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109A -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109A
KR20040097109A KR1020040087245A KR20040087245A KR20040097109A KR 20040097109 A KR20040097109 A KR 20040097109A KR 1020040087245 A KR1020040087245 A KR 1020040087245A KR 20040087245 A KR20040087245 A KR 20040087245A KR 20040097109 A KR20040097109 A KR 2004009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bicycle
front whe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균
Original Assignee
신철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균 filed Critical 신철균
Priority to KR102004008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7109A/ko
Publication of KR2004009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14Hand-grips for hand-operated cr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베벨기어와 회전축을 통하여 핸들의 왕복운동을 전륜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는 자전거 몸체 일단에 설치되어 그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왕복운동하는 핸들과, 핸들에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왕복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직선운동 전환부재와, 직선운동 전환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운동 전환부재와, 회전운동 전환부재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자전거의 바퀴에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달부재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자전거의 추력을 크게하고자 할 경우 전륜을 구동함으로써 자전거에 보다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고, 탑승자가 필요시에 핸들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자전거의 전륜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탑승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FRONT WHEEL DRIVING APPARATUS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전륜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베벨기어와 회전축을 통하여 핸들의 왕복운동을 바퀴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체인을 통하여 구동된다. 자전거의 패들에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 구동 스프라킷 휠이 회전하게 되어 그 회전력을 통하여 체인이 순환운동을 한다. 체인의 운동은 피동 스프라킷 휠에 전달되어 피동 스프라킷 휠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에 따라, 일반적인 자전거 장치는 체인에 의한 힘의 전달을 통하여 회전력을 받아 구동된다.
종래의 자전거는 대부분이 패달의 회전력을 뒷바퀴에 전달한다. 종래의 자전거가 뒷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된 원인은 패들을 밟은 힘이 구동 스프라킷 휠의 전방반원에서 회전하는 경우가 후방반원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크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후륜 구동의 장점을 갖는 전륜구동 자전거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다. 전륜구동 자전거는 험한 산길 등에서 조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전륜구동 자전거 장치의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85-6629호는 뒷바퀴를 일반적인 패들구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앞바퀴를 핸들이 회전되도록 하여 핸들의 회전력을 체인을 통하여 앞바퀴로 전달하는 자전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전륜구동 자전거 장치의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84364호는 기어를 핸들 축에 회동하도록 고정하고 체인을 연동시켜 그 회전운동을 앞바퀴에 전달하는 자전거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전륜 자전거 장치는 핸들이 앞바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자전거의 탑승시 탑승자가 지속적으로 팔을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들어 자전거를 통하여 운동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어 탑승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당한 운동효과를 내는 자전거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욕구들을 만족하고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추력을 크게하고자 할 경우 후륜 뿐만 아니라 전륜을 구동함으로써 자전거에 보다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필요시에 핸들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자전거의 전륜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심폐기능을 발달시키고, 상·하체, 허리근육을 길러주며 팔과 다리의 상호작용을 키우는 등으로 인하여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전륜 구동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운동 전환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전거 프레임에 설치된 핸들의 왕복운동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충기능을 위한 회전전달축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자전거 몸체 2: 프레임축
3: 끼움부 4: 힌지
6: 베어링하우징 7: 양축결합부재
8: 조향축 10: 핸들
12: 왕복운동축 14: 손잡이
16: 손잡이축 17: 제1 축고정바
18: 제2 축고정바 21: 걸림편
22: 걸림편바 23: 복원스프링
24: 걸림편 가이드나사 25: 와이어
26: 토션스프링 27: 단속키
28: 나사부 29: 단속키홀더
30: 직선운동 전환부재 32: 직선운동 전환바
36: 캠측면축 38: 캠측면축 고정바
40: 회전운동 전환부재 42: 캠
43: 회전축 고정부재 44: 캠회전축
46: 제1 베벨기어 47: 제1 주동기어
48: 제1 종동기어 50: 회전전달축
52: 제1 축 53: 다각기둥 구멍
54: 제2 축 55: 다각기둥 돌출부
56: 완충스프링 60: 회전운동 전달부재
62: 고정축 64: 일방향 베어링
66: 제2 베벨기어 67: 제2 주동기어
68: 제2 종동기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는 자전거 몸체 일단에 설치되어 그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왕복운동하는 핸들과, 핸들에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왕복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직선운동 전환부재와, 직선운동 전환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운동 전환부재와, 회전운동 전환부재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자전거의 바퀴에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달부재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전륜 구동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몸체(1)에는 베어링하우징(6)이 설치된다. 베어링하우징(6)에는 그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프레임축(2)이 끼워진다. 프레임축(2)의 일단은 양축연결부재(7)와 결합된다. 양축연결부재(7)에는 바퀴의 양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의 조향축(8)이 설치된다. 프레임축(2)의 타단에는 끼움부(3)가 형성되어 있다. 자전거의 핸들(10)은 끼움부(3)에 형성된 구멍과 힌지(4)가 결합된다.
