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089A -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089A
KR20040098089A KR1020030030124A KR20030030124A KR20040098089A KR 20040098089 A KR20040098089 A KR 20040098089A KR 1020030030124 A KR1020030030124 A KR 1020030030124A KR 20030030124 A KR20030030124 A KR 20030030124A KR 20040098089 A KR20040098089 A KR 2004009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ignal
multimedia
mobile phon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741B1 (ko
Inventor
정재익
김성회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741B1/ko
Priority to US10/843,414 priority patent/US8233944B2/en
Priority to CNB2004100431704A priority patent/CN100527766C/zh
Publication of KR2004009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9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폴더 하우징에 제1스피커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 하우징에 제2스피커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DEVICE FOR SPEAKER IN WIRELESS TELE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통화용 신호일 때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0의 보이스 코덱21을 통해 상기 통화용 신호를 스피커40으로 출력한다. 또한 멀티미디용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0의 멀티미디어 코덱22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상기 스피커40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0은 통화용 신호를 처리하는 보이스 코덱21과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등을 위한 멀티미디어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코덱22를 포함한다.
초기 휴대폰에서는 벨소리나 각종 수신 음을 스피커가 필요 없는 부저음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이즈가 작은 음성전용 스피커만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멜로디 IC(YAMA칩)을 사용하게 되면서 폴리포닉 사운드(Polyphonic sound)를 지원할 수 있는 사이즈가 큰 스피커를 사용하기 되어, 최근에는 음성 출력과 각종 신호음을 모두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합한 복합형 스피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복합형 스피커의 경우 스피커의 크기가 종래의 스피커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휴대폰의 메인보드 전면에 부착하면 휴대폰 전면 케이스의 공간이 충분치 못해 휴대폰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휴대폰의 메인보드 후면에 부착하면 복합형 스피커 장착을 위한 공간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음성이 휴대폰 전면 케이스의 스피커 홀로 잘 전달되지 않아, 양호한 통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이외의 신호음 또는 음향 등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는 폴리 레벨이 높아질수록 사이즈가 커야 충분한 소리를 낼 수 있으며, LCD 상부에 들어가는 스피커의 크기는 전체 휴대폰의 크기에 커다란 영향을 주어 상기 휴대폰의 휴대성을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더군다나 현재 개발중인 캠코더 폰은 캠코더의 로타리 기능을 살리기 위한 특수 기구구조로 인해 휴대폰의 전체 사이즈가 동일한 다른 휴대폰에 비해 실장 공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폴더 하우징에 제1스피커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 하우징에 제2스피커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내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a - 도 6c는 상기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d - 도 6e는 상기 도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스피커의 개수나 상기 스피커들이 휴대 단말기에 실장되는 위치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폴더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부를 구비하지 않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코덱은 통화용 신호를 처리하는 보이스 코덱과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등을 위한 멀티미디어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피커는 통화용 스피커170과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통화용 스피커170 및 제2통화용 스피커170과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화용 스피커170과 제1멀티미디용 스피커180 및 제2멀티미디용 스피커18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용 스피커180, 181에서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위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통화용 스피커 또는 멀티미디어 스피커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1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은 제1제어부111과 제1제어부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110은 통화용 보이스 신호 수신시 상기 통화용 신호를 통화용 스피커170,171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등을 나타내는 멀티미디용 신호 수신시,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멀티미디용 스피커180,181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회전부200은 휴대 단말기의 폴더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폴더 하우징이 360도 회전가능 하도록 하게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을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타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의의 구성을 나타내 도면이고, 도 6a - 도 6c는 상기 두 개의 스피커가 휴대 전화기에 각각 따로 실장 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오디오 신호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도 3, 도 5 및 도 6a - 도 6c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통화용 신호를 처리하는 보이스 코덱과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등을 위한 멀티미디어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코덱으로 구성된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통화용 스피커170이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되고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이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400에 실장 된 상기 도 6a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보이스 신호인지 또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위한 멀티미디어 신호인지 판단한다. 상기 수신신호가 통화를 위한 보이스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보이스 신호를 보이스 코덱 121에서 처리하도록 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된 통화용 스피커17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수신신호가 멀티미디용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멀티미디어 코덱122에서 처리하도록 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에 실장 된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6a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경우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휴대 전화기의 본체하우징400에 실장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통화용 스피커170이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되고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이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400에 실장 된 상기 도 6b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보이스 신호인지 또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위한 멀티미디어 신호인지 판단한다. 