 설치해서 멀티 스크린의 순수 화면을 각 모니터별로 확대 투영하게 하면 확대된 화면 중 이음매 부분은 투영면 바깥으로 자연스럽게 없어지고 이음매 없는 순수 화면만이 투영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면 도 2의 윗부분에 나타난 멀티 스크린 전면에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패널을 설치하면, 도 2의 하단 왼쪽에 도시된 확대 투영전의 멀티 스크린 중의 하나의 스크린 화상은 광학패널 상의 임의의 확대 투영부를 통한 후 도 2의 하단 오른쪽과 같은 이음매가 없는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광학 패널은 멀티 스크린의 모니터를 확대 투영하는 개별적인 확대 투영부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광학 패널에 사용되는 확대 투명부의 한 예로 도 3과 같은 프레넬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상단의 화상은 광학패널 통과전의 멀티스크린의 화상이고, 도 4의 중앙 사진은 본 발명의 광학 패널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작된 도4의 상단화상에 나타난 멀티스크린에 대응되는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패널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하단의 사진은 상단의 화상이 중앙의 광학패널을 통고하여 나타난 화상으로서 상단 화상의 이음매가 상당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멀티 스크린 전면에 설치되는 광학패널은 설치시 멀티스크린과의 거리를 조절해서 이음매가 사라지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거리를 설정하는 방법은 실제 설치시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이음매가 사라지는 위치는 찾으면 되는데 크게 어려움 없이 찾을 수 있다.
광학 패널과 멀티스크린 사이의 거리의 설정에 대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멀티 스크린의 각 모니터의 실재 화면의 가로크기를 W1, 세로크기를 H1로 표시하고, 확대 투영부의 가로크기를 W2, 세로크기를 H2로 표시하며, 멀티스크린 상의 모니터 사이의 이음매의 가로 갭을 Gw, 세로 갭을 Gh로 표시하고, 확대 투영부의 초점 길이를 F 나타내면 멀티 스크린과 광학 패널의 거리 D는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멀티스크린 상의 이음매는 일정(Gw1 = Gw2 = ..., Gh1 = Gh2 =...)하다고 가정한다.
W2 = W1 + Gw (수학식 1)
H2 = H1 + Gh (수학식 2)
D = max( (1-W1/W2)*F, (1-H1/H2)*F ) (수학식 3)
상기 수식에서 max( )는 괄호내의 변수 중 큰 값을 의미한다. 상기 멀티 스크린과 광학 패널간의 거리 공식은 멀티스크린 상의 모니터 사이의 이음매의 가로 갭 Gw과 세로 갭 Gh가 다를 경우 이음매를 모두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가로 갭 Gw과 세로 갭 Gh가 다를 경우 상기와 같이 설정한 후 멀티스크린 설정에서 각 모니터별로 표시화면크기를 다시 맞추어 광학패널에 의한 확대시 화면이 잘려지는 것이 없게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다중 모니터 또는 스크린 등을 이용한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멀티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의 모니터 또는 스크린 사이의 이음매부분으로 인하여 전체화면에서 발생하는 격자무늬의 이음매 부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시청자로 하여금 불편한 느낌없는 깨끗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다중 모니터 또는 스크린 등을 이용한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수와 동일한 수의 확대 투영부를 갖는 광학 패널을 상기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큐브의 전면부에 설치하여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 상의 화상을 확대함으로써 이음매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투영부는 프레넬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또는 스크린의 중심과 이에 대응하는상기 광학 패널상의 각각의 확대 투영부의 초점이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KR1020030032201A 2003-05-21 2003-05-21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KR2004010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01A KR20040100007A (ko) 2003-05-21 2003-05-21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01A KR20040100007A (ko) 2003-05-21 2003-05-21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07A true KR20040100007A (ko) 2004-12-02

Family

ID=3737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201A KR20040100007A (ko) 2003-05-21 2003-05-21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00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7981B2 (en) 2013-05-15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three-dimensional (3D) image in a tiled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7981B2 (en) 2013-05-15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three-dimensional (3D) image in a tiled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7330A1 (en) 2d/3d projection system
KR100741251B1 (ko) 분할 투사 영상시스템
JP2009152897A (ja)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KR20120057916A (ko) 입체 변환 확대 투사 광학계
JP2010175907A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5488624B2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JP2009081645A (ja) 映像表示装置
JP2012048066A (ja) 映像表示装置
KR20040100007A (ko) 멀티 스크린 또는 멀티 큐브에서 발생하는 이음매 감소 방법
US5959701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KR100545055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대화면영상디스플레이 장치
CN104469223A (zh) 一种投影装置以及投影画面的拼接方法
KR101022474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973594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100364666B1 (ko) 박형 프로젝션 시스템
JPH0353288A (ja) マルチ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
KR200142927Y1 (ko) 배면투사형 프로젝터 광학계
JPS62191817A (ja) 画像投影方法及び装置
KR20000042138A (ko) 입체화상 표시장치
JPH06284363A (ja)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2005148553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769203B2 (ja) 複数画面合成方法
JP3474358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2072355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0470082A (ja) 背面投写形プロジェ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