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888A -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888A
KR20040092888A KR1020030027311A KR20030027311A KR20040092888A KR 20040092888 A KR20040092888 A KR 20040092888A KR 1020030027311 A KR1020030027311 A KR 1020030027311A KR 20030027311 A KR20030027311 A KR 20030027311A KR 20040092888 A KR20040092888 A KR 20040092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ff
mobile router
mobile
buffering
hom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513B1 (ko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5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36/023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Abstract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은 홈링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링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 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여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모바일 라우터 및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가 있으면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홈에이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단위 이동 네트워크의 라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라우터의 핸드오프시 패킷 손실율을 크게 감소 시킴으로서 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구성 단말의 스루풋(throughput)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방법{Mobility support system for network mobi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홈에이젼트의 버퍼링에 의한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기반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홈에이젼트에 버퍼링 및 포워딩 기능을 추가함으로서, 수신받는 패킷의 손실량을 감소시키고 스루풋(throughput)을 증가시키는 홈에이젼트의 버퍼링에 의한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통신에 관한 사용자들의 요구와 또한 그 분야의 기술의 발달로인하여, 모바일 통신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해 왔다. 최근까지는 개개의 단말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호스트 모빌리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실상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무선 단말들에게 고품질의 이동성을 제공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된 것이 모바일 IPv6이다. 모바일 IPv6 환경에서 이동성 지원은, 모든 이동단말기에 IP주소라는 특정 식별자를 사용하게 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링크계층에서 독립적으로 자신이 사용하던 서비스를 계속 이어받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글로벌 로밍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mobile IP 워킹 그룹(Working Group)은 모바일 IP의 전개와 그것의 단점을 보완하는 적절한 프로토콜들을 표준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다른 여러 표준화 단체에서도 셀룰러 시스템 (UMTS, CDMA2000, GPRS, etc.)에 모바일 IP를 도입할 계획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수적인 것이 각 단말기에 할당할 IP주소의 확보이다. 그런데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지금과 같은 증가추세라면 기존의 IPv4의 주소체계로는 늘어나는 IP 주소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주목받고 있는 IPv6를 이용하여 이동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ETF의 모바일 IPv6 기술은 향후 인터넷의 IP 프로토콜이 IPv6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사실상 위에서 설명한 모바일 IPv6에 의해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네트워크 모빌리티는 지원된다. 호스트 모빌리티를 지원하고 있는 모바일 IPv6의 스킴(scheme)을 대부분 승계하며,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다음은 네트워크 모빌리티에 관한 간단한 설명이다. 네트워크 모빌리티란 하나의 유/무선으로 구성된 단위 네트워크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이동성을 제공받는 단위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기차, 항공기, 선박 등 이동수단(moving vehicles)에 구성된 LAN이나, 사람, 동물, 기계등 움직이는 몸체(moving body)에 구성된 네트워크인 PAN(Persional Area Network)이 될 수 있다. 이때 이동은 이 네트워크에 구성된 모바일 라우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모바일 라우터(MR: Mobile router)는 자신의 링크 접속위치를 바꾸는 이동 네트워크의 라우터이다. 그리고 이 이동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라우터 하위에 존재하는 노드나 라우터는 네트워크의 이동을 알지 못한다.
