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727A - 통신 스테이션 및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통신 스테이션 및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727A
KR20040089727A KR10-2004-7014188A KR20047014188A KR20040089727A KR 20040089727 A KR20040089727 A KR 20040089727A KR 20047014188 A KR20047014188 A KR 20047014188A KR 20040089727 A KR20040089727 A KR 2004008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station
communication station
imple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암트만프란쯔
쿤캣홀거
메인들레인하르트
포쉬스테판
브레이트푸스클레멘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8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스테이션(1)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s)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하고, 제 1 신호 처리 수단(28)과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을 포함하는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며, 2개의 신호 처리 회로(28, 29)에서 사용된 전송 파라미터는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통신 스테이션 및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COMMUNICATION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RANSPONDERS AND FURTHER COMMUNICATION STATIONS WITH THE AID OF DIFFERENT TRANSMISSION PARAMETERS}
종래의 통신 스테이션은 미국 특허 공개 제 5,929,778 A 호에 알려져 있다. 이 특허에는 통신 스테이션이 전자기적 수단을 이용하여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실행되는 통신 시퀀스는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설명되어 있으나, 변조 및 복조의 방식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통신 스테이션이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송 파라미터와 관련된 상세 설명도 제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s)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contactless)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에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관련된 중요 부분을 블록도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미국 특허 공개 제 5,929,778 A 호에서 알려진 통신 스테이션에 비해서,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하도록 통신 스테이션을 개선하고, 통신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 시퀀스 및 통신 스테이션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 시퀀스를 분명하고 정확하게 구별 가능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스테이션과, 이러한 통신 스테이션용의 집적 회로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본 발명의 통신 스테이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통신 스테이션은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통신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1 신호 처리 수단과,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통신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2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되, 제 1 신호 처리 수단으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와 제 2 신호 처리 수단으로 다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는 서로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를 구비하고, 본 발명의 집적 회로는 다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집적 회로는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스테이션을 위한 것으로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통신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1 신호 처리 수단과,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통신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2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되, 제 1 신호 처리 수단으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와 제 2 신호 처리 수단으로 다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는 서로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을 제공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고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이러한 통신 스테이션과 함께 작동되도록 설계된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 시퀀스 및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이러한 통신 스테이션과 함께 작동되도록 설계된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 시퀀스가 간단하고 명확한 방식으로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 및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이 동시적으로 실행된다고 해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통신 프로세스 또는 통신 시퀀스 도중에 상반되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신뢰성있는 통신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은 통신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과, 통신 스테이션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이 간섭이 없는 방식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이점은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이 각각 통신하는 데 필요한 전체 통신 시간이, 통신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과, 이러한 통신 스테이션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하는 다른 타입의 통신 스테이션의 전체 통신 시간에 비해서 훨씬 짧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에, 청구항 2에 기재된 특징 및 청구항 10에 기재된 특징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매우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 및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생성되어 전자기적 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전송 신호들이 그들의 코딩 타입(coding type)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고, 그에 따라 서로 상호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내용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 및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에, 청구항 3과 청구항 4에 기재된 특징 및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에 기재된 특징이 각각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의해 특히 전송되는 전송 신호들 간의 충분한 차이가 획득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들은 실제적으로 매우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밀러 코드(Miller code)를 사용하면, 트랜스폰더에 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해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를 사용하면, 적은 에너지만을 소모하면서 트랜스폰더 내에서 트랜스폰더로부터 통신 스테이션(1)으로전송되는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이는 소위 패시브 트랜스폰더(passive transponders)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NRZ 코드(Non Return to Zero code)를 사용하면, 높은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데, 이는 이 방법이 비교적 크지 않은 주파수 대역폭(frequency bandwidth)을 다루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에 있어서, 청구항 5에 기재된 특징 및 청구항 13에 기재된 특징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매우 유리한 것으로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 방법을 실행한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생성되고 전자기적 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전송 신호는 그 변조 타입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고, 이는 그 차이를 최대로 크게 할 수 있다는 점과 상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매우 유리하다.
