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718A - 제맥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제맥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718A
KR20040093718A KR10-2004-7012706A KR20047012706A KR20040093718A KR 20040093718 A KR20040093718 A KR 20040093718A KR 20047012706 A KR20047012706 A KR 20047012706A KR 20040093718 A KR20040093718 A KR 2004009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arm
vessel
containe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제이 해리스
Original Assignee
해리스, 준
니콜라스 제이 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217663A external-priority patent/GB0217663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219782A external-priority patent/GB0219782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224514A external-priority patent/GB0224514D0/en
Application filed by 해리스, 준, 니콜라스 제이 해리스 filed Critical 해리스, 준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03/00067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68903A1/en
Publication of KR2004009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00Preparation of malt
    • C12C1/15Grain or malt turning, charging or discharging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원은, 곡물 위로 상승되어 곡물의 상부에서 다시 재분배되는, 용기의 하부 인접부에서 용기의 중앙부로 알곡이 향해지게 하여 상하 전환방식으로 곡물을 효율적으로 전도(turn over)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맥 공정을 이행하는 방법과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임의적인 제맥 공정의 단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맥 방법과 장치{METHOD AND APPPARATUS FOR MALTING}
제맥공정은 건조, 침맥, 발아, 킬릉, 및 로스팅의 5개 구분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초기의 제맥공정은 고대 이집트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상기 시대를 통해서, 제맥공정은 1960년대 초기에 살라딘과 반더하우펜 발아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하게 다른 방법이 이용되어, 각각의 단계가 점진적으로 보다 기구적으로 되어져 있다. 상기 시스템은 발아 단계 중에 장길이 사각형 "도로(streets)" 또는 상자에서 "상하전환기(Bottom to Top Turners)" 작업을 사용하여 양질의 맥아(malt)를 생산한다. 상기 "상하전환기(turners)"는 공정처리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곡물을 전도 또는 혼합하여 상자에서 상자로 또는 말미에서 말미로 이동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환기는 원료 집적물(피스)의 하부에 원료를 모아서 상부에서 그를 낙하시키어 피스를 전체적으로 통풍하고 발아 단계 중에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스쿠프(scoop) 또는 포위된 아르키메데스 나사를 발아피스의 하부에 구동시키어, 전진 전환장치 뒤에 전환된 경량(벌크 용량의 증가)의 피스를 쌓아서 달성된다. 기구적인 제맥공정에 이용되는 시스템에서는 발아 단계 중에와 마찬가지로 제맥공정중의 다른 4개 단계를 진행하는 중에 양호한 상하전환 동작의 선택을 할 수 없다.
"전환기(발아 중)는 피스를 경량으로 하여야 하며, 얽힌 잔뿌리를 분리하여 공기가 자유롭게 지날 수 있게 허용하여야 한다. 우수한 전환기는 피스의 용량을 1/4 내지 1/3 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브리그스, 호크, 스티븐슨 및 영의 제맥 및 양조 과학(Malting and Brewing Science)]
최저 유닛의 비용으로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동은 용기 내에 복합 발동기를 사용하는 1개 또는 2개의 원형 용기에서 생성되는 대형 배치로 제맥공정의 처음 4개 단계(건조, 침맥, 발아, 킬릉)를 감소하였다.(마지막 단계인 로스팅은 일반적으로 처음 4개 단계와는 분리되어 실시된다.) 공정의 이러한 단축은 맥아의 질과 상부로부터 하부로 원료를 전환하는 특정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잇점의 상실이 절충되어진 것이다. 만일 알곡이 처리공정 장비에서 동질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으면, 동질성의 산출물을 생성할 수 없을 것이다. 상기 대형의 원형 용기는 고정된 교반기 열(row) 쪽으로 원료를 이동하거나 정적 원료를 통해 교반기 열을 구동하여 운영된다. 이용되는 교반기는 발아 단계 중에 잔뿌리가 얽혀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제맥공정의 처음 4개 단계의 임의 단계를 진행하는 중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원료를 전환시키지는 않는 개방형 헬리컬 나선기(open helical screws)이다. 