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011A - 투수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수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011A
KR20040097011A KR1020040082442A KR20040082442A KR20040097011A KR 20040097011 A KR20040097011 A KR 20040097011A KR 1020040082442 A KR1020040082442 A KR 1020040082442A KR 20040082442 A KR20040082442 A KR 20040082442A KR 20040097011 A KR20040097011 A KR 2004009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ermeable
pitcher
volum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823B1 (ko
Inventor
최경문
Original Assignee
최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문 filed Critical 최경문
Priority to KR102004008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8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011A/ko
Priority to CNA2007101065130A priority patent/CN101058973A/zh
Priority to CNA2007101065126A priority patent/CN101058214A/zh
Priority to CNA2005101136616A priority patent/CN176046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적인 돌의 형상과 같은 인조석 형태의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식생 내지 식재 등의 자연생태적인 기능을 함께 갖추면서 풍화된 돌의 형태를 구현할 수도 있고, 호안 및 하천 바닥과 같은 수중이나 주차장 ·옹벽 그리고 도로변 절개지의 토사 유출이나 토사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여러 시공 장소 및 해당 시공 장소의 각종 부위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투수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입경 13∼50mm로 이루어진 굵은 골재 60∼66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부피%를 성분으로 하여 성형시에 상기 굵은 골재끼리의 얽힘에 의해 식생 공간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투수공을 구비하게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투수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Water Permeable Block, Manufa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호안 법면이나 수중 또는 주차장이나 옹벽 그리고 도로절개지의 토사유출방지용 법면블록 등에 시공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초목 등이 식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다공질성 투수공을 구비하고 돌이 풍화된 듯한 질감이 표현된 투수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이나 하천·호수·수로변 등에는 제방이 구축되고, 이 제방에는 파도나 유속에 의한 제방 유실의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와 크기의 호안용 블록이 설치되고 있다. 또, 이러한 호안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이외에, 하천 바닥과 같은 수중이나 주차장 ·옹벽 등에도 시설물의 보전을 위해 해당 용도에 부합되는 블록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블록들은 단순히 해수 또는 빗물 등으로 인한 침식이나 세굴 ·유실을 방지하는 치수적인 기능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며, 시공 장소에 서식하는 동 ·식물의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의 식생(植生) 내지 식재(植栽)과 같은 자연생태적인 면에서는 소홀한 면이 있다.
한편, 호안용 블록의 경우에는 식생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블록이 출시되어 있기는 하나, 제품의 강도나 형태 및 기능면에서 하천 바닥과 같은 수중이나 주차장 ·옹벽 등의 시공 장소는 물론 각 시공 장소의 측면을 비롯한 각종 부위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블록은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식생 내지 식재 등의 자연생태적인 기능을 함께 갖추면서 호안 및 하천 바닥과 같은 수중이나 주차장 ·옹벽 등의 여러 시공 장소를 비롯하여 해당 시공 장소의 각종 부위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투수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울퉁불퉁한 자연석 형태로 제조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각형 블록으로 제조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철근 고리 부착형 블록으로 제조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가로 방향 골을 구비한 형태로 제조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가로 세로 방향 골을 구비한 형태로 제조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도 8 : 각각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판상의 형태로 실시된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9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중공의 형태로 실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 도 9의 투수 블록에 연결쇠가 부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 도 10의 투수 블록이 연결쇠로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에 돌 및 흙 채움 공간이 구비된 형태로 실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 도 12의 투수 블록이 다수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도 20 : 도 12의 투수 블록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 :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흙 채움 공간을 구비한 형태로 실시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 : 도 18의 투수 블록에 대한 시공 단면도
도 23 : 도 18의 투수 블록에 대한 다른 시공 단면도
도 24 : 도 18의 투수 블록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 : 도 21의 투수 블록에 대한 시공 단면도
도 26 : 도 21의 투수 블록에 대한 다른 시공 단면도
도 27 : 도 18의 투수 블록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 : 도 24의 투수 블록에 대한 시공 단면도
도 29 : 도 24의 투수 블록에 대한 다른 시공 단면도
