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887A -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 Google Patents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887A
KR20040098887A KR1020030031200A KR20030031200A KR20040098887A KR 20040098887 A KR20040098887 A KR 20040098887A KR 1020030031200 A KR1020030031200 A KR 1020030031200A KR 20030031200 A KR20030031200 A KR 20030031200A KR 20040098887 A KR20040098887 A KR 2004009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axanthin
water
mixture
alcohol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진
김종환
최하영
김승규
구양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프로덕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프로덕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프로덕트테크
Priority to KR102003003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887A/ko
Publication of KR2004009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① 아스타산틴 함유 오일이나 파우더를, ② 물이나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③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 및 콤플렉션(complex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① 아스타산틴 함유 오일이나 파우더를, ② 물이나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③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스텔류,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솔베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The method for making Astaxanthin water-soluble}
본 발명은 천연색소인 아스타산틴을 형성하는 조류인 헤마토코커스 조류(Haematococcus species, Phytochemistry, 20, 2561, (1981))를 배양한 후 건조·분쇄한, 아스타산틴 함량이 1 - 99%인 헤마토코커스 조류로부터 추출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 또는 게, 새우 등의 갑각류로부터 추출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 또는 효모균주인 파피아 로드지마(Phaffia rhodozyma)를 배양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유기용매로 용해시킨 후 분리 농축하여 얻어내는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를,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사포닌 등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 및 콤플렉션(complextion)을 시킴으로써 수용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파우더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스텔류,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솔베이트류 등의 식용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용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용화 방법에 의하면 제품의 안정화에 따라 종래 한정적이던 아스타산틴의 활용범위가 대폭 넓어질 수 있고, 나아가 수용화 방법의 수행 시 첨가되는 각각의 첨가제의 기능이 더해지는 데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아스타산틴 외에 기존에 수용화가 어려워 식음료 및 화장품에 적용이 어려웠던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등의 카로티노이드의 수용화에도 동일한 방법과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아스타산틴(Astaxanthin)은 헤마토코커스 조류 등에서 추출되며 토코페롤(비타민 E)보다 550배에서 최대 1000배의 항산화 효과를 지닌 천연 카로티노이드로서, 각종 질병의 근원이 되는 체내의 유해 산소를 제거해 인체의 건강을 지켜주는 차세대 항산화제이다. 아스타산틴은 항산화 효과에 의한 노화 방지 외에도, 면역력의 증진, 자외선에 의한 눈, 피부 및 중추신경계 등의 손상 억제, 헬리코박터의 감염 치료,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의 예방, 치매나 암 예방, 시력의 향상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산화제란 활성 산소의 작용을 중화시키는 물질로, 산소를 사용하는 생명체에서 산소로부터 생기는 프리 래디컬에 의한 손상과 프리 래디컬이 아닌 산소(단일 산소, 오존 등)에 의한 지질, 단백질, 핵산, 탄수화물의 손상들을 차단,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우리가 마시는 산소 중 95% 이상은 대부분 체내의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고 산소 자신은 물로 변화된다. 그러나 그 중 2-5% 정도는 반응력과 활동력이 매우 큰 유해 독성 산소로 변화되는데 이것이 프리 래디컬(free radical, 활성 산소)이다. 노화의 근본적인 원인 중에 하나는 체내에 프리 래디컬이 증가하여 세포를 산화시키는 결과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산화제의 공격을 받기 때문이다. 산화 발생요인 중 주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환경적인 요인인데, 대기오염, 담배연기, 화학물질에의 노출, 자외선 등을 산화제의 예로 들 수 있다. 산화제들은 주로 단백질이나, 핵산, 지방과 반응하여 이런 물질들의 분자구조를 바꾸어 세포의 노화 현상, 동맥 경화, 빈혈, 노안 현상을 일으키며 또한 발암물질로도 작용한다.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 상당 부분은 이런 프리 래디컬의 제거와 산화작용에 의한 조직, 세포, DNA의 손상을 얼마나 줄이느냐에 달려 있고 이런 의미에서 항산화제는 질병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E가 알려져 있으나, 미국 FDA 자료에 따르면 아스타산틴은 비타민 E보다 약 550-1000배, 베타카로틴보다 약 10배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아스타산틴은 의약품 분야(활선 산소 제거, 세포 손상 방지), 식품 분야(식품 첨가물, 건강보조식품), 화장품(노화방지, 미백, 자외선 차단), 사료(어류, 양계용 사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물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아스타산틴은 지용성 물질로서 단일상 또는 단백질과의 에스터 결합으로 단일 에스터 구조나 이중 에스터 구조를 가지며 물에 친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아스타산틴 색소는 여러 가지 조제 방법을 통해 타블렛 형태의 알약 및 캡슐 형태의 제한적인 응용범위 내에서 건강보조식품으로만 공급되어 왔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인캡슐레이션 및 콤플렉션 또는 적절한 계면활성제을 이용하여 아스타산틴을 수용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아스타산틴의 제품 안정성을 높이고 인체의 흡수율 등의 적용성을 증대시키며 보다 손쉽게 복용할 수 있는 음료 및 드링크류 등의 수용화된 제품의 생산이 가능케 하여 제한적이던 아스타산틴의 응용범위를 넓혀 식품첨가물, 화장품 용도, 사료용 등으로 활용하는 등 그 산업적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약 0.1 - 99%로 농축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파우더를 물이나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온이나 고온에서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사포닌을 이용하여 인캡슐레이션 및 콤플렉션시켜, 저농도로부터 고농도까지 다양한 범위에 이르는 수용성 아스타산틴을 제조하여 분말 및 과립 형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식용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용화하는 방안을 창안하였다.
