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871A -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871A
KR20040097871A KR1020030030422A KR20030030422A KR20040097871A KR 20040097871 A KR20040097871 A KR 20040097871A KR 1020030030422 A KR1020030030422 A KR 1020030030422A KR 20030030422 A KR20030030422 A KR 20030030422A KR 20040097871 A KR20040097871 A KR 2004009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tric
extract
gastritis
ulc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만
김현표
이상윤
김현수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풀무원
풀무원건강생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풀무원, 풀무원건강생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풀무원
Priority to KR102003003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7871A/ko
Publication of KR2004009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염 및 소화성 궤양에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 등 5종 한약재를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를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진 혼합 추출액과 이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한약재 5종 혼합 추출액 및 추출물은 위염 및 소화성궤양에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작용이 있으며, 여러 가지 실험 모델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항위염, 항소화성궤양 제재의 개발 또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의 개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A herb extract that has prevention and cure effects on gastritis and peptic ulcer}
본 발명은 위염 및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을 포함하는 소화성궤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생약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약 소재인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물의 위염 및 소화성궤양에 대한 효과를 특징으로하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기능개선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위는 소화관의 일부이며, 식도와 소장(십이지장) 사이에 있는 주머니처럼 부푼 부분으로 식도를 통하여 들어온 음식물을 저장하고 소화에 용이하도록 잘게 부수며,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을 보내는 것을 조절하여 소화효소의 분비와 조화를 이루어 효율적인 소화와 흡수가 되도록 하는 장기이다. 사람의 위장관계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그 성질이 극히 다양하며 상부 위장관, 하부 위장관 또는 두 부분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유전적, 생리학적, 환경적 및 정신적 요인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위장 장해 요인이 있다. 상부 위장관의 대표적인 질환으로는위염(gastritis) 및 위궤양(gastritis), 십이지장궤양 (duodenal ulcer)을 통칭하는 소화성궤양이 있다. 위염은 위점막의 손상과 염증을 나타내는 것이며, 위궤양은 이러한 손상이 점막을 뚫고 점막하조직과 근육층까지 침범했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십이지장궤양은 십이지장에 발생한 궤양이며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을 통칭하여 소화성궤양이라고 한다. 이러한 위염 및 소화성궤양은 공격인자라 불리는 위산, 소염제, 세균감염과 방어인자라 불리는 점액, 세포재생, 알칼리분비 등의 불균형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위염 및 소화성궤양의 치료 방법은 과다 분비된 위산을 중화시키는 제산제 (antacid), 산분비 억제목적의 히스타민 길항제(histamine antagonist), 프로톤펌프저해제 (proton pump inhibitor), 콜린 억제제, 소화액에 대한 위내막의 내성을 증가시키고 회복을 돕는 위점막보호제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제거하고자 위의 약물과 항생제를 복합하여 처방하는 약물치료법 등이 있다. 제산제의 특징은 속효성이며, 위내의 pH를 상승시켜 위산을 중화시킴으로써 위산에 의한 위점막의 손상을 방어한다. 그러나 무기물질 투여에 의해 위장관평활근에 영향을 미쳐 변비, 설사를 일으키거나 알레르기성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소화성궤양에 널리 쓰이는 히스타민 수용기 차단 분비 억제제로는 시메티딘 (cimetidine)이 대표적이고 또한 이의 유도체로 라니티딘(ranitidine), 파모티딘(famotidine), 록사티딘(roxatidine) 등이 있는데 이들은 위점막내의 히스타민 수용기를 차단하여 히스타민 분자가 위세포로 하여금 산을 분비하지 못하도록작용한다. 임상에서 우수한 항궤양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치유된 재생점막과 점막하조직이 정상 조직에 비해 약한 구조를 갖고 있어 약물 투여 중지후에 다시 위산 등 공격인자에 쉽게 손상을 받기 때문에 재발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프로톤펌프 저해제로 오메프라졸(omeprazole)과 란소프라졸(lansoprazol) 등이 있으며, 위벽세포에서의 산분비를 최종단계에서 저해하여 강력한 산분비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재발율이 높고 설사, 발열, 두통,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위점막보호제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장기간 치료를 요하며, 복용량이 많다는 단점은 있으나 공격인자 억제제와는 다르게 재생점막이 정상과 유사하게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화성궤양 재발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위내에서 서식하는 세균의 일종인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가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점막 상피 세포간 접합부에서 서식하면서 만성적인 위궤양을 유발하는 그램음성간균으로 이를 근절하려는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고 현재까지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효용성, 부작용 및 내성 균주의 출현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근절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생약재를 이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 억제효과와 위염 및 소화성궤양에 관한 효능을 실험한 결과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를 선발하였고 이를 혼합한 추출물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염 및 소화성궤양에 효과가 있는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 등 5종의 한약재 혼합 열수 추출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위기능 개선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거나 생약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생약 추출물의 제조
생약소재
익지인(Alpinia oxyphylla Miq.)은 생강과 다년생 식물인 익지의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방향성 정유성분인 테르펜, 세스쿠이테르펜알콜 등이 주성분이며 동의치료에서 찬기운을 받아 설사하고 배가 아플때 건위구풍약으로 쓴다.
