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284Y1 - 오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오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284Y1
KR200339284Y1 KR20-2003-0033410U KR20030033410U KR200339284Y1 KR 200339284 Y1 KR200339284 Y1 KR 200339284Y1 KR 20030033410 U KR20030033410 U KR 20030033410U KR 200339284 Y1 KR200339284 Y1 KR 200339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ircumferential surface
waste discharge
waste
ai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태
Original Assignee
최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태 filed Critical 최종태
Priority to KR20-2003-0033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1Hydraulic transport of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화조 등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상호 결합하여 그 결합부 내부에 압축공기 분배공간 및 압축공기 분사구를 형성함으로서, 압축 공기 분배공간 내부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공을 통해 오물 배출관로 내부에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오물 배출 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바, 분배 헤더나 압축공기 주입관 및 이들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관 등이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로 압축 공기를 오물 배출관로 내부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유무와 관계없이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물 배출장치{Filth Discharging Device}
본 고안은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조 등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이나 기타 유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주택에서 발생되는 인분이나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 등의 오물은 지중에 매입되어 있는 정화조에 수집되며, 정화조가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별도의 오물 운반 차량에 적재되어 하수 종말 처리장으로 이동된 후 정화 처리되거나, 오물 처리 차량에 적재되어 운반 중 일차 처리된 후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최종 정화처리되는 바, 정화조에 수집되어 있는 오물을 차량에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긴 호스를 정화조 내부로 삽입하여 펌프 내부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흡입-토출력에 의해 정화조 내부의 오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정화조 내부에는 인분이나 분뇨만 수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머리카락, 생리대, 휴지, 각종 비닐 등 여러 가지 이물질이 함께 섞여 있는 것이 일반적인 바, 종래의 오물 배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 회전력에 의해 오물을 배출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각종 이물질이 임펠러를 통과하는 중에 임펠러와 펌프 하우징 사이의 좁은 틈 사이에 걸려서 펌프가 정지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펌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오물 배출 작업을 중단해야 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펌프 가동 전에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을 긴 도구 등을 이용해 을 분리해 내야하는 등 오물 배출 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오물의 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임펠러형 오물 배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 20-0324137에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물 배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오물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오물 배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배출 파이프(1)의 각 굴곡부에 압축공기 주입관(2)이 오물 배출구(1b)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으며, 배출 파이프(1)의 하부 외벽에는 오물 운반 차량이나 오물 처리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공기 발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압축공기 공급관(3a)을 통해 일차로 공급받는 분배 헤더(3b)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압축공기 주입관(2)은 연결관(3c)을 통해 분배 헤더(3b)에 연결된다.
오물 배출구(1b)에는 차량의 오물 저장조 또는 처리조에 연결되는 주름관(4)이 클램핑(4a)되어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관(3a)은 주름관(4)에 클램핑(4b)되어 주름관과 함께 조작된다.
상기 오물 배출 장치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물 배출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이 걸려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오물 배출 작업전의 이물질 분리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단 시간에 효과적으로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주름 관로상에 노즐 형태의 압축공기 주입관(2)을 다수 설치하고, 이들 각각을 연결관(3c)을 통해 분배 헤더(3b)에 연결해야 하는 등 그 구조 및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많이 들며, 압축 공기 주입관(2)이 관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압축 공기의 압력이 관로의 단면적 전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출 효율이 그다지 높지 못함을 실차 적용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오물 배출 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배출효율이 높고, 또한, 이물질 유무와 관계없이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오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오물 배출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는 분해 상태 외관 사시도, 도 3은 분해 상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조립 상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오물 배출장치를 복수개 연결하여 실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조립 상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몸체 20 : 제2 몸체
11 : 압축공기 분배홈 14 : 분사홈
30 : 압축공기 분배 공간 40 : 압축공기 분사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압축공기 분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축공기 분배홈을 형성하는 양측벽중 외측벽에는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와;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으로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압축공기 분사홈 부분 및 압축공기 분배홈 부분이 삽입 결합되며, 그 내주면과 상기 압축 공기 분배홈 사이의 공간에 의해 압축공기 분배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과 상기 압축 공기 분사홈 사이의 공간에 의해 압축공기 분사구를형성하는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압축공기 분배공간에 연통되어 압축공기 발생 수단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는 오물 흡입측을 향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오물 배출측을 향하도록 오물 배출 관로 중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오물 배출 장치에 의하면, 압축 공기 분배공간 내부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공을 통해 오물 배출관로 내부에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오물 배출 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바, 분배 헤더나 압축공기 주입관 및 이들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관 등이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로 압축 공기를 오물 배출관로 내부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유무와 관계없이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몸체의 내주면은 길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다 확대되도록 형성하고, 압축공기 분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벽 외주면은 상기 제2 몸체 내주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함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압축공기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배출 관로의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공급되어 배출 관로 내부 전체 단면적에 걸쳐서 배출 오물에 대해 거의 균등한 압상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압축 공기 진행 방향의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이 증대되고 따라서 흡입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축공기 분사홈을 제1 몸체의 외측벽 외주면의 원주 방향에 직각인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압축공기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배출 관로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운동하는 소위 스월(swirl) 효과가 발생하여 중심부에 보다 큰 부압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오물 배출 효과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물 배출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는 분해 상태 외관 사시도, 도 3은 분해 상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조립 상태 일부 절개 사시도를 나타내는 바, 본 고안의 오물 배출 장치는, 상호 결합되어 그 결합부 내부에 압축공기 분배공간(30) 및 압축공기 분사구(40)를 형성하는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로 구성된다.
