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921A -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 Google Patents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921A
KR20040099921A KR1020030032059A KR20030032059A KR20040099921A KR 20040099921 A KR20040099921 A KR 20040099921A KR 1020030032059 A KR1020030032059 A KR 1020030032059A KR 20030032059 A KR20030032059 A KR 20030032059A KR 20040099921 A KR20040099921 A KR 20040099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orts
optical
channel
circ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황성택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921A/ko
Priority to US10/717,055 priority patent/US20040234266A1/en
Priority to JP2004148810A priority patent/JP2004350279A/ja
Publication of KR2004009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은,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고, 제1 및 제3 포트는 외부 광섬유와 연결되며, 제1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2 포트로 출력하고, 제2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3 포트로 출력하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와, 각각 역다중화된 해당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광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포트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며, 제2 포트에 입력된 채널은 제3 포트로 출력하고, 제1 포트에 입력된 채널은 제2 포트로 출력하는 제2 써큘레이터와, 제1 내지 제4 포트를 구비하고, 제1 포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의 제3 포트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의 제1 포트와 연결되고, 패스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1 포트는 제3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드롭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1 포트는 제4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고, 애드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2 포트는 제3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광 스위치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애드/드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RECONFIGURABLE ADD/DROP MODULE}
본 발명은 파장분할다중 광전송 시스템(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DM optical transmiss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광전송 시스템 내에서 진행하는 다중화된 광신호에 대하여 채널 애드 또는 드롭(channel add/drop)를 수행하기 위한 애드/드롭 모듈(add/drop module)에 관한 것이다.
메트로(metro) WDM 광전송 시스템은 각 노드(node)에서 광신호의 애드/드롭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유연한(flexible)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기존 광섬유 인프라(infra)의 비용 효율(cost-effecive)을 높일 수 있는 양방향 광전송 시스템에도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한 가닥 광섬유 양방향 링 네트워크(single-fiber bidirectional ring network)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광전송 시스템의 구조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애드/드롭 모듈이다.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애드/드롭 모듈이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1 개의 광 다중화/역다중화기(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를 이용한 반사 형태의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은 써큘레이터(circulator: CIR), 광 스위치(optical switch: SW), 광섬유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로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하, 종래에 따른 써큘레이터는 각각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는데, 상기 써큘레이터의 참조 번호가 "###"인 경우에 그 포트는 "m"으로 도시함과 더불어 "###m"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애드/드롭 모듈(100)은 제1 써큘레이터(120)와,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와, 제1 내지 제 n 애드/드롭부(140,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제1 내지 제3 포트(1201~1203)를 구비하고, 제1 및 제3 포트(1201,1203)는 외부 광섬유(11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상기 외부 광섬유(110)를 통해 제1 포트(1201)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2 포트(1202)로 출력하고, 제2 포트(1202)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3 포트(120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파장 무의존성 소자로서,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는 그 일측에 하나의 다중화 포트(multiplexing port: MP, 131)와 그 타측에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demultiplexing port: DP, 132,133)를 구비하며,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는 다중화 포트(131)에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파장별로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132,133)로 출력하고,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132,133)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131)로 출력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의 다중화 포트(131)는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2 포트(1202)와 연결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의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들(132,133)은 상기 제1 내지 제n 애드/드롭부(140,150)와 일대일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n 애드/드롭부(140,150)는 각각 1×2 광 스위치(141,151)와, 광섬유 격자(142,152)와, 써큘레이터(143,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 애드/드롭부(140,150)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1 애드/드롭부(1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애드/드롭부(140)는 제1 광 스위치(141)와, 제1 광섬유 격자(142)와, 제21 써큘레이터(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그 일측에 제1 포트(1411)와, 그 타측에 제2 및 제3 포트(1412,1413)를 구비하며, 제1 포트(1411)는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의 제1 역다중화 포트(132)와 연결되고, 제2 포트(1412)는 상기 광섬유 격자(142)와 연결되며, 제3 포트(1413)는 상기 제21 써큘레이터(143)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의 제1 포트(1411)는 제2 및 제3 포트(1412,1413)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바(bar) 상태에서 제1 포트(1411)와 제2 포트(1412)가 서로 연결되고, 크로스(cross) 상태에서 제1 포트(1411)와 제3 포트(1413)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광섬유 