도 30 : 도 18의 투수 블록에 대한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31,41,51,61,71,81,91,121,181a : 투수공
12,202,242 : 초목 32,73,124 : 연결고리
42,52 : 골 62,72 : 볼록부
82 : 자연석 91,122 : 골재
93 : 어소공간 101,111 : 연결쇠
123 : 내부공간 181,201,211,241 : 투수 블록
181b : 양질토 182 : 콘크리트 기초
183 : 천단 콘크리트 184,216 : 부직포
185,214 : 잡석 212 : 와이어
213 : 지층 215 : 연결고정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수 블록은, 입경 13∼50mm로 이루어진 골재 60∼66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부피%를 성분으로 하여 성형시에 상기 골재끼리의 얽힘에 의해 식생 공간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다공질성 투수공을 구비하게 되는 것을 주된 구성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은, 입경 3∼13mm의 잔골재 19∼38부피%와 입경 13∼50mm의 굵은 골재 37∼43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 부피%를 성분으로 하여 성형시에 상기 골재끼리의 얽힘에 의해 식생 공간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다공질성 투수공을 구비하며, 표면에 규사를 이용한 고압의 블록면 파냄에 의해 풍화된 돌의 질감 처럼 볼록면의 형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수 블록은, 울퉁불퉁한 자연석 형태의 블록, 각형 블록, 철근 고리 부착형 블록, 체인 고리 부착형 블록, 연선 와이어 부착형 블록, 판상 블록, 어소 블록, 사석채움 식재블록, 계단형 블록, 조립형 블록을 포함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가로 및 가로 세로 방향으로 식재가 가능한 골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이 더 부착되거나, 자연석 질감의 인공석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은, 입경 13∼50mm의 골재 60∼66부피%, 시멘트 27∼33부피%, 물 4∼10부피%를 믹싱장치에서 5∼7분간 혼합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이를 진동으로 다진 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8시간 이상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입경 3∼13mm의 잔골재 19∼38부피%와 입경 13∼50mm의 굵은 골재 37∼43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 부피%를 믹싱장치에서 5∼7분간 혼합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이를 진동으로 다진 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8시간 이상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혹은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 질감의 인공석을 주형으로 제작하여 부착시키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규사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블록의 표면을 파냄으로써 풍화된 돌의 질감을 표현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은, 투수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수직으로 적층하고, 최상단의 투수 블록 위에는 천단 콘크리트로 마감하며, 적층된 투수 블록들의 후면부에는 부직포를 매설한 상태에서 잡석들을 지층에 대해 경사면으로 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는, 투수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들여쌓기 방식으로 적층하고, 최상단의 투수 블록 위에는 천단 콘크리트로 마감하며, 적층된 투수 블록들의 후면부에는 부직포를 매설한 상태에서 잡석들을 지층에 대해 경사면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투수 블록의 내부에 양질토를 채운 상태로 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투수 블록의 후면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 블록을 적층 시공할 때 상기 홈에 와이어를 부착시키면서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가 연결 고정핀에 의해 상기 지층에 고정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투수 블록의 전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투수 블록들이 적층 시공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으로 인한 투수 블록 전면부의 상하 공간에 초목이 식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토사를 채운 다음, 초목의 씨앗 등을 파종하고 다짐을 하여, 투수 블록의 표면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개시하고자 하는 투수 블록은, 굵은 골재와 시멘트 및 물을 원료로 하여 성형되며, 모래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굵은 골재는 입경이 13∼50mm의 것을 말하며, 그 함량은 총량 100부피%를 기준으로 60∼66부피%가 함유된다. 그리고, 시멘트는 27∼33부피%가 함유되며, 물은 4∼10부피%가 첨가된다.
이에 따라, 이들 굵은 골재와 시멘트 및 물을 배합하여 성형하게 되면, 굵은 골재끼리의 얽힘에 의해 식생 공간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다공질성 투수공이 성형품에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의 시공시에 투수공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게 되면 여기에 초목 등이 식재되어 자연생태적인 투수 블록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굵은 골재의 입경이 13∼50mm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여야 골재끼리 얽힘에 의해 적정한 수의 투수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굵은 골재와 시멘트 및 물의 배합비로 혼합하여야 본 발명이 개시하고자 하는 투수 블럭의 강도와 성형성 및 적정한 수량의 투수공 형성에 가장 적합하다.
혹은, 투수공의 형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성분 조성을 입경 3∼13mm의 잔골재 19∼38부피%와 입경 13∼50mm의 굵은 골재 37∼43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 부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은 경우에는 울퉁불퉁한 자연석 형태로 제조되어 전면에 걸쳐 투수공(11)을 갖는 블록으로서, 하천 법면의 보호를 위한 호안용 블록이나 수중 및 주차장 등에 적용하면 알맞으며, 이렇게 하천 법면이나 수중 또는 주차장 등에 시공시 투수공(11)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넣으면 여기에 초목(12) 등이 서식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2와 같이, 각형 블록으로 제조되어 전면에 걸쳐 투수공(21)을 갖는 구조로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각형 블록 역시 호안용이나 수중 또는 주차장용으로 적용하기에 알맞다.