상술된 내용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 및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에, 청구항 6,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특징과 청구항 14, 청구항 15 및 청구항 16에 기재된 특징이 제각기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으로부터 트랜스폰더로 전송되는 전송 신호의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가 트랜스폰더 내에서의 전송 신호의 복조와 관련하여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가장 최소의 에너지만을 소모하기 때문에 유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 통신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전송 신호의 위상 변조, 특히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방법에 따른 위상 변조에 있어서 가능한 최대의 신호/노이즈 비를 가지고 가능한 최소의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통신 스테이션 내에서 이들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상술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이하에 제시된 실시예에 나타나 있고,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통신 스테이션(1)을 도시한다. 통신 스테이션(1)은 트랜스폰더(도시하지 않음)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도시하지 않음)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하고, 트랜스폰더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은 통신 스테이션(1)과 통신하기에 적합한 디자인을 갖고 있다.
통신 스테이션(1)은 집적 회로(2)를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다수의 전기적 모듈(electrical modules) 및 부품이 구현되지만, 도 1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중요한 모듈 및 부품만을 도시하였다. 집적 회로(2)의 핀(pin)(3)에정합 수단(matching means)(4)이 접속될 수 있으므로, 집적 회로(2)의 출력단 및 입력단은 통신 스테이션(1)의 전송 수단(5)에 적합하다. 전송 수단(5)이 전송 코일(6)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통신 스테이션(1)과 이에 적합한 트랜스폰더 및 이에 적합한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은 전자기적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에서, 전송 신호는 통신 스테이션(1)에 의해서 트랜스폰더 또는 다른 통신 스테이션으로 전송(즉, 전달)되고, 또한 전송 신호는 트랜스폰더 또는 다른 통신 스테이션으로부터 통신 스테이션(1)으로 전송된다(즉, 전송 신호는 통신 스테이션(1)에 의해 수신됨).
집적 회로(2)는 마이크로컴퓨터(7)를 포함한다. 다수의 수단 및 기능은 마이크로컴퓨터(7)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중요한 수단 및 기능만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였다. 마이크로컴퓨터(7)를 대신하여, 통신 스테이션(1)은 그와 다르게 고정 배선형 로직 회로(hard-wired logic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는 BUS 접속부(8)를 거쳐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HOST 컴퓨터에 접속된다. 이와 다르게, 마이크로컴퓨터(7)는 BUS 접속부(8)를 거쳐 하나 이상의 다른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다. 집적 회로(2)는 타이밍 신호(CLK)를 생성할 수 있는 타이밍 신호 생성기(timing signal generator)(9)를 포함할 수 있고, 이 타이밍 신호(CLK)는 알려진 용도를 위해 마이크로컴퓨터(7)의 입력단(10)에 공급된다. 타이밍 신호 생성기(9)는 집적 회로(2) 외부에 제공되는 수정(crystal)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은 마이크로컴퓨터(7)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통신모드 선택 수단(11)은 이 경우에 2개의 통신 타입, 다시 말해 제 1 통신 타입과 제 2 통신 타입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통신 스테이션(1)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은 제 1 통신 타입으로 실행되고, 통신 스테이션(1)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은 제 2 통신 타입으로 실행된다.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은 본 명세서에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으나,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이 계획에 따라 제어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현된다.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은 예를 들면 BUS 접속부(8)를 통해 HOST 컴퓨터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의 제어는 소위 음성 제어 수단(speech control facility), 즉, 음성 제어 커맨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제 1 통신 타입의 통신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행된다는 것과, 제 2 통신 타입의 통신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행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집적 회로(2)는 이하에 설명된 수단,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 및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을 포함한다.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 및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은 마이크로컴퓨터(7)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2개의 프로토콜 실행 수단(12, 13)은 제어 접속부(14, 15)를 거쳐 통신 모드 선택 수단(11)을 이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은 에너지 공급 신호 생성 수단(16), 제 1 판별신호 생성 수단(inventorizing signal generation means)(17), 제 1 응답 신호 인식 수단(18), 제 1 확인 신호 생성 수단(19), 제 1 커맨드 신호 생성 수단(20) 및 제 1 정보 신호 인식 수단(21)을 포함한다. 에너지 공급 신호 생성 수단(16)을 이용하여 에너지 공급 신호(BURST)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판별 신호 생성 수단(17)을 이용하여 제 1 판별 신호(INV1)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응답 신호 인식 수단(18)을 이용하여 제 1 응답 신호(RESP1)를 검출할 수 있다. 