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846A -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846A
KR20040089846A KR1020030023662A KR20030023662A KR20040089846A KR 20040089846 A KR20040089846 A KR 20040089846A KR 1020030023662 A KR1020030023662 A KR 1020030023662A KR 20030023662 A KR20030023662 A KR 20030023662A KR 20040089846 A KR20040089846 A KR 20040089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home network
extracted
extracting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3667B1 (ko
Inventor
육현규
윤현식
고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667B1/ko
Priority to US10/817,925 priority patent/US20040249923A1/en
Publication of KR2004008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추출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되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 리스트와 제어 포인트가 추출한 피제어장치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포인트가 추출하지 못한 피제어장치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에게 제공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를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EFFICIENT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와 제어 포인트가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에 제공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 장치를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 IP) 기반의 사설 망(Private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개인 컴퓨터(PC)와 지능형 제품, 무선 장치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를 발견하고 이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중의 한가지로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기술을 이용한다.
상기 UPnP 기술에 의하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중 서비스가 가능한 장치를 찾는데 이 과정을 디스커버리(Discovery)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커버리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멀티캐스트(Multicast)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멀티캐스트 방법 및 패킷의 수신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패킷의 수신여부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 CP)(20)가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멀티캐스트 패킷을 1회 이상 전송하는데,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네트워크는 패킷을 안전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전달 도중 상실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controlled device : CD)(30)는 이 패킷에 대하여 수신확인을 하는 절차가 구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패킷을 다시 전송하라는 요청을 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 포인트(20)는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한 제어 장치에서만 응답을 수신하고,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제어 장치로부터는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어 포인트(20)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확한 제어 장치를 발견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UPnP 제어 포인트(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UPnP 제어 장치(30)의 발견 시 연결 상태가 불안정한 네트워크(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경우 네트워크의 특성에 지배를 받는다. 즉, 무선 네트워크의 경우에 무선의 특성상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15)로부터 멀어질 경우 상기 억세스 포인트(15)와 단말기간의 패킷 전달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리하여, UPnP 제어 포인트(20)가 제어 장치(30)를 발견하기 위하여 전송한 멀티캐스트 패킷이 제어 장치(30)에 전달되지 않거나,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한 제어 장치가 응답을 전송했으나 제어 포인트(20)에게 응답이 전송되는 과정에서 패킷이 손실될 경우가 발생되어 상기 제어 포인트(20)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어 장치(30)를 발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의 경우 스위칭 장치에서 라우팅 큐(Routing Queue)가 오버플로우(overflow) 상태일 경우 제어 포인트(20)가 전송한 멀티캐스트 패킷이손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 경우에도 제어 포인트(20)가 제어 장치(30)를 발견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패킷은 UDP를 이용하므로 제어 장치(30)가 멀티캐스트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해 제어 포인트(20)는 정확하게 제어 장치를 발견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UPnP 제어 장치 발견 방법은 실제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장치(30)가 존재 하지만, 제어 장치(30)에 멀티캐스트 패킷이 전달되지 않거나 이에 대한 응답을 제어 포인트(20)가 수신하지 못할 경우, 결과적으로 전송한 멀티캐스트 패킷에 대하여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므로 해당 제어 장치(30)가 없다고 판단하며, 이에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한다.
