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295A -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295A
KR20040096295A KR1020030029191A KR20030029191A KR20040096295A KR 20040096295 A KR20040096295 A KR 20040096295A KR 1020030029191 A KR1020030029191 A KR 1020030029191A KR 20030029191 A KR20030029191 A KR 20030029191A KR 20040096295 A KR20040096295 A KR 20040096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hinese character
copies
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심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친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친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친친
Priority to KR102003002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295A/ko
Publication of KR2004009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한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입력 키수단의 부수키에 할당, 지정하고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부수키와 선택키에 의하여 순차로 모두 입력하면 입력된 부수들로 구성된 한자가 입력되도록 하여 표준키보드에서도 한자를 필기하듯이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준키보드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서 특히 IT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세계최초로 이러한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여 표의문자로서 학습이 어려운 한자를 정보통신시대에 걸맞는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omitted}
본 발명은 컴퓨터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를 이용하여 한자를 학습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한 한자시험을 치루는 경우등 한자교육에 적합한 한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자는 표의문자이고 그 자소(子素)또한 수백개나 되어 한글이나 영어등과 같이 현재의 표준키보드의 수십개 키숫자로 모든 문자를 다 입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화문화권 국가들은 다양한 한자입력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은, 한자발음을 영어알파벳으로 입력한 후 변환하여 그 발음에 해당하는 한자들을 모두 표시한 후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는 한어병음 방식과, 미국특허 제 4,684,926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하나의 키에 여러개의 필획 또는 자소를 분류, 지정하고 입력할 한자의 필획과 글꼴모양에 따라 해당되는 키를 지정된 규칙대로 입력하면 입력된 키에 지정된 필획과 글꼴의 모양을 조합하여 해당되는 한자를 결정하여 입력하는 오필자형 입력방법이 있다.
이외에도 수 많은 입력방식이 있는데 대만의 경우에는 미국특허 제 4,920,49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오필자형과 유사하게 하나의 키에 여러개의 자소를 지정하여 입력된 키들의 조합에 따라 정해진 규칙에 의한 한자가 결정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한자의 자소를 임의로 분류하고 그 자소들을 한글로 입력하는 '팔만법'등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많은 입력방법들은 모두 한자의 입력을 빠르고 간편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한자를 하나씩 정확하게 입력하기 보다는 단축생략하거나 입력타수를 줄이기 위하여 하나의 키에 여러개의 자소를 지정하고 이를 소정의 규칙에 의해 조합하여 한자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어서 입력타수나 편리성 보다는 그 자소가 모두 순차로 입력되어야 하나의 한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교육용 입력방식에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예를들어 한자 학습을 컴퓨터로 하는 경우 '彰'은 그 자소인 '立' + '日' + + '十' + ''를 학습자가 필기하듯이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방법에서 발음을 변환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입력이 불가능하고, 하나의 키에 여러개의 자소가 지정된 경우에는 '立'를 입력하기 위해서 '立'를 포함한 여러개의 자소가 지정된 키를 입력해야 하므로 '立'만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어서 필요한 하나의 자소만을 선택해서 입력해야 하는 학습, 교육용 입력 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히 중국어를 문장등으로 입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인이 하나하나의 한자를 학습하거나 자격시험등을 위해 문제의 답을 하나의 글자 또는 단어정도만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속도나 편의성과는 전혀 상관없이 하나의 한자를 정확하게 쓸 줄아는가에 대한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입력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한자의 자소(이하 '부수'라고함)들을 모두 각각 하나의 키에 지정하여 학습, 교육 할수 있는 방법이 특허 제 10-034494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키숫자가 너무 많아 키보드가 매우 크게 되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호환성에도 문제가 있으며 입력방식에 임의로 정한 '결합키'라는 요소를 추구하여 매우 복잡하고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한자의 학습, 교육에 적합한 한자 입력방법을 표준키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것으로서,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한자의 부수들을 사용자가 필기하듯이 하나씩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한자의 부수 보다 적은 키숫자를 갖는 표준형 키보드에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한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표준키보드의 키에 그룹핑하여 하나의 키를 누루면 그룹핑된 다수의 부수들이 표시되도록 하여 그 중에서 원하는 부수들을 선택하여 하나의 부수만을 입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하나씩 순차로 입력하여 모든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그에 해당되는 한자가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장치이다.