제 1 확인 신호 생성 수단(19)을 이용하여 제 1 확인 신호(QUIT1)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커맨드 신호 생성 수단(20)을 이용하여 제 1 커맨드 신호(COM1)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신호는 기록 커맨드 신호, 판독 커맨드 신호 및 여러 다른 커맨드 신호일 수 있다. 제 1 정보 신호 인식 수단(21)을 이용하여 제 1 정보 신호(INFO1)를 검출할 수 있고, 이 신호들은 메모리에서 판독되는 신호이고 여러 다른 정보 신호일 수 있다.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을 이용하여, 동기화 신호 생성 수단(22), 제 2 판별 신호 생성 수단(23), 제 2 응답 신호 인식 수단(24), 제 2 확인 신호 생성 수단(25), 제 2 커맨드 신호 생성 수단(26) 및 제 2 정보 신호 인식 수단(27)을 실행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 생성 수단(22)을 이용하여 동기화 신호(SYNC)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판별 신호 생성 수단(23)을 이용하여 제 2 판별 신호(INV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응답 신호 인식 수단(24)을 이용하여 제 2 응답 신호(RESP2)를 검출할 수 있다. 제 2 확인 신호 생성 수단(25)을 이용하여 제 2 확인 신호(QUIT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커맨드 신호 생성 수단(26)을 이용하여 제 2 커맨드 신호(COM2)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신호들은 기록 커맨드 신호, 판독 커맨드신호 및 여러 다른 커맨드 신호일 수 있다. 제 2 정보 신호 인식 수단(27)을 이용하여, 제 2 정보 신호(INFO2)를 검출할 수 있고, 이 신호들은 메모리에서 판독된 신호이고 다른 스테이션 정보 신호일 수 있다.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은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을 처리하도록 구현되었다.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을 이용하여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을 관측할 수 있다.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의 특수한 특징은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이 에너지 공급 신호 생성 수단(16)을 포함한다는 것으로, 이 에너지 공급 신호 생성 수단(16)은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의 처리를 각각 개시할 때 에너지 공급 신호(BURST)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의 다른 특수한 특징은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이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을 처리하도록 구현된다는 것으로서, 이 프로토콜은 프로토콜 시퀀스 동안에 가능한 최대 개수의 트랜스폰더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은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을 처리하도록 구현되었다.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을 이용하여,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은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이 동기화 신호 생성 수단(22)을 포함하게 하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고, 동기화 신호 생성 수단(22)은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의 처리를 각각 개시할 때 동기화 신호(SYNC)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통신 스테이션(1)에서,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은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을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유리한데,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은 통신 스테이션(1)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의 통신을 위해 가능한 한 최소의 에너지만을 소모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이 경우에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은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을 처리하도록 구현되고, 이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은 가능한 한 가장 빠르게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에 대한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통신 스테이션(1)에서,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에 의해서 처리되는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과,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에 의해서 처리되는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서로 상이하다는 기본적인 사항이 실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에 따르면 이 프로토콜의 처리를 각각 개시할 때 에너지 공급 신호(BURST)가 생성되고,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에 따르면 이 프로토콜의 처리를 각각 개시할 때 동기화 신호(SYNC)가 생성되기 때문에, 2개의 프로토콜은 어느 경우에도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에 기인하여, 2개의 프로토콜은 서로 간에 고유하게, 또한 틀림없이 구별 가능하게 되어, 서로 다른 프로토콜의 처리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프로세스도 또한 서로 간에 고유하고 명확하게 구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 스테이션(1)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과, 통신 스테이션(1)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이 동시에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통신 프로세스에서 이 두 통신 사이에 상호간의 영향이 존재하지 않도록 2개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선택하였다.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은 국제 표준에서 규정된 프로토콜 등과 같이 알려진 프로토콜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IS0 14443 또는 IS0 15693에 준하는 국제 표준 또는 현재 표준화 작업 중인 IS0 18000에 준하는 국제 표준 등에서 알려진 프로토콜일 수 있다.
