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4Y1 -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 Google Patents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4Y1
KR200400914Y1 KR20-2005-0023421U KR20050023421U KR200400914Y1 KR 200400914 Y1 KR200400914 Y1 KR 200400914Y1 KR 20050023421 U KR20050023421 U KR 20050023421U KR 200400914 Y1 KR200400914 Y1 KR 200400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head
protective cap
sprinkler
main body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20-2005-0023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건물 천장 등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를 보호 캡으로 감싸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므로서, 배관 및 실내 마감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타격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력으로 인해 스프링 클러 헤드가 훼손 및 파손되거나 오작동, 즉,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스프링 클러가 작동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프링 클러 헤드 일부위를 감싸 차폐되도록 보호 캡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며, 보호캡은 상면이 개방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넓게 벌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게 본체가 구성되고, 본체의 상부 양측부위에는 반원형태의 결합부가 구성되며, 각각의 결합부에는 협지편이 대향되게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Guard cap of sprinkler head}
본 고안은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시 화재발생시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건물 천장 등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를 보호 캡으로 씌워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므로서, 배관 및 실내 마감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타격되거나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스프링 클러 헤드가 오작동, 즉,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스프링 클러가 작동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클러 헤드는 건물의 천장 등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소화용 소화수가 배관을 통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일부위가 파열되면서,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 클러 헤드는 크게 프레임 타입(frame type)과 플러시 타입(flush type)으로 구분되며, 전자의 프레임 타입 스프링 클러 헤드는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연결되어 소화수 분출구가 천공되고, 하방으로 연장되게 프레임이 형성되며, 프레임의 하단에 확산판이 형성된 본체와, 평상시에는 소화수 분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재와, 프레임과 폐쇄부재 사이에 끼워져 개폐부재를 폐쇄상태로 로킹시킴과 아울러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을 감지하여 로킹을 감지하는 열감지부재로 구성된다.
프레임 타입 스프링 클러 헤드는 열감지 및 로킹수단의 종류에 따라, 퓨즈메탈을 이용하거나 글래스벌브를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퓨즈메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소정 온도 용융되어 스프링클러가 터지도록 형성하여 프레임 하단과 개폐부재 사이에 위치시켜 개폐부재가 소화수 분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로킹되는 것이다.
그리고, 글래스벌브 타입 스프링 클러 헤드는 소정온도 약 68℃ 또는 93℃ 이상에서 팽창되는 약액이 주입된 글래스벌브를 프레임과 개폐부재 사이에 위치시켜 개폐부재가 소화수 분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로킹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퓨즈메탈을 이용한 프레임 타입 스프링 클러 헤드는 화재 등에 의하여 주위의 온도가 설정온도(68℃, 103℃, 105℃)에 이르면, 퓨즈메탈이 용융되면서 개폐부재의 로킹을 해제시켜 분출구를 통하여 소화수가 분사되어 화재진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글래스벌브를 이용한 프레임 타입 스프링 클러 헤드는 화재 등에 의하여 주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이르면, 글래스 벌브내에 주입된 약액이 팽창되면서, 그 압력에 의하여 글래스벌브가 폭발하면서 개폐부재의 로킹을 해제시켜 분출구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러시 타입 스프링 클러 헤드는 천정판의 상부에서 배관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며 분출공이 형성된 노즐부를 가지는 헤드 본체와; 헤드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공간부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 가장자리에 확산판이 형성된 형성된 승강대와, 승강대의 하단 중앙부에 결합되어 소화수 노즐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개폐부재를 폐쇄상태로 로킹시키고,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감지되면, 로킹을 해제시키는 열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 클러 헤드는 소화수 공급을 위해 설치된 배관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프링 클러 헤드는 건물의 천장에 소화수 공급을 위해 설치된 배관 소정위치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화재발생시 감지되는 온도에 의해 작동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나, 건물의 천장에는 스프링 클러 뿐만 아니라, 각종 전기부재나 환풍기 및 마감부재 등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를 위해 천장 소정위치에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는 나사방식에 의해 배관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기부재나 환풍기 및 마감부재 등의 시공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간섭현상으로 인해 외력, 즉 타격 및 진동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클러 헤드가 외력에 의해 일부위가 파손 또는, 훼손되어 화재발생시 정상적인 소화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폐단을 안고 있으며, 특히, 소화수가 배관을 통해 스프링 클러에 공급되어 분사를 위한 대기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스프링 클러 헤드가 오작동되고, 불필요하게 소화수가 분사되어 낭비되며, 오작동으로 인해 작동되어진 스프링 클러 헤드를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난해함이 수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건축시공시 건물의 벽체와 천장이 완성되면 전기, 수도 배관과 더불어 소화설비인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소화수 또는 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작업자들이 공사중에 스프링클러 헤드를 다른 부자재로 타격하더라도 스프링클러 헤드의 하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차후 준공검사를 하기 위해 시험 가동시 하자가 발생되어 낭패를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 진압을 위해 천장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에 보호 캡을 결합하여 외부와 차폐시키므로서, 전기부재나 환풍기 및 마감부재 등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스프링 클러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력을 차단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외력에 의해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가 오동작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것을 예방하고, 소화수가 무의미하게 분사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오동작으로 인해 스프링 클러 헤드를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난해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재발생시 감열판에 감지되는 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디프렉터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며, 몸체에 형성된 나사축에 의해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 헤드에 있어서, 스프링 클러 헤드에는 일부위를 감싸 차폐되도록 보호 캡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보호캡은 상면이 개방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넓게 벌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게 본체가 구성되고, 본체의 상부 양측부위에는 반원형태의 결합부가 구성되며, 각각의 결합부에는 협지편이 대향되게 돌출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캡(1)의 본체(2)는 상면이 개방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구멍(3)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넓게 벌어지도록 경사면(4)이 형성되게 구성된 것이다.