도 2(a)(b)는 도 1의 부수 및 한자 저장수단을 각각 설명하는 관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의 입력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한자의 입력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한자 입력키 수단 11 : 부수키
3 : 한자검색 제어수단 31 : 부수저장수단
32 : 한자저장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각각 한자의 자소인 부수(部首)들을 그룹핑하여 할당, 지정된 부수키(11)와 상기 부수키(11)에 해당되는 부수들이 표시되면 원하는 부수를 선택하는 선택키(12)와, 부수들이 모두 입력되면 그 종료를 알리는 종료키(13)들을 구비한 한자 입력키수단(1)과, 상기 한자 입력키수단(1)의 키신호를 한자검색제어수단(3)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2)과, 각 부수키의 할당, 지정된 부수들의 관계를 저장하고 있는 부수저장수단(2)과,
각 한자들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부수들과의 관계를 저장하고 있는 한자저장수단(31)과,
입력된 부수키(11)에 해당하는 부수들을 부수저장 수단(31)으로 부터 검색하여 표시하고 선택키(12)에 의해 선택, 입력된 부수들에 해당되는 한자를 한자 저장수단(32)으로 부터 검색하여 표시 및 입력하는 검색제어수단(3) 및 입력된 부수와 한자들을 표시하는 표시장치(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할 한자의 구성요소인 부수들을 하나씩 순차로 입력하고 모든 부수의 입력이 완료되면 부수들로 구성되는 한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자입력장치의 구성도로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입력키보드(1)의 소정의 키들에 분류, 할당하여 부수키(11)들을 구성한다.
즉, 하나의 부수키에는 여러개의 부수들이 소속되어 하나의 키를 누루면 각 부수키에 분류 할당되어 있는 부수들이 모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부수들을 분류, 할당하는 기준은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나 우리나라의 경우라면 부수들의 발음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들어서 표준 키보드의 'ㄱ'키에는 부수들중 발음이 'ㄱ'으로 시작되는 부수들을 분류할당하면 사용하기 편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부수들의 발음을 모두 한글로 입력하면 해당부수가 나오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여러음절의 한글을 입력하여 하나의 부수를 찾게 되므로 하나의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많은 한글을 입력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하게 된다.
즉,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한글을 학습하는 것과 같은 바람작히지 않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들어 민책받침()같은 경우 하나의 부수를 입력하기 위해 한글을 12번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과 한자학습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각 부수의 한글 발음의 첫자음으로 부수들을 분류, 할당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물론 같은 원리로 한글의 자음이 아닌 영어의 알파벳으로 분류, 할당할 수 도 있을 것이다.(ㄱ → g, ㄴ → n)
한자의 부수는 약 200여개이고 표준 키보드의 한글 또는 영문키는 약 20여개이므로 하나의 키에 평균 10개정도의 부수를 할당, 지정하면 입력키보다 많은 부수들을 모두 직접 선택,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력할 한자의 제 1부수에 해당하는 부수키(11)를 입력하면 한자 검색제어 수단(3)은 입력된 부수키에 할당 소속된 부수들을 부수저장수단(31)에서 검색하여 표시수단(4)에 모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수단(4)에 표시된 여러부수들중에서 원하는 상기 제 1부수를 한자입력키수단(1)의 선택키(12)로 선택한다. 이로써 제 1부수는 입력이 완료되며 한자검색제어 수단(3)은 입력된 제 1부수를 기억하고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입력할 한자의 제 2부수에 해당하는 부수키(11)를 입력하면 상기와 같이 한자검색제어수단(3)은 부수 저장수단(3)에서 입력된 부수키에 해당되는 부수들을 검색하여 표시수단(4)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수단(4)에 표시된 여러부수들 중에서 원하는 상기 제 2부수를 선택키(12)로 선택한다.
이로써 제 2부수도 입력이 완료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모든 부수들을 순차로 입력완료하면 종료키(13)를 입력하여 종료를 알린다.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검색제어수단(3)은 지금까지 입력된 제 1부수, 제 2부수, ... 제 n부수들을 모두 조합하여 입력된 부수들도 구성되는 한자를 한자 저장장치(32)에서 검색하여 인식하고 표시수단(4)에 표시한다.