집적 회로(2)는,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에 의해서 생성되었거나 평가될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을 포함한다. 집적 회로(2)는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에 의해서 생성되었거나 평가될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을 포함한다.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을 이용하면,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이 경우에는 2개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 1 프로토콜 실행 수단(12)에 의해서 생성되거나 평가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을 이용하면,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이 경우에는 2개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 2 프로토콜 실행 수단(13)에 의해서 생성되었거나 평가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으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2개의 전송 파라미터와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으로 다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2개의 전송 파라미터는 서로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라는 것은 중요하고 유용한 사실이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제 1 인코딩 수단(encoding means)(30)과 제 1 디코딩 수단(decoding means)(31)을 포함한다. 제 1 인코딩 수단(30)은 제 1 코딩타입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데, 이 제 1 코딩 타입은 제 1 전송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제 1 인코딩 수단(30)은 소위 밀러 코드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제 1 디코딩 수단(31)은 제 2 코딩 타입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데, 이 제 2 코딩 타입은 제 2 전송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제 1 디코딩 수단(31)은 서브캐리어(subcarrier)를 이용하여 소위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그러나, 제 1 인코딩 수단(30) 및 제 1 디코딩 수단(31)은 이와 다르게 소위 맨체스터 코드 또는 다른 코드(예를 들면 소위 RZ 코드(Return to Zero code) 등)에 따라서 각각 자신에게 공급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제 1 변조 수단(modulation means)(32)과 제 1 복조 수단(demodulation means)(33)을 더 포함한다. 제 1 변조 수단(32) 및 제 1 복조 수단(33)은 제 1 변조 타입에 따라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에, 제 1 변조 수단(32)은 진폭 변조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복조 수단(33)은 진폭 복조 수단에 의해 형성되므로, 제 1 변조 수단(32) 및 제 1 복조 수단(33)은 제 1 변조 타입인 진폭 변조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이는 소위 ASK로서, 10% ASK, 12% ASK, 30% ASK 또는 100% ASK가 될 수 있지만, 다른 ASK 변조도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제 1 변조 수단(32) 및 제 1 복조 수단(33)이 반드시 진폭 변조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이와 다르게 예를 들면 위상 변조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제 2 인코딩 수단(34)과 제 2 디코딩 수단(35)을 포함한다. 제 2 인코딩 수단(34) 및 제 2 디코딩 수단(35)은 전송 파라미터인 제 3 인코딩 타입에 따라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에, 제 2 인코딩 수단(34) 및 제 2 디코딩 수단(35)은 소위 NRZ 코드(Non Return to Zero code)에 따라서 자신에게 제공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므로, 이 NRZ 코드는 통신 스테이션(1) 내에서 이용되는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형성한다. 그러나, 제 2 인코딩 수단(34) 및 제 2 디코딩 수단(35)은 이와 다르게 다른 코드에 따라서, 예를 들면, 소위 FM0 코드(FM Zero code)를 사용하여 자신에게 제공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제 2 변조 수단(36)과 제 2 복조 수단(37)을 더 포함한다. 제 2 변조 수단(36) 및 제 2 복조 수단(37)은 제 2 변조 타입에 따라서 자신에게 제공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에, 제 2 변조 수단(36)은 위상 변조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복조 수단(37)은 위상 복조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 2 변조 수단(36)으로서 제공된 위상 변조 수단과 제 2 복조 수단(37)으로서 제공된 위상 복조 수단은 소위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방법에 따라서 자신에게 공급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된다. 그러나, 제 2 변조 수단(36) 및 제 2 복조 수단(37)은 이와 다르게 예를 들면, 주파수 변조, 단순 위상 변조(simple phase modulation) 또는 진폭 변조 등의 상이한 변조 타입에 따라서 자신에게 공급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집적 회로(2)는 변조되는 용도로 제 1 변조 수단(32)과 제 2 변조 수단(36)에 공급되는 캐리어 신호(CS)를 생성할 수 있는 캐리어 신호 생성기(38)를 포함한다.