이렇게 제공된 수용성 아스타산틴은 다양한 조제 방법을 통해 음료 및 드링크류로 만들어질 수 있는 등 활용범위가 넓어지며,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아스타산틴은 Cyclodextran, Chitin, Chitosan, 사포닌 등에 인캡슐레이션 및 콤플렉스를 형성하여 고분자화되므로 체내에 서서히 흡수되며 분해정도가 낮아 체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보다 효율적인 흡수율을 보이는 시너지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아스타산틴은 그 유용성이 널리 알려진 저분자의 올리고당 형태의 Cyclodextran, Chitosan, Chitin 및 사포닌과 수용화된 고분자 형태의 키토산 및 키틴과 인캡슐레이션되거나 콤플렉스를 형성함으로 보다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①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파우더를, ② 물 또는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③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약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 및 콤플렉션(complextion)시킴으로써 수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①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파우더를, ② 물 또는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③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스텔류,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솔베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약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수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용화의 대상이 되는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는, ① 천연색소인 아스타산틴을 형성하는 조류인 헤마토코커스 조류(Haematococcus species, Phytochemistry, 20, 2561, (1981))를 배양한 후 건조, 분쇄한 후 추출하여 아스타산틴 함량이 1 - 99%인 헤마토코커스 조류 추출물, ② 게, 새우 등의 갑각류로부터 추출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 그리고 ③ 효모균주인 파피아 로드지마(Phaffia rhodozyma)를 배양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유기용매로 용해시킨 후 분리 농축하여 얻어내는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 중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함유량 기준으로 볼 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0.1-99%로 농축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는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지용성으로서 기존의 방법으로 수용화하기 어려웠던 아스타산틴을 약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기 및 혼용기를 이용하여 수용화함을 특징으로 하며, 수용화 공정에서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등을 첨가함으로서 인캡슐레이션 및 콤플렉스를 통하여 수용화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동시에 우리 인체에 유용한 chitin, chitosan, 사포닌 등과 인캡슐레이션 및 콤플렉스를 형성함으로 시너지 효과를 얻는 수용성아스타산틴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의 식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용화함으로써 다양한 수용성 아스타산틴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아스타산틴 외에 기존에 수용화가 어려워 식음료 및 화장품에 적용이 어려웠던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등의 카로티노이드의 수용화에도 동일한 방법과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아스타산틴 및 카로티노이드류는 빛과 열에 민감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함량 측정 및 추출 농축은 자연광이 비치지 않는 냉암소(冷暗所)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예를 예시적으로 기술한다.
1. 실시예 1 : 아스타산틴 표준용액의 제조 및 함량 측정 실험
헤마토코커스 조류 내의 아스타산틴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그마사의 98% 합성 아스타산틴 시약(A9335 Astaxanthin : 3,3'-Dihydroxy-β,β-carotene-4,4'-dione MDL number : MFCD00672621, 472-61-7 minimum 98%, CAS Number : 472-61-7)을 표준시약으로 사용하였다.