특히, 이들은 발아 단계 중에 통풍력을 향상하거나, 1/4 내지 1/3 정도로 피스의 용량을 증가한것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장비와 관련하여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부가적인 결함이, 용기를 적재, 탈거 및 배출하는데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맥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련하여 개량을 이루어서 상술된 현재의 공정처리 장비의 결함을 회피하거나 완화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맥공정의 5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하는, 즉, 건조, 침맥, 발아, 킬릉. 로스팅 실시용으로 장착된 단일 복합목적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제맥공정의 5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곡물의 하부로부터 곡물의 상부로 재료를 전환하는 양호한 작업의 운영을 허용하는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장비를 활용하는 제맥공정을 실시하여 특히 알곡의 동종성에 대한 맥아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두 5단계의 제맥공정 즉, 건조, 침맥, 발아, 킬릉(kilning), 및 로스팅(roasting) 단계를 포함하는 알곡, 특정하게는 보리의 맥아제조(제맥)에 관한 것이고, 그 제맥공정에 사용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제맥공정의 단계 모두를 실시하기 위해 장착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선회 아암과 다단 높이 탈거 평판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단일 복합-목적 용기를 제공하는 접근방식에 의거하며, 모두 5개 단계의 제맥공정이, 소망하는 다양한 조작을 이행하도록 복합 발동기를 가진 대형 용기를 사용하는 현재 활용할 수 있는 장비에 의해 생산되는 것과 절충된 제품의 특성을 회피하면서 우수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면에 따르는 발명의 유익한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이하에 설명되는 중앙 위치된 구동기구(또는 구동 메카니즘)의 설비에 있다. 본원에 제안된 구동부는 로딩 및 레벨링 메카니즘, "선회 아암과 탈거 평판" 및, 피스의 하부로부터 로딩 및 레벨링 아암에 의해 재분배되는 상부로 탈거 기구에 의해 수집된 곡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파워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면에 따라서, 구동 수단과, 피스와 상관하여 사용되는 직립되어 배열된 구동축, 상기 축을 중심으로 피스의 평면에서 대체로 회전하게 장착되고 하 다단 높이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방향 위치 직립 평판을 포함하는 구동 메카니즘이 제공되며, 그리고 양호하게 상기 평판의 각각은, 전반적인 실시가 축으로부터 연장된 일소 아암(sweeping arm)을 구성하며 아암의 장착 단부에 대해 아암의 말단부가 축의 각 회전 중에 뒤를 따라가는 곡률을 가지는 일련의 탈거 평판을 제공하도록, 임의적인 각도로 지연되게 그 방사 내부방향으로의 접근에 대해 방사적으로 상쇄되게 위치된다.
일소 아암의 기능은, 용기의 하부[일반적으로 유공 플로어(foraminated floor)]에 인접하여 있는 곡물의 얇은 층이 탈거 평판에 의해 수집되어 그 작동힘에 의해 용기의 플로어에 설정된 중앙 배치된 호퍼 쪽으로 추진하는 방식으로, 곡물을 반복적으로 통하는 탈거 평판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거, 상승된 방출 레벨로 상기 호퍼에 수집된 곡물을 상승시키는 물질전달장치가 제공되고, 피스에 다시 적재하기 위해 배출된 곡물을 수집하는데 사용할 목적으로 상기 장치에 대해 병렬 배치되고, 피스와 평행한 평면에서 대체로 회전용 구동축에 장착된 복수의 로딩 아암이 설치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로딩 아암은, 아암의 장착 단부에 대한 아암의 말단부가 축의 각각이 회전을 하는 동안에 그 뒤를 따라가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곡률은 양호하게 상기 탈거 평판 아암의 곡률과 대응한다. 물질전달장치는 양호하게 아르키메데스 나사 컨베이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면에 의거, 탈거 평판 아암과 로딩 아암은 공통 구동축에 장착되고, 형성과정 중에 피스를 통해 로딩 아암이 끌어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 시에 피스의 최대 높이에 대응하는 거리로 그 위에서 이격분리 된다.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면에서, 로딩 아암은 탈거 평판 아암으로부터의 거리에서 가동적이어서, 이들은 공정의 각 단계에서 피스의 상부에 근접 대응하는 조정으로 알곡의 균일한 분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거, 그 상부부분에 위치한 구동수단을 가진 대체로 직립된 원통형 벽으로 된 구역이 합체된 공정 용기가 제공되며, 복수의 곡선진 로딩 아암이 그 상단부에 설치되고 그 하단부에 하 다단 높이로 배열된 일련의 직립 평판으로 형성된 복수의 대응 곡선진 탈거 아암이 설치된 직립형 중앙 위치한 구동축에 작동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용기는 사용 시에 피스를 수용하는 플로어와 중앙 위치한 피스 물질 수집 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축은 호퍼 위에 위치하고 호퍼로부터 로딩 아암에 인접하여 있는 축의 상부 방출구로 알곡을 상승시키도록 물질전달장치를 그 길이부 내에 포함한다. 용기에는 제맥공정용으로 소요되는 당 기술분야에서 이해하고 있는 통풍 및 가열수단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된다.