사인(Amomum villosum Lour.)은 생강과 식물로 주성분은 d-Camphor, d-Borneol, Bornyl acetate, Nerolidol 등이며 방향성건위약, 설사멎이약 등으로 쓴다. 동의치료에서는 배가 아프고 불룩하며 먹은 것이 내려가지 않고 메스꺼우면서 토할 때, 설사할 때 쓴다. 동의보감의 내경편 위부에서도 단방으로 쓰이며 위를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킨다고 나와있다.
육계(Cinnamomum loureirii Nees.)는 녹나무과에 속하며 정유인 계피알데히드가 주성분이며 장운동촉진작용과 구풍작용이 있다. 그 밖에 땀내기약, 열내림약, 아픔멎이약으로 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formonetin, astraisoflavan, soyasaponin, astragaloside Ⅰ-Ⅷ. calycosin등이 주성분이며 진정작용, 혈관확장,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고혈압, 심장병등에 쓰이며 강정약, 강장약, 등으로 쓰인다.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는 밀감의 숙과피를 건조한 것으로 주요성분은 정유인 헤스페리딘이다. 위액분비량을 늘이고 입맛을 돋우는 방향성 고미건위제로 사용되며, 동의보감 내경편 위부에 단방으로 위의 기를 잘 통하게 한다고 나와있다.
열수추출방법에 의한 생약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한약재 5종 추출물은 항위염 및 항위궤양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한약재 5종 추출물로 염산·에탄올 위손상, 위액 분비량, 산 분비량, 아스피린(aspirin)에 의한 위궤양, 인도메타신(indomethacin)에 의한 위궤양, 유문 결찰에 의한 쉐이(Shay) 위궤양 등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결과,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항위염 및 항소화성궤양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따르면, 염산·에탄올 위손상에 대해 한약재 추출물이 종래에 사용되던 라니티딘(ranitidine)에 비해 위손상 억제작용을 더욱 나타내고 있으며, 인도메타신 궤양과 아스피린 궤양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유문결찰에 의한 Shay 궤양에서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약재 5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한약재 5종 추출물은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약재 5종 추출물은 위염 및 위궤양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방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한약재 5종의 열수 추출물 제조 1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를 1:1:1:1:1의 비율로 각 200g씩 총 1kg을 가열 순환식 추출조에 넣고 물 10L를 가한 다음, 약 100℃에서 5시간 동안 환류시켜 추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거름 종이로 여과하여 그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 하였다. 얻어진 한약재 5종 추출물은 205g이었다.
<실시예2> 한약재 5종의 열수 추출물 제조 2
예비 실험을 통해 한약재 각각의 염산·에탄올 위손상에서 한약재 5종중 익지인, 사인, 육계의 효과가 특히 좋았으므로 이들을 보강하여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를 2:2:2:1:3의 비율로 하여 총 1kg을 가열 순환식 추출조에 넣고 물 10L를 가한 다음, 약 100℃에서 5시간 동안 환류시켜 추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거름 종이로 여과하여 그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 하였다. 얻어진 한약재 5종 추출물은 210g이었다. <실시예3> 위염 및 위궤양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한약추출물 10%, 알로에 76.7%, 항균작용을 하는 유산균 분말 0.5%, 마누카하니 2.5%, L-글루타민 1%, 액상과당 7%, 오렌지분말 1.68%,잔탄검 1.68%, 자몽종자추출물 0.04%를 혼합하여 반유동성인 액상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한약재 5종 각각의 추출물이 염산·에탄올 위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약재 각각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산·에탄올 유발 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한약재는 각각 1kg 씩을 취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동결건조 하였다. 얻은 고형분은 익지인 198g, 사인 202g, 육계 210g, 황기 280g, 진피 220g을 얻었다.