이로써 하나의 한자입력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의 순차지정은 특별한 규칙없이 구성부수만 모두 입력되면 해당되는 한자를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한자의 학습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즉, 한글에서 '임'자를 쓰는데 'ㅇ', 'ㅣ', 'ㅁ'을 순서와 관계없이 입력해도 '임'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한자의 필순을 기준으로 순차를 지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수의 위치에 따라 왼쪽부수를 우선으로 하고 위쪽부수를 우선으로 하는 좌 →우, 상 →하의 순차를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① 좌상, ② 좌하, ③ 우상, ④ 우하의 우선순위를 갖게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 부수 a,b,c,d로 구성된 한자의 경우 필순이 아니라 부수위치에 따라 a → c → b → d의 순서로 순차를 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부수키와 각 키에 분류, 할당된 부수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임의의 부수키(11)가 입력되면 한자검색제어수단(3)에 의해 해당되는 부수들을 검색, 표시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수들과 한자와의 관계를 나타낸것으로서 부수들의 입력이 완료되면 한자검색 제어수단(3)에 의해 해당되는 한자를 검색하여 인식하고 표시하는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益'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3과 같이그 구성부수인 '八', '一', '八', '血'을 순차로 입력해야 한다.
부수들을 그 한글 발음으로 분류하여 부수키(11)에 할당, 저장한 경우라면, 먼저 제 1부수인 '八'의 경우 한글 발음이 '팔'이므로 상기 한자입력키수단(1)의 부수키(11)인 'ㅍ'을 누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수키 'ㅍ'에 할당 지정된 부수들이 한자검색 제어수단(3)에 의해 부수저장수단(31)에서 검색되어 모두 표시수단(4)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된 부수들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부수인 '八'을 도3의 선택키와 같이 선택한다. 이로써, 제 1부수 '八'의 입력이 완료된다.
다음에, 제 2부수인 '一'을 입력하기 위해서 한글 발음인 '일'의 부수키인 자음 'ㅇ'을 누루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수키 'ㅇ'에 할당 지정된 부수들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두 표시수단(4)에 표시되고 이들중 원하는 부수 '一'을 도3의 선택키와 같이 선택하면 제 2부수 '一'의 입력이 완료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 3부수 '八', 제 4부수 '血'도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한다.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이 모두 입력이 완료되어 종료키(13)가 입력되면 한자검색 제어수단(3)은 기억, 저장하고 있던 제 1 내지 제4부수들에 해당되는 한자를 한자저장수단(32)에서 검색하여 도2(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한자가 '益'임을 인식하고 표시수단(4)에 표시하게 되며 이로써 '益'의 입력이 완료된다.
도3은 이러한 입력과정을 도식화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자 입력방법을 도4의 플로우차트에 의해 프로세스별로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제1부수를 포함하는 부수키(11)를 누른다.(S1)
② 입력된 부수키(11)에 소속된 부수들을 표시수단(4)에 표시한다.(S2)
③ 표시된 부수들중 원하는 제1부수를 선택키(12)로 선택한다.(S3)
이로써 제1부수의 입력이 완료된다.
④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제2부수를 포함하는 부수키(11)를 누른다.(S4)
⑤ 입력된 부수키(11)에 소속된 부수들을 표시수단(4)에 표시한다.(S5)
⑥ 표시된 부수들중 원하는 제2부수를 선택키(12)로 선택한다.(S6)
이로써 제2부수의 입력이 완료된다.
한자는 보통 2개 내지 4개의 부수로 구성되며 5개이상의 부수를 갖는 경우도 있으나 한국인이 학습을 하는 수천개의 한자범위 내에서는 그렇게 많지 않다.
하나의 부수로 구성된 한자도 있으나 그것은 부수 그 자체가 한자인 경우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하나의 부수로 된 한자 즉 부수 그 자체를 입력할 경우에는 상기의 제1부수만 입력하고 종료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2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한다.
⑦ 2개의 부수로 구성된 한자의 경우에는 제2부수 입력후 종료키(13)를 입력한다.(S7)
⑧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지금까지 입력된 제1, 제2부수에 해당되는 한자를 인식 , 표시한다.(S8)
⑨ 만약 2개 이상의 부수로 구성된 한자의 경우에는 제3, 제4 … 제n 부수가 같은 방법으로 입력된다.(S9~S11) 여기서 제 n부수는 한자를 구성하는 마지막 부수를 뜻한다.
