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451A -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451A
KR20040091451A KR1020030025318A KR20030025318A KR20040091451A KR 20040091451 A KR20040091451 A KR 20040091451A KR 1020030025318 A KR1020030025318 A KR 1020030025318A KR 20030025318 A KR20030025318 A KR 20030025318A KR 20040091451 A KR20040091451 A KR 2004009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iquid
faucet
water
washing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석
Original Assignee
신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석 filed Critical 신동석
Priority to KR102003002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1451A/ko
Publication of KR2004009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세수를 공급하는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수량조절레버(58, 96)의 조작에 따라 본체(52, 92)로 부터 공급되는 세수가 출수꼭지(56, 86)를 통해 배출되는 수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52, 92)의 상부에 구비된 체결구(54, 94)에 몸체(64, 84)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세척액공급기(60, 80)를 체결하되, 가압버튼(62, 82)을 누르면 압력펌프(65, 85)의 펌핑작용에 의하여 세척액저장용기(T)의 세척액이, 세척액공급튜브(66, 86)를 통해 흡입되어 세척액배출꼭지(62a, 92a)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세면기나 싱크대에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세척액 공급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개의 면적을 활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면기나 싱크대를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 Water tap with a liquid type detergent supplier }
본 발명은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세수(洗水)와 세척액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급수전과 연결되어 급수전의 세수를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공급하며, 세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조에 따라 투핸들식과 싱글레버식, 그리고 자폐식, 자동센서식 등으로 분류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투핸들식은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냉수핸들과 온수핸들로 구성된 구조이며, 싱글레버식은 내부에 냉·온수를 혼합하는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자폐식은 조작버튼을 한번 누르면 일정시간 물이 나오는 구조이며, 자동센서식은 인체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인체가 감지되는 동안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이다.
한편, 세척액 공급기는 욕실이나 세면대, 싱크대 등에 수전금구와는 별개로마련되어 물비누나 합성세제 등의 세척액을 펌핑에 의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에 대하여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시된 도 1은 일반적인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수전금구(2)와 세척액 공급기(10)가 세면대(1)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수전금구(2)는 전술된 싱글레버식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금구(2)와 세척액 공급기(10)는 서로 별개로 마련되되,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하여 서로 근접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액 공급기(10)를 조작하여 세척액을 공급받은 후, 즉시 수전금구(2)의 레버를 조작하여 배출되는 세수로 손이나 얼굴을 세척할 수 있다.
물론, 수전금구(2)는 미도시된 급수전으로부터 세수를 공급받으며, 세척액 공급기(10)는 세면대(1)의 내부에 내장된 세척액용기(18)로부터 튜브를 통하여 세척액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전금구(2)와 세척액 공급기(10)는 서로 별개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 역시 별개로 하여야 하므로 이중의 설치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세면대(1)를 가공하여 수전금구(2)를 설치하여야 하고, 또다시 세면대(1)의 일측을 가공하여 세척액 공급기(10)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몸을 세척액 공급기(10) 방향으로 틀어야하고, 세척액을 세수로 세척하기 위하여 또 다시 수전금구(2) 방향으로 몸을 틀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 없이 한번의 설치로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세척액과 세수가 한 방향에서 배출되어 몸을 틀을 필요가 없도록, 세척액 공급기와 수전금구가 일체로 형성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전금구와 세척제액 공급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전금구의 일부를 절개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전금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전금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수전금구가 싱크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92 : 본체 54, 94 : 체결구
56, 96a : 출수꼭지 58, 98 : 수량조절레버
60, 80 : 세척액 공급기 62, 82 : 가압버튼
62a, 82a : 세척액 배출꼭지 64, 84 : 몸체
65, 85 : 압력펌프 66, 86 : 세척액 공급튜브
T : 세척액 저장용기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는,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수량조절레버의 조작에 따라 본체로 부터 공급되는 세수가 출수꼭지에서 출수되는 수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체결구에 몸체를 체결함으로써 세척액 공급기를 체결하되, 가압버튼을 누르면 압력펌프가 펌핑되면서 세척액 공급튜브로부터 세척액 저장용기의 세척액을 흡입하여 세척액 배출꼭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정금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전금구의 일부를 절개한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10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고, 내부에는 냉·온수를 혼합하는 카트리지(C)를 가지며, 일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된 수로를 갖는 출수꼭지(56) 및, 출수꼭지(56)의 수량을 조절하는 조작봉(58a)을 갖는 캡형상의 수량조절레버(58)가 일체로 형성된 본체(52)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52)는 카트리지(C)에 연결된 냉·온수파이프(HP, CP)로부터 세수가 유입되는 입수구(53)를 하부에 가지며, 상부에는 후술되는 세척액 공급기(60)가 체결되는 체결구(54)를 갖는다.
