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411A -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411A
KR20040098411A KR1020030030762A KR20030030762A KR20040098411A KR 20040098411 A KR20040098411 A KR 20040098411A KR 1020030030762 A KR1020030030762 A KR 1020030030762A KR 20030030762 A KR20030030762 A KR 20030030762A KR 20040098411 A KR20040098411 A KR 20040098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stopper
container
he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주
Original Assignee
넥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솔테크(주) filed Critical 넥솔테크(주)
Priority to KR102003003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411A/ko
Publication of KR2004009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방법을 이용한 음료용기의 위생적 개봉, 동 내용물의 가열 및 거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An Apparatus for Making B everage Inclusive Bottle Cap Opening Method by Penetration}
커피가 기호음료의 커다란 영역을 차지하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순수한 커피음료로서, 블랙커피, 에스프레소 및 감미료를 첨가한 것 등이 있는데, 여기에 생우유를 첨가하여 "카페라떼" 혹은 "카프치노"라는 형태의 우유혼합 음료가 많은 사람들에게 선호되고 있다. "카페라떼" 혹은 "카프치노"란 이태리에서 발전된 음료로서 현재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마시고 있는데, 원두로부터 추출된 커피에 상당량의 생우유를 가열하고 거품을 내어 첨가한 것으로서 커피와 우유가 혼합된 독특한 맛을 내어준다. 국내에서도 에스프레소 커피숍에서 우유혼합음료가 많이 음용되며, 포장음료로서도 냉장유통을 전제로 한 우유-커피 혼합음료가 다양한 포장으로 출시되어 성황리에 판매되고 있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낱개로 포장된 생우유는 일회에 음용하기에 적당한 양으로 살균 포장되어 널리 음용하고 있으나, 상업적으로 큰 포장의 생우유는 저장용기에서 분할·소분되어 가열 및 거품을 내어 각종음료와 혼합하여 음용되고 있다. 소분이란 공장에서 살균하고 밀봉하여 출하된 대형포장의 생우유를 자동판매기, 디스펜서(Dispenser)혹은 그 모두를 통한 소분을 포함한다.
소분 되어진 우유는 마시기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어지고, 특히 거품을 내어 기포를 발생시키고 커피 등과 혼합하여 음용한다.
우유혼합음료, 특히 카프치노나 카페라떼의 경우 증기로 가열하고 거품을 낸 우유(Steam Milk)를 첨가하여 음용 한다. 이 경우 생우유를 용기에 담고 우유에 증기를 불어넣어 혼련하여 거품을 낸 것을 혼합하여 제공한다.
미국특허 5207148 "Automated Milk Inclusive Coffee Apparatus"에 의하면 생우유를 위생적으로 커피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계를 구체적으로 잘 구현하여 놓았으나 구조 및 기능상 너무 복잡하게 하여 놓았다.
미국특허 6099878 "Automated Espresso and Milk Aeration Method"에 의하면 생우유를 위생적으로 커피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계를 구체적으로 잘 구현하여 놓았다.
미국특허 5498757 "Milk Frothing and Heating System"에 의하면 우유에 거품을 내는 장치에 대하여 구현하여 놓았다.