도 14는 UPnP기술의 장치발견(Device Discovery)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게이트웨이(10), 억세스 포인트(15), 제어 장치(30) 및 제어 포인트(20)로 구성되며, 여기서 UPnP 제어 포인트(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장치(30)를 발견하기 위하여 UDP -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게 멀티캐스트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나,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어 장치(32, 34, 35)는 멀티캐스트 패킷을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으며, 제어 포인트(20)는 멀티캐스트 패킷이 모든 제어 장치들(31,32,...,35)에 정확하게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포인트(20)가 수신하여 얻은 제어 장치의 리스트는 정확하지않으며, 제어 장치가 멀티캐스트 패킷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제공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제어 포인트(20)는 정확한 제어 장치(31,32,...,35)를 발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와 제어 포인트가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에 제공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 장치를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포인트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리스트 비교모듈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모듈의 패킷 캡쳐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제어 포인트의 제어 장치 발견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제어 포인트와, 모니터링 모듈 및 리스트 비교모듈간의 리스트 비교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리스트 비교모듈의 접근가능 체크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리스트 비교모듈에서 체크한 제4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서 모니터링 모듈의 패킷 캡쳐 및 정보 추출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서 제어 포인트가 발견한 제어 장치 리스트와 모니터링 모듈이 발견한 제어장치 리스트를 비교하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서 리스트 비교모듈의 접근가능 체크모듈이 현재 접근 가능한 제어 장치인지를 체크하는 과정 및 제어 포인트에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종래의 UPnP 장치 발견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게이트웨이 150 : 억세스 포인트
200 : 제어 포인트(CP) 300 : 모니터링 모듈
400 : 리스트 비교모듈 500 : 피제어장치(C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고,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비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전송된 통지 패킷을 캡쳐하는 캡쳐 모듈 및 상기 캡쳐된 패킷을 분석하여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 비교모듈은 상기 제3 리스트에 등록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현재 접근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현재 접근 가능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4 리스트를 생성하는 접근가능 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장치와,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을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디스커버리 패킷에 응답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는 제어 포인트 코어 및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가 저장하고 있는 제2 리스트를 전송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는 상기 전송된 제2 리스트가 수정되어 제3 리스트로 재 입력될 경우 상기 재 입력된 제3 리스트로 상기 제2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피제어장치와, 상기 피제어장치를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패킷을 전송하여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는 제어 포인트 및 상기 피제어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 포인트가 추출한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포인트는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가 추출한 제3 리스트로 상기 제2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구성요소가 전송한 통지 패킷에서 추출한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제3 리스트로 상기 제2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제3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제2 리스트는 서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 중 상기 서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제1 구성요소의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리스트에서 현재 접근 가능한 제1 구성요소를 확인하여 제4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생성된 제4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게이트웨이(100), 억세스 포인트(150),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CP)(200), 모니터링 모듈(300), 리스트 비교모듈(400) 및 피제어장치(controlled device :CD)(500)로 구성된다.
게이트웨이(100)는 제어 포인트(200)와 피제어장치(500)를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억세스 포인트(150)는 제어 포인트(200)와 피제어장치(500)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어 포인트(200)와 피제어장치(500)를 연결시키는 장치이다.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CP)(200)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50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500)를 찾기 위한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서치 메세지를 멀티캐스트 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500)의 제2 리스트를 저장하며,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500)를 찾기 위한 서치 메세지를 멀티캐스트 하여 피제어장치(5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모니터링 모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제어 포인트의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어 포인트(200)는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과 제어 포인트 코어(core)(220)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220)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500)를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디스커버리에 응답한 피제어장치(500)의 제2 리스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은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220)가 가지고 있는 피제어장치(500)의 제2 리스트와 그에 따른 서치 타입(search type)을 리스트 비교모듈(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서치 타입은 피제어장치(500)의 루트 장치(root device), 임베디드 장치(embedded device), 서비스 별 및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루트 장치는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피제어장치를 말하고, 임베디드 장치는 상기 루트 장치에 탑재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모듈(300)는 피제어장치(500)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advertisement) 패킷을 캡쳐하고, 그에 따른 피제어장치(500) 정보(예를 들어, IP주소, 장치관련정보, 서비스관련정보 등)를 추출 및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지 패킷은 피제어장치(500)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자신의 정보 메세지를 멀티캐스트 하는 것이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모니터링 모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모듈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니터링 모듈(300)은 피제어장치(500)로부터 전송된 통지 패킷을 캡쳐하는 캡쳐모듈(310) 및 상기 캡쳐된 패킷의 정보(예를들어, 장치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및 유효기간 정보 등)를 분석하여 피제어장치(500)의 제1 리스트(330)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모듈(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리스트(330)는 상기 정보 추출모듈(320)이 추출한 각 피제어장치의 정보(예를 들어, 장치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정보 및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리스트 비교모듈(400)은 제어 포인트(200)가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여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와 모니터링 모듈(300)에서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를 제어 포인트(200)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모니터링 모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리스트 비교모듈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어 포인트(200)가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여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와 모니터링 모듈(300)에서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를 추출하는 비교모듈(410) 및 상기 제3 리스트(420)에 등록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현재 접근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현재 접근 가능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4 리스트(440)를 생성하는 접근가능(Reachability) 체크모듈(4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모듈(300)과 리스트 비교 모듈(400)은 별도의 네트워크 장치에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니터링 모듈(300)과 리스트 비교 모듈(400)은 제어 포인트(200) 또는 피제어장치(5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피제어장치(500)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소정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모니터링 모듈(300)에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제어 포인트(200)의 디스커버리 과정 수행시 그에 따른 응답 메세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모듈의 패킷 캡쳐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니터링 모듈(300)의 캡쳐모듈(310)은 피제어장치(5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380)을 캡쳐하고, 정보 추출모듈(320)은 각 패킷에 포함된 장치정보, 서비스정보, 위치정보 등을 분석한 후 상기 분석된 피제어장치(500)의 제1 리스트(330)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리스트(330)에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500) 정보가 등록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제어 포인트의 장치발견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어 포인트 코어(220)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제어장치(500)를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하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제어장치(500)는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220)가 전송한 서치 메세지에 응답하여 자신의 정보(230)를 전송해 준다. 여기서,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220)에는 디스커버리 과정 수행시 추출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230)가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제어 포인트와, 모니터링 모듈 및 리스트 비교모듈간의 리스트 비교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제어장치(500)를 정확하게 발견하기 위하여 모니터링 모듈(300)에 저장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330)와 제어 포인트(200)가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230)를 비교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먼저, 제어 포인트 코어(220)는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230)를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은 해당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230)를 비교모듈(410)로 전송한다.
