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595A -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595A
KR20040089595A KR10-2004-7012042A KR20047012042A KR20040089595A KR 20040089595 A KR20040089595 A KR 20040089595A KR 20047012042 A KR20047012042 A KR 20047012042A KR 20040089595 A KR20040089595 A KR 20040089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weight
compound
composi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284B1 (ko
Inventor
뤼디거 고니
지에그프리드 안데르스
볼프강 니싱
볼프강 에베르트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8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및 분지쇄 알코올과 에스테르화된 OH 작용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품, 특히 시트에 관계한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Compositions comprising polycarbonates}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은 많은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트는 예컨대 루핑 또는 글레이징용으로 사용된다.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은 보통 추가 물질, 예컨대 윤활제(몰드-이형제로도 알려진)를 포함한다. 윤할제로서 예컨대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가 사용된다.
폴리카보네이트와 구에르베트(Guerbet) 알코올을 포함한 조성물은 공지이다. 구에르베트 알코올은 구에르베트 반응의 생성물로서 예컨대 구에르베트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 200℃ 및 상승된 압력에서 나트륨이나 구리의 영향 하에서 알코올의 자가-축합반응이 구에르베트 반응으로 알려진다.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는 예컨대 EP A 0 110 221에 개시되며 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된다. 이 시트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을 압출시켜 제조된다.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추가로 증가된 함량의 UV 흡수제를 포함한 추가 조성물을 사용한 공압출 공정이 임의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압출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켈리브레이터(다중-벽 시트의 경우) 또는 롤러(고체 시트의 경우) 상에 조성물에서 나온 휘발성 성분의 침착으로서, 이것은 시트 표면상에 결함을 가져올 수 있다. 휘발성 성분은 예컨대 UV 흡수제, 몰드-이형제 및 조성물의 기타 저분자량 성분이다.
EP A 0 320 632는 UV 흡수제를 포함하며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공압출 시트를 개시한다. 비교적 긴 압출시간이 지나면 특히 공압출에서 조성물 용융물로부터 증발의 결과로서 시트의 표면이 손상된다는 것이 결점이다.
조성물 용융물로부터 UV 흡수제의 증발량 증가는 켈리브레이터나 롤러 상에 코팅을 형성시키고 결국 시트 표면에 결함(예컨대 백색 반점, 리플 등)을 형성시킨다. 켈리브레이터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마모는 추가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상에 분말형 침착물을 형성한다.
폴리카보네이트에서 구에르베트 알코올의 에스테르 역시 공지이며 예컨대 EP-A 0 390 994는 몰드-이형제로서 특별한 구에르베트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EP-A 0 390 994에서 공압출용으로 몰딩 조성물이 사용된다는 언급이 없다. 추가로 이 발명에 따른 몰드 이형제가 더 많은 양의 UV 흡수제와 함께 공압출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언급이 없다.
WO 01/62851 및 WO 01/25334의 실시예는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ABS 블렌드에서 EP-A 0 390 994의 한 실시양태인 Lubril JK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 경우에도 공압출에 대한 언급이 없다.
WO 01/74935는 지방산과 구에르베트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지방산과 선형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혼합물이 특히 공정이 장기간에 걸쳐서 수행될 경우 공압출에 의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공정을 개선(장기간 공압출 양태의 개선)시킬 수 있다고 교시한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및 분지쇄 알코올과 에스테르화된 OH 작용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를 포함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품, 특히 시트에 관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의 공압출에 의해 시트를 제조할때 공지 기술의 결점을 보이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상이한 화학식 II의 화합물(상동 화합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을 포함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경우에 화학식 II의 상동 화합물은 상이한 n값에 의해 구별되고;
아래의 내용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적용되고;
a= 1 내지 17,
b= 0 내지 16,
c= 6 내지 14,
d= 3 내지 7,
e= 6 내지 14,
f= 3 내지 7,
g= 5 내지 40 및
a+b≥9
화학식 II의 화합물에서 n= 1 내지 10이고;
조성물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 대 조성물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001 내지 1:1.2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과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의 합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중량%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다음이 적용된다:
a= 2 내지 4,
b= 3 내지 14,
c= 10,
d= 5,
e= 10,
f= 5,
g= 14 내지 16
n= 1 내지 7,
a+b= 9 내지 25.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 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1:0.001 내지 1:1.2, 바람직하게는 1:0.005 내지 1:1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이다. 이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는 이산과 디올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이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산이다.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탄-1,4-디올,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및 네오펜틸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올이다.