제1 몸체(10)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압축공기 분배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공기 분배홈(11)을 형성하는 양측벽(12, 13)중 외측벽(12)의 외주면(12a)은 5도 내지 30도 경사진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벽(13)에는 수나사부(13a)와 오링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몸체(20)의 내주면 일측에는 제1 본체의 수나사부(13a)에 체결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은 길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다 확대되는 경사면(22, 23)으로 형성되는 바, 내주 경사면(22)의 각도는 제1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형의 외측벽 외주면(12a)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되어 수나사부(13a)와 암나사부(21)가 체결되는 경우 테이퍼형의 외측벽 외주면(12a)과 제2 몸체의 내주 경사면(22)이 상호 긴밀히 밀착됨으로서, 제1 몸체의 압축공기 분사홈(14)과 제2 몸체의 내주면에 의해 압축공기 분사구(40)가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는 제1 몸체(10)의 압축공기 분배홈(11)과 제2 몸체의 내주면에 의해 압축공기 분배공간(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나사 결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나사부(13a, 21)를 형성하지 않고 양 본체를 프레스로 압입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압축공기 분배공간(30)에 대응되는 제2 몸체(20)의 벽체에는 압축공기 공급구(24)가 관통되어 있어서, 오물 수거차량이나 오물 처리차량의 컴프레서 등과 같은 압축공기 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압축공기 공급구(24)를 통해 압축공기 분배공간(30)에 공급되어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구(40)를 통해 제2 몸체 내부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사된다.
제1 몸체의 단부 및 제2 몸체의 단부에는 오물 배출관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도시 안함)가 체결되는 나사부(14, 25)가 형성되어 있는 바, 각 단부에 이와 같이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오물 배출관로를 직접 클램핑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나사부를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14)와 수나사(25)로 형성한 실시예로서, 오물 배출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구 없이 전단 및 후단의 수나사(25)와 암나사(14)를 체결함으로서 본 고안의 오물 배출 장치 여러 개를 직렬로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 13c는 압축공기 분배공간(30)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위한 오링을, 26, 26a는 연결부에서의 오물 및 압축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위한 오링홈 및 오링을, 27은 압축공기 공급관로를 압축공기 공급관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오물 배출장치는 오물 배출관로 중에 설치되며, 정화조 내부에 투입되어 오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데, 본 고안의 오물 배출장치를 오물 배출관로와 함께 정화조 내부에 투입한 후, 차량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가동시키면, 압축공기 발생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공급관로를 통해 압축공기 분배공간(30)에 공급되어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구(40)를 통해 제2 몸체 내부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사되며, 제2 몸체 내부로 분사된 압축 공기는 도4 및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배출구 측을 향하게 되며,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의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오물 배출 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차 시험 결과에 따르면, 압축공기 분사구 각각은 그 단면적이 매우 작으나, 고압의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분사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다시 말해, 자체적인 정화 작용을 수행하므로 관로를 통과하는 오물 등에 의해 막히는 일 없이 원활하게 작동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출 관로 중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여 배출 오물을 역류를 방지하거나, 오물이 수거되는 수집조의 입구부에 진공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 압축공기의 유량이나 압력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오물배출 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은 오물 배출장치 외에 밀가루 등과 같은 분체나 기타 액체의 이송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압축공기 분사홈(14)을 제1 몸체(10)의 외측벽 외주면(12a)의 원주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압축공기 분사구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관로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운동하는 소위 스월 효과가 발생하여 중심부에 보다 큰 부압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오물 배출 효과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기타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크게 다를 바 없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오물 배출장치에 의하면, 배출 작업 전의 이물질 분리 작업이 필요 없으며, 정화조 내부의 이물질이 임펠러에 걸려 작업이 중단되는 일 없이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오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 