⑩ 부수 입력이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한다.(S12)
⑪ 종료키(11)가 입력되면 지금까지 입력된 제1 내지 제n 부수로 구성된 한자를 인식하여 표시수단(4)에 표시한다.(S13)
⑫ 이로써 한자의 입력이 종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한자를 입력할때 그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를 모두 직접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므로 한자를 학습, 교육 할 경우 실제로 필기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수 있게 되며 이를 표준 키보드에서 실시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한자 검정자격시험등을 치를때에도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IT강국이라는 우리나라에서 한자를 컴퓨터로 처리하지 못하며 발생했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웹사이트나 서버등을 통하여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원격한자 학습과 교육 및 테스트가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9)

  1. 부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 할당하여 지정된 복수의 부수키(11)와,
    상기 부수들을 선택하는 선택키(12)와,
    상기 부수들의 입력 완료를 알리는 종료키(13)를 포함하는 한자 입력키 수단(1);
    상기 분류, 할당된 부수들과 상기 지정된 부수키(11)들의 관계를 저장하는 부수 저장수단(31);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과 한자들의 관계를 저장하는 한자 저장수단(32);
    신호변환수단(2)을 통하여 상기 한자입력키수단(1)과 연결되어, 상기 부수키(11)가 입력되면 상기 부수저장수단(31)에서 분류, 할당된 부수들을 검색하여 표시수단(4)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키(12)에 의해서 선택된 부수를 인식하고 상기 표시수단(4)에 표시하며 상기 종료키(13)가 입력되면 순차로 입력된 모든 부수들로 구성된 한자를 상기 한자 저정수단(31)에서 검색하여 인식하고 상기 표시수단(4)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한자검색 제어수단(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키(11)는 한글의 자음키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키(11)는 영어의 알파벳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입력장치.
  4. 부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한자 입력방법에 있어서, 한자를 구성하는 부수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한자입력키수단(1)의 부수키(11)에 각각 할당, 지정하고;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제1부수가 할당, 지정된 제1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부수키에 할당, 지정된 부수들이 표시되면 입력할 상기 제1부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제2부수가 할당, 지정된 제2부수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2부수키에 할당, 지정된 부수들이 표시되면 입력할 상기 제2부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할 한자를 구성하는 나머지 부수들을 순차로 상기와 같이 마지막 부수까지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할 한자의 부수들이 모두 입력 완료되면 종료키(13)를 입력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한 한자의 구성부수의 순차(제1 내지 제n부수)는 입력할 한자의 필순에 따라 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입력할 한자의 구성부수의 순차는 각부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각 부수의 위치는 좌→ 우, 상→ 하의 순서로 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키(11)의 부수분류는 한글의 발음을 기준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수키(11)는 한글의 자음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한자 입력방법.
KR1020030029191A 2003-05-07 2003-05-07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0096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191A KR20040096295A (ko) 2003-05-07 2003-05-07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191A KR20040096295A (ko) 2003-05-07 2003-05-07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295A true KR20040096295A (ko) 2004-11-16

Family

ID=3737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191A KR20040096295A (ko) 2003-05-07 2003-05-07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9B1 (ko) * 2007-09-04 2009-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검색 방법 및 한자 검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9B1 (ko) * 2007-09-04 2009-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검색 방법 및 한자 검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7480A (en) Symbol definition apparatus
US8328558B2 (en) Chinese /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ool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JPH02135519A (ja) 表意文字の集合体をコード化するシステム
US7669122B2 (en) Using input of rhyming characters for computer text entry of Chinese characters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US20140199667A1 (en) Conversion of alphabetic words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ellings
US6604878B1 (en) Keyboard inpu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S61234465A (ja) 言語文字の選択方法およびその再生方法
CN102023782A (zh) 一种输入转换过程中确定修改点的方法及装置
US20100167244A1 (en) Language teaching system of orientation phonetic symbols
KR101060928B1 (ko)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US7058900B2 (en) Chinese language input system based on graphic form
EP0196355A2 (en) A non-coding method of Han-character processing and keyboard therefor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US20070061143A1 (en) Method for collating words based on the words' syllables, and phonetic symbols
US5529496A (en) Method and device for teaching reading of a foreign language based on chinese characters
KR100702483B1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6295A (ko) 학습용 한자 입력장치 및 방법
US20090060339A1 (en) Method of organizing chinese characters
WO2010007703A1 (ja) 英語教育システム及び英語教育プログラム
JP4632893B2 (ja) 点字翻訳装置、点字翻訳方法、点字翻訳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40121029A (ko) 4개의 성조기호 입력을 이용한 중국어발음교육전용의 영문 한어병음 입력장치
JP3803253B2 (ja) 漢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502128B (zh) 一种汉字多元输入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