다음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a) 90 내지 100몰% 테레프탈산
0 내지 10몰% 이소프탈산
60 내지 70몰% 에틸렌글리콜
30 내지 40몰% 시클로헥산디메탄올
0 내지 5몰% 디에틸렌글리콜
b) 90 내지 100몰% 테레프탈산
0 내지 10몰% 이소프탈산
60 내지 70몰% 시클로헥산디메탄올
30 내지 40몰% 에틸렌글리콜
0 내지 5몰% 디에틸렌글리콜
c) 95 내지 100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0 내지 5몰% 다른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95 내지 100몰% 시클로헥산디메탄올
0 내지 5몰% 다른 지방족 디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n=1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5 내지 1.2배이고, n=2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2 내지 1.2배이고, n=3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1배이고, n=4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0.8배이고, n=5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0.5배이고, n=6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0.4배인, 언급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또한, 추가로 0.1 내지 15중량부의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다. UV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2-히드록시-5-t-옥틸-3-(벤조트리아졸-2-일)페닐]-메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시아노-3,3-디페닐-프로펜산, 2,2-비스[(2-시아노-1-옥소-3,3-디페닐-2-프로펜일)옥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또한 추가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0 내지 3000ppm의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열안정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핀 및 3,9-비스[2,4-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 및 5-부틸-5-에틸-2-[2,4,6-트리스(1,1-디메틸에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포리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또한 임의의 종류의 제품 제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출에 의해 제조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한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제품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 시이트이며,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중층 시트 외부층의 하나 또는 둘다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한, 3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다중층 시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부의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통적인 가공 보조제, 특히 몰드-이형제 및 유동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전통적인 안정화제, 특히 전통적인 열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상대적인 중량 결정은 예컨대 HPL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아래 화학식 I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구매 가능하다.
<화학식 I>
<화학식 II>
이들은 전통적으로 화장품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예컨대 로디아(로디아 게엠베하, 스타델스트라쎄 10, 데-60596 프랑크푸르트)로부터 상표명 Lubril JK로 입수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공지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EP A 0 390 994에 개시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첨가제는 예컨대 Rhodia로부터 Lubril JK로 구입할 수 있고 보통 화장품용으로 사용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화학식 II의 화합물과 혼합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유리하다고 입증되었다. 이들은 어렵지 않게 가공될 수 있고 제품으로 수득된 상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놀랍게도 이들 화합물이 사용될 경우에 심지어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에 휘발성인 것으로 알려진 첨가제가 가해질 때도 서두에서 언급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용으로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이다. 이들은 디클로로메탄이나 동일한 중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젠의 혼합물에서, 광산란에 의해 보정된 상대적 용액 점도를 측정하여 결정된 바람직하게는 18000 내지 40000g/몰, 더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36000g/몰, 특히 28000 내지 35000g/몰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조성물의 용융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이를 적용하여 다중층 제품을 제조하는 기재(substrate)의 점도 미만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용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해서 예컨대 "Schnell",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 및 물리, 폴리머 리뷰, 볼륨 9, 인터사이언스 퍼블리셔, 뉴욕, 런던, 시드니 1964, 디.시. 프레보섹, 비.티. 데보나 및 와이. 케스텐, 코포레이트 리서치 센터, 앨리드 케미칼 코포레이션, 모리스타운, 뉴저지 07960,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합성", 저널 오브 폴리머 사이언스, 폴리머 화학판, 볼륨 19, 75-90(1980), 디. 프레이태그, 유. 그리고, 피. 알. 뮐러, 엔. 노버튼, 바이엘 에이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 사이언스 및 엔지니어링 사전, 볼륨 11, 2판, 1988, 648-718면, 및 드레스. 유. 그리고, 케이. 키르처 및 피. 알. 뮐러, "폴리카보네이트", 베커/브라운, 쿤스트스토프-핸드부시 볼륨 3/1,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칼 한세르 베르락 무니, 비엔나 1992, 117-299면이 참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 경계 공정 또는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반응에 의해 제조가 수행되고 예시를 목적으로 상 경계 공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출발물질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화합물은 일반식 HO-Z-OH의 비스페놀이고, 여기서 Z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기를 포함한 탄소수 6 내지 30의 2가 유기 라디칼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는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인단비스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및 α,α'- 비스(히드록시페닐) 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 속하는 비스페놀이다.