제 1 변조 수단(32)을 진폭 변조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제 1 변조 수단(32)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고 트랜스폰더에 전송되는 진폭 변조 전송 신호를 제각기의 트랜스폰더 내에서 매우 소량의 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복조시킬 수 있다는 매우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이 경우에, 제 2 변조 수단(36)을 위상 변조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제 2 변조 수단(36)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고, 다른 통신 스테이션에 전송되는 전송 신호의 생성으로 높은 신호/노이즈 비가 되고 또한 비교적 적은 전송 에너지만으로 이뤄지므로, 이 경우에 통신 스테이션(1) 내에서 제 2 변조 수단(36)을 위해서는 소량의 에너지 소모량만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충전 가능 배터리에 의해서 전력을 공급받는 휴대 장치 내의 소자인 경우에, 이러한 에너지 공급 수단에 의한 사용 수명이 길어지기 때문에 큰 이점을 갖는다.
통신 스테이션(1)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및 통신 스테이션(1)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에 있어서, 다른 인코딩 타입 및 다른 변조 타입, 즉, 전송 파라미터를 선택함으로써, 서로에 의해 영향받거나 간섭받지 않으면서 원하는 경우에 동시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이들 통신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제 1 인코딩 수단(30) 및 제 1 변조 수단(32)을 이용하여 제 1 신호 처리 수단(28) 내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제 1 증폭 수단(amplifying means)(39)에 공급되고, 핀(3)을 통해서 제 1 증폭 수단(39)으로부터 정합 수단(4)으로 출력되고, 후속하여 전송 수단(5)으로 출력된다.
제 2 인코딩 수단(34) 및 제 2 변조 수단(36)을 이용하여 제 2 신호 처리 수단(29) 내에서 처리된 신호는 제 2 증폭 수단(40)에 공급되고, 핀(3)을 통해서 제 2 증폭 수단(40)으로부터 정합 수단(4)으로 출력되고 후속하여 전송 수단(5)에 출력된다.