상기 수신신호가 통화를 위한 보이스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보이스 신호를 보이스 코덱121에서 처리하도록 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된 통화용 스피커170을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수신신호가 멀티미디용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멀티미디용 코덱122에서 처리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에 실장 된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6b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경우, 통화용 스피커170을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폴더를 열지 않고도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에 실장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통화용 스피커170이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되고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이 상기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된 상기 도 6c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보이스 신호인지 또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위한멀티미디어 신호인지 판단한다. 상기 수신신호가 통화를 위한 보이스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보이스 신호를 보이스 코덱121에서 처리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된 통화용 스피커170을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수신신호가 멀티미디용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멀티미디용 코덱122에서 처리 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된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통해 출력시키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6c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경우,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의의 구성을 나타내 도면이고, 도 6d - 도 6e는 상기 세 개의 스피커가 휴대 전화기에 각각 따로 실장 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오디오 신호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도 3, 도 5 및 도 6d - 도 6e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 처리부는 통화용 신호를 처리하는 보이스 코덱과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등을 위한 멀티미디어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코덱으로 구성된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먼저, 제1통화용 스피커170이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되고, 제2통화용 스피커171이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되며, 멀티미디용스피커180이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400에 실장 된 상기 도 6d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보이스 신호인지 또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위한 멀티미디어 신호인지 판단한다. 상기 수신신호가 보이스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보이스 신호를 보이스 코덱121에서 처리 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된 제1통화용 스피커170을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1은 스위칭부190을 통해 상기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된 제2통화용 스피커171을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203단계에서의 보이스 신호는 상기 제1통화용 스피커170과 제2통화용 스피커171을 통해 동시에 출력되거나, 또는 선택적 어느 하나에만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신호가 멀티미디용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멀티미디용 코덱122에서 처리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에 실장 된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통해 출력시키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6d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경우, 통화용 스피커들170,171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170과 회전부200에 실장 함으로써 상기 폴더를 열지 않고도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에 실장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통화용 스피커170이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되고, 제1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이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400에 실장 되며, 제2멀티미디용 스피커181이 휴대 전화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된 상기 도 6e와 같은 휴대 전화기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보이스 신호인지 또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위한 멀티미디어용 신호인지 판단한다. 상기 수신신호가 보이스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보이스 신호를 보이스 코덱121에서 처리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폴더 하우징300에 실장 된 통화용 스피커170을 통해 출력시키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수신신호가 멀티미디용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멀티미디용 신호를 멀티미디용 코덱122에서 처리 한 후 상기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에 실장 된 제1멀티미디용 스피커18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스위칭부190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회전부200에 실장 된 제2멀티미디용 스피커181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205단계에서의 멀티미디용 신호는 상기 제1멀티미디용 스피커180과 제2멀티미디용 스피커181을 통해 동시에 출력되거나, 또는 선택적 어느 하나에만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도 6e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경우, 상기 멀티미디용 스피커들180, 181을 휴대 전화기의 본체 하우징400과 회전부200에 실장 함으로써 스테레오 사운드를 즐길 수 있으며, 휴대 전화기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스피커들을 따로 분류하여 실장 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크기가 줄어 LCD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폴더 하우징에 제1스피커가 장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 하우징에 제2스피커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는 통화용 스피커 또는 멀티미디용 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피커는 멀티미디용 스피커 또는 통화용 스피커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용 스피커는 메시지 수신음 또는 벨소리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폴더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 구비 시,
    상기 제1스피커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상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폴더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 구비 시,
    상기 제2스피커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상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폴더하우징에 하나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상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피커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하나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상기 장치.