위에서 언급된 화합물군에 속하는 특히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비스페놀 A, 테트라알킬비스페놀 A, 4,4-(메타-페닐렌디이소프로필) 디페놀(비스페놀 M), 4,4-(파라-페닐렌디이소프로필) 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BP-TMC), 및 임의로 이의 혼합물이다. 비스페놀 A에 기초한 호모폴리카보네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에 기초한 코폴리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비스페놀 화합물은 카본산 화합물, 특히 포스젠과 반응되거나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의 경우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와 반응된다.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는 위에서 언급된 비스페놀을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카본산 등가물과 반응시켜 수득된다.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컨대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3,3'- 또는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이다. 일부 경우에 폴리카보네이트에서 카보네이트 기의 최대 80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몰%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로 대체될 수 있다.
상 경계 공정에서 사용되는 불활성 유기 용매는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다양한 디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프로판 화합물, 테트라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톨루엔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클로로벤젠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상 경계 반응은 3차 아민, 특히 N-알킬피페리딘 또는 오늄염과 같은 촉매를 수단으로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에틸피페리딘이 사용된다.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의 경우에 DE-A 42 38 123에서 언급된 촉매가 사용된다.
소량의 분지화제를 사용하여 계획적이고 조절된 방식으로 폴리카보네이트가 분지화될 수 있다. 몇가지 적합한 분지화제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2-헵텐;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2-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쏘테레프탈산 에스테르;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식 산; 시아누릭 클로라이드;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및 특히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사용된 디페놀에 대해 0.05 내지 2몰%의 양으로 부수적으로 임의로 사용되는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 혼합물이 디페놀과 함께 사용되거나 나중의 합성 단계에서 첨가될 수 있다.
사슬 종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사슬 종료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페놀과 같은 페놀, 크레졸 및 4-t-부틸페놀과 같은 알킬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쿠밀페놀, 또는 이의 혼합물이 비스페놀 1몰당 1내지 20몰%, 바람직하게는 2내지 10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페놀, 4-t-부틸페놀 및 쿠밀페놀이 바람직하다.
사슬 종료제 및 분지화제는 별도로 또는 대안으로 비스페놀과 함께 합성반응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공압출 조성물로도 칭한다.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 조성물용 폴리카보네이트 제조가 DE-A 42 38 123에서 실시예를 수단으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 조성물용으로 적합한 UV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400nm 미만에서 이의 흡수 용량으로 인하여 UV광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370을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UV 흡수제의 예는 아래에 개시된다.
a1) 화학식 III에 따른 이합체 벤조트리아졸;
[화학식 III에서 R1및 R2은 동일 또는 상이하며 H, 할로겐, C1-C10-알킬, C5-C10-시클로알킬, C7-C13-아르알킬, C6-C14-아릴, -OR5또는 -(CO)-O-R5(R5는 H 또는 C1-C4-알킬임)이고;
R3및 R4은 유사하게 동일 또는 상이하며 H, C1-C4-알킬, C5-C6-시클로알킬, 벤질 또는 C6-C14-아릴이고;
m은 1, 2 또는 3이고, n은 1, 2, 3 또는 4임.]