미국특허 6499389"Device for Producing Milk Froth for Cappuccino"는 쉽게 우유거품을 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것은 기계제작을 하기위하여 실지로 구현하여 상품화하기엔 너무 비용이 많이 들어 전문점에 비치된 수동기계에 비하여서도 현실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없거나 우유가 대기중에 개봉이나 노출이 되어서 우유의 관리가 완벽하지 않은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우유의 밀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필요시 소요량만 덜어내어(반출) 급속히 가열하고 거품을 내어주는 방법을 간단한 장치를 통하여 위생적으로 구현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도면 1]은 가열 및 거품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2]는 마개와 마개안의 박약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3]은 각각의 기능을 하는 구성물들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4]는 각각의 기능을 하는 구성물들과 우유용기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용기 110 : 마개
120 : "Y"자형 박약부 200 : 돌기(천공기구-파이프)
210 : 밸브 230 : 오리피스
300 : 혼합실(Mixing Chamber) 310 : 제2혼합실(Chamber-2)
일반적으로 우유는 종이, 유리병 혹은 플라스틱 병에 담겨져 냉장 유통되고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유통기간은 7일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최근 ESL(Extended Self Life)이라는 처리공법이 출현하여 포장공정 후 14일까지 유통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정된 유통기간 동안만이라도, 개봉되어 사용중 외부로부터 2차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밀봉용기(견고한 용기에 살(멸)균된 우유를 담은 특정 용기)에 포장된 우유를 혼합음료기기로 소분하여 사용하는 중에 2차 오염을 야기하지 않게 하고 좋은 상태로 오래 보관하기 위하여 외부의 균이나 미생물의 혼입을 막을 수 있도록 공정상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69387호 "일방향 밸브를 부착한 위생 밀봉용기", 10-2002-0072900호 "생우유의 급속 가열 및 거품발생장치", 10-2002-0076076호 "위생적인 생우유 복합음료 급속처리장치"를 통하여 우유의 위생관리 및 급속 가열 및 거품 처리장치에 대하여 기술한바 있다. 일방향 밸브를 부착한 경우, 우유는 밀봉용기에서 무접촉으로 소분할 수 있어서 2차 오염 없이 살균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밀봉된 우유는 전술한 발명의 장치에 장착된 연결구(Connector)인 주입구 부분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우유를 밖으로 배출하되, 외부로부터의 공기 및 액체를 통한 균과 미생물의 진입을 막아준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허의 개선과 연결 발명이며, 밀봉용기의 우유를 소분한 후 가열 및 거품을 내어주는 방법과 장치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장치와 그 장치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다.
"우유·커피 혼합음료"를 만들기 위한 본 발명의 개봉, 가열 및 거품발생 장치는 우유의 저장수단, 개봉수단 및 가열수단을 갖추었으며, 우유 처리 공정은 저장, 개봉, 이송 및 가열과 가열수단에 의한 거품발생(Frothing) 그리고 배출 등으로 나뉜다.
여기에서 저장수단은 내부에 박약부(120)[Thin and Weak]가 설치된 마개(110), 내용물이 밀봉된 용기(100) 및 그것들을 장치 내에 저장하는 공간을 포함한다.
용기(100)는 본 발명의 개봉수단에 적합한 마개(110)에 의하여 밀봉되어있다. 본 발명의 개봉수단에 적합한 마개(110)란 개봉수단인 돌기(200)[돌출부분]의 삽입으로 쉽게 천공이 될 수 있도록 마개(110)의 내부에 "Y"자형의 박약부(120)가 새겨져있는 마개(110)를 말한다.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우유용기(100)는 박약부(120)가 새겨진 마개(110)에 의하여 밀봉되어있으며, 저장수단에 의하여 장치내에 밀봉상태 그대로 보관된다.
용기(100)는 박약부(120)가 새겨진 마개(110)가 돌기(200)에 의하여 "설치개봉(Sealed Container Opening by Installation)"이 가능토록 되어있다. 설치개봉이란 밀봉용기(100)를 밀봉한 채 그대로 천공방법을 통하여 개봉하는 것을 말 한다
저장수단에 저장된 우유는 장치내에서 장기 저장에 적당한 저온으로 저장될 필요가 있어 장치내에는 적절한 저온을 유지할 수 있는 설비와 공간을 마련하여 밀봉용기(100)를 위치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장치내의 우유는 유통기한 동안 안전저장을 전제하여 저장에 적당한 온도인 10℃이하로, 바람직하게는 5℃이하의 얼지 않는 온도에서 관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유가 저온으로 장치내에 보관되므로 더운 우유·커피 혼합음료를 마시려 할 경우 음용하기 전, 필히 가열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개봉수단은 마개(110)를 뚫어 천공할 수 있도록 파이프로 만들어진 돌기(200)[突起]와 그 돌기(200)의 가운데에 마련된 이송로를 통하여 우유를 이송할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돌기(200)의 다른 한 끝에는 우유를 분출하는 오리피스(2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오리피스(230)의 분출구는 가열수단의 혼합실(300) 내에 위치한다.