용기 플로어의 호퍼로부터, 알곡은 로딩 아암의 지원으로 곡물에 재분배되는 용기의 상부 쪽으로, 슬리브(슬리브는 축 표면으로 역활을 함)에 위치한 물질전달수단 또는 기구, 양호하게는 나선식 컨베이어에 의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알곡의 상하부 전환은 중앙 위치한 상승기구와 상부 로딩 아암과 함께하는 다단 높이(height-staged) 탈거 평판과 하부 선회아암의 결합작동으로 이루어진다.
탈거 평판은 제맥 용기 또는 배치(batch) 양의 소망 크기에 따라 결정된 임의 수의 선회 아암에 있게 된다. 2개 대향 아암으로 구성된 양호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첨부도면에 나타낸다. 탈거 평판은 대략 직립방식으로 선회 아암(들)에 고정된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의 피스이고, 곡물을 통과하는 평판의 반복된 통로로 용기 하부의 중앙쪽으로 알곡의 얇은 층이 방향지며 아암이 회전할 때에 이들은 일탈기 또는 쟁기모양의 기구로서 동작하는 형태의 크기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최외측 탈거 평판은 용기 하부의 최외측 부분에서 다음 최내측 평판의 통로로 일부 알곡이 향하게 하거나 편향지게 한다. 다음 아암을 가진 탈거 평판이 지나가면, 용기 하부의 외측부로부터의 원래의 알곡은 다시, 용기의 중앙 쪽으로 부가의 일 유닛(탈거 평판에 의해 일소된 반경방향 거리)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평판이 용기의 중앙 쪽으로의 높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탈거 평판의 이전 통로에 따르는 탈거 평판 위에 알곡으로부터 낙하되어진 일부의 알곡도 내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선회 아암(들)의 연속 통로는 용기의 전체 기부에서 중앙 호퍼 내로 얇은 층의 알곡을 이동한다. 반복하여, 전체 배치의 알곡이 용기의 기부로부터 취해져서, 상승기구에 의해 곡물 상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은 연속적으로 제맥공정의 임의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소망하는 바와 같이 곡물을 전도, 완화, 통풍, 또는 가열이나 냉각을 도와주고 이행한다.
전환 과정 중에 용기의 하부로부터 알곡을 상승시키는 동작을 이용할 때에, 상승장치는 다량의 곡물을 통풍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역활도 한다. 슬리브에서 동작하는 아르키메데스 나사가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되면, 나사의 상승체적율은 그 공급 호퍼로 탈거 평판이 재료를 전달하는 비율을 초과하게 설정된다. 이러한 일은 통풍력을 향상하고 전달 중에 알곡에 해를 미치는 동작을 회피한다. 또한, 상승장치가 방출 슈트(chute)를 경유하여 알곡을 방출하도록 공정 또는 선택된 처리단계의 말미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로딩 아암은 용기가 적재되고 또한 배치물(batch)이 전환될 때에 알곡을 배분할 때에 이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들은 선회 아암의 괘적 엣지(trailing edge) 바로 위에 배치되어 동일한 곡선 또는 외형상을 따른다. 또한, 이들은 효율적으로 재료를 분배하여 균일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용기 내의 배치물 용량과 대응하도록 상승 또는 하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에는 다른 다수의 특징적인 구조도 설치되어 전체 제맥공정을 이행할 수 있다. 이들에는 단열재, 공기와 물 유입 및 배출구, 열교환기 그리고 공기습윤수단이 포함된다. 이러한 것은 적절하게 조화된 공기가 수행되는 제맥공정의 단계에 따라서 결정되는 용기 내로 공급되게 한다. 예를 들면, 맥아(malt)를 로스팅하는 행위는, 필요에 따라, 피스를 전환하면서 용기의 유공 플로어를 통해 고온 공기를 공급하여, 바로 발아 단계(germinating phase)를 동반하는, 용기에서 안정적으로 이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거, 피스를 형성하도록 용기에 곡물을 도입하고; 축의 하단부에 방사방향 하경사 높이의 다단계 평판과, 물질전달장치가 그 길이부 내에 합체 설치된 상기 축의 상단부에 대응 곡률의 수집기 로딩 아암을 구비하는 곡선진 선회 아암이 배열된 장소를 중심으로 직립 구동축을 배열하고; 그리고 그 하단부에서 전달장치로 곡물을 도입하는 수집 호퍼와 그 상단부에서 상승된 곡물을 방출하는 배출 포트를 가지어서, 각각의 상부와 하부 아암을 전환하도록 구동축을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스를 전환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축의 