R1 = R3 = R4 = H; n = 4; R2 = 1,1,3,3-테트라메틸부틸; m = 1인 티누빈(Tinubin ) 360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001 내지 1.5중량% 및 2 내지 20중량%,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1.0중량% 및 3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5중량% 및 4 내지 8중량%이다.
a2) 화학식 IV에 따른 이합체 벤조트리아졸;
[화학식 IV에서 브리지는이고;
R1, R2, m 및 n은 화학식 III에서 정의된 것과 같고, p는 0내지 3의 정수, q는 1내지 10의 정수이고;
Y는 -CH2-CH2-, -(CH2)3-, -(CH2)4-, -(CH2)5-, -(CH2)6- 또는 CH(CH3)-CH2-이고, R3및 R4은 화학식 III에서 R3 및 R4에 대해 정의된 것과 같음.]
R1 = H; n = 4; R2 = t-부틸; m = 1; R2가 OH기에 대해 오르쏘 위치에 부착되고; R3= R4= H; p = 2; Y = -(CH2)5-; q = 1인 티누빈(Tinubin ) 840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001 내지 1.5중량% 및 2 내지 20중량%,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1.0중량% 및 3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5중량% 및 4 내지 8중량%이다.
b) 화학식 V에 따른 트리아진 유도체;
[화학식 V에서 R1, R2, R3, R4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CN 또는 할로겐 또는 O-알킬이고, X는 알킬임.]
R1= R2= R3= R4= H; X = 헥실인 티누빈(Tinubin ) 1557; R1= R2= R3= R4= 메틸; X = 옥틸인 시아소브(Cyasorb) UV-1164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001 내지 1.0중량% 및 1.5 내지 10중량%,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0.8중량% 및 2 내지 8중량%,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5중량% 및 3 내지 7중량%이다.
c) 화학식 Va의 트리아진 유도체;
[화학식 Va에서 R1은 C1-알킬 내지 C17-알킬이고;
R2은 H 또는 C1-알킬 내지 C4-알킬이고;
n은 0 내지 20임.]
바람직한 범위는 0.00001 내지 1.0중량% 및 1.5 내지 10중량%,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0.8중량% 및 2 내지 8중량%,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5중량% 및 3 내지 7중량%이다.
d) 화학식 VI의 디아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VI에서 R1내지 R40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CN 또는 할로겐을 나타냄.]
R1내지 R40= H인 유비눌(Uvinul) 3030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001 내지 1.5중량% 및 2 내지 20중량%,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1 내지 1.0중량% 및 3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5중량% 및 4 내지 8중량%임]
e) US-A 5 959 012의 청구항 제1항에 언급된 UV 흡수제도 적합하다.
사용될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성물에 UV 흡수제의 혼입은 UV 흡수제 용액을 예컨대 CH2Cl2, 할로알칸, 할로아로마틱 화합물, 클로로벤젠 및 크실렌과 같은 적합한 유기 용매에 용해된 플라스틱 용액과 혼합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후 물질의 혼합물이 공지 방식으로 압출에 의해 균질화되고; 예컨대 용매 증발및 후속의 압출에 의해 공지 방식으로 용액 혼합물이 제거되고 컴파운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용 폴리카보네이트에 적합한 안정화제는 예컨대 포스핀, 포스파이트 또는 Si -함유 안정화제, 및 EP-A 0 500 496에 개시된 다른 화합물이다. 예컨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및 트리아릴 파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트리페닐 포스핀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의 예는 예컨대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또는 술포늄염과 같은 양이온성 화합물, 예컨대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염 형태의 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실화 지방 아민과 같은 비-이온성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대전방지제는 비-이온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합성에 사용되는 모든 물질 및 용액은 그 제조 및 저장의 결과로서 대응 불순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청정한 출발물질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성분들은 실온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 순서적으로 또는 동시에 공지 방식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첨가제 혼입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혼련기, 싱글-스크류 압출기 및 더블-샤프트 압출기와 같은 전통적인 장치에서 약 200 내지 380℃의 온도에서 폴리머 과립을 첨가제와 혼합시켜, 예컨대 용융 컴파운딩 또는 용융 압출시키거나, 또는 폴리머 용액을 첨가제 용액과 혼합하고 후속으로 공지 방식으로 용매를 증발시켜서 공지 방식으로 수행된다. 조성물에서 첨가제의 양은 넓은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몰딩 조성물의 필요한 성질에 달려있다. 조성물에서 첨가제의 총량은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서 대략 최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2중량%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은 특히 시트의 기본 물질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몰드 이형제와 함께 제공될때 기본 물질로서 임의의 필요한 폴리카보네이트 몰딩 조성물에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부수적인 사용으로 제조된 성형체를 제공한다. 이 조성물은 고체 플라스틱 시트 및 소위 다중-벽 시트(예컨대 트윈-월 시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시트는 또한 한면 또는 양면상에 증가된 함량의 UV 흡수제를 포함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추가 커버층을 갖는 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시트 제품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예컨대 온실용 글레이징, 온실(greenhouse, conservatory), 버스 정류장, 광고판, 도로표지, 안전 글레이징, 자동차 글레이징, 창 및 루핑과 같은 제품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코팅된 제품의 후속 처리, 예컨대 딥-드로우잉 또는 표면 처리, 예컨대 긁힘 방지 라커, 물-확산층 등의 제공이 가능하고 본 특허출원은 이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제품에도 관계한다.
