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700A - 멀티마우스 - Google Patents

멀티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700A
KR20040099700A KR1020030031769A KR20030031769A KR20040099700A KR 20040099700 A KR20040099700 A KR 20040099700A KR 1020030031769 A KR1020030031769 A KR 1020030031769A KR 20030031769 A KR20030031769 A KR 20030031769A KR 20040099700 A KR20040099700 A KR 2004009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use
ball
light emitting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700A/ko
Publication of KR2004009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2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for tracking the rotation of a spherical or circular member, e.g. optical rotary encoders used in mice or trackballs using a tracking ball or in mouse scroll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에 빛을 반사시켜 얻어지는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모니터 상의 포인터의 이동상태를 검출하는 멀티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빛을 통해 발광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표면에 따라 반사량을 달리하여 소정각도로 반사시키는 광반사볼과; 이 광반사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소정 변위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발광구동신호의 반송파를 동기화시키는 기본주파수를 상기 센서부에 제공하는 발진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변위데이터 또는 클릭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전송포맷으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마우스를 장기간 사용하여 마우스의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도 볼이 회전되는 한 마우스의 움직임을 온전히 감지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마우스를 투명한 재질의 표면 상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우스의 움직임을 온전히 감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멀티마우스{MULTI-MOUSE}
본 발명은 컴퓨터의 주변기기 중의 하나인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에 빛을 반사시켜 얻어지는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모니터 상의 포인터의 이동상태를 검출하는 멀티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마우스는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화면상의 아이콘 메뉴 등을 터치시켜 소정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로서, 볼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상태를 검출하는 볼마우스와,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 조사된 빛의 반사량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이동상태를 검출하는 광마우스로 분류된다.
먼저, 볼마우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케이스(2) 내에 내장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는 볼(3)과; 이 볼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케이스(2)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볼의 회전방향에 따라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평회전롤러(4)와; 상기 볼(3)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케이스(2)의 길이방향 축선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볼의 회전방향에 따라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직회전롤러(5)와; 상기 두 회전롤러(4,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볼(3)이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서 구를 때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흡수하는 압력흡수롤러(6)와; 상기 볼(3)을 통해 회전되는 수평회전롤러(4) 또는 수직회전롤러(5)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반송파를 생성해 컴퓨터로 송출하는 전자회로부(7)와; 이 전자회로부의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2)의 상부에 구비되는 클릭버튼(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볼마우스(1)를 컴퓨터 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부팅시키게 되면 모니터 상에는 하나의 포인터가 생기게 되는데, 이 포인터는 볼마우스(1)의 전자회로부(7)로부터 송출되는 이동신호를 수신한 컴퓨터(또는 CPU)의 제어를 통해 특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볼마우스(1)를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마우스의 본체를 이동시키게 되면, 케이스(2) 내의 볼(3)이 구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볼이 수평회전롤러(4) 및 수직회전롤러(5)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회전롤러와 수직회전롤러는 볼(3)의 구름력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수평회전롤러(4)와 수직회전롤러(5)가 볼(3)의 구름력을 통해 특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되는 수평회전롤러와 수직회전롤러의 회전수와 회전속도 등은 전자회로부(7)에 의해 감지되게 되며, 이 전자회로부는 전달된 위치변화신호를 처리하여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로 송출하게 되므로 모니터 상의 포인터는 특정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광마우스(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케이스(9) 내에 내장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0)와; 이 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이 마우스패드의 표면에 부딪친 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11)와, 이 수광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자회로부(12)와; 이 전자회로부의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9)의 상부에 구비되는 클릭버튼(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광마우스(8)를 컴퓨터 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부팅시키게 되면 모니터 상에는 하나의 포인터가 생기게 되는데, 이 포인터는 광마우스(8)의 전자회로부(12)로부터 송출되는 이동신호를 수신한 컴퓨터의 제어를 통해 특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광마우스(8)를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마우스의 본체를 이동시키게 되면, 케이스(9) 내의 발광부(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의 표면에 따라 반사량을 달리하여 수광부(11)에 수광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전자회로부(12)는 수광부(11)에 수광된 빛의 수광량의 변화를 통해 광마우스(8)의 X축 및 Y축 이동량을 검출하여 생성된 위치변화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로 송출하게 되므로 모니터 상의 포인터는 특정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볼마우스의 경우 마우스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먼지 또는 이물질이 볼의 외주면을 통해 지속적으로 마우스 안으로 유입되어 수평회전롤러 또는 수직회전롤러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는 마우스를 움직여도 모니터 상의 포인터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볼마우스가 먼지 또는 이물질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지는 경우 사용자는 수시로 마우스 내의 볼을 분리하여 수평회전롤러와 수직회전롤러에 붙어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한편, 광마우스의 경우 마우스가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표면 상에 놓여 사용되게 되면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그 표면에 대해 난반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수광부에 수광되는 빛의 수광량이 매우 적어 마우스를 움직여도모니터 상의 포인터가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마우스를 장기간 사용하여 마우스의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도 볼이 회전되는 한 마우스의 움직임을 온전히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멀티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를 투명한 재질의 표면 상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우스의 움직임을 온전히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멀티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볼마우스를 보여주는 개략 저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마우스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마우스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a: 케이스 14: 멀티마우스
15: 발광부 16: 광반사볼
17: 센서부 18: 발진부
19: 클릭버튼 20: 마이콤
21: 지지롤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빛을 통해 발광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표면에 따라 반사량을 달리하여 소정각도로 반사시키는 광반사볼과; 이 광반사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소정 변위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발광구동신호의 반송파를 동기화시키는 기본주파수를 상기 센서부에 제공하는 발진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변위데이터 또는 클릭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전송포맷으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마우스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마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멀티마우스(14)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통해 발광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15)와; 이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표면에 따라 반사량을 달리하여 소정각도로 반사시키는 광반사볼(16)과; 이 광반사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소정 변위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17)와; 상기 발광부(15)로부터 출력되는 발광구동신호의 반송파를 동기화시키는 기본주파수를 상기 센서부(17)에 제공하는 발진부(18)와; 상기 센서부(17)로부터 전송된 변위데이터 또는 클릭버튼(19)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전송포맷으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콤(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반사볼(16)은 하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14a) 내에 내장되고 그 광반사볼(16)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14a) 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3개의 지지롤러(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롤러(21)중 하나는 상기 광반사볼(16)이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서 구를 때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흡수하는 압력흡수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반사볼(16)은 표면에 따라 빛의 반사량이 달라질 수 있도록 조도가 다르게 가공되거나 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마우스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멀티마우스(14)를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컴퓨터를 부팅시키면 모니터의 화면 상에 포인터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멀티마우스(14)를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 위치시켜 움직이게 되면 멀티마우스의 케이스(14a) 하방에 일부 노출된 광반사볼(16)이 그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표면을 따라 구르게 되고 발광부(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광반사볼(16)의 소정면에 반사된 후 센서부(17)로 집광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센서부(17)는 광반사볼(16)을 통해 반사되는 빛의 발광구동신호를 동기화시키는 기본주파수를 발진부(18)로부터 제공받아 소정 변위데이터를 생성해 마이콤(20)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0)은 센서부(17)로부터 전송된 소정 변위데이터를 전송포맷으로 변환시켜 컴퓨터(또는 CPU)로 전송하게 되며, 이로써 모니터 상의 포인터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포인터가 화면 상의 소정 프로그램의 아이콘 메뉴상에 위치되어 멀티마우스(14)의 클릭버튼(19)을 누르게 되면 상기 마이콤(20)은 클릭버튼(19)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전송포맷으로 변환시켜 컴퓨터로 전송하게 되며, 이로써 화면 상의 해당 아이콘이 눌려 소정의 명령이 실행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를 장기간 사용하여 마우스의 내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도 볼이 회전되는 한 마우스의 움직임을 온전히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를 투명한 재질의 표면 상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우스의 움직임을 온전히 감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빛을 통해 발광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표면에 따라 반사량을 달리하여 소정각도로 반사시키는 광반사볼과;
    이 광반사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소정 변위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발광구동신호의 반송파를 동기화시키는 기본주파수를 상기 센서부에 제공하는 발진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변위데이터 또는 클릭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조작신호를 전송포맷으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콤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볼은 하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 내에 내장되고 그 광반사볼의 외주면은 상기 케이스 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3개의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중 하나는 상기 광반사볼이 마우스패드 또는 테이블 상에서 구를 때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흡수하는 압력흡수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우스.
KR1020030031769A 2003-05-20 2003-05-20 멀티마우스 KR20040099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769A KR20040099700A (ko) 2003-05-20 2003-05-20 멀티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769A KR20040099700A (ko) 2003-05-20 2003-05-20 멀티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700A true KR20040099700A (ko) 2004-12-02