상기 비교모듈(410)은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로부터 전송받은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230)와, 모니터링 모듈(300)에 저장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를 추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리스트 비교모듈의 접근가능 체크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 중 현재 네트워크에서 사라진 피제어장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3 리스트(420)에서 현재 접속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존재여부를 체크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존재여부 체크는 핑(Ping)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체크 결과 현재 접근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가 생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리스트 비교모듈에서 체크한 제4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 중 현재 접근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440)를 제어 포인트(200)의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로 전송하면, 상기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은 상기 전송받은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440)를 제어 포인트 코어(22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220)는 디스커버리 과정에서 추출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와 상기 전송받은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440) 모두를 가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로서, 먼저 피제어장치(500)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모니터링 모듈(300)이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 한다(S100,S200). 이하 단계 S100과 S200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피제어장치(500)는 자신의 장치 정보, 서비스 정보 및 이에 관한 정보를 상세히 기술하는 디스크립션 파일(Description file)의 위치를 알리는 통지(advertisement) 패킷을 전송한다(S101). 여기서, 상기 통지 패킷은 홈 네트워크에 가입(Alive)한 패킷과 홈 네트워크에서 나간(Byebye) 패킷으로 나뉜다.
이에, 상기 모니터링 모듈(300)의 캡쳐 모듈(310)은 상기 피제어장치(500)에서 전송한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정보 추출모듈(320)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추출모듈(320)은 전송된 패킷을 분석하여 각 피제어장치(500)의 정보를 추출한다(S102,S103). 여기서, 상기 정보 추출모듈(320)은 XML문서를파싱(parsing)할 수 있는 XML 파서(parser)와 상기 파싱된 정보에서 유효기간을 체크하는 타임어(timer)가 내장되며, 이에 상기 정보 추출모듈(320)은 상기 전송된 패킷에서 XML문서로 작성된 내용을 추출한 후 파싱한다.
그 다음, 상기 파싱된 정보를 통해 상기 캡쳐된 패킷이 홈 네트워크에 가입한 패킷인지 홈 네트워크에서 해지된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104).
상기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에 가입한 패킷인 경우, 해당 피제어장치 정보(예를 들어, 장치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및 유효기간 정보 등)를 분석하여,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330)를 추출 및 저장한다(S105,S106).
그 다음, 정보 추출모듈(320)의 타이머에 상기 해당 피제어장치의 유효기간 정보를 저장하고(S107), 일정시간 간격으로 유효기간이 경과 여부를 체크한다(S108). 여기서, 상기 유효기간이란 피제어장치에서 통지 패킷을 전송하는 기간을 말한다.
만일, 홈 네트워크에 가입한 패킷의 유효기간이 경과되면 해당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 정보를 삭제하고, 홈 네트워크에 가입한 패킷의 유효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유효기간이 경과 여부를 체크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홈 네트워크에서 해지된 패킷일 경우, 해당 피제어장치 정보(예를 들어, 장치 정보, 서비스 정보 등)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330)를 삭제하며(S109,S110), 상기 정보 추출모듈(320)의 타이머에서도 상기 해당 피제어장치의 유효기간 정보를 삭제한다(S112).
그 다음, 제어 포인트(200)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고, 상기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비교모듈(410)에 전송한다(S300).
그 다음, 상기 전송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와 모니터링 모듈(300)에서 캡쳐를 통해 추출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비교하고(S400), 상기 비교 결과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를 추출한다(S500). 이하 단계 S300 내지 S500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 포인트(200)는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추출하고(S301), 상기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리스트 비교 모듈(400)에 전송한다(S302).
