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125A - 오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오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125A
KR20040096125A KR1020030028961A KR20030028961A KR20040096125A KR 20040096125 A KR20040096125 A KR 20040096125A KR 1020030028961 A KR1020030028961 A KR 1020030028961A KR 20030028961 A KR20030028961 A KR 20030028961A KR 20040096125 A KR20040096125 A KR 20040096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discharge
discharge pipe
pip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우정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이엔지(주) filed Critical 우정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03002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125A/ko
Publication of KR20040096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조 등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는, 양단이 개구되어 오물 유입구와 오물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벽에 배출구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 파이프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압축공기 주입관과;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발생수단과;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주입관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의 오물 배출장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물 배출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물 배출 작업 전의 이물질 분리 작업이 필요 없으며,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이 임펠러에 걸려 작업이 중단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물 배출장치 {Filth 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조 등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에서 발생되는 인분이나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 등의 오물은 지중에 매입되어 있는 정화조에 수집되며, 정화조가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별도의 오물 운반 차량에 적재되어 하수 종말 처리장으로 이동된 후 정화 처리되거나, 오물 처리 차량에 적재되어 운반 중 일차 처리된 후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최종 정화처리되는 바, 정화조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차량에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긴 호스를 정화조 내부로 삽입하여 펌프 내부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흡입-토출력에 의해 정화조 내부의 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정화조 내부에는 인분이나 분뇨만 수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머리카락, 생리대, 휴지, 각종 비닐 등 여러 가지 이물질이 함께 섞여 있는 것이 일반적인 바, 종래의 오물 배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 회전력에 의해 오물을 배출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각종 이물질이 임펠러를 통과하는 중에 임펠러와 펌프 하우징 사이의 좁은 틈사이에 걸려서 펌프가 정지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펌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오물 배출 작업을 중단해야 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펌프 가동 전에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을 긴 도구 등을 이용해 을 분리해 내야하는 등 오물 배출 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오물의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오물 배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 유무와 관계없이 정화조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출 파이프 2 : 압축공기 주입관
3b : 압축공기 분배헤더 5 : 분배조
3a : 압축공기 공급관 3c : 연결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는, 양단이 개구되어 오물 유입구와 오물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벽에 배출구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 파이프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압축공기 주입관과;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발생수단과;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주입관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발명의 오물 배출장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물 배출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물 배출 작업 전의 이물질 분리 작업이 필요 없으며,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이 임펠러에 걸려 작업이 중단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배출 파이프는 직선으로 형성하여 정화조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작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배출되는 오물의 전체적인 하중이 파이프 하부의 유입구 측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배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파이프를 지그 재그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거나 나선형으로 형성한 결과 배출 오물의 하중 대부분이 배출 파이프의 벽에 지지되므로 작은용량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사용하고도 오물의 배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한편, 압축공기 주입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압축공기 발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일차로 공급받는 분배헤더를 설치하여, 분배 헤더로부터 각각의 주입관에 연결관을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하나, 배출 파이프의 유입구와 배출구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출 파이프 외부를 소정 공간을 두고 감싸도록 압축공기 분배조를 설치하여, 분배조 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 파이프에 설치된 압축공기 주입관을 통해 배출 파이프 내부로 분사되도록 형성하는 경우, 배관을 훨씬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며, 장치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압축공기 분배조는 배출 파이프와 동심으로, 즉, 이중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바, 배출 바이프(1)는 이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오물의 하중이 벽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굴곡부에는 압축공기 주입관(2)이 오일 배출구(1b)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으며, 오물 유입구(1a)는 단면적을 크게 하여 오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배출 파이프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압축공기 주입관(2)은 압축공기를 배출 파이프 내부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형태의 것이라도 무관하나, 배출 파이프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스월 효과를 부여하여 오물 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부에 복수의 경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파이프(1)의 하부 외벽에는 오물 운반 차량이나 오물 처리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공기 발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압축공기 공급관(3a)을 통해 일차로 공급받는 분배 헤더(3b)가 고정 설치되며, 각각의 압축공기 주입관(2)은 연결관(3c)을 통해 분배 헤더(3b)에 연결된다.