자전거의 핸들(10)은 왕복운동축(12)과 왕복운동축(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손잡이축(16)으로 구성된다. 손잡이축(16)의 양 단부에는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가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14)는 손잡이축(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한 베어링 등의 다양한 장치가 장착된다.
왕복운동축(12)에는 직선운동 전환부재(30)가 결합된다. 직선운동 전환부재(30)의 직선운동 전환바(32)는 왕복운동축(12)에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링크연결(34) 등의 장치에 의하여 결합된다. 직선운동 전환바(32)는 금속바 형상으로 제작되고 캠 장치를 구동하는 원동절의 기능을 한다.
직선운동 전환부재(30)는 회전운동 전환부재(40)에 캠이 연결된다. 회전운동 전환부재(40)는 캠(42)과 캠회전축(44) 중심에 축연동되는 제1 베벨기어(46)로 구성된다. 캠(42)의 캠회전축(44)은 프레임축(2)에 결합된 회전축 고정부재(43)에 형성된 베어링과 결합된다. 제1 베벨기어(46)는 회동을 전달하는 제1 주동기어(47)와 회동되는 제1 종동기어(48)로 구성된다.
회전운동 전환부재(40)의 제1 베벨기어(46)는 회전전달축(50)에 연결된다. 회전전달축(50)은 양축연결부재(7)의 제1 축고정바(17)와 조향축(8)의 제2 축고정바(18)의 단부에 형성된 베어링에 축중심이 끼워진다. 회전전달축(50)은 회전운동 전달부재(60)에 연결된다. 회전운동 전달부재(60)는 제2 베벨기어(66)와 제2 베벨기어(66)의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하는 일방향 베어링(64)으로 구성된다. 제2 베벨기어(66)는 회동을 전달하는 제2 주동기어(67)와 회동되는 제2 종동기어(68)로 구성된다.
회전전달축(50)은 제2 베벨기어(66)에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제2 베벨기어(66)의 제2 종동기어(68)는 자전거의 바퀴와 회전하는 일방향 베어링(64)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2 베벨기어(66)의 제2 종동기어(68)는 전륜부의 일방향 베어링(64)과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탑승자는 전륜 구동을 위하여 핸들(10)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킨다. 핸들(10)은 프레임축(2)에 힌지(4)로 결합되기 때문에 힌지(4)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선회 왕복운동한다.
핸들(10)의 선회 왕복운동은 직선운동 전환바(32)에 전달된다. 직선운동 전환바(32)의 단부는 캠측면축(36; 도 3 참조)에 연결된다. 캠측면축(36)은 직선운동 전환바(32)의 일단을 캠(42) 장치의 측방에 결합시킨다. 그에 따라, 캠(42)은 캠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캠회전축(44)의 회전은 제1 베벨기어(46)의 제1 주동기어(47)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1 베벨기어(46)의 제1 종동기어(48)는 제1 주동기어(47)와 기어이가 맞물려서 회전하게 된다.