효능 동물실험은 체중 200g 내외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에 염산·에탄올 (60% 에탄올에 150mM 염산 함유) 1ml를 경구 투여하였다. 절식, 절수하에 1시간 방치한 후 에테르로 치사시켜 위를 적출하고, 유문 및 본문부를 결찰하여 위내에 2% 포르말린 용액 10ml를 넣었다. 포르말린 용액에 10분간 담그어 고정시키고, 대만부를 절개하여 발생된 손상 길이(mm)를 현미경(10배율)으로 측정하여 이를 위 손상지수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으며, 비교예로 라니티딘 및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위 손상지수가 73.5였으며, 대조약물인 라니티딘은 200mg/kg(실험동물체중) 용량에서 33.0의 위 손상지수를 보인 반면, 익지인은 300 및 500mg/kg 투여시 위 손상지수 각각 20.0과 7.3으로 유의성 있는 위손상 억제 효과를 보였고, 황기는 500mg/kg 용량에서 11.0으로, 육계는 300 및 500mg/kg 투여시 위 손상지수 각각 20.3과 5.3, 사인은 300 및 500mg/kg 투여시 각각 4.7과 1.3으로 유의성 있는 위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생약 투여군에서의 작용이 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실험예2> 한약재 5종 열수 추출물의 염산·에탄올 위손상에 대한 작용
상기 실시예1, 실시예2의 추출물과 실시예3의 시제품을 경구투여하고 실험예1에서와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2에 나타내었으며, 비교예로 라니티딘 및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위 손상지수가 71.2였으며, 대조약물인 라니티딘은 200mg/kg 용량에서 61.8의 위 손상지수를 보인 반면, 실시예-1은 500, 800 및 1000mg/kg 투여시 위 손상지수 각각 23.6, 7.7 및 2.0으로 유의성 있는 위손상 억제 효과를 보였고, 실시예-2는 500mg/kg 투여시 24.0 또한 실시예 -3도 98.6%의 위 손상지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유의성 있고 dose-dependent한 위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3> 인도메타신 위손상에 대한 효과
횐쥐를 24시간 절식시킨 뒤 0.5% CMC에 현탁시킨 인도메타신 35mg/kg을 피하주사하고 7시간 후에 동물을 과량의 에테르로 희생시킨 다음 위를 적출하였다. 적출한 위를 2% 포르말린 수용액으로 고정한 다음 대만부를 절개하여 선위부에 발생한 손상의 길이(mm)를 측정하여 손상정도를 산출하였다. 검체는 인도메타신 투여하기 30분전에 경구투여 하였다. 본 실험부터 실시예-1, 실시예-2의 투여량은 각각 800mg/kg으로 하였다.
대조군의 손상지수가 19.4인데 반하여, 실시예-1 800mg/kg을 투여한 경우 7.4로 시제품 1,000mg/kg 투여 시 6.3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4> 유문결찰 궤양에 대한 효과
흰쥐를 36시간 절식시킨 뒤 Shay등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흰쥐를 절식시킨 뒤, 에테르 마취하에서 유문을 결찰하고, 복부를 다시 봉합한 후, 15시간 후에 위를 적출하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2% 포르말린 수용액으로 고정한 다음 대만부를 절개하여 기저부에 생성된 궤양부위의 면적(㎟)을 구하여 다음과 같은 점수를 주어 위궤양의 정도를 궤양지수로 결정하였다. 검체는 유문결찰 직후에 십이지장 내로 주입하였다.
대조군의 위궤양지수가 4.1이었으며, 실시예-1은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실시예-2 800mg/kg 투여시 48.8%의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시제품 역시 2.4의 위궤양지수를 나타내어 41.5%의 억제효과를 보이기는 했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5> 아스피린에 의한 위궤양에 대한 작용
흰쥐를 24시간 절식시킨 뒤 Okabe등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즉, 흰쥐를 절식시킨 뒤, 에테르 마취 하에서 유문을 결찰하고, 즉시 약물을 위내로 주사하였다. 복부를 봉합한 후, 마취가 깨어나려고 할 때 아스피런 150mg/kg을 경구투여하고 7시간 후에 위를 적출하여 2% 포르말린 수용액으로 고정한 다음 대만부를 절개하여 선위부에 발생한 궤양의 면적(㎟)을 측정하여 손상을 산출하여 궤양지수로 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위궤양지수가 11.9를 나타낸 반면, 실시예-1은 800mg/kg의 용량에서 9.2로 22.7%, 실시예-2는 5.1로 57.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시제품도 61.3%의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8> 기초위액 분비에 대한 실험
체중 약 220g의 웅성 흰쥐를 24시간 절식시킨 뒤 ether 마취하에 유문결찰하고 위액분비량을 Shay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흰쥐를 ether 마취하에 개복하고 유문부를 결찰한 즉시 검체를 십이지장내로 주입하고 봉합한 후 4시간 후에 에테르로 치사시켜 위를 적출하고 저류된 위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위액은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위액량(ml), pH, 산도(㎍eq/ml) 및 총산분비량(㎍eq/ml/4h)를 측정하였다. 산도 및 총산분비량은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사용하여 0.05N NaOH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구하였다.