여기서, 체결구(54)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체결구(54)는 상단에 계단형의 단턱(54b)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암나사(54a)가 형성된다.
한편, 세척액 공급기(60)는 가압에 의하여 하강되는 가압버튼(62)과, 미도시된 체크밸브와 코일스프링 등이 내장되어 가압버튼(62)을 상승시키며, 가압버튼(62)의 가압압력에 의하여 펌핑되는 압력펌프(65)와, 압력펌프(65) 및 세척액 저장용기(T)에 연결되어 압력펌프(65)의 펌핑에 따라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튜브(66)로 구성된다.
이때, 세척액 공급튜브(66)는 도 4에서 처럼 본체(52) 내부의 카트리지(C)를 우회할 수 있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물론, 가압버튼(62)에는 펌핑되는 세척액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세척액 배출꼭지(62a)가 일체로 마련되며, 이러한 세척액 배출꼭지(62a)는 세척액 공급기(60)의 내부 관로(미도시)를 따라 압력펌프(65) 및 세척액 공급튜브(66)와 연결된다.
계속해서, 세척액 공급기(60)는 가압버튼(62)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전술된 본체(52)의 체결구(54)에 고정되되, 하부에 수나사(62a)가 형성되어 체결구(54)의 암나사(54a)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몸체(64)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62)는 수나사(64a)의 외주면에 기밀 유지를 위한 고무재의 패킹(68)이 마련되고, 이 패킹(68)은 본체(52)의 체결구(54) 단턱(54b)에 안착됨으로써 본체(52)를 지나는 세수가 몸체(62) 측으로 누수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68)은 실리콘이나 실런트, 또는 테프론 테이프 등으로 대처할 수 있으나, 수압의 극복과 재사용 등을 고려할 때 고무재의 패킹(68)이 가장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가압버튼(62)을 가압하여 압력펌프(65)를 펌핑한다. 이때 압력펌프(65)는 내부의 코일스프링이 압축된 후 팽창되면서 가압버튼(62)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가압버튼(62)은 원위치로 복원되며, 복원이 완료되면 이러한 가압동작을 반복하여 가압버튼(62)이 반복 승강되도록 하여 압력펌프(65)의 펌핑력을 높인다.
이때, 압력펌프(65)는 펌핑되면서 펌핑압력으로 세척액 저장용기(T)의 세척액을 흡입하며, 흡입된 세척액은 세척액 공급튜브(66)를 통하여 세척액 공급기(60)의 내부 관로를 지나 세척액 배출꼭지(62a)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액을 공급받게 되며, 그 세척액을 손이나 얼굴에 바른다음, 본체(52)의 수량조절레버(58)에 형성된 조작봉(58a)을 조작하여 출수꼭지(56)에서 세수가 배출되도록 한 후, 이 세수를 이용하여 세척을 실시하면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100)를 세면대(W)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전금구(100)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저장용기(T)는 미관상 세면대(W)의 내부에 접착제나 도시된 나사 등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그냥 바닥면에 기립해 놓을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전금구의 사시도이며, 도 8 은 도 6에 도시된 수전금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정확하게는 싱크대용 수전금구(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전금구(200)는 전술된 도 2 내지 도 4의 세척액 공급기(60)와 동일한 구조의 세척액 공급기(80)가 본체(92)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다.