공압출은 문헌(예컨대 EP-A 0 110 221 및 EP-A 0 110 238 참조)에 공지된다. 본건에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코어층 및 커버층(들)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가 공압출 어댑터에 부착된다. 어댑터는 코어층의 용융물에 접착하는 박층 형태로 커버층(들)을 형성하는 용융물이 적용되도록 설계된다.
이와같이 생성된 다중-층 용융된 압출물은 이후 하류에 연결된 다이에서 필요한 형태(다중-벽 또는 고체 시트)가 된다. 이후 캘린더링(고체 시트) 또는 진공 보정(다중-벽 시트)을 수단으로 공지 방식으로 용융물이 냉각되고 후속으로 조절된 조건 하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응력 제거를 위한 템퍼링 오븐이 켈리브레이터 하류에 임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이 상류에 제공되는 어댑터 대신에 다이 자체가 그 속에서 용융물의 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수단으로 더욱 설명된다.
예컨대 EP-A 0 110 238에 개시된 10 mm 트윈-월 더블 시트 A, B, 및 C가 다음 조성물로부터 수득된다. 사용된 기본 물질은 Makrolon(등록상표) 1243 (ISO 1133에 따라 300℃ 및 1.2kg 하중에서 6.5g/10분의 용융물 흐름 지수(MFR)를 갖는 분지화된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바이엘 에이지, 레버쿠젠)이다. 표에 제시된 화합물과 기본 물질이 Makrolon(등록상표) 3100 (ISO 1133에 따라 300℃ 및 1.2kg 하중에서 6.5g/10분의 용융물 흐름 지수(MFR)를 갖는 선형 비스페놀 A 폴리카보네이트, 바이엘 에이지, 레버쿠젠) 상에 공압출된다.
각 경우에 공압출 층의 두께는 약 50μm이다.
*)ISP, 1361 알프스 로드, 웨이네, 뉴욕 07470, 미국으로부터 Ceraphyl(등록상표) 847로 입수 가능한, a=6, b=7, c=10, d=5, g=16인 화학식 I의 화합물 100%, n>0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제로인 제품
**)로디아 게엠베하(스타델스트라쎄 10, 데-60596 프랑크푸르트)로부터 입수 가능한 Lubril(등록상표) JK
***)코그니스(뒤셀도르프, 독일)로부터 입수 가능한 Loxiol(등록상표) VPG 861(PETS=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시바 스페시알리타텐케미에(램퍼타임,독일)로부터 입수 가능한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페이트
*****)EP-A 0 390 994에 지정된 대로 제조된, 화학식 I 대 화학식 II 비율=1:1.4로 a=6, b=7, c=10, d=5, g=16인 화학식 I과, a=6, b=7, c=10, d=5, g=16, e= 10, f=5, n=1인 화학식 II의 화합물로 구성된 제품
다중-층 시트 제조에 사용된 기계 및 장치가 아래에 개시된다.