오물 배출구(1b)에는 차량의 오물 저장조 또는 처리조에 연결되는 주름관(4)이 클램핑(4a)되어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관(3a)은 주름관(4)에 클램핑(4b)되어 주름관과 함께 조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는 정화조 내부에 투입되어 오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데, 본 발명의 오물 배출 장치를 정화조 내부에 투입한 후, 차량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가동시키면, 압축공기 발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공급관(3a), 분배 헤더(3b), 연결관(3c)을 거쳐서 각각의 압축공기 주입관(2)을 통해 배출 파이프(1) 내부로 분사된다.
배출 파이프(1) 내부로 분사된 압축공기는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배출구 측을 향하게 되며,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오물 배출 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출 파이프(1)의 오물 유입구(1a)와 오물 배출구(1b)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출 파이프 외부를 소정 공간을 두고 감싸도록 원통형의 압축공기 분배조(5)를 설치하여, 압축 공기 주입구(5a)를 통해 분배조 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배출 파이프(1)에 설치된 압축공기 주입관(2)을 통해 배출 파이프 내부로 분사되도록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압축공기 주입관(2)에 연결되는 연결관이 필요없으므로, 배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며, 보다 용이하게 정화조내의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공기 분배조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예를 들었으나, 하부에 반구형부를 형성하는 등 그 형태를 달리하거나, 배출 파이프와 동심으로, 즉, 이중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출 파이프(10)를 나선형으로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기타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크게 다를 바 없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오물 배출장치에 의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물 배출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작업 전의 이물질 분리작업이 필요 없으며,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이 임펠러에 걸려 작업이 중단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양단이 개구되어 오물 유입구와 오물 배출구를 형성하는 배출 파이프와;
    상기 배출 파이프의 벽에 배출구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 파이프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압축공기 주입관과;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발생수단과;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주입관에 공급하는 압축공기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파이프는 지그 재그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파이프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전달수단은,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연결되는 분배 헤더와, 일단은 상기 분배 헤더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공기 주입관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전달수단은, 상기 배출 파이프의 유입구와 배출구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출 파이프 외부를 소정 공간을 두고 감싸며, 일측에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결합되는 압축공기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압축공기 분배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KR1020030028961A 2003-05-07 2003-05-07 오물 배출장치 KR20040096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61A KR20040096125A (ko) 2003-05-07 2003-05-07 오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61A KR20040096125A (ko) 2003-05-07 2003-05-07 오물 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44U Division KR200324137Y1 (ko) 2003-05-13 2003-05-13 오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25A true KR20040096125A (ko) 2004-11-16

Family

ID=3737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961A KR20040096125A (ko) 2003-05-07 2003-05-07 오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752B1 (ko) * 2012-05-23 2013-09-10 주식회사 럭키산업 칫솔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752B1 (ko) * 2012-05-23 2013-09-10 주식회사 럭키산업 칫솔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187A (en) 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olding tanks of recreational vehicles and other vehicles with a commode
KR100855309B1 (ko)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US7363878B2 (en) Waste extraction system
KR200324137Y1 (ko) 오물 배출장치
KR20040096125A (ko) 오물 배출장치
JP2003508220A (ja) パイプを洗浄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2916198Y (zh) 一种无密封自吸泵
KR200339284Y1 (ko) 오물 배출장치
US5980645A (en) Pipeline processing assembly
RU2448856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гетерогенных сто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621192B2 (ja) 容器およびバイオガスシステム
KR20050039169A (ko) 오물 배출장치
JP2019528778A5 (ko)
KR200218495Y1 (ko) 활성탄 및 소석회 공급장치
KR101610855B1 (ko) 탱크컨테이너의 악취 제거용 커넥터
KR100220860B1 (ko) 멀티 슈퍼 믹싱 시스템
CN214880938U (zh) 生活污水膜处理装置
KR100387186B1 (ko) 오존을 이용한 배관의 살균장치 및 방법
JP3328487B2 (ja) エアレーションタンクの担体返送装置
KR102227445B1 (ko) 하·폐수처리시설 슬러지저류조 역류방지형 산기장치
CN212689115U (zh) 排便系统和排便设备
KR100896774B1 (ko) 유해물 저감장치
US7005066B2 (en) Trash trap for liquid manure disposal systems
CN206896908U (zh) 斜管填料在线清洗装置
CN205627222U (zh) 过滤器装置和电厂机组补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