제1 종동기어(48)의 회전은 회전전달축(50)을 회전시킨다. 회전전달축(50)의 회전을 통하여 제2 베벨기어(66)의 제2 주동기어(67)가 회전한다. 제2 베벨기어(66)의 제2 주동기어(67)는 제2 종동기어(68)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2 종동기어(68)의 회전을 통하여 전륜이 회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운동 전환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직선운동 전환바(32)는 캠측면축(36)을 통하여 캠(42)에 결합된다. 캠측면축(36)은 캠측면축 고정바(38)에 형성된다. 캠측면축(36)은 캠측면축 고정바(38)와 캠(42)과의 사이에 간극을 조절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캠(42)에는 캠회전축(44)이 형성된다. 캠회전축(44)은 캠(42) 회전의 중심축이 된다. 캠회전축(44)은 회전축 고정부재(43)와 베어링 결합된다. 그에 따라, 캠회전축(44)은 회전축 고정부재(43)에 형성된 베어링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베벨기어(46)의 제1 주동기어(47)는 캠회전축(44)의 회동에 따라 회전운동하도록 캠회전축(44)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회전운동 전환부재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직선운동 전환바(32)는 핸들(10)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상하 왕복운동을 한다. 직선운동 전환바(32)의 상하 왕복운동은 직선운동 전환바(32)가 캠회전축(44)과 빗겨져서 배치된 캠측면축(36)에 연결되기 때문에 캠(42)을 캠회전축(44)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운동으로 전환된다. 결과적으로, 직선운동 전환바(32)의 왕복운동은 캠회전축(44)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전거 프레임에 설치된 핸들의 왕복운동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운동축(12)은 프레임축(2)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부(3)에 힌지(4)가 결합된다. 끼움부(3)는 밑면이 'ㄷ'자형인 기둥으로 제작되어 그 사이에 왕복운동축(12)이 끼워진다. 끼움부(3)에는 걸림홈(9)이 형성되어 걸림편(21)이 걸릴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왕복운동축(12)은 내부가 빈 중공형의 샤프트가 사용된다. 그러한 왕복운동축(12)의 내부에는 걸림편(21)의 일부가 내제된다. 걸림편(21)은 걸림홈(9)에 걸림과 풀림이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걸림홈(9)의 높이에 비하여 약간 더 작은 높이를 갖고 밑면이 판형상인 직육면체형으로 제작된다. 걸림편(21)의 직육면체형의 모서리는 라운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걸림편(21)의 일측면에는 걸림편바(22)가 형성된다. 걸림편 가이드나사(24)는 걸림편바(22)의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걸림편 가이드나사(24)는 왕복운동축(12)에 고정된다. 걸림편 가이드나사(24)의 직경은 걸림편바(22)에 형성된 홈의 폭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지만, 걸림편바(22)에 형성된 홈의 길이에 비하여 상당히 작게 제작된다. 그에 따라, 걸림편바(22)는 걸림편 가이드나사(24)를 통하여 인도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걸림편바(22)가 연장되는 걸림편(21)의 일측면과 걸림편 가이드나사(24)의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3)이 설치된다. 걸림편바(22)의 단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25)가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는 손잡이축(16)과 접합면(15)에서 회전대우한다. 그에 따라, 손잡이(14)는 손잡이축(1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손잡이(14)와 손잡이축(16)의 회전대우 방식에는 베어링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된다.
손잡이(14)와 손잡이축(16)에는 토션스프링(26)의 각 단부가 고정된다. 토션스프링(26)은 회전 모멘트인 토크에 대하여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토션스피링(26) 이외에도 토크에 대하여 복원력을 갖는 스파이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속키(27)는 손잡이축(16)의 내경에 고정되는 원기둥형 부재(27a)와 원기둥형 부재(27a)의 밑면에 형성된 키 부재(27b)로 구성된다. 키 부재(27b)는 높이가 반경에 비하여 훨씬 큰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된다. 키 부재(27b)의 단부에는 나사부(28)가 형성된다.