전송 수단(5)에 의해 수신되고 정합 수단(4)에 공급된 신호는 핀(3)을 통해서 집적 회로(2)에 공급된다. 이러한 신호가 통신 스테이션(1)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서 통신 스테이션(1)에 전송된 신호라면, 이 신호는 제 1 필터 수단(filter means)(41)에 의해서 필터링되어 제 3 증폭 수단(42)을 거쳐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의 제 1 복조 수단(33)에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제 3 증폭 수단(42)의 증폭 계수(amplification factor)는 또한 1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 신호가 통신 스테이션(1)과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통신 스테이션(1)에 전송되는 신호라면, 이 신호는 제 2 필터 수단(43)에 의해 필터링되어 제 4 증폭 수단(44)을 거쳐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의 제 2 복조 수단(37)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의 처리에 있어서 가능한 통신 시퀀스 및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의 처리에 있어서 가능한 다른 통신 시퀀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지만, 이 설명은 가능한 예에 불과하다.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의 처리에 있어서, 에너지 공급 신호(BURST)는 프로토콜의 처리가 개시될 때마다 0.1msec의 최소 지속 시간 동안에 에너지 공급 신호 생성 수단(16)에 의해서 생성된다. 에너지 공급 신호(BURST)는 통신 스테이션(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모든 트랜스폰더에 전송되고, 그에 따라서 모든 트랜스폰더가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트랜스폰더는 소위 패시브 트랜스폰더로 가정하는데, 패시브 트랜스폰더는 자체적인 에너지 공급원 없이, 예를 들면 배터리에 의해서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그 이후에, 제 1 판별 신호 생성 수단(17)에 의해서 제 1 판별 신호(INV1)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통신 스테이션(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모든 트랜스폰더에 대한 판별 공정이 개시된다. 통신 스테이션(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각각의 트랜스폰더에서 제 1 응답 신호(RESP1)가 출력되어 통신 스테이션(1)에 전송되는데, 이 통신 스테이션(1)은 제 1 응답 신호 인식 수단(18)을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제 1 응답 신호(RESP1)들 간에 충돌이 발생하는지 여부, 또는 각 경우에 단일 트랜스폰더로부터의 하나의 제 1 응답 신호(RESP1)가 존재한다는 명확한 인식을 검출한다. 각각의 고유하게 검출된 트랜스폰더에 대해, 제 1 확인 신호 생성 수단(19)에 의해 생성된 제 1 확인 신호(QUIT1)가 전송된다. 제 1 확인 신호(QUIT1)를 이용하여 이러한 확인 작업을 실행한 후에, 통신 스테이션(1)과 제각기의 식별되고 확인된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이 실행되는데, 이 통신은 제각기의 제 1 커맨드 신호(COM1)의 결과로서 실행되는 것으로서,이 통신은 연관된 트랜스폰더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거나 연관된 트랜스폰더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 또는 그 외에 데이터 교환 트랜잭션(data exchange transaction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각기의 제 1 커맨드 신호(COM1)는 제 1 커맨드 신호 생성 수단(20)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러한 제 1 커맨드 신호(COM1)의 결과로서 수행되는 데이터 교환 트랜잭션 동안에 트랜스폰더로부터 통신 스테이션(1)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정보는 제 1 정보 신호 인식 수단(21)에 의해서 인식되고, 그 후에 마이크로컴퓨터(7) 또는 BUS 접속부(8)를 거쳐 마이크로컴퓨터(7)에 접속된 HOST 컴퓨터 내에서 검출된 정보의 추가적인 처리가 실행된다.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프로세스에서, 동기화 신호(SYNC)는 이 프로토콜의 각 개시 때에 동기화 신호 생성 수단(22)에 의해서 생성되고, 다음에 통신 스테이션(1)으로부터 이 통신 스테이션(1)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모든 다른 통신 스테이션으로 전송된다. 이것에 의해 다른 통신 스테이션 내에서 동기화 신호(SYNC)를 평가함으로써,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통신 스테이션에서의 데이터 처리 트랜잭션의 동기화를 간단하고 빠른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의 이러한 통신 스테이션(1)이 그 자신의 수정 발진기(quartz oscillator)(9)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수정 발진기(9)는 정확히 동일한 주파수로 작동되지 않으므로 검사되지 않은 데이터 처리에 어떠한 동기화도 부여되지 않고, 통신 스테이션들 간의 통신에서 불가피하게 데이터 인식 에러가 발생된다. 동기화 신호(SYNC)를 생성하고 출력한 후에,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에 대해서 상술된 처리와 동일한 시퀀스로 여기에서 가정된 스테이션-스테이션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가 수행되고,다음에 신호(INV2, RESP2, QUIT2, CON2, INFO2)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스테이션-트랜스폰더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스테이션(1)과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상술된 바와 같은 동기화를 반드시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데, 이는 이러한 통신에 포함된 트랜스폰더에서 통신 스테이션(1)으로부터 트랜스폰더로 전송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가 도출되고, 그에 따라 이러한 도출된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된 동작이 달성되기 때문이다.
