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345A -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345A
KR20040096345A KR1020030029325A KR20030029325A KR20040096345A KR 20040096345 A KR20040096345 A KR 20040096345A KR 1020030029325 A KR1020030029325 A KR 1020030029325A KR 20030029325 A KR20030029325 A KR 20030029325A KR 20040096345 A KR20040096345 A KR 2004009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creen data
data
main
tu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9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345A/ko
Publication of KR2004009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6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 A41C3/065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e.g. by means of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기기의 주 튜너를 통해 수신된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는 해당 기기에 표시하고, 이와는 별도로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화면 데이터는 기설정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조정하여 이를 연결된 소정의 외부 표시 기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부 채널의 화면 데이터를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외부 표시 기기를 통해 시청자가 볼 수 있게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Method for transporting sub-screen data to extern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해당 기기의 주 튜너를 통해 수신된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는 해당 기기에 표시하고, 이와는 별도로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화면 데이터는 기설정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조정하여 이를 연결된 소정의 외부 표시 기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부 채널의 화면 데이터를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외부 표시 기기를 통해 시청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튜너(11)와 부 튜너(12)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튜너가 구비되어 있어서 마이컴(10)이 사용자가 선택한 키 신호가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 PIP, : 이하 "PIP"로 약칭함) 기능 선택 신호가 아니면, 주 튜너(11)만 구동시켜서 주 채널의 영상 및 음성 신호만을 선국하고, A/V신호처리부(13)를 이용해 각기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 출력부와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통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각기 CRT와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달리, 사용자가 선택한 키 신호가 PIP 기능 선택 신호인 경우에는, 마이컴(13)이 주 튜너(11)와 부 튜너(12)를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시켜서, 주 튜너(11)를 통해 선국된 주 채널의 신호가 A/V신호 처리부(13)로 출력되고, 부 튜너(12)를 통해 선국된 부 채널의 신호가 PIP처리부(14)를 통해 A/V신호 처리부(13)로 출력되면, A/V신호 처리부(13)는 주 채널의 신호와 부 채널의 신호를 하나의 PIP화면으로 만들어 비디오 신호 출력부(15)를 통해 CRT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가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 2에 좀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데, 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한 키(key) 신호가 PIP모드 선택 키 신호인 경우에(S20) 주 튜너를 구동하고(S21), 이와 더불어 부 튜너를 구동시켜(S22) 그 구동시킨 주 튜너와 부 튜너를 통해 주 채널 신호와 부 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데이터, 예컨대 OSD(On Screen Data)를 각기 생성하며(S23)(S24), 이렇게 생성한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S25) 하나의 PIP화면으로서 CTR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26).
이와 같이, 종래에는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 이를 해당 기기에 표시함으로써, 서로 다른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시청권에 관한 다툼이 일어나는 경우 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와 부 채널의 화면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해당 기기의 주 튜너를 수신된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는 해당 기기에 표시하고, 이와는 별도로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화면 데이터는 기설정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조정하여 이를 연결된 소정의 외부 표시 기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부 채널의 화면 데이터를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외부 표시 기기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부화면 전송 코드와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별 결과, 상기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부화면 전송 코드가 동일한 경우, 주 튜너와 더불어 부 튜너를 구동시키고, 비디오와 오디오 각각의출력 포트를 활성화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구동된 부 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 따라 디코딩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기설정된 부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따라 생성한 부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조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 따라 해상도를 변환한 OSD와 상기 제 3 단계에 따라 디코딩한 음성 데이터 각각을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활성화시킨 비디오 출력 포트와 오디오 출력 포트를 통해 외부 표시 기기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통해,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장치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표시하는 양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표시 기기로의 부화면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DTV 등의 소정 기기의 전원이 온(ON)되고(S100),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통한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제어 코드가 입력되면(S200), 입력된 제어코드가 기설정된 부화면 전송 코드 예컨대, OSD(On Screen Data)전송 코드와 동일한 가를 판별한다(S302).
이하에서는 부화면 전송 코드를 OSD 전송 코드로 하여 설명한다.
계속해서, 상기 판별 결과, 입력된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OSD 전송 코드가 동일한 경우, 비디오 외부 출력 포트와 오디오 외부 출력 포트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중에서 기설정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각기 활성화(enable)시킨다(S600),(S700).
그리고, 상기 비디오/오디오 외부 출력 포트의 활성화와 더불어 주 튜너와 더불어 부 튜너를 구동시키도록 한다(S400)(S500).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판별 결과, 입력된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OSD 전송 코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모드 즉, 주 화면과 부 화면을 합성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하는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디폴트(default)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판별 결과, 입력된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OSD 전송 코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비디오/오디오 외부 출력 포트의 활성화와 더불어 주 튜너와 더불어 부 튜너가 구동되면, 도 3b에서와 같이, 주 튜너와 부 튜너를 통해 각기 주 채널 영상/음성과(S410)(S420), 부 채널 영상/음성을 수신하여(S510)(S520) 주 채널 영상/음성은 해당 기기의 표시 화면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되고, 부 채널 영상/음성은 외부 표시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들을 각기 분리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 튜너를 구동시켜, 해당 기기의 안테나를 통해 주 채널 영상과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주 채널의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이에 대응되는 주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여(S421) CRT 등을 통해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S422), 수신된 주 채널의 음성 데이터는 디코딩되어(S411)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데(S412), 전술한 내용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주 튜너의 구동과는 별도로, 또 하나의 튜너인 부 튜너를 구동시켜, 해당 기기의 안테나를 통해 부 채널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각기 수신한다(S510)(S520).