또한, 도 3과 같이, 이동 및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블럭의 내부에 철근 연결고리(32)가 매설된 고리 부착형 블록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체인 고리가 구비된 체인 고리 부착형 블록이나 체인 와이어가 구비된 체인 와이어 부착형 블록으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블록은 호안용 블록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전술한 예들과 마찬가지로 투수공(31)에 흙이나 모래가 채워짐으로써 초목 등의 식재가 가능케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투수공(41,51)뿐만 아니라 가로 혹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골(42,52)이 형성되어, 이들 투수공(41,51)과 골(42,52)에 식재가 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는데, 도 6은 투수공(61)이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볼록부(62)들을 구비한 투수 블록을 예시한 것이고, 도 7은 투수공(71)이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볼록부(72) 구조에 철근 연결고리(73)가 부가된 투수 블록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8은 투수공(81)이 형성된 부위 이외에 자연석(82) 또는 자연석 질감의 인공석이 부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 도면으로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투수 블록의 표면에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규사를 분사함으로써 풍화(風化)된 돌의 질감을 매우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규사는 일반 모래와 달리 강도가 높기 때문에 용이하게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수공(91)이 형성된 골재(92)의 안쪽으로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어소(魚巢)공간(93)가 구비된 어소 블록의 형태로 개시될 수도 있으며, 도 10과 같이 도 9의 형태에 연결쇠(101)가 더 구비됨으로써 도 1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연결쇠(111)들에 의해 투수 블록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사석(沙石)채움 식재블록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투수공(121)이 마련된 골재(122)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123)에 돌과 모래를 채울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그 내부 공간(123)에 돌을 채운 후 다시 흙을 다져서 채움으로써 식재가 가능하게 되는 블록이다. 특히, 사석채움 식재블록의 모퉁이에는 연결고리(124)가 마련되어 있어서, 도 13과 같이 다수의 블록끼리 연결되어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석채움 식재블록은 도 14∼도 2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도 18과 같이 전면부에 라운딩부(R)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자연석 처럼 돌출된 부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면으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은 옹벽 등에 시공이 용이하도록 계단형 블록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시공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조립형 블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투수 블록에 대한 시공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21은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이 흙 채움 공간을 구비한 형태로 실시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투수 블록에 대한 시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투수공(181a)이 형성된 투수 블록(181)의 내부에 수침(水浸)에 의해서도 지지력이 잘 저하되지 않는 양질토(181b)가 채워진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초(182) 위에 수직으로 투수 블록(181)들이 적층되고, 최상단의 투수 블록(181) 위에는 다시 천단(天端) 콘크리트(183)로 마감한 구조로 시공이 이루어지는데, 적층된 투수 블록(181)들의 후면부에는 투수 블록(181)들이 지층의 토압(土壓)에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부직포(184)를 매설한 상태에서 잡석(185)들이 경사면으로 시공된다.
도 23은 투수 블록들이 들여쌓기 형태로 적층된 구조로 시공이 이루어진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와 같은 들여쌓기 형태의 구조는 투수 블록(201)의 시공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며, 투수 블록(201) 사이의 전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초목(202)이 식재될 수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21의 예와 동일하다.
도 24는 후면부에 홈(211a)이 형성된 투수 블록(211)을 보여주고 있는데,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211)을 적층 시공할 때 투수 블록(211)의 홈(211a)에 와이어(212)를 부착시켜 지층(213)에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투수 블록(211) 후면부에 경사지게 시공된 잡석(214)의 후방으로 와이어(212)의 말단부가 연결 고정핀(215)에 의해 부직포(216) 뒷면의 지층(213)에 고정이 된다. 이때, 도 25와 같이 투수 블록(211)들이 수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도 26과 같이 들여쌓기 구조로 적층될 수도 있다.