이 후, 상기 비교모듈(410)은 제어 포인트(200)의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이 전송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와 상기 모니터링 모듈(300)에서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330)를 비교한다(S303).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를 추출한다(S304). 여기서, 상기 추출된 제3 리스트(420)는 실제로 동작하고 있지만 제어 포인트(200)에서 추출하지 못한 피제어장치일 수도 있고, 모니터링 모듈(300)에서 추출은 되었지만, 홈 네트워크에서 해지한다는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네트워크에서 사라진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추출된 제2 리스트는 서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리스트(330) 중 상기 서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피제어장치의 리스트를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제3 리스트(420)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를 제어 포인트(200)에 전송한다(S600).
한편,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420)중 현재 접속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존재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는데, 상기 현재 접속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존재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접근가능 체크모듈(430)은 상기 제3 리스트(420)중 현재 접속 가능한 피제어장치를 체크한다(S601). 여기서, 현재 접근 가능한 피제어장치인가를 체크하는 이유는 실제로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피제어장치의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200)에게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장치발견의 효율성 높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체크 방법은 핑(Ping)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응답의 도착여부를 검사하도록 한다.
상기 체크 결과 응답이 도착한 피제어장치 즉, 현재 접근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를 생성한다(S602,S603).
상기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가 생성되면, 접근가능 체크모듈(430)은 제어 포인트(200)의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210)에 상기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를 전송한다(S604). 이에 따라, 제어 포인트 코어(220)에는 현재 접근 가능한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가 추가적으로 확보된다(S605). 여기서,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220)는 추가된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에서 원하는 피제어장치에 접근하여 장치정보, 서비스정보가 기술된 XML 디스크립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홈 네트워크 장치는 모니터링 모듈(300)만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피제어장치(500)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모니터링 모듈(300)이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고, 제어 포인트(200)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한다.
이 후, 상기 모니터링 모듈(300)이 캡처를 통해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상기 제어 포인트(200)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포인트(200)의 제어 포인트 코어(220)에는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가 추가적으로 확보된다(S605). 즉, 상기 제어 포인트(200)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추출하지 못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리스트까지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와 제어 포인트가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제어 포인트에 제공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피제어 장치를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추출된 피제어장치의 제3 리스트가 현재 홈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피제어장치인지를 체크하여 현재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피제어장치 리스트는 제어 포인트에게 제공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제어 포인트는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추출한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추출하지 못한 피제어장치의 제4 리스트까지 추가적으로 확보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상에 있는 모든 피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4)

  1.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전송된 통지 패킷을 캡쳐하는 캡쳐 모듈; 및
    상기 캡쳐된 패킷을 분석하여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3.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비교모듈은,
    상기 제3 리스트에 등록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현재 접근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현재 접근 가능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4 리스트를 생성하는 접근가능 체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5.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에서 추출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리스트 비교모듈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로부터 전송된 통지 패킷을 캡쳐하는 캡쳐 모듈; 및
    상기 캡쳐된 패킷을 분석하여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비교모듈은,
    상기 제3 리스트에 등록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가 현재 접근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현재 접근 가능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제4 리스트를 생성하는 접근가능 체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8.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9.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을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패킷을 전송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을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디스커버리 패킷에 응답한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는 제어 포인트 코어; 및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가 저장하고 있는 제2 리스트를 전송하는 피제어장치 정보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는 상기 전송된 제2 리스트가 수정되어 제3 리스트로 재 입력될 경우 상기 재 입력된 제3 리스트로 상기 제2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 코어는,
    소정의 서치 타입 정보 별로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
  12.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피제어장치;
    상기 피제어장치를 찾기 위해 디스커버리 패킷을 전송하여 피제어장치의 제2 리스트를 추출 및 저장하는 제어 포인트; 및
    상기 피제어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피제어장치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 포인트가 추출한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포인트는,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가 추출한 제3 리스트로 상기 제2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4.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통지 패킷을 전송하거나, 디스커버리 패킷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1 구성요소; 및
    상기 제1 구성요소가 전송한 통지 패킷에서 추출한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제3 리스트로 상기 제2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제2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5. 제1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제1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2 리스트는,
    서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17.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상기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제3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2 리스트는,
    서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와 상기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 중 상기 서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제1 구성요소의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리스트에서 현재 접근 가능한 제1 구성요소를 확인하여 제4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4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21. 제1 구성요소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전송하는 통지 패킷을 캡쳐하여 홈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1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제3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2 리스트는,