도 1은 네트워크 모빌리티의 일반적인 일실시예를 나타낸다.항공기(20), 자동차(30), 선박(40), 사람(50)의 몸체에 각각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네트워크는 이동성을 제공받는다. 항공기(20)나 선박(40)의 경우 원양이나 상공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항공기(20)나 선박(40)에 존재하는 개개의 단말이 일반적인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의 서비스를 확보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때 항공기(20)나 선박(40) 내부의 개개 단말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모바일 라우터(미도시)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동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자동차(30)의 경우, 자동차 내부의 엔진등의 부품과 스피커, 오디오, 네비게이션등이 개개이 단말이 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사람의 몸(50)에 구성된 PDA나 캠코더, 스피커가 개개의 단말이 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이들을 통합적 그리고, 유기적으로 이용함으로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 IPv6기반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대응노드(100)와 통신중인 홈링크상의 모바일 라우터(140)의 핸드오프 및 그 전후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 표시도이다. 여기서 홈 링크 (Home link)는 모바일 라우터(MR)가 이동하기 전에 홈프리픽스(Home Prefix)를 통해 구성된 주소인 HoA(Home of Address)를 가지고 통신하고 있던 네트워크이며, 홈에이젼트는 홈 링크에 있는 라우터 중 모바일 라우터(140)의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모바일 라우터(140)가 홈 링크를 떠나 있을 경우 모바일 라우터(140)의 현재 이동한 위치로 패킷을 전송해주는 라우터이고, 대응 노드(100, CN:Correspondent Node)는 모바일 라우터(140)와 통신하고 있는 인터넷상의 어느 한 노드이다. 대응노드(100)는, 홈에이젼트(110)를 통해서 모바일 라우터(140)와 통신하고 있다(ⓞ,①). 이때 모바일 라우터(140)가 이동을 한다. 모바일 라우터(140)는 이동지역의 억세스 라우터(120)에게 CoA(CAre of Address)를 할당해 줄 것을 요구한다(②). CoA (Care of Address)란 모바일 라우터(140)가 외부 링크로 이동하였을 경우 IPv6의 주소자기구성(Address auto-configuration) 방식으로 획득한 주소로서 모바일 라우터(140)가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의 프리픽스를 통해 구성된 임시 주소를 의미한다. 억세스 라우터(120)는 자신의 네트워크의 프리픽스를 통해 구성한 CoA인 CoA1을 모바일 라우터(140)에게 할당하고(③), 이를 할당받은 모바일 라우터(140)는 이 CoA1값을 포함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홈에이젼트(110)에게 전송한다(③,④). 여기서 바인딩(binding)은 모바일 라우터(140)가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였을 경우 홈에이젼트(110)에 등록하는 정보로서, 임시로 구성된 CoA와 원래의 주소인 HoA를 대응시켜 놓은 것이다. 홈에이젼트(110)는 HoA(HoA: Home of Address)와 CoA1을 대응시키고, 이 대응 이후 대응노드(100)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들을 새로이 업데이트 된 CoA1으로 송신한다(ⓞ,⑤).
도 3은 도 2에 따른 모바일 라우터(140)의 핸드오프시 패킷 송수신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전 홈에이젼트는 모바일 라우터의 CoA로 CoA0를 가지고 있었고 이동한 지역에서 할당받은 CoA는 CoA1이며, 수치는 설명을 위해 임의로 구성한 것이다. 도 3에서 모바일 라우터(140)는 m시점에서 외부 링크로부터 CoA1을 할당 받아 서비스 지역을 이동하였다(③). 그러나 홈 에이젼트(110)는 n시점에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송받아서(④) n시점 이후일때부터 모바일 라우터(140)가 이동한 지역으로 패킷들을 송신하게 된다(⑤). 따라서 m시점에서 n시점사이의 시간4∼6에서는 패킷들이 모바일 라우터(140)에게 전송되지 못하여 패킷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통신의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모바일 라우터(140)는 모바일 라우터(14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하위 노드(미도시)들에게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하여 라우팅하기 때문에 단순히 하나의 노드 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할 때 보다 그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라우터가 외부링크로 이동하여 새로운 CoA를 할당받는 때와, CoA를 할당 받은후 홈에이젼트에게 바인딩 업데이트(BU) 신호를 송신하여 홈에이젼트가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시간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 손실을 줄이고, TCP의 높은 스루풋(throughput)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모빌리티의 실시예,
도 2는 모바일 IPv6 기반에서 대응노드와 통신중인 모바일 라우터의 핸드오프시 패킷 수신 경로 표시도,
도 3은 모바일 IPv6 기반에서 대응노드와 통신중인 모바일 라우터의 핸드오프시 패킷 수신 및 손실 상태도,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동작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블럭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a는 홈링크와 외부링크의 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에서 모바일 라우터의 위치에 따른 신호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응노드와 통신중인 모바일 라우터의 핸드오프시 패킷 수신 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에대한 기준을 도시한 도면,
도 9b는 9a에 따른 본발명에 따른 TCP 트레이스(trace) 시뮬레이션 결과, 그리고
도 9c는 9a에 따른 본발명에 따른 TCP 스루풋(throughput)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모바일 라우터:(MR) 200 핸드오프 예측부: 260
버퍼링 요청부: 280 대응 노드(CN): 150
홈에이젼트(HA): 300 메모리: 360
포워딩부: 380 억세스 라우터(AR): 380, 39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통신 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은, 핸드오프 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여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모바일 라우터 및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가 있으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홈에이젼트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라우터는, 상기 핸드오프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는 핸드오프 예측부 및 상기 핸드오프 시점이 예측되면 상기 홈에이젼트에게 버퍼링을 요청하는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버퍼링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오프 예측부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모바일 통신을 제공하는 신호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때 핸드오프를 예측하며, 상기 홈에이젼트가 이동성을 제공하는 홈링크에서, 상기 외부링크로 이동할 경우 예측 가능하다.
