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862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862A
KR20040088862A KR1020030023271A KR20030023271A KR20040088862A KR 20040088862 A KR20040088862 A KR 20040088862A KR 1020030023271 A KR1020030023271 A KR 1020030023271A KR 20030023271 A KR20030023271 A KR 20030023271A KR 20040088862 A KR20040088862 A KR 2004008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event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혜정
윤경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862A/ko
Publication of KR2004008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4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in which the adsorbent properties of the ion-exchanger are involved, e.g. recovery of proteins or other high-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와 커다란 화면을 구비한 외부영상매체 사이에 데이터통신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라 해당 정보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외부영상매체의 커다란 화면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는 커다란 화면을 보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한 향상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ESENTING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ARATUS THER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큰 화면을 구비하는 외부영상 매체로 제공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있어,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전화번호 관리, 일정 관리, 고객이나 친구 정보 관리, 메모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신속하다는 편리성 때문에 가입자가 폭증하여, 대한민국의 경우 거의 3000만대 이상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개인용 휴대폰 외에 PCS나 PDA 등이 포함되게 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존에 비래 더욱 발전하여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에 대해 찍은 사진 영상을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화상회의 등을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를 상대방 또는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편리한 기능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최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즈는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구비된 화면도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화면이 작아짐에 따라 상기의 여러 편리한 정보들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때 크기가 작아서 식별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나이 많은 어른들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글씨 등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불편함을 증가되고 있다.
또한, 화면이 작아짐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회의를 하는 경우, 작은 화면을 통해 상대방을 보면서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찍으며, 동시에 마이크에 대고 말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에 있는 버튼들은 크기가 작아서, 시력이 안 좋은 사람들은 자신이 올바르게 버튼을 눌렀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으므로 빈번하게 번호 또는 명령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커다란 화면을 구비한 외부영상 매체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표현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회의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및 키패드 영상이 외부영상매체에 디스플레이 되는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 : 이동 통신 단말기 12 : 이벤트 발생부
13 : 제어부 17 : 외부인터페이스
18 : 메모리 20 : 외부영상매체
25 : 데이터통신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은, 이벤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여 준다.
이때, 상기 이벤트가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동영상/정지영상이 제공된다.
상기 이벤트가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동영상/정지영상 및 키패드 영상이 제공된다.
상기 이벤트가 카메라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상기 카메라로 들어오는 영상이 제공된다.
상기 이벤트가 화상회의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영상 및 음성이 제공된다.
상기 외부영상매체는 TV,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및 저장된 키패드 영상을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상의 소정 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누름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키패드 영상의 상응하는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가 표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에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화상회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회의 도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은, 상기 화상회의 도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음성 출력부로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장치는, 키패드에 입력된 명령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장치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 출력부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외부영상매체 사이에는 데이터 통신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표현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영상매체(20)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외부영상매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통신 케이블(25)로 구성된다. 여기서, 데이터통신 케이블(25)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외부영상매체(20)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이다. 또한, 상기 외부영상매체(2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화면이 가능한한 커야 한다. 이러한 외부영상매체(20)로는 TV,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D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이동 통신 단말기로 PDA가 사용된다면, 외부영상매체로는 이러한 PDA의 화면보다 큰 TV,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12)와, 상기 이벤트 발생부(12)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사진 영상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16)와,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11)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4) 및 음성 출력부(15)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외부인터페이스(17)와, 시스템 동작을 위한 정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정보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8)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18)에는 상기 키패드(11)에 대한 영상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장된 키패드 영상은 필요한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20)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11)에는 복수의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명령들이 입력되게 된다.
상기 이벤트 발생부(12)는 상기 키패드(11)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벤트 발생부(12)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이벤트가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메모리(18)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를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가 카메라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카메라(16)가 동작되어 현재 입력되는 영상을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며, 상기 이벤트가 화상회의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 영상을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외부영상매체 사이에 데이터통신케이블을 연결하여 본 발명이 동작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키패드(11)에 입력되면(S 31), 입력된 명령이 이벤트 발생부(12)에 입력되어 그에 상응되는 이벤트가 발생된다(S 33).
이와 같이 발생된 이벤트는 제어부(13)로 입력되어, 상기 이벤트를 분석하게 된다. 즉, 상기 이벤트가 콘텐츠 실행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면(S 35), 상기 제어부(13)는 메모리(18)를 로딩하여 해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출력한다(S 37).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되는 콘텐츠를 동시에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 39).
만일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키패드 영상도 첨부되는지를 판단한다(S 41).
이와 같이,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것과 키패드 영상을 첨부할 지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 결과 키패드 영상이 첨부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콘텐츠는 외부 인터페이스(17)를 통해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된다(S 43).
반대로, 키패드 영상도 첨부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콘텐츠에 더해 키패드 영상도 외부인터페이스(17)를 통해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된다(S 45).
이와 같이 제공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 및 키패드 영상은 외부영상매체(20)의 화면(예컨대, 외부영상매체인 경우에는 CRT, LCD, P에 등, 외부영상매체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에는 모니터)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콘텐츠 및 키패드 영상이 동시에 외부영상매체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S 45에 의해 외부영상매체(20)의 화면을 통해 콘텐츠 및 키패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11)의 소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시 이벤트가 발생되고, 제어부(13)에 의해 이러한 이벤트가 버튼 누름에 대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31, S 33, S 35, S 47).