하단부에 곡물은 수집 호퍼로 방사 내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배출 포트로 곡물을 상승시키고, 곡물을 수집하고, 그리고 피스 위에 동일하게 배분하며; 상기 단계는 제맥공정의 목적에 적합한 시간동안 연속 사이클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기구, 용기 및 방법은 단일 용기 내에서 전체 제맥공정을 이행하는데 이상적으로 사용되며, 그러한 사용방식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고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방식으로 보다 완전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제맥공정을 이행하는데 채택되는 용기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주 용기(1)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보강된다. 용기의 기부에는 공기 유입 덕트(2)가 있다. 상기 덕트는 수직 낙하 배수로(3)를 가진 용기의 측부에 고정되어 침맥 액체물(steep liquor)의 배수를 도와준다. 이것은 또한, 건조, 킬릉, 및 로스팅 작업 후에 자체적으로 잔해와 줄기대(culm)의 처리물을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공기유입 덕트는 충만실(6)과 그에 따른 관통 플로어(perforated floor)에 의해 용기로 공기를 유입하는 역활을 한다. 공기는 특정 장비를 사용하는 공정의 단계로 소망대로 데워지거나 습윤하게 된다. 유사한 공기배출 덕트(4)가 용기의 상부에도 고정된다.(공기유입 및 배출 덕트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열 교환기, 복합-방열공 댐퍼, 나비 밸브, 분무실 및 원심성 복합-속도 팬과 같은 특정한 장비를 수용한다.)
용기는 상부와 하부 레벨로 용기 주위를 일소(sweep)하는 아암(12,25)을 구비하는 물질이동기구를 수용하며, 상기 아암은 나선형 컨베이어(10)와 같은 물질상승장치가 합체된 중앙에 위치한 구동축(17)에 장착된다. 이러한 기구는 다음의 목적을 이루게 한다.
제맥공정의 발아 단계 중에,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는 호흡을 억지하여 피스(5)에 "열점(hot spots)"을 발생시킨다. 피스의 상부와 하부를 전환하고, 그것을 경량으로 하여 통풍을 도와주는 것은, 상기 문제에 접근하여, 침맥과 발아를 하는 중에 발생하는 변화의 균일함을 향상시킨다. 용기 내의 송풍장비는 피스를 통하는 공기흐름이 주기적으로 반전되게 하여, 발아 중에 이산화탄소의 경사도를 없애었다. 이러한 과정은 또한 건조를 고루게 하고, 그리고 이어지는 킬릉과 로스팅 단계 중에 색상 형성도 증진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최종 맥아의 질과 동종성을 현저하게 향상한다.
충만실(6)은 유입 덕트로의 낙하부(fall)를 구비하여 배수와 잔해물 제거를 도와준다. 고압실에는 용기 세척을 하는 중에 고압의 물분사를 하는 원형 매니폴드(7)가 있으며, 공기분사기가 피스를 환기하고 침맥 중에 통풍을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로스팅 중에 물을 흠뻑 적시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정적인,스테인리스강, 유공 플로어(8)는 유공 원추형 공급 호퍼(9)를 구비한다. 원료는 상기 호퍼를 경유하여, 전환하는 중에 아르키메데스 나사(10) 형태의 물질상승장치로 공급되거나, 용기에서 실행되는 5개 처리단계의 각각 또는 임의 단계의 말미에서 방출지점(11)으로 공급된다. 나선식 컨베이어의 용량 상승률(the rate of volume lift)은 용기 탈거율(the rate of vessel stripping)(용기로부터 알곡을 제거하는 비율)을 초과하게 선택하여, 발아 중에 전환되는 피스의 통풍을 증진하고 원료에 손상을 끼치거나 선회 아암(12)에 적재가 과하게 되는 것이 피해지게 한다. 관통 플로어의 중앙구역(13)은 원추형 호퍼 위를 회전하는 선회 아암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중앙구역은 2개 곡선진 탈거 슬롯(14)(도2에 도시)을 가진다. 상기 슬롯은 탈거 평판의 작용으로 수집되는 알곡을 수용하여 호퍼(9)에 전달한다. 슬롯은 적절한 펼침동작(도시 않음)으로 중력 하에서 낙하되는 용기 본체에 있는 알곡으로부터 보호를 받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대체로 선회 아암과 탈거 평판의 작용으로 수집되어져 있는 알곡 만이 나선식 컨베이어에 공급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용기의 외부는 단열재(15)로 피복된다. 이러한 사실은 양질의 제품을 얻는데에는 적절한 온도제어가 필요한 공정의 5개 단계 모두용으로 유용한 것이다.