돌기(200)의 높이는 마개(110)를 충분히 뚫어 관통할 수 있도록 마개(110)지름의 1/4 이상이 되도록 하며 돌기(200)의 지름은 마개(110)지름의 1/4이하가 되도록 한다.
돌기(200)와 오리피스(230)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중간에는 우유의 이송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210)가 부착되어있다. 마개(110)의 아래에 위치한 밸브(210)는 매번 소요량 만큼만의 우유가 이송될 수 있도록 유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개봉수단은 설치개봉을 의미하며, 밀봉된 우유가 장치내의 저장수단에 장착시, 용기(100)의 뚜껑은 돌기(200)가 압력을 가지고 마개(110)를 눌러 관통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설치개봉이란 말은, 장착시 돌기(200)가 마개(110)의 밖에서 안쪽으로 누르면, 돌기(200)의 압력으로 마개(110)의 안에 새겨진 "Y"자의 박약부(120)가 우선 파열되며 천공되고 그 천공으로서 돌기(200)에 의하여 우유의 이송로를 확보하는 것으로 개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이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개봉수단은 용기(100)의 정상적 개봉방법인 마개(110)를 돌려여는(Twist Open) 것을 의미하지 않고 마개(110)의 천공을 통한 관통개봉과 외부와 폐쇄된 이송로의 확보를 의미한다.
용기(100)를 밀봉하고 있는 마개(110)가 천공되면, 우유는 삽입된 파이프를 통하여 외부와 차단(Water and Airtight with Isolation)된 상태로 가열수단으로 이송된다. 우유는 매번 소요량만 이송되어 오리피스(230)의 분출구를 통해 혼합실(300)(Mixing Chamber) 내로 분사된다.
파이프를 통한 우유의 이송은 중력을 이용하므로 밸브(210)를 열어주는 것 이외의 별도의 동력은 필요치 않다. 또한 용기(100)내의 내용물에 항시 중력이 작용하므로 배출된 우유가 역류하여 저장수단내의 우유를 2차오염 시키지 않는다.
가열 공정(Heating)
가열수단은 혼합실(300)(Chamber), 오리피스(230)를 통하여 그곳으로 분사되는 저온의 우유, 압력을 가지고 뿜어져 나오는 가열증기, 전술한 것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열 교환으로 가열된 우유 및 그 혼합으로 생기는 물리적 싸이크론(Cyclone) 현상에 의한 거품기능을 부수적으로 포함한다.
가열수단은;
- 혼합실(300)(Mixing Chamber)과,
- 증기 및 공기의 입구(유도관-Conduit),
- 혼합실(300)의 입구 중앙에 위치하고 유체를 분사하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오리피스(230),
- 돌기(200)와 오리피스(2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토출량을 조절하는밸브(210),
- 혼합실(300)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 거품을 더욱 내기위한 공간인 제2혼합실(310)[Chamber 2]
- 가열과 거품이 완성된 공정후 우유의 배출구,
등으로 구성되어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혼합실(300)에서는 우유에 분사된 가열증기와의 열교환으로 우유의 순간가열과 그 분사와류(噴射渦流-Cyclone)에 의한 거품이 발생하도록 되어있어, 가열과 기포발생 등의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목표하는 우유·커피 혼합음료에 적당한 온도는 66~76℃이다.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우유의 온도를 5℃라 하면, 5℃의 우유 100㎖을 66∼76℃ 정도로 가열하려면 약 7,000여 칼로리의 열량이 필요하다.
