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108A -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108A
KR20040096108A KR1020030028931A KR20030028931A KR20040096108A KR 20040096108 A KR20040096108 A KR 20040096108A KR 1020030028931 A KR1020030028931 A KR 1020030028931A KR 20030028931 A KR20030028931 A KR 20030028931A KR 20040096108 A KR20040096108 A KR 2004009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obic silica
cosmetic composition
sebum
makeup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서
Original Assignee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윤충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윤충서 filed Critical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108A/ko
Publication of KR2004009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206Heat exchangers immersed in a large body of liquid
    • F28D1/0213Heat exchangers immersed in a large body of liquid for heating or cooling a liquid in a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메이컵(make-up)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흡유 효과가 우수하고 피지를 흡유한 경우에도 투명도의 변화가 적어서 피부에 도포한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피지에 의해 번들거리지 않으며 화장이 칙칙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화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hydrophobic silica for inhibiting sebum-greasy effect}
본 발명은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흡유 효과가 우수하고 피지를 흡유한 경우에도 투명도의 변화가 적어서 피부에 도포한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도 피지에 의해 번들거리지 않으며 화장이 칙칙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화장 상태가 유지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색조 화장품 중에서 페이스 파우더나 투웨이 케익,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컵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고 시간이 경과되면, 피부에서 피지가 방출되어 화장막이 번들거리게 되거나 화장막이 불균일해 지고 일부분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그의 지속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메이컵 제품에 사용된 색소나 무기안료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피부에서 배출되는 피지를 흡유하여 색상이 어두워져 처음의 화장막의 색상과 다른 칙칙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현상을 없애고 자연스러운 외관(natural look)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피지를 흡수하는 종이로 과잉분비된 피지를 흡수하여 제거하거나, 항상 신경을 써서 화장을 덧발라야 하는 불편이 상존해 왔다.
이러한 현상때문에 메이컵 화장료에 있어서 화장효과의 지속성을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무기안료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지금까지의 노력은 그 안료 자체의 물성을 변화시키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여 왔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소49-94714호나 일본특허공개 소62-16408호에 개시된 공지의 기술과 같이 판상의 마이카에 이산화티탄을 코팅하여 광택을 주는 안료를 제공하기도 하고, 일본특허공개 소63-277281호에 개시된 것은 마이카 표면에 이산화티탄과 알루미나를 코팅함으로써 화장할 때 나타나는 안료의 표면광택이 적으며 피부에 도포할 때 우수한 발림성, 부착성을 가지는 안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예시한 종래 기술에서 모두 코팅하는 기판 원료로 사용한 마이카는 자연상태에서 채취한 안료이므로 백색도가 떨어지고 산화철(iron oxide)과 같은 불순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피지나 땀에 의해 번들거리거나 색이 칙칙해지는 현상을 해소하지 못하여 자연스런 화장을 원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60-94464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카 표면에 황산바륨을 피복하고 그 위에 이산화티탄을 피복한 안료의 경우는 피부의 결점을 은폐하는 이른바 소프트 포커스(soft focus) 효과를 부여하고 발림성과 부착성이 우수한안료를 제공하지만, 마찬가지로 마이카를 기판 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런 화장 상태를 유지시키지는 못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장료로 사용되는 무기안료로는 마이카(Mica), 세리사이트(Sericite), 탈크(Talc)와 같은 자연에서 다량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판상 형태의 안료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 또는 미립자를 피복 처리한 복합 안료를 널리 사용하여 왔으나, 천연에서 산출되는 판상의 안료는 산화철과 같은 불순물이 미량 함유되어 있어서 백색도가 낮을 뿐 아니라, 입자를 코팅하고 소결 처리하게 되면 안료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인 산화철의 발색력이 강해져서 코팅된 복합 안료의 백색도를 다시 저하시킨다.
따라서 마이카 등을 기재로 피복한 복합 안료를 배합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가 안료에 흡수되고 젖음(wetting) 현상으로 인하여 백색도가 저하하여 화장상태가 칙칙해지고 지저분해져 버린다. 즉 마이카 등을 기재로 한 복합 피복처리 안료를 사용한 화장료는 자연스런 화장상태를 유지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효과의 지속성을 부여하는 무기안료에 있어서, 마이카 등과 같은 채취 안료를 가공한 복합 피복처리 안료에서 탈피하여 피지 흡유효과가 우수하고 피지흡유 상태에서도 그 투명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새로운 무기안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 미립자를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면 상기 실리카 미립자가 피지 흡유효과도 높고 피지를 흡유하였을 때에는 그 투명도의 변화가 적어서 다른 메이컵 분체의 색도저하를 막아준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지의 흡유효과가 우수하고 피지를 흡유한 경우에도 투명도의 변화가 적어서 시간의 경과에도 화장이 번들거리거나 화장막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적이 80 ㎡/g 이상이며 표면이 올가노실란계 화합물 또는 실리콘(silicone) 화합물로 코팅되어 있는 실리카 미립자를 포함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표면적이 80 ㎡/g 이상이며, 통상 메이컵 화장료의 구성에 사용되는 일반 분체보다 매우 작은 크기의 분체들로서 이를 배합한 메이컵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면 균일하고 광범위하게 도포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피지를 흡유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한 분말상의 성분이다.