장치는
-직경 70mm와 길이 33D의 스크류와 탈기구를 포함하는 메인 압출기
-공압출기 어댑터(피드블록 시스템)
-직경 30mm와 길이 25D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커버층 적용을 위한 공압출기
-폭 350mm의 특수 시트 다이
-켈리브레이터
-롤러 컨베이어
-테이크-오프 장치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장치(톱)
-전달 테이블로 구성된다.
기본 물질인 폴리카보네이트 과립이 메인 압출기의 이송 퍼넬로 이송되고 공압출기에 UV 공압출 물질이 이송된다. 각 실린더/스크류 가소화 시스템에서 물질의 용융 및 이송이 일어난다. 두가지 물질 용융물이 공압출기 어댑터에서 합쳐지고 다이를 떠난후 켈리브레이터에서 냉각되어 복합체를 형성한다. 다른 장치는 압출된 시트를 운송하고 이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를 쌓아두는 역할을 한다.
A로 공압출(기준):
-4시간 후에 처음으로 비교적 작은 침착물
-90분후 약간 교차하는 리플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발생하여 시트의 품질을 약간 손상시키고 4.5시간 후에 약간 더 두드러진 교차하는 리플이 발생
-등급: 양호
B로 공압출(기준):
-50분후에 처음으로 비교적 작은 결함(교차하는 리플)
-90분후 더 큰 결함(벽의 휨, 백색 침착물, 교차하는 리플)
-등급: 불량
C로 공압출:
-5시간의 테스트기간에 걸쳐서 침착물 무
-교차하는 리플 형성이 사소하여 시트 품질이 손상되지 않음
-등급: 매우 양호
D로 공압출:
-5시간의 테스트기간에 걸쳐서 침착물 무
-90분후 약간 교차하는 리플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발생하여 시트의 품질을 약간 손상시킴
-등급: 매우 양호
E로 공압출:
-5시간의 테스트기간에 걸쳐서 침착물 무
-교차하는 리플 형성이 사소하여 시트 품질이 손상되지 않음
-등급: 매우 양호
F로 공압출:
-5시간의 테스트기간에 걸쳐서 침착물 무
-90분후 약간 교차하는 리플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발생하여 시트의 품질을 약간 손상시킴
-등급: 매우 양호
G로 공압출:
-5시간의 테스트기간에 걸쳐서 침착물 무
-교차하는 리플 형성이 사소하여 시트 품질이 손상되지 않음
-등급: 매우 양호
H로 공압출(기준):
-35분후에 처음으로 비교적 작은 결함(교차하는 리플)
-60분후 더 큰 결함(벽의 휨)
-등급:불량

Claims (10)

  1. 폴리카보네이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및 투명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상이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한 조성물.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 및 화학식 II 화합물에서
    a= 1 내지 17,
    b= 0 내지 16,
    c= 6 내지 14,
    d= 3 내지 7,
    e= 6 내지 14,
    f= 3 내지 7,
    g= 5 내지 40 및
    a+b≥9이고;
    화학식 II화합물에서 n= 1 내지 1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 대 조성물에서 화학식 II의 모든 화합물의 중량비가 1:0.001 내지 1:1.2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n=1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5 내지 1.2배이고, n=2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2 내지 1.2배이고, n=3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1배이고, n=4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0.8배이고, n=5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0.5배이고, n=6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의 0 내지 0.4배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중량과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중량의 합이 0.02 내지 1.0중량%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0.1 내지 15중량부의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추가로 조성물 총중량을 기초로 10 내지 3000ppm의 열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압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임의의 필요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한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온실(greenhouse, conservatory), 버스 정류장, 광고판, 도로표지, 안전 글레이징, 자동차 글레이징, 창, 루핑, 고체 시트, 주름진 시트, 다중-벽 시트 및 다중-벽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품.
  10.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한 다중-층 시트 또는 단일층 시트.