1L 용적 플라스크에 아스타산틴 표준시약 30mg을 취하고 정확한 질량을 기록한다. 아세톤을 가하여 5분간 초음파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1시간 동안 안정시킨 후 아세톤을 가하여 용적플라스크의 눈금에 맞춘 후 이를 표준 용매로 사용한다. 표준용매를 100ml 용적 플라스크에 20ml를 눈금 피펫으로 정확히 취하고 아세톤으로 눈금을 맞추어 표준용액을 제조한다.
표준용액을 자외선 분광측정기로부터 47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아래 식과 비교하여 실험의 정확성과 식의 정확도를 측정한다. 검량선을 작성하여 아스타산틴의 함량을 측정한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Astaxanthin (g/ml or mg/L) =Absorbance x 10,000
2100
표준용액의 아스타산틴 농도
아스타산틴 표준시약 (/1L)(x20ml)(/100ml)
30.2mg 5.9192 g/ml
(그래프 1) 아스타산틴 표준용액의 UV spectrum
표준용액 농도 흡광도 아스타산틴의 농도 함량 (%)
30.2mg(/1L)(x20ml)(/100ml) 1.2448 5.9276㎍/ml 100(±0.15)
2. 실시예 2 : 아스타산틴의 함량 측정 실험
아스타산틴 함유 물질 내의 아스타산틴의 함량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아스타산틴 함유 물질 약 10mg을 취하고 원심분리용 튜브에 넣고 정확히 취한 값을 기록한다. 글라스 비드를 2~3개 튜브에 넣는다. 100㎕의 증류수를 튜브에 가하고 샘플이 완전히 젖을 정도로 천천히 회전시켜 60분간 방치시킨다.
이 튜브를 10초간 격렬하게 교반한다. 방치 후 5ml의 아세톤을 튜브에 가한 후 강한 교반을 한다.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3500~4000rpm으로 5분간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침적시킨 후 파이펫을 사용하여 용적 플라스크에 옮겨 담는다. 다시 5ml의 아세톤을 튜브에 가한 후 강한 교반을 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 용액을 분리하여 용적 플라스크에 옮긴다. 이 방법을 7-8회 아세톤 층이 색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아스타산틴 함유 물질이 수용액상 일 경우 위의 과정 없이 그대로 취하여 아세톤 또는 클로로포름, 핵산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제조한 아스타산틴 수용액의 아스타산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50ml의 비이커에 1000mg의 아스타산틴 수용액을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한 후 정확한 질량을 기록한다. 비이커에 아세톤 10ml를 가하여 녹이고 이 용액을 250ml의 용적플라스크에 옮긴다. 이를 수회 반복하여 비이커에 붉은색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완전히 옮긴 후 용적 플라스크의 눈금을 아세톤으로 맞춘다.
용적플라스크의 눈금을 아세톤을 가하여 맞춘다. 플라스크의 마개를 한 후 섞어 균일한 농도로 맞춘다. 이 용액을 자외선 분광측정기로부터 아세톤을 블랭크로하여 47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앞에서 제시한 식(1)과 아래의 식(2)를 사용하여 아스타산틴의 함량을 구한다.
제조한 함량 측정용 용액이 불투명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필터를 사용하여 거른 후 투명하게 하여 측정한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Astaxanthin 함량 (%) =
Astaxanthin (g/ml or mg/L)x 100
sample (g or mg) / volume of volumetric flask(ml or L)
헤마토코커스 조류 총농도 흡광도 아스타산틴의 농도 함량 (%)
31.3mg (/250ml) 125.2㎍/ml 1.0660 5.0762㎍/ml 4.05
28.6mg (/250ml) 114.4㎍/ml 0.9452 4.5010㎍/ml 3.93
3. 실시예 3 : 베타사이크로덱스트린에 의한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베타사이크로덱스트린을 1g과 물 100g을 고속회전 교반기에 넣고 15000rpm의 속도로 약 5 - 10분간 1-3회 교반하여 용해시켜 베타사이크로덱스트린 수용액을 만든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수용액에 아스타산틴 함량이 4%인 헤마토코커스 조류 오일이나 파우더를 1g 넣고 다시 5-10분간 1-3회 고속으로 교반시켜 인캡슐레이션을 시킨다. 이 방법으로 분산된 형태의 수용화 된 아스타산틴을 얻을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후 여과하고 상온 또는 감압하여 건조하거나 동결 건조함으로써 수용성 아스타산틴 파우더 1.3g을 얻었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래프 2) 베타사이크로덱스트린에 의한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헤마토코커스 조류 총농도 흡광도 아스타산틴의 농도 함량 (%)
19.06mg (/250ml) 76.24㎍/ml 0.4868 2.3181㎍/ml 3.04
4. 실시예 4 : 키토산에 의한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수용화된 키토산(올리고머 및 수용성 고분자 키토산)2g을 물 100g에 넣고 녹인 후 아스타산틴의 함량이 4%인 헤마토코커스 조류 오일 및 파우더를 1g 넣고 15000rpm의 고속회전 교반기로 약 5-10분간 1-3회 교반 한 뒤 아스타산틴과 키토산이 콤플렉스 형태로 된 수용성 아스타산틴을 얻은 후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거나 동결 건조하여 필름 형태의 수용성 아스타산틴을 2.28g을 얻었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래프 3) 키토산에 의한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헤마토코커스 조류 총농도 흡광도 아스타산틴의 농도 함량 (%)
36.62mg (/250ml) 146.48㎍/ml 0.5384 2.5638㎍/ml 1.76
5. 실시예 5 : 식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실험 1)
실시예 1에서의 방법으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1g과 물 100g을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한 후 헤마토코커스 조류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오일상의 아스타산틴 0.8g가하고 15000rpm의 고속회전 교반기로 약 5-10분간 1-3회 교반 하여 수용화 한 후 여과하여 액상의 수용화된 아스타산틴을 얻는다.