격자(142)는 기설정된 파장의 제1 채널(λ1)을 반사시킨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143)는 제1 내지 제3 포트(1431~1433)를 구비하며, 제2 포트(1432)는 상기 광 스위치(141)의 제3 포트(1413)와 연결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143)는 제2 포트(143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143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제거하고, 제1 포트(1431)에 입력된 채널을 제2 포트(1432)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추가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143)는 파장 무의존성 소자로서,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애드/드롭 모듈(100)이 외부 광섬유(110)를 통해 입력되며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로 이루어진 광신호를 그대로 패스(pass)시키는 제1 과정과, 상기 광신호에서 제1 채널(λ1)을 제거한 후 제1 채널(λ1)을 추가하는 제2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 스위치(141,151)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1 포트(1201)에 입력된 광신호는 제2 포트(1202)로 출력되고,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는 다중화 포트(131)에 입력된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제n 포트(132,13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애드/드롭부(140)의 제1 광 스위치(141)는 제1 포트(141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1412)로 출력하고, 상기 제1 광섬유 격자(142)는 입력된 제1 채널(λ1)을 반사시킨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제2 포트(141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1 포트(1411)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 내지 제n 애드/드롭부(140,150)는 입력된 제2 내지 제n 채널(λ1~λn)을 그대로 패스시키게 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는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132,133)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파장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131)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제2 포트(1202)에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외부 광섬유(110)와 연결된 제3 포트(1203)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를 크로스 상태로 제어하고, 나머지 광 스위치(151)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의 제1 포트(1201)에 입력된 광신호는 제2 포트(1202)로 출력되고,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는 다중화 포트(131)에 입력된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포트(132,13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제1 포트(141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1413)로 출력하고, 상기 제21 써큘레이터(143)는 제2 포트(143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143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제거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143)는 제1 포트(143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1432)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추가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141)는 제3 포트(1413)에 입력된 제1채널(λ1)을 제1 포트(1411)로 출력한다. 상기 나머지 애드/드롭부들(150)은 입력된 제2 내지 제n 채널(λ2~λn)을 그대로 패스시킨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130)는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132,133)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파장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131)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써큘레이터(120)는 제2 포트(1202)에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외부 광섬유(110)와 연결된 제3 포트(1203)로 출력한다.
상기 애드/드롭 모듈(100)은 모든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에 대해서 제1 내지 제n 광 스위치(141,151)의 동작들을 각각 달리 할 수 있으므로, 재구성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애드/드롭 모듈(100)에서 각 애드/드롭부(140,150)는 해당 채널을 패스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 격자(141,151)(또는 미러와 같은 반사체)를 구비해야하며, 해당 채널의 파장에 맞게 상기 광섬유 격자(141,151)의 반사 파장을 설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고비용의 광섬유 격자(141,151)를 구비해야 하므로, 전체 애드/드롭 모듈(100)의 제작비가 상승하며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을 갖는 애드/드롭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은,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고, 제1 및 제3 포트는 외부 광섬유와 연결되며, 제1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2 포트로 출력하고, 제2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3 포트로 출력하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와, 각각 역다중화된 해당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광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포트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며, 제2 포트에 입력된 채널은 제3 포트로 출력하고, 제1 포트에 입력된 채널은 제2 포트로 출력하는 제2 써큘레이터와, 제1 내지 제4 포트를 구비하고, 제1 포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의 제3 포트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의 제1 포트와 연결되고, 패스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1 포트는 제3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드롭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1 포트는 제4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고, 애드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2 포트는 제3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광 스위치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애드/드롭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써큘레이터 및 광 스위치는 각각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는데, 상기 써큘레이터 또는 광 스위치의 참조 번호가 "###"인 경우에 그 포트는 "m"으로 도시함과 더불어 "###m"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애드/드롭 모듈(200)은 제1 써큘레이터(220)와,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와, 제1 내지 제 n 애드/드롭부(240,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는 제1 내지 제3 포트(2201~2203)를 구비하고, 제1 및 제3 포트(2201,2203)는 외부 광섬유(21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는 상기 외부 광섬유(210)를 통해 제1 포트(2201)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2 포트(2202)로 출력하고, 제2 포트(2202)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3 포트(220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는 