상기 홈에이젼트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소정의 버퍼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모바일 라우터에게 전송하지 않고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이동지의 주소가 포함된 소정의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 대응되는 패킷들을 상기 주소로 송신하는 포워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소는 이동한 지역에서 할당받은 CoA(Care of Address)이며, 상기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는 BU(Binding Upd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바일 통신 환경은, 모바일 IPv6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모바일 통신 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은, 모바일 라우터에서 핸드오프 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여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핸드오프 예측 단계 및 홈에이젼트에서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가 있으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오프 예측 단계는, 상기 핸드오프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는 핸드오프 예측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 시점이 예측되면 상기 홈에이젼트에게 버퍼링을 요청하는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버퍼링 요청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모바일 통신을 제공하는 신호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때 핸드오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드오프 예측 단계는, 홈에이젼트가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링크에서, 상기 외부링크로 이동할 경우 예측 가능하다.
상기 버퍼링 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소정의 버퍼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모바일 라우터에게 전송하지 않고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이동지의 주소가 포함된 소정의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 대응되는 패킷들을 상기 주소로 송신하는 포워딩 단계를 포한한다. 상기 포워딩 단계는, 상기 주소는 이동한 지역에서 할당받은 CoA(Care of Address)이며, 상기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는 BU(Binding Upd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바일 통신 환경은, 모바일 IPv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동작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라우터(200)가 본 발명에 따른 홈에이젼트(30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홈에이젼트(300)를 통해 대응노드(150)와 통신하고 있으며, 이때 대응노드(150)와 홈에이젼트(300), 그리고 다수의 외부링크의 억세스 라우터(380, 390)들이 인터넷망(10)에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 라우터와 통신하는 대응노드(150)는 오직 홈에이젼트(300)를 통해서 모바일 라우터(200)와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라우터(200)는 홈링크에서 외부링크로 이동하기 전 핸드오프 할 것임을 예측하여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홈에이젼트(300)에게 송신한다. 홈에이젼트(300)는 소정의 버퍼링 요청신호가 있으면 대응노드(150)로부터 모바일 라우터(20)에게 전송되는 패킷들을 저장하여 둔 후 모바일 라우터(200)로부터 소정의 핸드오프 완료 신호를 수신받으면 저장해 놓은 패킷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모바일 통신 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라우터(200)와 홈에이젼트(300)의 블록도이다. 모바일 라우터(200)는 인터페이스부(220), 제어부(240), 제어부(240) 내의 핸드오프 예측부(260)와 버퍼링 요청부(280)를 포함한다. 홈에이젼트(300)는 인터페이스부(320), 제어부(340), 제어부(340) 내의 메모리(360)와 포워딩부(380)를 포함한다. 모바일 라우터의(200) 인터페이스부(220)는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제어부(240)는 모바일 라우터(200)의 일반적인 기능을제어한다. 핸드오프 예측부(26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의 신호 전력을 측정하여, 소정의 임계값 이하이면 핸드오프 할 것임을 미리 예측한다. 버퍼링 요청부(280)는 핸드오프 예측부(260)에서 핸드오프가 예측되면 홈에이젼트(300)에게 자신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 후 저장해 줄 것을 요청하는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홈에이젼트(300)의 인터페이스부(320)는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제어부(340)는 홈에이젼트(300)의 일반적인 기능의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360)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받아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며, 포워딩부(380)는 바인딩 업데이트 신호를 수신받으면 바인딩 업데이트 신호를 송신한 모바일 라우터(200)에 대응하는, 메모리(360)에 저장된 패킷들을 모바일 라우터(200)에게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대응노드(150)와 통신중인 모바일 라우터(200)가 홈링크상에서 이동한다(S610). 이때 홈링크상에서 송신받는 신호의 신호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이면 핸드오프 할 것임을 예측한다(S620). 도 7a는 홈링크와 외부링크의 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7a의 모바일 라우터(200)의 위치에 따른 신호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에서는 각각 홈링크(700)와 외부링크(710)의 범위를 표시하고 있다. 