즉, 본 발명의 소수성 실리카는 입자의 단위그램당 비표면적이 커서 균등한흡유효과가 발휘될 뿐 아니라 피부에서 퍼짐성이 우수하고 피지를 흡유했을 경우에도 그 투명도의 변화가 적다. 따라서, 일반 메이컵에 사용하는 분체들과는 달리 피지 흡유로 인한 메이컵 화장막의 색변화가 칙칙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화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메이컵 화장료에 배합하여 자연스러운 화장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켜주는 새로운 기능성 무기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실리카의 표면이 올가노실란계 화합물이나 실리콘 화합물 등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트리메칠실록실화 실리카, 디메칠실록실화 실리카, 옥틸실록실화 실리카 또는 실리콘오일 처리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실리카는 시판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메칠실록실화 실리카는 캬보질 TS-530(표면적 325 ㎡/g; 캬봇트사), 디메칠실록실화 실리카는 에어로실 R-947(표면적 110±20 ㎡/g; 데구사), 옥틸실록실화 실리카는 에어로실 R-805(표면적 150±25 ㎡/g; 데구사), 실리콘오일 처리 실리카는 에어로실 R-202(표면적 100±20 ㎡/g; 데구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수성 실리카 미립자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인 피지의 흡수 작용이 미흡하고,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때 너무 밀착되어 뻑뻑한 사용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 파우더, 투웨이 케익,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다양한 보완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장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화장료의 제조
세리싸이트 20g, 마이카 10g, 나일론 파우더 5g, 카보질 TS-530 10g, 적색산화철 0.2g, 황색산화철 0.1g, 흑색산화철 0.1g, 미네랄 오일 5g을 배합한 후 탈크를 총중량이 100g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일반 식품 분쇄용 믹서기에 넣고 1분간 교반하여 색소 및 분체와 오일이 충분히 혼합, 분산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화장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보질 TS-530 10g 대신에 에어로실 R-202 1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화장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보질 TS-530 10g 대신에 실리카 분체 10g을 첨가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장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카보질 TS-530 10g 대신에 세리싸이트를 10g 더 첨가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인지효과 측정
하기 표에 의거하여 실시예 1 내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각각의 화장료를 30명의 피시험자에게 사용하게한 후, 피지 흡수에 의한 색조의 변화 및 번들거림 억제효과에 대하여 피시험자의 설문을 통하여 실질적인 인지효과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설문은 5점 척도로 하여 좋은 반응일수록 높은 점수가 되도록 하였다.
설문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사용감이 부드럽다 3.0 3.7 4.0 4.5
사용감이 뻑뻑하지 않다 3.9 3.7 4.0 4.5
시간이 경과후 번들거리지 않는다 4.7 4.5 3.5 3.0
시간이 경과하여도 건조하거나 당김이 없다 3.6 3.5 4.0 4.2
시간이 경과후 피지 분비에 의해 화장막이 무너지거나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4.7 4.8 3.6 3.7
시간이 경과후 피지 분비에 의해 화장막이 칙칙해지지 않는다 4.6 4.6 3.2 3.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순 실리카 분체 및 세리싸이트를 첨가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화장후 시간이 경과하여도 번들거리거나 칙칙해지는 현상이 훨씬 덜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므로 입자의 단위그램당 비표면적이 커서 균등한 흡유효과가 발휘될 뿐 아니라 피부에서 퍼짐성이 우수하고 피지를 흡유했을 경우에도 그 투명도의 변화가 적다. 따라서 피지분비에 의하여 화장막이 번들거리거나 화장색이 칙칙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색조 화장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표면적이 80 ㎡/g 이상인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실리카의 표면이 올가노실란계 화합물이나 실리콘 화합물로 코팅되어 있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트리메칠실록실화 실리카, 디메칠실록실화 실리카, 옥틸실록실화 실리카 및 실리콘오일 처리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메이컵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28931A 2003-05-07 2003-05-07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96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31A KR20040096108A (ko) 2003-05-07 2003-05-07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31A KR20040096108A (ko) 2003-05-07 2003-05-07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08A true KR20040096108A (ko) 2004-11-16

Family

ID=3737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931A KR20040096108A (ko) 2003-05-07 2003-05-07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32B1 (ko) * 2006-03-23 2007-06-04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미백용 페이스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7430A (ko) * 2017-10-27 2019-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수성 실리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분말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32B1 (ko) * 2006-03-23 2007-06-04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미백용 페이스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7430A (ko) * 2017-10-27 2019-05-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수성 실리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분말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CN101123938A (zh) 含有大尺寸合成云母的珠光颜料的化妆品组合物
JP6938381B2 (ja) タルク微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US6416573B2 (en) Composite pigment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US10344141B2 (en) Black iron oxide for use with cosmetics,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materials comprising the same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US20040213820A1 (en) Cosmetic
US9433565B2 (en) Hydrophilic and highly oil absorbent boron nitride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smetic
KR20160034237A (ko) 발색 및 사용감이 개선된 지속형 파우더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5320834A (en) Invisible foundation composition
KR20180111261A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JP3040702B2 (ja) 化粧料
US5288481A (en) Invisible foundation composition
KR20040096108A (ko)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여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을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412368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4391674B2 (ja) 複合無機粉体
JP2000229809A (ja) 化粧料
KR101094544B1 (ko) 캡슐화된 색소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3677610B2 (ja) 酸化鉄含有二酸化チタン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0736352B1 (ko)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KR20150065019A (ko) 미세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22244470A1 (ja) 化粧料組成物用の酸化鉄顔料及び酸化鉄顔料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344453B1 (ko)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