상술된 통신 스테이션(1)과 관련하여, 통신 스테이션(1)은 서로 무관한 2개의 정합 수단과, 서로 무관한 2개의 전송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경우에 2개의 가능한 통신 타입 중의 하나에 대해서 하나의 정합 수단 및 하나의 연결된 전송 수단이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에 따라 통신 스테이션(1)에 있어서 특정한 통신 타입에 가장 적합한 전송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2개의 통신 타입에 있어서, 제각기의 통신은 유도성 수단(inductive means)에 의해서 이뤄질 수 있고, 따라서 전송 수단은 전송 코일에 결합된 변압기(transformer)로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2개의 통신 타입에 있어서 매우 높은 주파수로 통신이 수행된다면, 전송 수단은 소위 쌍극자(dipoles)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통신 스테이션(1)과 관련하여, 통신 스테이션(1)은 별도의 수단 또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1)은 예를 들면 이동 전화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 장치 내의 부품일 수 있다.

Claims (16)

  1. 트랜스폰더(transponders)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스테이션(1)으로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1 신호 처리 수단(28)과,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2 신호 처리 수단(29)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으로 상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으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는 서로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가 되는
    통신 스테이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제 1 인코딩 수단(30)과 제 1 디코딩 수단(31)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코딩 수단(30)과 상기 제 1 디코딩 수단(31)은 상기 전송 파라미터인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딩 타입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제 2 인코딩 수단(34)과 제 2 디코딩 수단(35)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코딩 수단(34)과 상기 제 2 디코딩 수단(35)은 상기 전송 파라미터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딩 타입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스테이션(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코딩 수단(30)은 밀러 코드(Miller code)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 1 디코딩 수단(31)은 맨체스터 코드(Manchester code)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스테이션(1).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코딩 수단(34) 및 상기 제 2 디코딩 수단(35)은 NRZ 코드(Non Return to Zero code)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스테이션(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제 1 변조 수단(32)과 제 1 복조 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조 수단(32)과 상기 제 1 복조 수단(33)은 제 1 변조 타입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제 2 변조 수단(36)과 제 2 복조 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변조 수단(36)과 상기 제 2 복조 수단(37)은 제 2 변조 타입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스테이션(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수단(32)은 진폭 변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복조 수단(33)은 진폭 복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신 스테이션(1).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수단(36)은 위상 변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복조 수단(37)은 위상 복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신 스테이션(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 수단 및 상기 위상 복조 수단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방법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통신 스테이션(1).
  9. 트랜스폰더(transponders) 및 다른 통신 스테이션과 비접촉식으로 통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스테이션(1)용 집적 회로(2)로서,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1 신호 처리 수단(28)과,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통신 스테이션(1)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제 2 신호 처리 수단(29)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으로 상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으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송 파라미터는 서로 상이한 전송 파라미터가 되는
    집적 회로(2).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제 1 인코딩 수단(30)과 제 1 디코딩 수단(31)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코딩 수단(30)과 상기 제 1 디코딩 수단(31)은 상기 전송 파라미터인 적어도 하나의 제 1 코딩 타입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제 2 인코딩 수단(34)과 제 2 디코딩 수단(35)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코딩 수단(34)과 상기 제 2 디코딩 수단(35)은 상기 전송 파라미터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코딩 타입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집적 회로(2).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코딩 수단(30)은 밀러 코드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 1 디코딩 수단(31)은 맨체스터 코드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집적 회로(2).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코딩 수단(34) 및 상기 제 2 디코딩 수단(35)은 NRZ 코드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집적 회로(2).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처리 수단(28)은 제 1 변조 수단(32)과 제 1 복조 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변조 수단(32)과 상기 제 1 복조 수단(33)은 제 1 변조 타입에 따라서 상기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2 신호 처리 수단(29)은 제 2 변조 수단(36)과 제 2 복조 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변조 수단(36)과 상기 제 2 복조 수단(37)은 제 2 변조 타입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집적 회로(2).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수단(32)은 진폭 변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복조 수단(33)은 진폭 복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집적 회로(2).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조 수단(36)은 위상 변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복조 수단(37)은 위상 복조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집적 회로(2).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조 수단 및 상기 위상 복조 수단은 BPSK 방법에 따라서 상기 다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현되는 집적 회로(2).