중앙 구동부(16)는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고, 선회 및 로딩 아암과 아르키메데스 나사에 필요한 동기력을 제공한다. 아르키메데스 상승작용 나사와 외부 슬리브(17)는 동일한 회전 중심으로 회전한다. 외부 슬리브는 선회 및 로딩 아암 모두용의 구동축으로 작용한다. 또한, 선회 아암은 탈거 평판(18)을 보유하며, 평판은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중앙부 쪽으로 원료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탈거 평판(18)은 알곡이 용기 플로어의 중앙을 향하여 횡단하여 향해지게 각도를 이룬 선회 아암에 대해 수직적으로 고정된 사각형 평판이다. 용기의 중앙을 향하면서 높아지는 탈거 평판의 높이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한 동작을 제공한다. 용기의 중앙 최근접부의 탈거 평판의 높이는, 용기의 원주부쪽으로 평판으로부터 평판으로의 증량이 감소하는 탈거 슬롯(14)용으로 사용되는 높이에 대응한다.
아암을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힘은 전환되어지는데 필요한 힘의 함수이다. 예를 들면, 발아 단계 중에, 양호한 변환 및 경량의 피스는 농밀한 물질(dense compacted mass)보다 더 용이하게 선회 아암이 동작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춘 것과 같은 자동 시스템 컨트롤러를 적절히 사용하여 공정의 임의 단계 중에 선회 아암의 회전율을 자동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데 적용된다. 공기흐름과 공기온도의 제어는 또한, 선회 아암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을 찾아내어, 곡물 상태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암의 전환동작에 대해 증가된 저항은, 피스에서 밀집된 상태를 가리키어서, 저항이 낮아졌을 때를 찾아낼 수 있는 피스를 경량으로 하는 부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아르키메데스 슬리브는 상부 베어링(19)과 하부 베어링(20)에 위치한다. 하부 베어링은 용기의 원주부(21)와 기부(22)로부터 수평 지지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는 또한 관통 플로어를 지지하는 동작도 한다. 로드 베어링 안전 평판/거리 피스(23)는 주변 내에 고정되어 탈거 평판이 관통 플로어와 접촉하도록 오는 것을 막는다. 아르키메데스 슬리브는 상부 구역(24)에 절결된 2개 슬롯을 가진다. 이들은 용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원료의 방출지점으로 동작한다. 분배 슈트는 원료가 로딩 아암(25)의 전방에 떨어지게 하며, 다음, 이들은 피스의 상부 위에 고르게 확산된다. 상기 로딩 아암은 선회 아암의 궤적 엣지 바로 위에 배치되어, 동일한 곡선 외형상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렬은 평탄한 원료 깊이를 유지하여 공기가 길을 따라 흐르는 동작을 회피시키었다. 이러한 로딩 아암은 랙과 피니온(27)에 의해 브라켓(26)을 지지하도록 부착된다. 이들은 적절히 제어된 곡물 배치(batch)의 분배를 허용할 필요에 의해 로딩 아암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곡물 배치의 레벨은 공정의 5개 다른 단계 중에 원료의 수분 내용물과 벌크 밀도의 변화로 인하여 수시로 변한다. 더우기, 장비가 허용하는 상급품질의 상하 전환동작은, 처리 단계의 어느 일 단계 중에, 특히 발아 단계 중에 이행되는 경량 과정 중에 대체로 용량을 증가하게 한다.