증기는 보일러에서 생산되고 증기 가압펌프에 의하여 유도관을 통하여 혼합실(300)에 전달된다. 이러한 열은 가열증기가 기 설정된 온도로 사전 가열되어 있어서, 우유가 주입구를 통하여 혼합실(300) 내부로 들어오는 순간 혼합되고 열이 전도되어 순간 가열된다.
분사된 증기의 압력을 받은 우유는 물리적 분사와류의 힘으로 혼합실(300)내에서 회전하며 혼합된다.
증기표(Steam Table)에 의하면 1기압에서 99.09℃의 포화증기는 99.12Kcal/kg의 열량을 가지고 있다 한다. 이것은 99.12cal/g인 것으로 환산된다. 다시 말하여 약 70g의 가열증기(100℃ 증기의 부피는 1.673㎥/kg)만으로도 5℃ 100㎖의 우유를 70℃이상으로 충분히 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오리피스(230)를 통하여 증기를 우유와 함께 직접 분사함으로 데워진 가압증기에 포함된 잠열(潛熱)은, 골고루 우유를 데워준다. 고로 매우 짧은 시간에 70g이하의 적은 량의 증기로 소정의 온도까지 충분히 데울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우유를 카페라떼 및 카프치노에 가장 이상적인 온도 약 66℃~76℃가 되도록 가열한다.
이때 가열되어 배출되는 우유의 적절한 온도와 거품의 형태가 맛있는 카페라떼나 카프치노를 만드는 중요한 기준이다. 우유가 너무 뜨거우면 커피의 맛이 떨어지고 온도가 낮으면 커피 맛이 너무 진하고 특유의 비린내가 나기 때문이다.
이 온도는 혼합실(300) 벽면에 부착된 온도센서로 측정하여 감시(Monitoring)한다. 우유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온도센서가 유체제어용 밸브(210)를 절환[切換]시켜 증기 및 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하거나 중지시킨다.
혼합실(300) 벽면의 소재는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는 불소, 스테인리스등의 위생적인 소재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 공정(Frothing)
본 발명의 가열수단은 가열증기의 분사시 발생하는 부수적 현상인 분사와류[싸이크론] 현상에 의하여 거품공정을 수반한다.
우유는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특성 때문에 거품을 발생시킨다.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거품이 나기 쉽다.
우유에 거품이 잘 나게 하기 위하여서는, 우유에 엉켜있는 단백질군[蛋白質群]을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단백질군이 이와 같이 균일하게 분산된 3차원의 매트릭스 형태를 형성하고 있다면, 이 매트릭스가 작은 공기총에 올가미를 씌워 공기 방울을 도망가지 못하게 하여 거품을 형성하게 한다.
만약 우유에 거품이 발생되었다면 그 거품은 결국 없어진다. 그러나 카프치노에 포함된 거품은 비교적 지속성이 높다. 왜냐하면 이것은 잘게 부서진 단백질 타래(실타래와 유사)에 매우 조밀[濁密]한 공기층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즉 단백질이 큰 거품 보다는 작은 거품을 묶어 놓기에 적당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을 분사와류의 물리적 회전운동으로 적당히 분산시키고 주변의 단백질들과 일시적 결합을 갖도록 하여 증기와 공기를 불어넣어 소정의 거품을 만들어 준다.
우유가 찬 경우, 단백질은 비교적 굳어있다. 상온이상의 온도로 데워진 우유의 경우, 단백질은 더욱 유연하며 나뉘어지기 쉽고 결합을 형성하려한다. 만약 우유가 매우 뜨겁다면, 단백질은 변성[Denature]하려하고 주변의 단백질과 결합할 수 없게 된다. 결론적으로 60℃ 정도로 가열된 저지방우유(Skim Milk)가 거품을 내기에 가장 적당하다.
거품의 발생은, 우유에 적당량의 공기를 포함한 증기를 불어넣어 가열함과 동시에 목적한 거품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시 오리피스(230)를 약간 아래로 뉘어, 가열증기의 분출시 제트 추진효과를 내며 공정이 끝난 혼합물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목적한 우유의 형태에 따라 공기의 주입량을 조정하도록 한다. 단순히 가열만 할 경우 공기를 주입하지 않고 분사된 증기로부터의 열이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골고루 분산 될 수 있도록 하고, 거품이 필요한 경우 적당량의 공기를 가열증기와 함께 주입하여 가급적 거품이 많이 발생되도록 한다.