각 범위의 신호전력이 L∼U가되는 위치인 b와 c구간에서 핸드오프가 발생되어 완료되며, 신호전력이 임계값 T가 되는 위치인 a위치에서 모바일 라우터(200)는 잠시후 b지점에서 핸드오프를 시작 할 것임을 예측한다. 모바일 라우터(200)는 홈 에이젼트(300)에게 버퍼링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630). 홈에이젼트(300)는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한 모바일 라우터(100)에 대응하는 패킷들을 메모리(360)에 저장한다(S640). 모바일 라우터(200)는 이동한 외부링크의 억세스 라우터(380)에게 CoA를 할당해 줄것을 요청한다(S650). 모바일 라우터(200)는 새로운 CoA를 할당 받았으면(S660), 홈에이젼트(300)에게 바인딩 업데이트 신호를 송신한다(S670). 홈에이젼트(300)는 CoA1을 이용해 새로 이동한 지역에 위치한 모바일 라우터(200)에게 메모리(360)에 버퍼링해 놓은 패킷들을 전송한다(S680). 그리고 이후에는 대응노드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들은 모바일 라우터의 이동지역의 주소로 송신된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모바일 라우터(200)의 핸드오프시 패킷 송신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동전 홈에이젼트는 모바일 라우터의 CoA로 CoA0를 가지고 있었고 이동한 지역에서 할당받은 CoA는 CoA1이며, 수치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임의로 구성한 것이다. p점은 모바일 라우터(200)가 핸드오프를 예측한 시점이다. q점은 홈에이젼트(300)가 버퍼링 요청 메시지를 송신받아 버퍼링하기 시작한 점이다. r점은 모바일 라우터(200)가 이동한 지역의 억세스 라우터(380)로부터 새로운 CoA를 할당 받아 이동을 완료한 점이며, s점은 홈에이젼트(300)가 바인딩 업데이트 신호를 수신받은 점이다. 도 3과 비교하여 볼때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 완료와 이동 완료를 알리는 바인딩 업데이트 송수신에 걸리는 시간의 차이로 인해 r∼s구간에서 패킷 손실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오프를 미리 예측하고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소정의 시간 이전 부터 완료 메시지가 도착하는 시점인 q∼s구간에서 수신되는 패킷들을 저장함으로서 종래의 패킷 손실 구간을 모두 포함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종래의 바인딩 업데이트 송수신 시간차로 인한 패킷 손실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9a 내지 9d는 72km/h로 이동하는 모바일 라우터(850)가 대응노드(800)와 대역폭 2Mbps, 왕복시간 200ms로 통신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본 발명을 시뮬레이션 한 것이다. 도 9a는 시뮬레이션의 환경 및 기본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대응 노드(800), 억세스 라우터(830∼840), 홈에이젼트(820)등이 인터넷(10)에 연결되어 통신하고 있다. 도 9b는 두 번의 핸드오프를 포함하는 이동에서의 TCP 데이터 트레이스(trace)를 나타내는 것이다. u점과 v점이 각각 모바일 라우터(850)의 핸드오프 시점이다. 핸드오프시 패킷이 손실되는 부분이 종래 버퍼링 하지 않은 경우 대비 절반 가량으로 줄어든 것이 보인다. 9c는 TCP 스루풋(throughput)으로서 핸드오프 시점인 u'점과 v'점에서 종래 버퍼링 하지 않은 경우는 스루풋(throughput)이 0으로 떨어지지만 본 발명은 핸드오프 하지 않는 부분의 50% 가량의 스루풋(throughput)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네트워크의 모바일 라우터의 핸드오프시 패킷 손실률이 종전의 절반 가량으로 줄어들어 핸드오프시에도 일정정도의 TCP 스루풋(throughput)을 유지하게 되고, 이는 곧 통신 품질의 향상을 의미한다. 그런데 모바일 라우터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단말들의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라우팅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라우터 하나의 패킷 손실률 감소는 라우터의 네트워크의 모든 단말의 패킷 손실률 감소를 의미하게 되므로 그 효용이 크며, 이동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그 효용은 더 커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4)

  1. 홈링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링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프 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여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홈링크의 모바일 라우터;및
    상기 버퍼링 요청 신호가 있으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홈에이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라우터는,
    상기 핸드오프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는 핸드오프 예측부;및
    상기 핸드오프 시점이 예측되면 상기 홈에이젼트에게 버퍼링을 요청하는 상기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버퍼링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예측부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모바일 통신을 제공하는 신호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핸드오프 시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예측부는,
    상기 홈에이젼트가 이동성을 제공하는 상기 홈링크에서, 상기 외부링크로 이동할 경우에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이젼트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상기 버퍼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전송하지 않고 저장하는 메모리;및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이동지의 주소가 포함된 소정의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 대응되는 패킷들을 상기 이동지의 주소로 송신하는 포워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의 주소는 이동한 지역에서 할당받은 CoA(Care of Address)이며, 상기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는 BU(Binding Upd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환경은,
    모바일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시스템.