단속키홀더(29)는 단속키(27)와 나사부(28)에서 결합된다. 나사부(28)는 단속키홀더(29)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단속키(27)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나사부(28)는 단속키홀더(29)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단속키(27)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부(28)는 일반적인 삼각나사 이외에 각나사, 사다리꼴나사, 톱니나사 등으로 형성된다. 특히, 나사부(28)에서 원활한 복원을 위하여 볼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속키홀더(29)는 단속키(27)를 감싸도록 일단에 단속키(27)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속키홀더(29)의 타단에는 걸림편바(22)에 연결되는 와이어(25)가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손잡이축(16)과 손잡이(14)의 구성에 따른 자전거 핸들의 단속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전거 핸들의 단속동작은 핸들(10)이 자전거의 프레임축(2)의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핸들(10)의 걸림을 해제하는 동작과 핸들(10)의 회전이 불필요할 경우 핸들(10)이 프레임축(2)에 걸리는 동작으로 구분된다.
핸들(10)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4)를 손잡이축(16)에 대하여 돌린다. 손잡이(14)가 회전되면 손잡이(14)에 고정된 단속키(27)도 회전된다. 단속키(27)와 단속키홀더(29)에 형성된 나사부(28)는 단속키(27)의 회전에 의하여 조여진다. 그에 따라, 단속키홀더(29)에 연결된 와이어(25)가 손잡이(14) 방향으로 당겨진다.
와이어(25)가 당겨짐에 따라 걸림편바(22)와 걸림편(21)이 손잡이축(16)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걸림편(21)은 프레임축(2)의 끼움부(3)에 형성된 걸림홈(9)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핸들의 왕복운동축(12)은 프레임축(2)의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 왕복운동할 수 있다.
핸들(10)이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상태로 되기 위해서 운전자가 당겼던 손잡이(14)를 놓는다. 손잡이(14)에 작용한 운전자의 비틀림력이 더이상 작용하지 않을 경우 토션스피링(26)의 토션 복원력에 의하여 손잡이(14)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그에 따라, 단속키(27)와 단속키홀더(29)에 형성된 나사부(28)의 조임이 풀리게 되어 당겨졌던 와이어(25)가 풀리게 된다.
와이어(25)가 풀림에 따라 복원스프링(23)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편(21)은 프레임축(2)의 끼움부(3)에 형성된 걸림홈(9)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걸림편이 걸림홈(9)에 끼워진 상태로 복원되어 핸들의 왕복운동축(12)을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충기능을 위한 회전전달축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축(50)은 다각기둥 구멍(53)이 형성된 제1 축(52)과 제1 축(52)의 다각기둥 구멍(53)에 끼워지는 다각기둥 돌출부(55)를 포함하는 제2 축(54)으로 구성된다.
다각기둥 구멍(53)과 다각기둥 돌출부(55)는 스플라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다각기둥 구멍(53)은 제1 축(52) 내경원주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스가 되고, 다각기둥 돌출부(55)는 보스에 형성된 홈의 개수만큼 스플라인이 형성된 스플라인 축이 된다. 완충스프링(56)은 제1 축(52)의 다각기둥 구멍(53)의 바닥과 제2 축(54)의 다각기둥 돌출부(55)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다.
그에 따라, 필요시에 제1 축(52)은 제2 축(54)으로 압축되거나 제2 축(54)으로부터 인장될 수 있다. 완충스프링(56)은 이와 같은 압축 또는 인장을 통하여 주행중 충격에 대하여 자전거의 상하진동을 완충시켜준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추력을 크게하고자 할 경우 후륜 뿐만 아니라 전륜을 구동함으로써 자전거에 보다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필요시에 핸들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자전거의 전륜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건강증진 장치로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있다.