    서치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와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 중 상기 서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제1 구성요소의 리스트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리스트와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제1 구성요소의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리스트에서 현재 접근 가능한 제1 구성요소를 확인하여 제4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4 리스트를 제2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2003-0023662A 2003-04-15 2003-04-15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3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662A KR100533667B1 (ko) 2003-04-15 2003-04-15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817,925 US20040249923A1 (en) 2003-04-15 2004-04-06 Efficient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662A KR100533667B1 (ko) 2003-04-15 2003-04-15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846A true KR20040089846A (ko) 2004-10-22
KR100533667B1 KR100533667B1 (ko) 2005-12-05

Family

ID=3348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662A KR100533667B1 (ko) 2003-04-15 2003-04-15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249923A1 (ko)
KR (1) KR100533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524B1 (ko) * 2004-10-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736487B1 (ko) * 2005-09-30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 번지변경방법
KR100730966B1 (ko) * 2005-12-19 2007-08-02 지니네트웍스(주) 네트워크상의 비인가 우회경로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9375B2 (en) * 2004-05-10 2010-06-15 Sharp Lab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UPnP discovery advertisement byebye by proxy
WO2005122492A1 (ja) * 2004-06-07 2005-12-2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宅内ネットワーク設定方法、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ホームゲートウェイ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6033315A (ja) * 2004-07-15 2006-02-02 Evolium Sas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WO2006108104A2 (en) * 2005-04-05 2006-10-12 Cohen Alexander J Multi-media search, discovery, submission and distribution control infrastructure
US20070005746A1 (en) * 2005-06-30 2007-01-04 Roe Bryan Y Enhanced network discovery service
DE102005033211A1 (de) * 2005-07-13 2007-01-1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zur Feststellung der Aktivität eines Gerätes in einem Netzwerk verteilter Stationen sowie Netzwerkstation für die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8176343B2 (en) * 2006-01-06 2012-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JP5082462B2 (ja) * 2007-01-24 2012-11-2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通信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9549A (en) * 1996-11-12 1999-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managed device reestablishes a connection to a management station after detecting a broken connection
US6535493B1 (en) * 1998-01-15 2003-03-18 Symbol Technologies, Inc. Mobile internet communication protocol
JP3641128B2 (ja) * 1998-02-20 2005-04-20 株式会社東芝 移動計算機装置、移動計算機管理装置、移動計算機管理方法及び通信制御方法
US6442144B1 (en) * 1998-06-15 2002-08-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network devices using internet protocol and producing a corresponding graphical network map
US6496859B2 (en) * 1998-11-25 2002-12-17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network device location
WO2000078001A2 (en) * 1999-06-11 2000-12-21 Microsoft Corporation General api for remote control of devices
US6636499B1 (en) * 1999-12-02 2003-10-21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uster network device discovery
JP4340400B2 (ja) * 2001-04-27 2009-10-07 富士通株式会社 階層化パケット網におけるパケット転送方法並びに階層化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並びに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エッジノード及び移動端末並びに階層化パケット網におけるパケット転送方法
KR100440583B1 (ko) * 2002-05-16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인터넷에 의한 댁내망의 UPnP장치 관리제어 장치및 방법
KR100468006B1 (ko) * 2003-01-21 2005-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트라넷 상의 클라이언트 기기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524B1 (ko) * 2004-10-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736487B1 (ko) * 2005-09-30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 번지변경방법
KR100730966B1 (ko) * 2005-12-19 2007-08-02 지니네트웍스(주) 네트워크상의 비인가 우회경로 탐지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49923A1 (en) 2004-12-09
KR100533667B1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79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pplications on NFC-enabled devices
RU2524567C2 (ru) Улучшенный механизм обнаружения сервиса в беспроводных системах связи
US8169641B2 (en) Server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methods, and systems including or employing servers to perform one-to-one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n different networks
KR100978336B1 (ko) 리모트 액세스
US20090313310A1 (en) Managing a dynamic data pool on ad-hoc networks
US9167031B2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and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US8964765B2 (en) Mobile handheld multi-media gateway and phone
KR100533667B1 (ko)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78315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5720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50040166A (ko) 홈 네트워크의 장치를 제어하는 프록시 장치 및 그 방법
US83692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network interfaces and responding to device search,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2598637B (zh) 通信系统
CN110771117B (zh) 一种采用面向id的网络的会话层通信
US8456671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4321774B2 (ja) 機器管理方法、これに用いるコンセント及び機器管理サーバ
TW201006191A (en) UPnP/DLNA device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4367067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アダプタ装置
CN101296113B (zh) 网元设备、网管系统及网元设备注册接入网管系统的方法
KR100889732B1 (ko)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의통지 수신 방법
CN109068338A (zh) 一种探测和处理三地址无线分布式系统兼容性的系统及方法
CN100542167C (zh) 基于igrs协议的主从设备组之间无线路由实现方法
CN100407713C (zh) 网关网元以太口ip地址发现协议的实现方法
KR101189805B1 (ko)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리더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JP5760735B2 (ja) 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及びコールセン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