  8. 홈링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링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환경의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링크의 모바일 라우터에서 핸드오프 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여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핸드오프 예측 단계;및
    홈에이젼트에서 소정의 버퍼링 요청 신호가 있으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예측 단계는,
    상기 핸드오프시점을 소정의 시간 이전에 예측하는 핸드오프 예측단계;및
    상기 핸드오프 시점이 예측되면 상기 홈에이젼트에게 버퍼링을 요정하는 상기 버퍼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버퍼링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예측 단계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모바일 통신을 제공하는 신호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핸드오프 시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예측 단계는,
    홈에이젼트가 이동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홈링크에서, 상기 외부링크로 이동할 경우에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소정의 버퍼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게 송신되는 패킷들을 모바일 라우터에게 전송하지 않고 저장하는 단계;및
    상기 모바일 라우터로부터 이동지의 주소가 포함된 소정의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상기 모바일 라우터에 대응되는 패킷들을상기 주소로 송신하는 포워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단계는,
    상기 이동지의 주소는 이동한 지역에서 할당받은 CoA(Care of Address)이며, 상기 핸드오프 완료 메시지는 BU(Binding Upd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환경은,
    모바일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 방법.
KR10-2003-0027311A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KR10052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311A KR100520513B1 (ko)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311A KR100520513B1 (ko)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88A true KR20040092888A (ko) 2004-11-04
KR100520513B1 KR100520513B1 (ko) 2005-10-11

Family

ID=3737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311A KR100520513B1 (ko) 2003-04-29 2003-04-29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5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37B1 (ko) * 2006-07-27 2007-06-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Pv6 노드와 통신하는 지그비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동성을 제공하는 이동 라우터
KR100824239B1 (ko) * 2005-11-07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이동 중계국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833999B1 (ko) * 2006-12-07 2008-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끊김없는이동성 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239B1 (ko) * 2005-11-07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이동 중계국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729237B1 (ko) * 2006-07-27 2007-06-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Pv6 노드와 통신하는 지그비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이동성을 제공하는 이동 라우터
KR100833999B1 (ko) * 2006-12-07 2008-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끊김없는이동성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513B1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58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roaming for wireless networks
US7209480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wireless access system using the apparatuses
KR100763534B1 (ko) IPv6 기반 모바일 시스템에서 빠른 리액티브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JP4451325B2 (ja) 移動ノード、基地局、ルータおよび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EP1983795B1 (en) Method of performing vertical handover between different wireless networks
US200902851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JP200219942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移動端末
KR100800810B1 (ko) 브리지형 휴대 인터넷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20090052398A1 (en) Method of performing a handover
JP2005027314A (ja) モバイルIPv6ホームエージェントのシームレス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8140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00822B1 (ko) 브리지 기반 셀룰러 이더넷 망의 시스템 및 그 핸드오버처리 방법
US2012013434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equipment with broadcast-based backhaul network interface and next generation air interface
JP4240411B2 (ja) フラット構造の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ドレス管理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3125433A (ja) 通信制御方法及び移動端末
KR100520513B1 (ko) 네트워크 모빌리티에서 핸드오프시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시스템 및 방법
Park et al. A fast neighbor discovery and DAD scheme for fast handover in mobile IPv6 networks
WO2007066866A1 (en) Routing optimization method
JP200430484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移動端末
JP2007281721A (ja) 移動通信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ルータ
JP442577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体、およびモバイルルータ
US20110116475A1 (en) Vertical handoff method, vertical handoff system, home agent, and mobile node
Momtaz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analysis of different Proxy Mobile IPv6 fast handover schemes
KR20120071924A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KR20090063380A (ko)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 노드에서 링크 트리거 신호를이용한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