공기 분배공간 내부로 공급된 압축 공기가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공을 통해 오물 배출관로 내부에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상력 및 압축 공기 진행 방향 후방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오물 배출 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분배 헤더나 압축공기 주입관 및 이들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관 등이 필요 없이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압축 공기를 오물 배출관로 내부에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유무와 관계없이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의 일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압축공기 분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축공기 분배홈을 형성하는 양측벽중 외측벽에는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와;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으로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압축공기 분사홈 부분 및 압축공기 분배홈 부분이 삽입 결합되며, 그 내주면과 상기 압축 공기 분배홈 사이의 공간에 의해 압축공기 분배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과 상기 압축 공기 분사홈 사이의 공간에 의해 압축공기 분사구를 형성하는 제2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압축공기 분배공간에 연통되어 압축공기 발생 수단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는 오물 흡입측을 향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오물 배출측을 향하도록 오물 배출관로 중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내주면은 길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다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벽 외주면은 상기 제2 몸체 내주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홈은, 상기 제1 몸체의 외측벽 외주면의 원주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 배출장치.
KR20-2003-0033410U 2003-10-24 2003-10-24 오물 배출장치 KR200339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410U KR200339284Y1 (ko) 2003-10-24 2003-10-24 오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410U KR200339284Y1 (ko) 2003-10-24 2003-10-24 오물 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589A Division KR20050039169A (ko) 2003-10-24 2003-10-24 오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284Y1 true KR200339284Y1 (ko) 2004-01-28

Family

ID=4934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410U KR200339284Y1 (ko) 2003-10-24 2003-10-24 오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2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22B1 (ko) * 2007-12-27 2009-11-24 나준길 공기유도기구
KR200493818Y1 (ko) * 2019-12-11 2021-06-09 (주)썬버드산업 진공을 이용한 절단팁 자동배출 기능을 가지는 가죽원단 펀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22B1 (ko) * 2007-12-27 2009-11-24 나준길 공기유도기구
KR200493818Y1 (ko) * 2019-12-11 2021-06-09 (주)썬버드산업 진공을 이용한 절단팁 자동배출 기능을 가지는 가죽원단 펀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187A (en) 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holding tanks of recreational vehicles and other vehicles with a commode
CN112452959B (zh) 一种管路清洗装置及清洗方法
US20090100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Conduit
KR100855309B1 (ko) 배관 세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WO1998039717B1 (en) Excavation apparatus having an air lance, nozzle and vacuum system
KR102002171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스트레이너 및 이를 적용한 펌프
US20020189988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swimming pool water filter
US4672988A (en) Conduit flushing device
KR200339284Y1 (ko) 오물 배출장치
CN112452960B (zh) 一种流体管路清洗装置及应用所述清洗装置的清洗方法
KR20050039169A (ko) 오물 배출장치
CA2081627A1 (en) Negative pressure-difference water supply system
KR200324137Y1 (ko) 오물 배출장치
ES2173854T3 (es) Dispositivo para limpiar un filtro.
CN213793277U (zh) 一种流体管路清洗装置
US6439615B1 (en) Adaptor for a safety hose
RU2448856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гетерогенных сто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40096125A (ko) 오물 배출장치
US11000855B1 (en) Garbage disposal waste line unclogging system
CN209697645U (zh) 一种脱泥机滤水出口防堵塞装置
RU200312708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и
KR200391144Y1 (ko) 호스연결구
CN112296030B (zh) 一种流体管路清洗装置
RU2006107840A (ru) Станция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CN212477977U (zh) 一种节水蹲便装置及卫生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