빠른 시간 안에 가열이 되었으나 거품이 충분치 않은 경우, 유체제어용 밸브(210)를 공기입구 쪽으로 열어 공기를 불어 넣어준다. 이때 오리피스(230)에서 뿜어진 공기는 우유에 열을 가하기보다는 거품을 풍성하게 내어준다.
균일하고 더욱 풍성한 거품을 내어주기 위하여 제2혼합실(310)[Chamber 2]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혼합실(310)에서 충분한 거품이 생긴 우유는 배출구를 통하여 제2혼합실(310) 밖으로 배출되어 음용될 수 있도록 용기(100)에 담긴다.
배출시 거품을 포함한 우유는 매우 가벼우므로 중력으로도 잘 흘러내리지 않으나, 오리피스(230)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 쉽게 혼합실(300)의 밖으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장치와 수단으로 우유를 순간 가열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카페라떼 혹은 카푸치노 등에 필요한 우유 거품을 내어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환경아래서 공정을 진행하므로, 공장출하시 밀봉된 상태의 우유용기(100)가 미개봉 상태로 장치내에 직접 설치되고, 마개(110)의 천공을 통한 개봉방법으로 내용물이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고 매번 소요량만 덜어내어(반출) 급속 가열·거품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적인 우유 급속 가열·거품 발생장치를 만들 수 있다.
실시예 1 : 설치 및 개봉 공정
- 우유를 밀봉한 용기(100)를 장치내의 용기(100) 위치에 설치한다.
(우유가 밀봉된 용기(100)는 마개(110)에 "Y"자의 박약부(120)가 새겨져있다)
- 개봉수단에 부착되어있고 장치내 마개(110)를 누를 수 있는 자리에 위치한 돌기(200)가 압력을 가지고 마개(110)를 누른다.
- 마개(110)에 새겨진 "Y"자의 박약부(120)가 파열되며 돌기(200)가 마개(110)를 관통한다.
- 돌기(200)가 용기(100)내로 들어가 내용물의 통로를 마련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성되며, 이로서 개봉수단과 용기(100)는 외부와 차단(Tight)된 상호간의 통로를 가지게 된다.
- 우유를 밀봉한 용기(100)가 장치내 저장수단에 설치가 완성된다.
- 장치내의 저온기능이 가동되어 우유의 보관에 적당한 저장온도로 조절한다.
실시예 2 : 가열 공정
- 보일러에서 충분히 가열된 증기는 가압펌프의 압력을 더하고 증기 유도관을 통하여 혼합실(300)로 이송되어 적당량의 공기와 함께 분사된다.
- 용기(100)내의 우유가 돌기(200)와 오리피스(230)사이에 형성된 파이프를통하여 이송되어지고 파이프에 부착된 밸브(210)의 조절기능으로 오리피스(230)로부터 소요량만큼 혼합실(300)로 분사된다.
- 분사된 우유와 가열증기가 혼합되어 순간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 순간적인 열교환으로 우유가 가열된다.
- 가열된 우유를 외부로 배출한다.
실시예 3 : 거품 공정
- 보일러에서 충분히 가열된 증기는 적당량의 공기와 함께 가압펌프의 압력을 더해 밸브(210)가 부착된 유도관을 통하여 혼합실(300) 내부로 들어가 토출된다.
- 용기(100)내의 우유가 파이프를 통하여 적당량이 이송되고 오리피스(230)로부터 혼합실(300)로 분사된다.
- 분사된 우유와 가열증기가 혼합되어 순간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 순간적인 열교환으로 우유가 거품을 내기에 적당한 온도로 가열된다.