즉, 하단에는 수전금구(200)의 본체(92)가 위치하고, 이 본체(92)의 상단에는 세척액 공급기(80)가 전술된 수전금구(100)와 같이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물론, 세척액 공급기(80)와 본체(92)가 나사결합되기 위해서는 세척액 공급기(80)의 하단, 즉 몸체(84)에는 수나사(84a)가 형성되어야 하고, 이 수나사(84a)가 결합되는 본체(92)의 상단, 즉 체결구(94)에는 내측으로 암나사(99b)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체결구(94)는 본체(92)의 상부관(92a) 내측에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전금구(200)에서는 상부관(92a)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관(99)의 상단 내측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체결구(94)의 내부에는 회전관(99)과 세척액 공급기(80)의 결합부분에서 누수됨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의 패킹(88)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88)을 설치할 경우에는 체결구(94)의 최 상단에 단턱(99a)을 형성하고, 그 단턱(99a)에 패킹(88)을 안착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체(92)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체(9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회전관(99)을 구속하여 고정하는 상부관(92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세수를 유입하는 입수구(93)가 형성되며, 본체(92)는 상부관(92a)과 입수구(93) 및 회전관(99)에 의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十"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92)의 전방측에 회동 자재가 가능하고 전방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는 조작봉(98a)을 갖는 수량조절레버(98)가 설치된다.
한편, 회전관(99)에는 일측으로 분기된 스템관(96: stem pipe)이 형성되고, 그 스템관(96)에는 본체(92)로부터 공급된 세수를 배출하는 샤워기 형태의 인출가능한 출수꼭지(96a)가 설치된다.
이때, 출수꼭지(96a)는 스템관(96) 내부의 미도시된 플랙시블 파이프에 의하여 인출이 가능하며, 이 플랙시블 파이프는 길게 형성되어 본체(92)의 입수관(93)하방으로 내려간 다음, 다시 입수관(93)으로 유입된 후 미도시된 본체(92) 내의 카트리지와 연결된다.
따라서, 출수꼭지(96a)는 냉·온수파이프(CP, HP)의 냉·온수가 혼합된 세수를 본체(92)의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스템관(96)에서 출수꼭지(96a)를 당겨 스템관(96) 내부의 플랙시블 파이프가 인출되도록 하여 출수꼭지(96a)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회전관(99)은 하단에 외경보다 작은 지름의 돌출된 돌출턱(99c)이 형성되고, 본체(92)의 상부관(92a) 상단에는 회전관(99)의 돌출턱(99c)과 대응되는 걸림턱(92c)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92c)에 돌출턱(99c)이 수용된 상태로 걸리게 됨으로써 회전관(99)과 상부관(92a)은 일체를 이룬다.
여기서, 회전관(99)에 체결되는 세척액 공급기(80)에 대하여 설명하면, 세척액 공급기(80)는 상단부터 하단까지 세척액 배출꼭지(82a)를 갖는 가압버튼(82)과, 가압버튼(82)을 고정하는 몸체(84), 및 몸체(84)의 내측에 형성된 압력펌프(85), 그리고 압력펌브(85)에 연결되고 세척액 저장용기(T)에 연결된 세척액 공급튜브(86)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세척액 공급기(8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된 도 2 내지 도 5의 세척액 공급기(60)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2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세척액 공급기(80)는 압력펌프(85)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는 가압버튼(82)을 도 8에서 처럼 여러번 반복 가압하여 압력펌프(85)를펌핑한다.