KR10-2004-7014188A 2002-03-13 2003-02-21 통신 스테이션 및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 KR200400897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100245 2002-03-13
EP02100245.6 2002-03-13
PCT/IB2003/000678 WO2003077186A1 (en) 2002-03-13 2003-02-21 Communication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ransponders and further communication stations with the aid of different transmission parame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727A true KR20040089727A (ko) 2004-10-21

Family

ID=2779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188A KR20040089727A (ko) 2002-03-13 2003-02-21 통신 스테이션 및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99267A1 (ko)
EP (1) EP1485860A1 (ko)
JP (1) JP2005520379A (ko)
KR (1) KR20040089727A (ko)
CN (1) CN1639728A (ko)
AU (1) AU2003252818A1 (ko)
WO (1) WO2003077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20128D1 (de) * 2004-04-29 2010-05-06 Nxp Bv Schaltung zum verarbeiten von ausgangssignalen von kommunikationsstufen
DE102016113302A1 (de) * 2016-07-19 2018-01-25 Sick Ag RFID-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mmunizieren mit mindestens einem RFID-Transpond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58A (ja) * 1992-11-06 1995-01-31 Texas Instr Deutschland Gmbh 多重呼掛部、データ通信およびトランスポンダ装置
FR2738369A1 (fr) * 1995-09-06 1997-03-07 Philips Electronique Lab Systeme d'echange de donnees comportant une pluralite de porteurs de donnees.
WO2000045328A1 (en) * 1999-01-26 2000-08-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carrier provided with at least two decoding stages
EP1026627A1 (de) * 1999-01-29 2000-08-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Kontaktloses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zur kontaktlosen Datenübertragung
US6577229B1 (en) * 1999-06-10 2003-06-10 Cubic Corporation Multiple protocol smart card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99267A1 (en) 2005-05-12
CN1639728A (zh) 2005-07-13
AU2003252818A1 (en) 2003-09-22
EP1485860A1 (en) 2004-12-15
WO2003077186A1 (en) 2003-09-18
JP2005520379A (ja)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7251B2 (ja) 無線周波数識別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を伝送する方法
JP5353675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02098079B (zh) 信号处理设备及方法
US8543056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2480312A (zh) 通信装置、通信方法和程序
CN102567124A (zh) 通信装置、通信方法和程序
EP2226950A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8754753B2 (en) Resistive and capacitive modulation in an electromagnetic transponder
JP4284745B2 (ja) Icカード通信システム
JP2008134735A (ja) データキャリア及び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
JP4407675B2 (ja) Icカードリーダ
KR20040089727A (ko) 통신 스테이션 및 통신 스테이션용 집적 회로
JP434932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同期状態判定方法
US20100013605A1 (en) Data carrier and data carrier system
US9767433B2 (en) Communication st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ransponders and further communication stations with the aid of different protocols
JP2010130045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325545B2 (ja) 非接触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
JP4407674B2 (ja) Icカードリーダ
JP3891077B2 (ja) Icカードリーダ
CN1647096B (zh) 对多个数据载体进行编目的方法
JP2001005923A (ja) データ通信装置
JP2004056205A (ja) Bpsk信号の認識方法およびその認識方法を用いる非接触式icカードの端末装置
JP2003036426A (ja) 非接触icカードおよ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
JPH0962809A (ja) 非接触カードの通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