상기 랙과 피니온의 구동은 구동축을 통해 전달되며, 구동축은 스플라인 커플링(28)을 구비하여 로딩 아암의 상승과 강하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구동축의 구동 단부는 용기의 상부에서 자유운영 베어링(30)에 장착되는 이중측 코그(29)와 맞물린다. 이중측 코그(cog)는, 로딩 아암이 수동적으로 또는 인덱싱 모터(32)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구동축(31)을 통한 상승 또는 하강이 필요할 때에, 외부회전된다. 로딩 아암 선단부(33)에 위치한 센서는 로딩 아암이 상승 또는 하강의 어느 하나를 이행하도록 상기 모터에 신호를 보낸다. 인덱싱 모터로의 신호가 없으면, 구동축과 이중측 코그 프리-휠은 로딩 아암의 설정 높이를 유지 한다.
원료는 공정 처리되는 각각의 곡물 배치의 개시부에서 유입 파이프(34)에 의해 공급된다.
모두 5개의 제맥공정의 단계는, 상기 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일 용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소망하는 제맥 운영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용기가 전체과정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대체로 대형 표면적의 피스를 처리하기 위해서 단일 하우징 내에 복수의 상호 측면방향으로 이격진 상승 및 전환 기구를 수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이러한 장비는 상승 및 전환동작이 무력하거나 비효율적인 곳에서 피스에 "사점(dead spots)"을 남길 여지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승 및 전환 기구 둘레에 원통형 벽의 사용에 의한 제한은, 최상 모드의 운영에서 고려되는 사항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단계는 일부 특정한 로스팅 생산물을 제외하고 동반되는 4개 단계와의 구별이 유지된다. 침맥, 발아 및 킬릉 단계는 모두 일 용기 내에서 또는 다른 용기로의 전달에 의해 일정한 순서없이 운영되어, 유연성과 에너지보존을 최대로 하여 처리 된다. 복합 용기를 사용한다면, 2개 이상의 단계가 필요에 따라서 함께 동시적으로 운영되어, 산출량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생산물용 건조 단계 후에 원료를 로스팅 단계를 제외한 상태에서, 로스팅 단계는 일반적으로 발아 단계 후에 개시되고 맥아재료에 온도에서 보다 상당히 더 높은 공기를 간단히 가하여 킬릉 단계를 대체한다.

Claims (16)

  1. 다량의 곡물을 용기 내에 유입하고, 용기의 기부에 대체로 인접하여 있는 일부 알곡이 선회 아암에 장착된 방사방향으로 경사진 높이의 다단계 평판의 작용으로 용기의 기부의 중앙에 수집 호퍼로 증량 방식으로 이동되고, 상기 선회 아암은 대체로 수평면으로 회전하고 직립 구동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집 호퍼에 수집된 알곡은 물질전달장치에 의해 곡물의 상부로 상승되어 전반적인 실행이 상하방식으로 용기로 도입되는 곡물을 전도하도록 직립 구동축의 상단부에 위치한 로딩 아암의 동작으로 곡물 위에 배분되고, 상기 전환동작은 제맥 목적에 적합한 시간동안 연속 사이클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건조 공정이고, 상기 용기에는 조화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침맥 공정이고, 상기 용기에는 물과 조화 공기를 공급 및 제거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발아 공정이고, 상기 용기에는 조화 공기와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킬릉(kilning) 공정이고, 상기 용기에는 조화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로스팅(roasting) 공정이고, 상기 용기에는 조화 공기와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건조, 침맥, 발아, 킬릉, 및 로스팅 공정의 임의적인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방법.