(실험 2)
레시틴 2g과 증류수 100g을 15000rpm의 고속회전 교반기로 약 5-10분간 1-3회 교반하여 수용액을 제조한 후 헤마토코커스 조류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오일상의 아스타산틴 1g을 가하고 함께 15000rpm의 고속회전 교반기로 약 5-10분간 1-3회 교반하여 수용성 아스타산틴 용액을 제조하고 거름종이로 용해되지 않은 성분을 분리하여 아스타산틴 수용액을 얻는다.
(그래프 4) 레시틴에 의한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수용화 용액 제조 총농도 흡광도 아스타산틴의 농도 함량 (%)
실험 1 781.2mg (/250ml) 3125.0㎍/ml 0.5251 2.5005㎍/ml 0.08
실험 2 312.8mg (/100ml) 3128.0㎍/ml 0.8632 4.1105㎍/ml 0.13%
(그래프 5) 수용화 아스타산틴의 HPLC spectru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의 효율적인 수용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지용성 물질로서 물에 친화되지 않아 타블렛 형태의 알약이나 캡슐 형태의 제한적인 응용범위 내에서 건강보조식품으로만 공급되어 왔던 종래의 아스타산틴의 활용범위를 식품첨가물, 화장품용도, 사료용 등으로 대폭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활용범위의 확대 외에, 수용화 방법의 수행 시 첨가되는 우리 인체에 유용한 각각의 첨가제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아스타산틴 함유 오일이나 파우더를,
    물 또는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 및 콤플렉션(complex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용성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조제 방법.
  2. 아스타산틴 함유 오일이나 파우더를,
    물이나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스텔류,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솔베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용성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조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화의 대상이 되는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는,
    헤마토코커스 조류를 배양한 후 건조, 분쇄한 후 추출하여 아스타산틴 함량이 1 - 99%인 헤마토코커스 조류 추출물,
    게, 새우 등의 갑각류로부터 추출된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 및
    효모균주인 파피아 로드지마(Phaffia rhodozyma)를 배양하여 유기용매로 용해시킨 후 분리 농축하여 얻어내는 아스타산틴 오일이나 아스타산틴 파우더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용성 아스타산틴의 수용화 조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아스타산틴 수용화물.
  5. 제3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아스타산틴 수용화물.
  6. 지용성의 카로티노이드류를,
    물 또는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 및 콤플렉션(complex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용성의 카로티노이드류의 수용화 조제 방법.
  7. 지용성의 카로티노이드류를,
    물이나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스텔류,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솔베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용성의 카로티노이드류의 수용화 조제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카로티노이드류의 수용화물.
  9. 비타민 E를,
    물 또는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Cellulose, Dextran, Cyclodextran, Gelatin, Chitin, Chitosan 및 사포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여 인캡슐레이션(microencapsulation) 및 콤플렉션(complex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E의 수용화 조제 방법.
  10. 비타민 E를,
    물이나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그리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에스텔류, 레시틴, 유기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류, 스테아릴 젖산 나트륨, 폴리솔베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1000-25,000rpm의 고속회전 분쇄·혼용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타민 E의 수용화 조제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비타민 E의 수용화물.