파장 무의존성 소자로서,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그 일측에 하나의 다중화 포트(231)와 그 타측에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232,233)를 구비하며,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다중화 포트(231)에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파장별로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232,233)로 출력하고,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232,233)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231)로 출력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의 다중화 포트(231)는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의 제2 포트(2202)와 연결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의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들(232,233)은 상기 제1 내지 제n 애드/드롭부(240,250)와 일대일 연결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반도체 기판 상에 집적되는 1×n 도파관 격자 라우터(waveguide grating router: WG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n 애드/드롭부(240,250)는 각각 써큘레이터(241,251)와, 2×2 광 스위치(242,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 애드/드롭부(240,250)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1 애드/드롭부(2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애드/드롭부(240)는 제21 써큘레이터(241)와, 제1 광 스위치(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는 제1 내지 제3 포트(2411~2413)를 구비하며, 제2 포트(2412)는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의 제1 역다중화 포트(232)와 연결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는 제2 포트(241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413)로 출력하고, 제1 포트(241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2412)로 출력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는 파장 무의존성 소자로서, 그 상위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그 인접한 하위 포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는 그 일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포트(2421,2422)와, 그 타측에 배치된 제3 및 제4 포트(2423,242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242)의 제1 포트(2421)는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의 제3 포트(241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광 스위치(242)의 제3 포트(2423)는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의 제1 포트(241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242)의 제1 포트(2421)는 패스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3 포트(2423)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드롭되는 채널의통로를 위해 제1 포트(2421)는 제4 포트(2424)와 가변적으로 연결되고, 애드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2 포트(2422)는 제3 포트(2423)와 가변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는 바 상태에서 제1 포트(2421)와 제3 포트(2423)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는 크로스 상태에서 제1 포트(2421)와 제4 포트(2424)가 서로 연결되고, 제2 포트(2422)와 제3 포트(2423)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애드/드롭 모듈(200)이 외부 광섬유(210)를 통해 입력되며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로 이루어진 광신호를 그대로 패스시키는 제1 과정과, 상기 광신호에서 제1 채널(λ1)을 제거한 후 제1 채널(λ1)을 추가하는 제2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 스위치(242,252)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의 제1 포트(2201)에 입력된 광신호는 제2 포트(2202)로 출력되고,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다중화 포트(231)에 입력된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포트(232,23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애드 드롭부(240)의 제21 써큘레이터(241)는 제2 포트(241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413)로 출력하고,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는 제1 포트(242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423)로 출력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는 제1 포트(241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241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나머지 애드/드롭부(250)는 입력된 제2 내지 제n 채널(λ2~λn)을 그대로 패스시키게 된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232,233)에 입력된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파장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231)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는 제2 포트(2202)에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외부 광섬유(210)와 연결된 제3 포트(2203)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2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를 크로스 상태로 제어하고, 나머지 광 스위치(252)를 바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의 제1 포트(2201)에 입력된 광신호는 제2 포트(2202)로 출력되고,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다중화 포트(231)에 입력된 광신호를 파장분할 역다중화하여 제1 내지 제n 포트(232,23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애드 드롭부(240)의 제21 써큘레이터(241)는 제2 포트(241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413)로 출력하고,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는 제1 포트(242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4 포트(2424)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제거한다. 상기 제1 광 스위치(242)는 제2 포트(2422)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3 포트(2423)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λ1)을 추가한다. 상기 제21 써큘레이터(241)는 제1 포트(2411)에 입력된 제1 채널(λ1)을 제2 포트(2412)로 출력한다. 나머지 애드/드롭부(250)는 입력된 제2 내지 제n 채널(λ2~λn)을 그대로 패스시킨다.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230)는 제1 내지 제n 역다중화 포트(232,233)에 입력된 제1 내지 제n 채널(λ1~λn)을 파장분할 다중화하여 다중화 포트(231)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써큘레이터(220)는 제2 포트(2202)에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상기 외부 광섬유(210)와 연결된 제3 포트(2203)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은 반사체를 사용하지 않고 써큘레이터와 광 스위치를 이용하여 애드/드롭부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비용 효율(cost-effective)이 높으며,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파장분할다중 광전송 시스템 내에서 다중화된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와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에 대한 채널 애드 또는 드롭을 수행하기 위한 애드/드롭 모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고, 제1 및 제3 포트는 상기 광섬유와 연결되며, 제1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2 포트로 출력하고, 제2 포트에 입력된 광신호를 제3 포트로 출력하는 제1 써큘레이터와;