- 증기와 우유의 혼합시 발생하는 분사와류 현상에 의하여 우유에 공기가 혼입되고 거품이 발생한다.
- 이때 혼합실(3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가열증기 흡입량을 조절하여 혼합실(300) 내부의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준다.
- 우유 속으로 토출된 증기는 우유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며 증기에 포함된 열은 우유를 더욱 가열시킨다.
- 오리피스(230)를 통하여 증기 속으로 토출되는 우유는 토출시 증기와 함께제트추진 및 싸이크론 효과를 가져 거품을 형성하는 힘을 보탠다.
-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 우유는 제2혼합실(310)로 이송되어 기포를 더욱 균일하고 풍부하게 만든다.
- 주입된 우유의 일부는 거품으로 변하고, 거품이 되지 않은 우유는 하부로 흘러내린다.
- 주입된 우유의 부피가 거품을 포함하여 많이 부풀어 졌다.
- 소정의 거품이 발생하고 가열된 우유를 배출용 밸브(2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관통개봉 방법을 통한 생우유 급속가열·거품 발생기의 장점은 우유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쉽고 간단하게 데우고 거품을 낼 수 있다는 점과 저렴한 가격에 기기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수십~수백만원 하는 기계와 달리,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에 제작할 수 있으며, 균일한 성상의 우유를 목적한대로 만들어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나 항상 일정한 거품과 맛을 재현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관통개봉 방법을 통한 급속가열·거품 발생 장치는 가정용, 사무실용, 업소용 및 자동판매기에서도 응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혼합음료를 만들기 위한, 우유의 저장수단, 개봉수단 및 가열수단을 갖춘 혼합, 가열 및 거품발생 장치에 있어서;
    - 내용물이 밀봉된 우유용기(100)를 밀봉상태로 장치내에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 마개(110)를 뚫어 천공하는 개봉수단,
    - 혼합실(300)과 그곳으로 분사되는 가열증기를 포함한 가열수단 등,
    장치내에 저장수단, 개봉수단 및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2. 제1항의 저장수단에 있어서, 저장수단은 마개(110), 내용물이 밀봉된 용기(100) 및 그것을 저장하는 장치내부의 공간을 포함하며, 우유용기(100)는 저장수단에 의하여 공장에서 출하된 밀봉상태 그대로의 우유용기(100)와 마개(110)를 미개봉의 밀봉상태로 장치내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3. 제1항의 저장수단에 있어서, 개봉수단에 포함된 돌기(200)가 저장수단에 포함된 마개(110)를 쉽게 천공 할 수 있도록 마개(110)의 안쪽에 "Y"자형의 박약(Thin and Weak)부가 새겨져있는 마개(110)를 부착한 밀봉용기(100)를 설치하여 보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혼합음료제조장치.
  4. 제1항의 개봉수단에 있어서, 개봉수단이 마개(110)를 뚫어 천공하는 기능을 가진 돌기(200)와 돌기(200)를 통하여 우유를 이송할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우유는 마개(110)가 관통되며 용기(100) 안으로 삽입된 돌기(200)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격리)된 상태로 가열수단 혹은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며, 돌기(200)의 한쪽 끝에는 이송된 우유를 분출하는 오리피스(230)가 부착되어 있고, 오리피스(230)의 분출구는 가열수단 혹은 다음공정의 장치 내에 위치하고, 우유는 오리피스(230)의 분출구를 통해 혼합실(300) 혹은 다음공정의 장치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5. 제1항의 가열수단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혼합실(300)과 그곳으로 분사되는 가열증기를 포함하며, 그 증기의 분사와류(噴射渦流)에 의한 순간적인 열교환으로 우유가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6. 제1항의 저장수단에 포함된 용기(100)의 마개(110)에 있어서, 마개(110)의 안쪽에 "Y"자형의 박약부(120)가 새겨져있어서 개봉수단에 의하여 쉽게 천공될 수 있도록 된 마개(110)로 밀봉된 것에 특징이 있는 우유용기(100).