Claims (10)

  1. 자전거 몸체 일단에 설치되어 그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선회 왕복운동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선회 왕복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직선운동 전환부재와;
    상기 직선운동 전환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운동 전환부재와;
    상기 회전운동 전환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운동을 자전거의 바퀴에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달부재로 구성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 전환부재는 상기 핸들에 링크 결합되는 직선운동 전환바로 구성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전환부재는 상기 직선운동 전환바에 연결되는 캠과;
    상기 캠의 회전중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주동기어 및 상기 제1 주동기어와 기어이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종동기어로 구성된 제1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 전달부재는 상기 제1 종동기어와 회전하도록 축설치된 회전전달축과;
    상기 회전전달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전달축과 회전하는 제2 주동기어 및 상기 제2 주동기어와 기어이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종동기어로 구성된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축은
    일단에는 상기 제1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다각기둥 구멍이 형성된 제1 축과;
    일단에는 상기 제1 축의 다각기둥 구멍에 끼워맞춰지는 다각기둥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 주동기어가 설치되는 제2 축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의 다각기둥 구멍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축의 다각기둥 돌출부 사이에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자전거의 몸체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왕복운동축과;
    상기 왕복운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축과;
    상기 손잡이축에 회전대우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왕복운동축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핸들 단속수단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단속수단은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를 당기도록 일단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단속키와;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에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걸림편바로 구성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축에 각 단부가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바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설치되는 걸림편 가이드나사와;
    상기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나사의 사이에 개제되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KR1020040087245A 2004-10-29 2004-10-29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KR20040097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245A KR20040097109A (ko) 2004-10-29 2004-10-29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245A KR20040097109A (ko) 2004-10-29 2004-10-29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109A true KR20040097109A (ko) 2004-11-17

Family

ID=37375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245A KR20040097109A (ko) 2004-10-29 2004-10-29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71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75B1 (ko) * 2006-11-21 2007-11-15 오승석 전륜구동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WO2012108710A2 (ko) * 2011-02-11 2012-08-16 Na Pilsoo 전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
WO2014084532A1 (ko) * 2012-12-01 2014-06-05 Lee Jaekyu 팔의 휘두름(swing)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구동 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75B1 (ko) * 2006-11-21 2007-11-15 오승석 전륜구동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WO2012108710A2 (ko) * 2011-02-11 2012-08-16 Na Pilsoo 전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
WO2012108710A3 (ko) * 2011-02-11 2012-10-11 Na Pilsoo 전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
WO2014084532A1 (ko) * 2012-12-01 2014-06-05 Lee Jaekyu 팔의 휘두름(swing)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구동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900B1 (en) Cycle provided with a moving fulcrum type leverage
JPH05508367A (ja) 二輪車
CN205186449U (zh) 一种人体重力驱动自行车
US6508146B2 (en) Pedal driving mechanism of bicycle
KR20040097109A (ko)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RU2514949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риводимое в движение вручную
KR100902190B1 (ko) 상하 왕복 구동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CN111712428B (zh) 增加扭矩的自行车驱动装置
DE102004048114A1 (de) Radnaben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rad
KR20050032552A (ko) 자전거의 전륜 구동 장치
US6516685B2 (en) Power-saving driving device for treading pedals of bicycle
KR100779301B1 (ko) 다기능 자전거
US6347803B1 (en) Bicycle with two chain driven differentials
JP2006159919A (ja) クランク装置とそれを備えた乗り物用クランクペダル装置
KR20050029660A (ko) 페달구동형 킥보드
KR100500901B1 (ko) 무체인 동력전달장치용 샤프트부재
KR200400752Y1 (ko) 전,후륜구동 자전차
KR101899315B1 (ko) 핸드 사이클 크랭크
RU2111883C1 (ru) Шатун
KR100854586B1 (ko) 왕복동식 페달을 가지는 자전거
KR200282593Y1 (ko) 후방 조향장치를 구비한 아동용 자전거
RU2004115860A (ru) Привод велотренажера
JP2005145419A5 (ko)
KR20100033321A (ko) 외발자전거
KR101412017B1 (ko) 자전거용 구동축에 작용되는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