실시예-1 및 -2의 십이지장 투여시 위액분비량에서는 대조군이 7.1ml을 나타낸 것에 반하여, 실시예-1의 경우 4.4ml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2와 시제품의 경우에도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각 4.5와 4.9ml의 높은 분비 억제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에는 대조군의 1.33에 비하여 각각 0.1, 0.12, 0.07정도 높아졌지만 유의성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도의 경우 대조군의 103.5mEq/L에 비하여 시제품의 경우 61.4mEq/L을 나타냄으로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총산배출량은 대조군의 692.1mEq/ml/4hr에 비교하여 실시예-1, -2 및 시제품 각각 385.0, 322.5, 297.1uEq/ml/4hr를 나타내어 모두에서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 등을 포함하는 한약재 5종 혼합 추출물은 염산·에탄올 위손상, 인도메타신 위손상, 유문결찰에 의한 위궤양, 아스피린에 의한 위궤양, 기초위액 분비에 대한 실험에 대한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항위염제 및 항위궤양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한 위염 및 소화성궤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익지인, 사인, 육계, 황기, 진피를 혼합해 열수 추출한 추출액과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한 추출물
  2. 제 1항의 추출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20030030422A 2003-05-13 2003-05-13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20040097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422A KR20040097871A (ko) 2003-05-13 2003-05-13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422A KR20040097871A (ko) 2003-05-13 2003-05-13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871A true KR20040097871A (ko) 2004-11-18

Family

ID=3737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422A KR20040097871A (ko) 2003-05-13 2003-05-13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78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80B1 (ko) * 2007-04-23 2009-04-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귤껍질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2921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종근당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9506A (ko) * 2017-04-25 2018-11-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 및 설파살라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77267A1 (ko) * 2022-03-18 2023-09-21 주식회사 종근당 iCet(innovative CKD extraction technology) 기술이 적용된 육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180B1 (ko) * 2007-04-23 2009-04-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귤껍질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2921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종근당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31780A1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종근당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9506A (ko) * 2017-04-25 2018-11-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 및 설파살라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77267A1 (ko) * 2022-03-18 2023-09-21 주식회사 종근당 iCet(innovative CKD extraction technology) 기술이 적용된 육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in et al. Antiulcer effects of Achyrocline satureoides (Lam.) DC (Asteraceae)(Marcela), a folk medicine plant, in different experimental models
US2008003837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the effects of diseases and maladies of the upper digestive tract
US7438932B2 (en) Method for treating stomach ulcers with herbal extract composition
CN101306180B (zh) 一种治疗胃病的药物
KR100566542B1 (ko) 알레르기성 비염과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Nanumala et al. Anti-ulcer activity of the ethanolic extract of leaves Physalis angulata L
KR20040097871A (ko)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JP6980791B2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5497361A (zh) 消炎止痛疏郁汤
CN104784621A (zh) 一种治疗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645887B1 (ko) 산약 및 적석지를 함유하는 소화성 궤양 치료용 조성물
Dizaye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s of Calendula officinalis Extract
CN106266369A (zh) 消炎止痛疏郁汤
Mishra et al. Incorporated Approach towards Development of New Herbal Drugs for Peptic Ulcer Disease
CN105031587A (zh) 一种治疗胃肠疾病的中药制剂
Folawiyo et al. Curative Potential of Hyptis suaveolens Aqueous Extract on Ethanol-Induced Gastric Ulcer in Albino Wistar Rats
CN104587365A (zh) 一种治疗寒湿困脾型泄泻的中药组合物
CN111789930A (zh) 一种治疗老胃病的中药及其制备方法
Kaur et al. Role of herbal bioactives and their formulations in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CN111658741A (zh) 一种治疗胃炎、消化道溃疡的中药组合物
Babu et al. ROLE OF HERBS IN MANAGEMENT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PEPTIC ULCERS
KR20220001553A (ko) 역류성 식도염 예방용 청위탕 조성물
CN116421671A (zh) 基于五味消毒饮的清热解毒中药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
RU2302255C2 (ru) Противоязвенная расти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CN113368059A (zh) 一种治疗幽门螺旋杆菌肝胃不合的中药干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