KR1020030031200A 2003-05-16 2003-05-16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KR20040098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00A KR20040098887A (ko) 2003-05-16 2003-05-16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200A KR20040098887A (ko) 2003-05-16 2003-05-16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887A true KR20040098887A (ko) 2004-11-26

Family

ID=3737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200A KR20040098887A (ko) 2003-05-16 2003-05-16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8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0837A (zh) * 2019-04-08 2019-05-31 睿藻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含天然虾青素酯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CN113925166A (zh) * 2020-12-14 2022-01-14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虾青素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339A (ko) * 1982-07-07 1984-11-12 나이또오 유우지 지용성물질을 함유한 수용액의 제조방법
KR19980080310A (ko) * 1997-03-17 1998-11-25 클라우스너 프리돌린 마이크로에멀젼
KR19990072792A (ko) * 1998-02-23 1999-09-27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미분된분말상카로테노이드제제의제조방법
KR20020062835A (ko) * 2001-01-24 2002-07-31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카로테노이드 유화액의 제조 방법
WO2003017785A1 (en) * 2001-08-23 2003-03-06 Dsm Ip Assets B.V. Novel stabilized carotenoid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339A (ko) * 1982-07-07 1984-11-12 나이또오 유우지 지용성물질을 함유한 수용액의 제조방법
KR19980080310A (ko) * 1997-03-17 1998-11-25 클라우스너 프리돌린 마이크로에멀젼
KR19990072792A (ko) * 1998-02-23 1999-09-27 프리돌린 클라우스너, 롤란드 비. 보레르 미분된분말상카로테노이드제제의제조방법
KR20020062835A (ko) * 2001-01-24 2002-07-31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카로테노이드 유화액의 제조 방법
WO2003017785A1 (en) * 2001-08-23 2003-03-06 Dsm Ip Assets B.V. Novel stabilized carotenoid composi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0837A (zh) * 2019-04-08 2019-05-31 睿藻生物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含天然虾青素酯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CN113925166A (zh) * 2020-12-14 2022-01-14 常州市第二人民医院 一种虾青素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ín et al. Antioxidant capacity of anthocyanin pigments
Haminiuk et al. Phenolic compounds in fruits–an overview
Ahmed et al. Nano-encapsulation of grape and apple pomace phenolic extract in chitosan and soy protein via nanoemulsification
Li et al.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ies of extracts from five cultivars of Chinese jujube
Phrueksanan et al. Protection of Clitoria ternatea flower petal extract against free radical-induced hemolysis and oxidative damage in canine erythrocytes
Rodrigues et al. Microcapsules containing antioxidant molecules as scavengers of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Hassan et al. Antioxidative and anticholinesterase activity of Cyphomandra betacea fruit
Kanmaz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flaxseed meal sticks using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ASE)
Zang et al. An updated review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regarding the interaction with food proteins and polysaccharides
CN110140958A (zh) 一种虾青素口服液及其制备方法
MX2007010638A (es) Metodos y composiciones para liberacion modificada de suplementos nutritionales. t
Lee et al. Cytoprotective effects and mechanisms of quercetin, quercitrin and avicularin isolated from Lespedeza cuneata G. Don against ROS-induced cellular damage
Kim et al. Stability of meoru (Vitis coignetiea) anthocyanins under photochemically produced singlet oxygen by riboflavin
Renita et al. Progress and prospective of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ECO-friendly colorants: an insight into environmental impact and Sustainability issues
Haroon Extraction of lycopene from tomato paste and its immobilization for controlled release
KR20040098887A (ko) 지용성 아스타산틴 등의 수용화 조제 방법
KR101546436B1 (ko) 쑥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Neog et al.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process for extraction of phytochemicals from norabogori fruit (Prunuspersica L. Batsch) and its application as fruit leather
CN101222929A (zh) 银杏提取物
Salam et al. In vitro antioxidant study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s, flavonols, total phenolic and proanthocyanidins content of Grewia abutilifolia leaf extracts
CN106822084A (zh) 含有竹花青素的保健品以及竹花青素的提取和测定方法
JP2008291150A (ja) アスタキサンチンーシクロデキストリン包接化合物
Shanmugham et al. Capsanthin-Loaded Micell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of Cytotoxicity Using MDA-MB-231 Breast Cancer Cell Line
Paes et al. Anthocyanins extracted from Jamelon fruits (Syzygium cumini L.): Effect of microencapsulation on the properties and bioaccessibility
RU278935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сантофиллов из Undaria pinnatifi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