KR1020030030124A 2003-05-13 2003-05-13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54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24A KR100547741B1 (ko) 2003-05-13 2003-05-13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10/843,414 US8233944B2 (en) 2003-05-13 2004-05-12 Speaker apparatus and method in a wireless telephone
CNB2004100431704A CN100527766C (zh) 2003-05-13 2004-05-13 无线电话中的扬声器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24A KR100547741B1 (ko) 2003-05-13 2003-05-13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89A true KR20040098089A (ko) 2004-11-20
KR100547741B1 KR100547741B1 (ko) 2006-01-31

Family

ID=3341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124A KR100547741B1 (ko) 2003-05-13 2003-05-13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33944B2 (ko)
KR (1) KR100547741B1 (ko)
CN (1) CN10052776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510B1 (ko) * 2005-11-29 2007-06-15 주식회사 팬택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를 다르게 구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87973B1 (ko) * 2005-11-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CN101500024B (zh) * 2008-01-30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盖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6238B2 (ja) * 2000-09-27 2011-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の音響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92049B1 (ko) * 2004-07-16 2006-06-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및 단말기의제어 방법
US7415290B2 (en) 2004-12-14 2008-08-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rminal with loudspeaker sound redirection
US20060136224A1 (en) * 2004-12-22 2006-06-22 Eaton William C Communications devices including positional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P2008492A4 (en) * 2006-04-14 2009-11-04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PLACEMENT SIGNAL REPLACEMENT SERVICE BASED 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CN101567918B (zh) * 2008-04-25 2012-07-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盖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30A (ja)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携帯電話一体型ビデオカメラ
GB2372664B (en) * 1998-05-08 2002-11-27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US6473631B1 (en) * 1999-12-20 2002-10-29 Motorola, Inc. Video swivel phone
CA2310150A1 (en) 2000-05-30 2001-11-30 Crosskeys Systems Corporation Metadata-driven statistics processing
JP3631119B2 (ja) 2000-09-25 2005-03-23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情報端末機
JP4716238B2 (ja) 2000-09-27 2011-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の音響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2027472A1 (en) * 2000-09-27 2002-04-04 Thomson Licensing S.A. Architecture for optimizing audio and video output states for multimedia devices
JP2002142226A (ja) * 2000-10-31 2002-05-17 Toshiba Corp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携帯電話機
JP2002281135A (ja) 2001-03-21 2002-09-27 Nec Viewtechnology Ltd 携帯電話
US7016704B2 (en) * 2001-04-02 2006-03-21 Move Mobile Systems, Inc. Coordinating images displayed on devices with two or more displays
JP2003060757A (ja) 2001-08-14 2003-02-28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JP3553916B2 (ja) * 2001-10-19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4056408A (ja) * 2002-07-19 2004-02-19 Hitachi Ltd 携帯電話端末
EP1525526A1 (en) * 2002-07-25 2005-04-27 Sonion Horsens A/S Mobile handset and assembly having multi-loudspeaker system
US6763226B1 (en) * 2002-07-31 2004-07-13 Computer Science Central, Inc. Multifunctional world wide walkie talkie, a tri-frequency cellular-satellite wireless instant messenger computer and network for establishing global wireless volp quality of service (qos) communications, unified messaging, and video conferencing via the intern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73B1 (ko) * 2005-11-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스피커 구동 온/오프의 제어 방법
KR100729510B1 (ko) * 2005-11-29 2007-06-15 주식회사 팬택 사용용도에 따라 스피커를 다르게 구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
CN101500024B (zh) * 2008-01-30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盖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7766C (zh) 2009-08-12
US8233944B2 (en) 2012-07-31
US20040229594A1 (en) 2004-11-18
CN1622565A (zh) 2005-06-01
KR100547741B1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3308923B2 (ja) 無線携帯端末
KR100800689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KR100557096B1 (ko) 양방향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표시방법
KR100606092B1 (ko)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KR20070075581A (ko)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100713438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 셋 간의 통화수행방법
KR100605936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소리음 자동변환 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JP2005348006A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JP2002330201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KR100630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75462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진동에 따른 동작수행 방법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KR1006635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간 표시방법
KR100630095B1 (ko) 휴대단말기의 저전압에 따른 동작 제어방법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JP2000270064A (ja) 電話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KR20050024014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형성 알림 방법
KR20050089263A (ko) 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번호입력 방법
KR20050080297A (ko) 자동폴더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알람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