Family

ID=3737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769A KR20040099700A (ko) 2003-05-20 2003-05-20 멀티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2929C (zh) * 2005-04-11 2008-11-12 田园 一种使视窗类操作系统拥有多个键盘的方法
CN100432928C (zh) * 2005-04-11 2008-11-12 田园 一种使视窗类操作系统拥有多个鼠标的方法
CN100432927C (zh) * 2005-04-11 2008-11-12 田园 一种使视窗类操作系统拥有多个激活窗口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2929C (zh) * 2005-04-11 2008-11-12 田园 一种使视窗类操作系统拥有多个键盘的方法
CN100432928C (zh) * 2005-04-11 2008-11-12 田园 一种使视窗类操作系统拥有多个鼠标的方法
CN100432927C (zh) * 2005-04-11 2008-11-12 田园 一种使视窗类操作系统拥有多个激活窗口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7959B2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using laser speckle
US7394454B2 (en)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lift-off from a tracking surface by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
US8810514B2 (en) Sensor-based pointing device for natural input and interaction
US20050146500A1 (en) Pointing Device For Multiple-Dimensional Scrolling Control
US20050264542A1 (en) Stylus with function key
CN101122836A (zh) 运动感知装置
US7098895B2 (en) Optical trackbal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40099700A (ko) 멀티마우스
US6307535B1 (en) Pointing device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JP4374049B2 (ja) 電子機器
JP2004094569A (ja) 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検出装置を用いた電子黒板装置
EP2026169A1 (en) Detection means
CN108205383A (zh) 利用两传感器分别判断滚轮转幅与转向的滚轮译码器
KR100475143B1 (ko) 트랙볼 및 그 구동방법
US20050057511A1 (en) [ball-actuated optical mouse]
KR20020024265A (ko) 펜 타입 광마우스
JPH05307437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CN216014211U (zh) 具有鼠标功能的装置、计算机、电视遥控器和空中简报鼠标
KR200263114Y1 (ko) 트랙볼
JPH07141103A (ja) カーソル位置入力装置
JP3202713B2 (ja) 光学機械式マウス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222298A (ja) 入力装置
JP3132101U (ja) ポインティングディバイス
CN1713215A (zh) 多重鼠标
TW202343207A (zh) 滾輪按鈕裝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