그러면, 세척액 저장용기(T)의 세척액은 압력펌프(85)의 펌핑으로 세척액 공급튜브(86)에 흡입된 후, 압력펌프(85)를 지나 가압버튼(82)의 내부 관로를 통해 세척액 배출꼭지(82a)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8에서 처럼 본체(92)의 조작봉(98a)을 회전시키면서 냉·온수를 조절한 후 앞으로 당겨, 도 6의 이점쇄선 표기에서 처럼 수량조절레버(98)가 기울어지도록 하여 출수꼭지(96a)에서 세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액 공급기(80)로 부터 세척액을 공급받은 다음 세척액을 식기에 바른 후 세수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시 출수꼭지(96a)의 위치가 불편할 경우에는 회전관(99)이 회전되도록 도 8과 같이 스템관(96)을 돌려 출수꼭지(96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수전금구가 싱크대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200)를 싱크대(S)에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수전금구(200)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저장용기(T)는 미관상 싱크대(S)의 내부에 접착제나 나사 등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그냥 바닥면에 기립해 놓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100, 200)는 수도꼭지에 해당하는 본체(52, 92)에 세척액 공급기(60, 80)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세면대(W)나 싱크대(S)에수전금구(100, 200) 만을 설치함으로써 세척액 공급기(60, 80)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액과 세수가 한 방향, 즉 수전금구(100, 200) 측에서 공급되므로 세척액 및 세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는, 수전금구에 세척액 공급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세면기나 싱크대에 수전금구와 세척액 공급기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세척액 공급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개의 면적을 활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면기나 싱크대를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전금구의 일측에서 세척액이 공급되므로 세면이나 식기세척을 위하여 세척액 및 세수를 몸을 틀어가며 따로 따로 공급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세면대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수량조절레버(58, 96)의 조작에 따라 본체(52, 92)로 부터 공급되는 세수가 출수꼭지(56, 86)를 통해 배출되는 수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52, 92)의 상부에 구비된 체결구(54, 94)에 몸체(64, 84)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세척액공급기(60, 80)를 체결하되, 가압버튼(62, 82)을 누르면 압력펌프(65, 85)의 펌핑작용에 의하여 세척액저장용기(T)의 세척액이, 세척액공급튜브(66, 86)를 통해 흡입되어 세척액배출꼭지(62a, 92a)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KR1020030025318A 2003-04-22 2003-04-22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KR20040091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318A KR20040091451A (ko) 2003-04-22 2003-04-22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318A KR20040091451A (ko) 2003-04-22 2003-04-22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348U Division KR200320991Y1 (ko) 2003-04-22 2003-04-22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451A true KR20040091451A (ko) 2004-10-28

Family

ID=3737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318A KR20040091451A (ko) 2003-04-22 2003-04-22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14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01B1 (ko) *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01B1 (ko) * 2016-08-01 2016-10-06 이충현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9225B2 (ja) 水栓装置
US7467753B2 (en) Connecting tube structure
US6941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plugged pipes
KR200320991Y1 (ko)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KR20040091451A (ko) 세척액 공급기를 구비한 수전금구
US20110219526A1 (en) Plunger
US5265287A (en) Tap water powered shower water recirculation system
CN109363545A (zh) 一种淋浴座椅
US10968611B2 (en) Water diversion assembly
JP2002155549A (ja) 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カップリング盤構造
KR100453128B1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EP1457608A3 (de) Brauseanordnung
US20160040402A1 (en) System For Recirculating Water Between CoId Water And Hot Water
US20040200514A1 (en) Flushing system for a clogged drain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CN205369474U (zh) 男士小便器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CN218292152U (zh) 一种双泵冲水马桶
US20060037129A1 (en) Bidet attachment for toilets
US6718564B2 (en) Adapter for converting a flushometer valve to a water source
KR200299784Y1 (ko) 수전용 관붙이 앵글밸브
JP7467073B2 (ja) 水抜き装置及び水抜き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JP2002206262A (ja) 台付き水栓
KR20110015297A (ko)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