  8. 구동수단이 설치된 용기와, 곡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직립으로 배열된 구동축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피스의 평면에서 회전하게 장착된 복수의 선회 아암과, 용기의 기부 중앙에 위치한 수집 호퍼 및, 수집 호퍼로부터 상승된 배출 레벨로 곡물을 상승시키는 물질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 아암은 전반적인 실행이 용기의 기부로부터 증량적으로 알곡을 이동시키는 일련의 탈거 평판을 제공하도록 높이 감소 다단계로 배열된 복수의 방사방향 위치한 직립 평판을 구비하며;
    복수의 로딩 아암은 상승된 알곡을 곡물에 재분배하기 위해 구동축에 장착된 피스의 평면에서 대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사방향 위치된 직립 평판은 임의적인 각도로 방사방향으로 각각 상쇄되고, 아암의 장착 단부에 대한 아암의 말단부가 축의 각각의 회전 중에 그 뒤를 따라가는 곡률을 가지고, 축으로부터 연장된 일소 아암(sweeping arm)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물질전달장치는 로딩 아암과 탈거 평판을 구동하는 구동축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물질전달장치는 슬리브에 위치된 나선식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딩 아암은 곡물과 평행한 평면에서 대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딩 아암은, 아암의 장착 단부에 대한 아암의 말단부가 축의 각각의 회전 중에 그 뒤를 따라가는 곡률을 가지고, 상기 곡률은 상기 일소 아암의 곡률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딩 아암은 일정 거리에서 일소 아암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는 단면이 대체로 원통형이며, 부가로 유공 플로어, 단열재, 공기와 물의 유입 및 배출구, 열교환기 및, 공기 습윤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맥공정을 이행하는 장치.
  16. 첨부도면 도1과 도2를 참고로 본원에 기술된 장치.
KR10-2004-7012706A 2002-02-16 2003-02-14 제맥 방법과 장치 KR20040093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03763.8A GB0203763D0 (en) 2002-02-16 2002-02-16 Malting plant
GB0203763.8 2002-02-16
GB0207965.5 2002-04-06
GBGB0207965.5A GB0207965D0 (en) 2002-02-16 2002-04-06 Malting plant
GB0217663.4 2002-07-31
GB0217663A GB0217663D0 (en) 2002-02-16 2002-07-31 Malting point
GB0219782A GB0219782D0 (en) 2002-02-16 2002-08-27 Malting plant
GB0219782.0 2002-08-27
GB0224514A GB0224514D0 (en) 2002-02-16 2002-10-22 Malting plant
GB0224514.0 2002-10-22
PCT/GB2003/000673 WO2003068903A1 (en) 2002-02-16 2003-02-14 Method and appparatus for mal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718A true KR20040093718A (ko) 2004-11-08

Family

ID=993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706A KR20040093718A (ko) 2002-02-16 2003-02-14 제맥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040093718A (ko)
CN (1) CN1692155A (ko)
AP (1) AP2004003132A0 (ko)
GB (2) GB0203763D0 (ko)
ZA (1) ZA2004073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00B1 (ko) * 2013-04-17 2013-10-10 (주)대성후드텍 제맥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9666A1 (de) 2012-07-27 2014-01-29 Bühl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rren von Darrgut
EP3712239B1 (de) * 2019-03-22 2023-12-27 Bühler GmbH Restentleer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00B1 (ko) * 2013-04-17 2013-10-10 (주)대성후드텍 제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207965D0 (en) 2002-05-15
AP2004003132A0 (en) 2004-09-30
GB0203763D0 (en) 2002-04-03
ZA200407395B (en) 2006-03-29
CN1692155A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7701A (en) Bin grain dryer
US413995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seed corn by burning cobs
CN104582493B (zh) 用于窑炉干燥的材料的窑炉干燥的方法和设备
CN210187229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磨米装置
CN105503311A (zh) 一体化高温好氧有机废物处理机
KR20040093718A (ko) 제맥 방법과 장치
EP1483364B1 (en) Method and appparatus for malting
AU2004255655A1 (en) Device for cereal malting
CN208205747U (zh) 粮食烘干设备
CN2849614Y (zh) 小型可移动循环谷物干燥机
CN110495491A (zh) 定量给料的粮食干燥机
US2654691A (en) Malting apparatus
US4277505A (en) Process for the malting of grain
US20150307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ain Steeping, Germinating, Kiln Drying and Fermenting, and/or Combinations Thereof
CN109929740A (zh) 粪便污泥好氧发酵单元及其多层好氧发酵系统
EP0714979A2 (en) Germination vat for malthouses
CN207308349U (zh) 一种送风式圆筒初清筛
CN108917339A (zh) 一种稻谷粒烘干装置
CN212720736U (zh) 用于成品的翻炒烘干设备
CN214131522U (zh) 一种出料方便的搅拌罐
CN113246295B (zh) 一种膨胀土用搅拌装置
CN208692238U (zh) 一种蚕豆瓣制曲系统
US2202536A (en) Malting apparatus
CN207222308U (zh) 一种圆筒初清筛
CN208987732U (zh) 一种蚕豆酱瓣制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