또,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241)의 전면부가 경사면(241a)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28 및 도 29에서 처럼 시공되었을 때 적층된 투수 블록(241)들의 상하 공간에 초목(242)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도 30과 같이, 도 24의 투수 블록이 한쌍으로 연결된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모든 예의 투수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투수공들이 구비됨으로써, 호안 법면이나 수중, 주차장, 옹벽 등에 시공시 투수공에 흙이나 모래를 채운 다음에 잔디나 풀씨 또는 작은 나무의 씨앗 등을 씨드 스프레이로 파종하여 다짐을 하면, 블록의 상면 및 측면 등 지표면 등으로 노출된 모든 면에 걸쳐서 식생이 이루어지게 되어 생태계의 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블록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수 블록은, 식생 내지 식재 등의 자연생태적인 기능을 함께 갖추면서 호안 및 하천 바닥과 같은 수중이나 주차장 ·옹벽 등의 여러 시공 장소를 비롯하여 해당 시공 장소의 각종 부위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용도와 시공성 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입경 13∼50mm로 이루어진 골재 60∼66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 부피%를 성분으로 하여 성형시에 상기 골재끼리의 얽힘에 의해 식생 공간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다공질성 투수공을 구비하게 되는 투수 블록.
  2. 입경 3∼13mm의 잔골재 19∼38부피%와 입경 13∼50mm의 굵은 골재 37∼43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부피%를 성분으로 하여 성형시에 상기 골재끼리의 얽힘에 의해 식생 공간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다공질성 투수공을 구비하며, 표면에 규사를 이용한 고압의 블록면 파냄에 의해 풍화된 돌의 질감 처럼 볼록면의 형태가 형성된 투수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은, 울퉁불퉁한 자연석 형태의 블록, 각형 블록, 철근 고리 부착형 블록, 체인 고리 부착형 블록, 연선 와이어 부착형 블록, 판상 블록, 어소 블록, 사석채움 식재블록, 계단형 블록, 조립형 블록을 포함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가로 및 가로 세로 방향으로 식재가 가능한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 질감의 인공석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7. 입경 13∼50mm의 골재 60∼66부피%, 시멘트 27∼33부피%, 물 4∼10부피%를 믹싱장치에서 5∼7분간 혼합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이를 진동으로 다진 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8시간 이상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8. 입경 3∼13mm의 잔골재 19∼38부피%와 입경 13∼50mm의 굵은 골재 37∼43부피%와 시멘트 27∼33부피% 및 물 4∼10 부피%를 믹싱장치에서 5∼7분간 혼합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이를 진동으로 다진 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8시간 이상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을 부착시키는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 질감의 인공석을 주형으로 제작하여 부착시키는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규사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블록의 표면을 파냄으로써 풍화된 돌의 질감을 표현하는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12. 투수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수직으로 적층하고, 최상단의 투수 블록 위에는 천단 콘크리트로 마감하며, 적층된 투수 블록들의 후면부에는 부직포를 매설한 상태에서 잡석들을 지층에 대해 경사면으로 시공하는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
  13. 투수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들여쌓기 방식으로 적층하고, 최상단의 투수 블록 위에는 천단 콘크리트로 마감하며, 적층된 투수 블록들의 후면부에는 부직포를 매설한 상태에서 잡석들을 지층에 대해 경사면으로 시공하는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내부에 양질토를 채운 상태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후면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 블록을 적층 시공할 때 상기 홈에 와이어를 부착시키면서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가 연결 고정핀에 의해 상기 지층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전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투수 블록들이 적층 시공되었을 때 상기 경사면으로 인한 투수 블록 전면부의 상하 공간에 초목이 식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 블록의 표면에 토사를 채운 다음, 초목의 씨앗 등을 파종하고 다짐을 하여, 투수 블록의 표면에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의 시공방법.