KR1020047012042A 2002-02-05 2003-01-24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 KR100967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4524A DE10204524A1 (de) 2002-02-05 2002-02-05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Polycarbonat
DE10204524.0 2002-02-05
PCT/EP2003/000759 WO2003066720A1 (de) 2002-02-05 2003-01-24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polycarbon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595A true KR20040089595A (ko) 2004-10-21
KR100967284B1 KR100967284B1 (ko) 2010-07-01

Family

ID=771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042A KR100967284B1 (ko) 2002-02-05 2003-01-24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13181B2 (ko)
EP (1) EP1474472B1 (ko)
JP (1) JP2005517066A (ko)
KR (1) KR100967284B1 (ko)
CN (1) CN1307245C (ko)
AT (1) ATE358154T1 (ko)
AU (1) AU2003244435A1 (ko)
CA (1) CA2474948A1 (ko)
DE (2) DE10204524A1 (ko)
ES (1) ES2285137T3 (ko)
HK (1) HK1081213A1 (ko)
MX (1) MXPA04007549A (ko)
RU (1) RU2004126868A (ko)
TW (1) TWI297028B (ko)
WO (1) WO2003066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1049A1 (ja) 2004-05-19 2005-11-24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アルキルスズアルコキシド類の製造方法
BRPI0511525A (pt) * 2004-05-26 2007-12-26 Ciba Sc Holding Ag retardantes de chama
US7704592B2 (en) * 2006-03-09 2010-04-27 Politec Polimeri Tecnici S.A. Multilayer polymeric product based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carbonate and its use as a building material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DE102013003956B4 (de) 2013-03-07 2022-01-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einrichtung, crashaktive Fronthaub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458A (en) * 1982-04-09 1984-01-10 Henkel Corporation Polyguerbet alcohol esters
DE8233007U1 (de) 1982-11-25 1983-03-24 Röhm GmbH, 6100 Darmstadt Polycarbonat-kunststofftafel
DE3739765A1 (de) 1987-11-24 1989-06-08 Bayer Ag Beschichtete formkoerper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238985A (en) * 1987-12-30 1993-08-24 Rhone-Poulenc Surfactants And Specialties, L.P.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AU639207B2 (en) * 1989-04-05 1993-07-22 Rhodia Inc.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5011629A (en) * 1989-04-17 1991-04-30 Bilbo Raymond E Hydroxystearic polyesters of guerbet alcohols as polycarbonate lubricants
US5001180A (en) * 1989-11-01 1991-03-19 Mobay Corporation Release agents for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DE19732090C1 (de) * 1997-07-25 1999-03-25 Bayer Ag Polycarbonatformmass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Beschichtungen in coextrudierten Platten
US6306962B1 (en) * 1999-09-30 2001-10-23 The Dow Chemical Company Flow carbonate polymer blends
US6380303B1 (en) * 2000-02-24 2002-04-30 The Dow Chemical Company Flow carbonate polymer ble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284B1 (ko) 2010-07-01
MXPA04007549A (es) 2004-11-10
HK1081213A1 (en) 2006-05-12
JP2005517066A (ja) 2005-06-09
WO2003066720A1 (de) 2003-08-14
CN1307245C (zh) 2007-03-28
US20030162025A1 (en) 2003-08-28
CA2474948A1 (en) 2003-08-14
DE50306903D1 (de) 2007-05-10
TWI297028B (en) 2008-05-21
US6713181B2 (en) 2004-03-30
CN1646616A (zh) 2005-07-27
EP1474472A1 (de) 2004-11-10
EP1474472B1 (de) 2007-03-28
RU2004126868A (ru) 2005-05-27
AU2003244435A1 (en) 2003-09-02
TW200407384A (en) 2004-05-16
ES2285137T3 (es) 2007-11-16
ATE358154T1 (de) 2007-04-15
DE10204524A1 (de)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13882A1 (en) Multi-layer product containing polycarbonate
CA2558119C (e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novel hydroxyphenyltriazine uv absorbers
US20030152775A1 (en) Multilayered article of manufacture
KR20060052878A (ko)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공압출 보호층으로서의 폴리포르말
US6740693B1 (en) Polycarbonate moulding compounds
JP4153787B2 (ja) 熱可塑性ポリ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
KR100967284B1 (ko)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조성물
AU2001274074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JP4153788B2 (ja) 熱可塑性合成物質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