  7. 제1항의 개봉수단에 있어서, 개봉수단에 포함된 돌기(200)가 마개(110)를 천공하는 방식으로 관통하여 개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8. 제1항의 개봉수단에 있어서, 천공시 삽입된 돌기(200)의 내부통로를 이송로로 이용하여 내용물이 무노출과 무개봉인 상태로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9. 제1항의 개봉수단에 있어서, 개봉수단에 포함된 이송로의 중간에 우유의 이송을 조절하는 조절밸브(210)가 부착되어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혼합음료제조장치.
  10. 제1항의 개봉수단에 있어서, 돌기(200)의 높이가 마개(110)지름의 1/4 이상이 되거나, 돌기(200)의 지름이 마개(110)지름의 1/4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11. 제1항의 개봉수단에 있어서, 이송로에 부착된 조절 수단에 의하여 저장수단에 보관된 우유를 매번 소요량만 덜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음료제조장치.
KR1020030030762A 2003-05-14 2003-05-14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KR20040098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762A KR20040098411A (ko) 2003-05-14 2003-05-14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762A KR20040098411A (ko) 2003-05-14 2003-05-14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411A true KR20040098411A (ko) 2004-11-20

Family

ID=3737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762A KR20040098411A (ko) 2003-05-14 2003-05-14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4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3855A1 (it) * 2016-05-27 2017-11-27 Progetti Snc Di Lorenzo E Massimiliano Valsecchi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latte caldo o freddo in tazza.
CN111067362A (zh) * 2020-01-06 2020-04-28 瑞幸咖啡信息技术(厦门)有限公司 一种液态奶供应装置及自助咖啡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3855A1 (it) * 2016-05-27 2017-11-27 Progetti Snc Di Lorenzo E Massimiliano Valsecchi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latte caldo o freddo in tazza.
CN111067362A (zh) * 2020-01-06 2020-04-28 瑞幸咖啡信息技术(厦门)有限公司 一种液态奶供应装置及自助咖啡机
CN111067362B (zh) * 2020-01-06 2024-05-31 瑞幸咖啡信息技术(厦门)有限公司 一种液态奶供应装置及自助咖啡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0972B2 (en) Method of improving the production of foam during the preparation of drinks from a cartridge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US20190328170A1 (en) Device and method to deliver a fluid to make a single serve brew or treatment
US7878108B2 (en) Disposable packaging for the distribution of a liquid preparation pumped by a venturi-effect device
CA2751843C (en) Select serving and flavored sparkling beverage maker
EP2592978B1 (en) Method for brewing beverage and cartridge containing infusible material
US4808346A (en) Carbonate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6665170B2 (ja) 混合室および冷却機能を有する飲料供給装置
US8677888B2 (en) Select serving and flavored sparkling beverage maker
US20130189400A1 (en)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n ionizer
US10624490B2 (en) Consumable for a dispenser and processing unit for a dispenser
US20130233180A1 (en) Select serving and flavored sparkling beverage maker system
TW201538112A (zh) 莢體基底限制器和方法
CN105011765A (zh) 用于基于筒使饮料碳酸化的方法和设备
GB2038953A (en) Home Beverage Dispensing Unit
KR20040098411A (ko) 마개의 관통개봉 방법을 이용한 음료제조장치
WO2007105944A2 (en) Foaming device for dispensing device
KR100469542B1 (ko) 생우유의 급속 가열 및 거품 발생 장치
KR900004432Y1 (ko) 탄산음료 제조기
WO2013154716A1 (en)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n ionizer
CN221215392U (zh) 一种厚乳喷射系统
JP3126202U (ja) 飲料自動販売機
KR102135620B1 (ko) 무인 카페 시스템용 탄산수 제조 장치
IT202100002936U1 (it) Macchina per l'erogazione di ginseng, caffe' espresso ed altre bevande fredde
KR20170085350A (ko) 생맥주 인출밸브
TW202102428A (zh) 包括產品釋出裝置之產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