KR1020040082442A 2004-10-15 2004-10-15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KR10054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442A KR100542823B1 (ko) 2004-10-15 2004-10-15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CNA2007101065130A CN101058973A (zh) 2004-10-15 2005-10-14 透水块体及其制造方法和施工方法
CNA2007101065126A CN101058214A (zh) 2004-10-15 2005-10-14 透水块体及其制造方法和施工方法
CNA2005101136616A CN1760461A (zh) 2004-10-15 2005-10-14 透水块体及其制造方法和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442A KR100542823B1 (ko) 2004-10-15 2004-10-15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955A Division KR20060033698A (ko) 2005-08-03 2005-08-03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11A true KR20040097011A (ko) 2004-11-17
KR100542823B1 KR100542823B1 (ko) 2006-01-20

Family

ID=3670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442A KR100542823B1 (ko) 2004-10-15 2004-10-15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42823B1 (ko)
CN (3) CN1010582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55B1 (ko) * 2006-11-27 2008-02-12 유성콘크리트(주) 저독성 콘크리트 어도블럭 제조방법
KR100802050B1 (ko) * 2006-11-27 2008-02-12 유성콘크리트(주) 저독성 콘크리트 호안블럭 제조방법
KR100830372B1 (ko) * 2006-11-27 2008-05-20 유성콘크리트(주) 친환경 콘크리트 세굴방지블럭
KR100880887B1 (ko) * 2008-05-30 2009-01-30 (주)자움 식재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2021897A (zh) * 2010-11-17 2011-04-2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生态护岸的构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9256B (zh) * 2009-03-18 2011-07-27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能植草的挡土墙构造方法
CN102212991A (zh) * 2011-02-23 2011-10-12 河海大学 硬质光滑护岸体表面改造方法
CN103243680A (zh) * 2012-02-06 2013-08-14 北京亚盟达新型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具备反滤功能的挡墙砌块
CN103469765B (zh) * 2013-09-18 2015-06-24 上海新纺织产业用品有限公司 一种生态护坡单元及其组成的生态护坡结构
CN112341064B (zh) * 2020-12-01 2021-06-29 济南黄河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透水水泥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035B1 (ko) * 1996-03-11 1999-04-01 이영렬 식생 가능한 투수성 호안블럭
JPH11172680A (ja) * 1997-12-16 1999-06-29 Sekisui Plastics Co Ltd 排水用裏込め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排水構造
KR100300302B1 (ko) * 1998-08-21 2001-10-27 김인희 식물의생육이가능한콘크리트블록
KR20000014509A (ko) * 1998-08-21 2000-03-15 김선배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보도블록
KR20000056374A (ko) * 1999-02-19 2000-09-15 고연표 다공질 자연석 호안 생태블럭
KR100392506B1 (ko) * 2001-02-28 2003-07-28 박용운 생태블록
KR100416960B1 (ko) * 2001-04-30 2004-02-05 청진건설(주)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식생콘크리트 조성물
KR200250172Y1 (ko) * 2001-06-25 2001-11-16 오부영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100442048B1 (ko) * 2001-08-16 2004-07-30 한재명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KR100522036B1 (ko) * 2002-11-21 2005-10-18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녹화용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536429B1 (ko) * 2002-12-09 2005-12-16 유인항 무기질 투수재 블록 구조와 무기질 투수재를 이용한 성토공법
KR100405164B1 (ko) * 2003-03-06 2003-11-12 재단법인 충남대학교 산학연교육연구재단 산업폐기물 및 폴리머를 이용한 상호연결 복층형 고기능포러스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55B1 (ko) * 2006-11-27 2008-02-12 유성콘크리트(주) 저독성 콘크리트 어도블럭 제조방법
KR100802050B1 (ko) * 2006-11-27 2008-02-12 유성콘크리트(주) 저독성 콘크리트 호안블럭 제조방법
KR100830372B1 (ko) * 2006-11-27 2008-05-20 유성콘크리트(주) 친환경 콘크리트 세굴방지블럭
KR100880887B1 (ko) * 2008-05-30 2009-01-30 (주)자움 식재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2021897A (zh) * 2010-11-17 2011-04-2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生态护岸的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823B1 (ko) 2006-01-20
CN101058973A (zh) 2007-10-24
CN101058214A (zh) 2007-10-24
CN1760461A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0927393B1 (ko) 생태블록
KR100460284B1 (ko)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KR100542823B1 (ko) 투수 블록의 제조방법
JP3416097B2 (ja) 生態安定化ブロック
KR100886746B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KR20060033698A (ko)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096060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00710493B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KR100879482B1 (ko) 생태복원용 식생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000054344A (ja) 法面及び護岸擁壁用構造物及びその施工法
KR200303587Y1 (ko) 다공질 망태블록
KR100669528B1 (ko) 식생 호안블록
JP6811470B2 (ja) 護岸用マット、護岸用緑化構造体及び護岸工法
KR200185859Y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1148193B1 (ko) 호안블록
KR100740293B1 (ko) 돌망태용 식생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48351Y1 (ko) 기초식생호안블록
KR200425239Y1 (ko) 식생 호안블록
KR101134390B1 (ko) 친환경 인공암 시공방법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100443378B1 (ko) 돌망태 포러스 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