본체(2)의 상부 양측부위에는 반원형태의 결합부(5)가 구성되고, 각각의 결합부(5)에는 협지편(6)이 대향되게 돌출된 구성을 이룬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화재발생시 감열판(11)에 감지되는 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디프렉터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며, 몸체(12)에 형성된 나사축(13)에 의해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10)를 보호캡(1)으로 감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오작동이나 훼손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호캡(1)은 스프링 클러 헤드(10)의 하부, 즉, 몸체(12) 하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된 감열판(11)과 프레임(14)을 감싸 외부와 차폐되도록 결합된 것으로서, 본체(2)의 상부 양측부위에 반원형태로 구성된 결합부(5)가 프레임(14)을 가압하며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5)가 형성되는 본체(2)는 다수개로 등분·분할되게 구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게 되며, 프레임(14)에는 통공(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호캡(1)을 끼워 결합하는 과정에서, 본체(2)가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며 결합되고, 결합부(5)에 형성된 협지편(6)은 프레임(14)에 형성된 통공(14')에 위치되어 걸림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건물의 천장에 소화수 공급을 위해 설치된 배관에 조립도구(16)를 이용하여 스프링 클러 헤드(10)를 결합하고, 스프링 클러 헤드(10)에는 보호 캡(1)을 씌워지도록 결합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외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호 캡(1)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장 소정 위치에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을 위한 스프링 클러를 설치하되, 스프링 클러 헤드(10)에 보호 캡(1)을 결합하게 되면, 스프링 클러 헤드(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 및 실내 마감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타격되거나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프링 클러 헤드(10)에 결합되는 보호 캡(1)은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면(4)이 프레임(14) 외면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결합부(5)는 프레임(14)에 형성된 통공(14')에 위치되어 협지편(6)이 통공(14')에 끼워져 걸림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관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스프링 클러 헤드(10)는 몸체(12)의 하부 즉, 감열판(11)과 프레임(14)이 보호 캡(1)에 의해 감싸지며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스프링 클러 헤드(10)를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보호 캡(1)은 배관 및 실내 마감 등의 작업이 완료되면, 화재진압을 위한 스프링 클러의 원할한 작동을 위해 보호 캡(1)을 분리하게 되는 것으로서, 보호 캡(1)을 파지하여 하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결합부(5)의 협지편(6)이 통공(1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분리된다.
본 고안에서, 보호 캡(1)의 본체(2)는 다수개로 등분·분할되게 구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게 되므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변형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며, 탄성력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을 이용함에 따라, 건물의 천장에 전기부재나 환풍기 및 마감부재 등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화재진압을 위해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의 외력을 차단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외력에 의해 설치된 스프링 클러 헤드가 오동작되어 소화수가 분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소화수가 무의미하게 분사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스프링 클러 헤드를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난해함을 해결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보호 캡 2:본체
3:구멍 4:경사면
5:결합부 6:협지편
10:스프링 클러 헤드

Claims (2)

  1. 화재발생시 감열판에 감지되는 열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디프렉터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며, 몸체에 형성된 나사축에 의해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클러 헤드에 있어서,
    스프링 클러 헤드(10)에는 일부위를 감싸 차폐되도록 보호 캡(1)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2. 제 1항에 있어서,
    보호캡(1)은 상면이 개방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구멍(3)이 형성되며,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넓게 벌어지도록 경사면(4)이 형성되게 본체(2)가 구성되고,
    본체(2)의 상부 양측부위에는 반원형태의 결합부(5)가 구성되며,
    결합부(5)에는 협지편(6)이 대향되게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KR20-2005-0023421U 2005-08-12 2005-08-12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KR200400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21U KR200400914Y1 (ko) 2005-08-12 2005-08-12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21U KR200400914Y1 (ko) 2005-08-12 2005-08-12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4Y1 true KR200400914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21U KR200400914Y1 (ko) 2005-08-12 2005-08-12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949B1 (ko) 2006-02-14 2007-05-18 동희오토주식회사 회전 스프레이 장치의 벨디스크용 보호커버
KR200454219Y1 (ko) * 2008-12-26 2011-06-23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949B1 (ko) 2006-02-14 2007-05-18 동희오토주식회사 회전 스프레이 장치의 벨디스크용 보호커버
KR200454219Y1 (ko) * 2008-12-26 2011-06-23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7905C1 (ru) Распыляющая головка и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EP2853294B1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KR101184678B1 (ko) 퓨즈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0821215B1 (ko)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WO2011125921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0400914Y1 (ko) 스프링 클러 헤드 보호 캡
KR20140020949A (ko) 스프레이 헤드
KR200309942Y1 (ko) 조기 반응형 후러쉬 스프링클러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414949B1 (ko)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CA2654219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spraying head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JP2001161852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KR200454219Y1 (ko)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KR200277300Y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헤드의 결합구조
KR10105582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1527747B1 (ko) 벽 내장용 소화장치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JP3844176B2 (ja) 閉鎖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210114195A (ko)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누수감지 장치 및 그 누수감지 장치의 작동방법
KR101707631B1 (ko) 화재 진압용 기계식 소화장치
KR20160025354A (ko) 조준형 스프링쿨러
KR102651264B1 (ko)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CN106999746B (zh) 自动展开的灭火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