상기 수신한 부 채널의 영상 데이터는 디코딩되고(S521), 이 디코딩된 부 채널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기설정된 크기의 OSD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S511).
그리고, 생성한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와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를 비교하여(S512)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상기 OSD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정한다.
즉, 상기 생성한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와 해당 기기와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그대로 유지하고(S513), 상기 생성한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가 그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확대하고, 이와 달리 상기 생성한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가 그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도록 한다(S514).
상기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는 레지스터 등에 미리 셋팅해 두도록 하며, 상기 해상도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OSD 화면 데이터의 해상도와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상기 OSD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정하고 나면, 해상도 조정이 완료된 OSD 화면 데이터를 상기 로우 또는 하이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활성화된 비디오 외부 출력 포트를 통해 외부 표시 기기로 전송한다(S530).
한편, 상기 부 튜너를 구동시켜, 해당 기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부 채널의 음성 데이터는 디코딩되어 상기 로우 또는 하이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활성화된 오디오 외부 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외부 표시 기기로 전송하여 본 발명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주 화면은 해당 기기에서 표시하고, 부 화면은 해당 기기에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에서 표시하는 양태를 보여 주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화면 데이터는 종래의 화면 데이터 표시 양태로서, 주 화면 데이터와 일정 크기의 부 화면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 데이터로서 해당 기기(주 표시 기기)에 표시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주 튜너를 통해 수신된 주 화면 데이터는 해당 기기에서 표시하고,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부 화면 데이터는 상기 해당 기기와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부 표시 기기)를 통해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해당 기기의 주 튜너를 수신된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는 해당 기기에 표시하고,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화면 데이터는 외부 표시 기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부 채널의 화면 데이터를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외부 표시 기기를 통해 시청자가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표시 기기로의 부 화면 전송 방법은, 해당 기기의 주 튜너를 수신된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는 해당 기기에 표시하고, 이와는 별도로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화면 데이터는 기설정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조정하여 이를 연결된 소정의 외부 표시 기기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부 튜너를 통해 수신된 부 채널의 화면 데이터를 주 채널의 화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외부 표시 기기를 통해 시청자가 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된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부화면 전송 코드와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별 결과, 상기 제어 코드와 기설정된 부화면 전송 코드가 동일한 경우, 주 튜너와 더불어 부 튜너를 구동시키고, 비디오와 오디오 각각의 출력 포트를 활성화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구동된 부 튜너에 의해 선국된 채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 따라 디코딩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기설정된 부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 따라 생성한 부화면 데이터의 해상도를 연결된 외부 표시 기기의 해상도에 맞게 조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 따라 해상도를 변환한 OSD(On Screen Data)와 상기 제 3 단계에 따라 디코딩한 음성 데이터 각각을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활성화시킨 비디오 출력 포트와 오디오 출력 포트를 통해 외부 표시 기기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지는, 외부 표시 기기로의 부화면 전송 방법.
KR1020030029325A 2003-05-09 2003-05-09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KR20040096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25A KR20040096345A (ko) 2003-05-09 2003-05-09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25A KR20040096345A (ko) 2003-05-09 2003-05-09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45A true KR20040096345A (ko) 2004-11-16

Family

ID=3737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325A KR20040096345A (ko) 2003-05-09 2003-05-09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3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90B1 (ko) * 2005-08-05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US7903176B2 (en) 2005-08-05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90B1 (ko) * 2005-08-05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US7903176B2 (en) 2005-08-05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8830B2 (en) Video display appliance having function of varying screen ratio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09766B2 (ja) 電子機器及びこれに用いるリモコン送信機の操作ボタンガイド方法
US7283104B2 (en) PIP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4187276A (ja) 表示装置及びリモコン装置
US20060143680A1 (en)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video device
US7679688B2 (en) Wireless TV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JP200529525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60256986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01111970A (ja) 音声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JP2001111916A (ja) 輝度制御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US8130322B2 (en) Method of picture control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KR20040096345A (ko) 주 화면 데이터와 부 화면 데이터의 독립적인 표시 방법
JP2002158888A (ja) リモコン付き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523652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0727408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KR20030010320A (ko) 스크린 방향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진 투사 디스플레이시스템
JP508256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H11187325A (ja)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0250013B1 (ko) 평판 티브이 겸용 평판 아날로그 모니터
KR100193099B1 (ko) 더블 윈도우 기능을 이용한 텔레비젼 수상기 최적화면 표시방법
KR200195311Y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표시 제어장치
KR960004820B1 (ko) 리모콘 키의 동작명령 설정장치 및 설정방법
KR101079594B1 (ko)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tv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tv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