    상기 제1 써큘레이터의 제2 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광신호의 통로가 되는 다중화 포트와, 각각 역다중화된 해당 채널의 통로가 되는 다수의 역다중화 포트를 구비하는 광 다중화/역다중화기와;
    제1 내지 제3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포트는 해당 역다중화 포트와 연결되며, 제2 포트에 입력된 채널은 제3 포트로 출력하고, 제1 포트에 입력된 채널은 제2 포트로 출력하는 제2 써큘레이터와,
    제1 내지 제4 포트를 구비하고, 제1 포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의 제3 포트와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제2 써큘레이터의 제1 포트와 연결되고, 패스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1 포트는 제3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드롭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1 포트는 제4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고, 애드되는 채널의 통로를 위해 제2 포트는 제3 포트와 가변적으로 연결되는 광 스위치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애드/드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다중화/역다중화기는 도파관 격자 라우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KR1020030032059A 2003-05-20 2003-05-20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KR20040099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59A KR20040099921A (ko) 2003-05-20 2003-05-20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US10/717,055 US20040234266A1 (en) 2003-05-20 2003-11-19 Reconfigurable add/drop module
JP2004148810A JP2004350279A (ja) 2003-05-20 2004-05-19 再構成可能なアド/ドロップ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59A KR20040099921A (ko) 2003-05-20 2003-05-20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21A true KR20040099921A (ko) 2004-12-02

Family

ID=3344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059A KR20040099921A (ko) 2003-05-20 2003-05-20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34266A1 (ko)
JP (1) JP2004350279A (ko)
KR (1) KR20040099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58B1 (ko) * 2008-04-28 2008-10-13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재구성 가능한 광 결합 분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837B2 (ja) * 2004-02-10 2011-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分岐挿入多重化装置
KR100908239B1 (ko) * 2006-12-06 2009-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통과/결합 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oadm노드에서의 채널 통과/결합 방법
EP2750313A1 (fr) 2012-12-28 2014-07-02 Alcatel Lucent Noeud de réseau de télécommunication mettant en relation un réseau métropolitain avec au moins un réseau d'accès
GB2549500A (en) * 2016-04-19 2017-10-25 Airbus Operations Ltd Node for an optical network
CN107515100B (zh) * 2017-08-15 2019-08-20 昆山金鸣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脉冲光光纤开关状态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6617A1 (en) * 1995-08-04 1997-02-20 Alcatel Alsthom Compagnie Generale D'electricite Signal routing for fibre optic networks
IT1283372B1 (it) * 1996-07-31 1998-04-17 Pirelli Cavi S P A Ora Pirelli Dispositivo per l'inserimento e l'estrazione di segnali ottici
US6240222B1 (en) * 1998-09-10 2001-05-29 Agere Systems Optoelectronics Guardian Corp. Wavelength specific operations in optical systems
US20020105692A1 (en) * 2001-02-07 2002-08-08 Richard Lauder Hierarchical WDM in client-server architecture
US6950609B2 (en) * 2001-06-22 2005-09-27 Lucent Technologies Inc. Tunable, multi-port optical add-drop multiplexer
SE520983C2 (sv) * 2001-07-16 2003-09-16 Lumentis Ab Optisk filtrering
US7133616B2 (en) * 2001-09-01 2006-11-07 Lucent Technologies Inc. Wavelength-selective routing using an optical add/drop architecture
US6714341B1 (en) * 2003-05-20 2004-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velength converter and optical cross-connect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58B1 (ko) * 2008-04-28 2008-10-13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재구성 가능한 광 결합 분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34266A1 (en) 2004-11-25
JP2004350279A (ja)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9928B2 (ja) 波長選択光スイッチおよび波長選択光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8111995B2 (en) Shared, colorless add/drop configuration for a ROADM network using M×N wavelength switches
JP5467323B2 (ja) 光パスネットワークの光終端装置
WO2003098856A3 (en)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odule, system and method
KR100474695B1 (ko) 파장분할다중 광통신망을 위한 양방향 광 분기/결합다중화기
EP1408713B1 (en) Optical cross-connect system
KR20040099921A (ko) 재구성 가능한 애드/드롭 모듈
EP1407567B1 (en) Optical filtering by using an add-drop node
Thiagarajan et al. Direction-independent add/drop access for multi-degree ROADMs
KR100480276B1 (ko) 양방향 광회선 분배 장치
KR100960919B1 (ko) 평면도파 기술을 이용한 파장선택 스위치
EP1434374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for optical metropolitan networks
KR20040094223A (ko) 광 애드/드롭 다중화기
KR100547780B1 (ko) 순환기와 반사기를 이용한 광 분기/결합기
Earnshaw et al.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ROADM) with integrated sub-band optical cross-connect
US20110182302A1 (en) Switch node
US20040223687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JPH09189926A (ja) 波長多重光スイッチ
Homa et al. ROADMs for reconfigurable metro networks
JP2004045813A (ja) 光分岐挿入装置
JP2008211517A (ja) 波長ル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波長ルーティング網
CA2262291A1 (en) Configurable optica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