제어부(13)에 의해 버튼 누름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어 신호가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되어, 상기 외부영상매체(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키패드 영상의 해당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로 표현된다(S 49).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4)에 출력됨과 동시에 외부영상매체(20)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또 사용자가 키패드(11)를 누르면 그에 상응하여 외부영상매체(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키패드 영상의 해당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로 표현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영상매체에 구비된 커다란 화면을 보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시력이 안 좋은 사람도 커다란 화면을 보면서 버튼 조작을 함으로써 버튼 입력을 정확하게 함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키패드(11)에 입력되면(S 51), 입력된 명령이 이벤트 발생부(12)에 입력되어 그에 상응되는 이벤트가 발생된다(S 53).
이와 같이 발생된 이벤트는 제어부(13)로 입력되어, 상기 이벤트를 분석하게 된다. 즉, 상기 이벤트가 카메라 실행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면(S 55), 상기 제어부(13)는 제어신호를 보내 카메라(16)를 동작시킨다(S 57).
카메라(16)가 동작됨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모습이 카메라(16)에 의해 촬상되고, 이와 같이 촬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출력된다(S 59).
이때, 제어부(1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로 출력되는 영상을 동시에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 61).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게 된다.
판단 결과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카메라(16)로 입력되는 영상은 외부인터페이스(17)를 통해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된다(S 63).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에 찍힌 자신의 모습을 외부영상매체의 커다란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회의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명령이 키패드(11)에 입력되면(S 71), 입력된 명령이 이벤트 발생부(12)에 입력되어 그에 상응되는 이벤트가 발생된다(S 73).
이와 같이 발생된 이벤트는 제어부(13)로 입력되어, 상기 이벤트를 분석하게 된다. 즉, 상기 이벤트가 화상회의 실행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제어신호를 보내 카메라(16)를 동작시켜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 75).
이에 따라,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16)와 마이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화상회의를 진행하게 된다(S 77).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 79). 여기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영상 및 음성으로 이루어진다.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4) 및 음성 출력부(15)를 통해 출력된다(S 81).
이때, 이러한 수신된 정보를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수신된 정보를 외부인터페이스(17)를 통해 외부영상매체(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 83, S 85).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동안 상대방의 음성 및 영상을 외부영상매체(20)를 통해 보고 들을 수 있으므로, 보다 유익하게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서로 다른 외부영상매체에 따른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외부영상매체에 따라 해상도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깨끗한 영상이 제공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커다란 화면이 구비된 외부영상매체에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커다란 화면을 보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상대방과 화상회의를 할 수도 있다.
또한, 키패드 영상을 외부영상매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키패드의소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키패드 영상의 해당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로 표현됨으로써, 자신이 버튼을 정확하게 눌렀는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로 들어오는 영상을 외부영상매체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영상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상회의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함으로써, 커다란 화면을 통해 상대방을 보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자신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보내줄 수 있으므로, 보다 명확하게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음성도 외부영상매체를 통해 명확하게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외부영상매체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이벤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동영상/정지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동영상/정지영상 및 키패드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카메라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상기 카메라로 들어오는 영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화상회의의 실행에 대한 것인 경우,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영상 및 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7. 복수의 버튼들이 구비된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및 저장된 키패드 영상을 상기 외부영상매체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상의 소정 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누름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키패드 영상의 상응하는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가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KR1020030023271A 2003-04-14 2003-04-1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040088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271A KR20040088862A (ko) 2003-04-14 2003-04-1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271A KR20040088862A (ko) 2003-04-14 2003-04-1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862A true KR20040088862A (ko) 2004-10-20

Family

ID=3737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271A KR20040088862A (ko) 2003-04-14 2003-04-1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5336B2 (en) 2006-09-25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onfiguring a virtua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5336B2 (en) 2006-09-25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onfiguring a virtua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062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deo feed on videoconference terminal
US56572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deo conference user interface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KR101141478B1 (ko)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의 그래피컬 유저인터페이스 장치 및 접속 방법
US7508413B2 (en) Video conference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dapted for small display of mobile terminals
KR20110044296A (ko) 화상 속 화상 기능을 가진 휴대형 전자 장치
KR100609251B1 (ko) 장치 동작시 도움을 얻기 위한 시스템
CN105915521A (zh) 多方通话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CN101009885A (zh) 呼叫与接听的启动方法
KR100308311B1 (ko) 화상 전화기의 화상 저장방법
JPH08242307A (ja) 電話帳データベースへの登録方法及びテレビ電話装置
CN111541922A (zh) 显示界面输入信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7158945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2044285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携帯表示端末装置
KR2004008886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11005663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33171B1 (ko) 화상통화 단말기 및 방법
JPH04310053A (ja) テレビ電話装置
KR200500001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방법
JP2004147105A (ja) 遠隔対面用端末装置
KR20050087597A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KR100570079B1 (ko) 아바타를 이용한 화상통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78081A1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22096336A (ja) 映像通信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84825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