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692A -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692A
KR20040088692A KR1020030022678A KR20030022678A KR20040088692A KR 20040088692 A KR20040088692 A KR 20040088692A KR 1020030022678 A KR1020030022678 A KR 1020030022678A KR 20030022678 A KR20030022678 A KR 20030022678A KR 20040088692 A KR20040088692 A KR 2004008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individual
history information
history
seria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666B1 (ko
Inventor
정광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66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2Hierarchical databases, e.g. IMS, LDAP data stores or Lotus 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보드의 양산 및 수리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해당 보드의 시리얼코드 저장기능을 제어하는 CPU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보드의 시리얼코드를 변환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입출력시키는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로 이루어진 개별보드부와; 상기 개별보드부의 각각에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시리얼코드 및 그에 대응하는 이력정보를 입출력시키는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와,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다수개의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출력하는 보드 이력저장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부로 이루어진 등록시스템부로 구성된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개별 보드의 이력을 시리얼코드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개별보드의 이력정보 필요시 개별보드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이용하므로써, 개별 보드가 자신의 이력저장을 위해 대용량의 메모리수단과 관리 프로그램을 별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개별보드관리의 최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oard record managing device of the transmiss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별 보드의 이력을 시리얼코드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개별보드의 이력정보 필요시 개별보드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이용하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송기술은 1910년대 나선 반송으로 시작하여 아날로그 전송기술로 그리고 디지털 전송기술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며, 후에 이러한 디지털 전송기술은 1960년대 1.544Mbps 전송속도를 갖는 D1 채널 뱅크의 개발을 효시로 발전하였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디지털 기술은 1970년대 중반 교환기술분야에 응용되어 No. 4ESS라는 디지털 중계교환기를 출현하게 하여 유선전송시스템의 다중화에 혁신을 가져왔다. 이에 더하여, 상기 디지털 전송방식은 광케이블을 전송매체로 사용하는 광전송 방식으로 발전하였으며, 현재는 이를 근간으로 하여 비동기식인 PDH 전송시스템에서 동기식인 SDH 전송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전송시스템에는 FLC, KD-4, P32T 등 다양한 종류의 전송시스템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송시스템들은 시스템이나 지역의 환경에 맞게 전송망을 구성하여 사용하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송시스템에는 통상 다양한 기술을 수행하는 다수의 보드 예컨대, 다수의 가입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TU데이터 예컨대, E1(2M)/T1(1.5M)을 수신처리하는 다수의 가입자보드, 스위칭보드 및 프로세서보드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드들에는 일반적으로 보드들의 개별이력을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 관리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먼저 설정된 해당 보드(70A-N)의 양산 및 수리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1)와, 이 메모리부(71)에 저장된 해당 보드(70A-N)의 양산 및 수리이력정보의 입,출력을 포함하여 보드의 특정기능을 제어하는 CPU(72)와, 상기 메모리부(71)에 저장된 해당 보드(70A-N)의 이력을 입,출력하기위해 접속되는 포트인 입,출력포트(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71)는 통상 EEPROM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수의 보드들(70A-N)의 이력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등록시스템(74)에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각 보드들(70A-N)의 이력정보를 입력하고 필요한 이력정보의 출력기능을 명령하는 키패널부(75)와, 상기 키패널부(75)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보드들(70A-N)의 이력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시키고 보드들의 이력저장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77)와, 상기 제어부(77)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보드의 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키는 출력장치(7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장치(78)에는 모니터나 프린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 관리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보드가 생산될 경우 해당 보드에 대한 양산정보나 기타 사향에 대한 정보를 제조자가 개별보드(70A-N)의 입,출력포트(73)를 통해 CPU(72)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보드(70A-N)의 CPU(72)는 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부(71) 즉, 대용량의 EEPROM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개별보드(70A-N)가 일단의 전송시스템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다가 수리를 할 경우 운용자는 그 수리내역정보를 해당 보드(70A-N)의 입,출력포트(73)와 CPU(72)를 통해 메모리부(71)에 저장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보드의 이력이 저장된 개별 보드로부터 이력을 읽어 등록시스템(74)의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상기 개별 보드(70A-N)의 입,출력포트(73)와 CPU(72)를 통해 메모리부(71)에 직접 접속하여 해당 보드의 이력정보를 읽은 다음 이 읽은 개별 보드의 이력정보를 등록시스템(74)의 키패널부(75)를 통해 일일이 제어부(77)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등록시스템(74)의 제어부(77)는 입력되는 개별 보드들(70A-N)의 이력정보들을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를 출력장치 예컨대, 모니터나 프린터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여 보드를 관리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 관리장치는 개별보드마다 이력을 관리하기위해 대용량의 메모리부와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인해 개별보드의 이력관리가 매우 어려웠으며, 또한, 관리자가 개별보드의 이력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읽은 다음 다시 이 정보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수작업으로 입력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라 이력관리의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되었다. 뿐만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 관리장치는 개별보드의 이력정보가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항상 일치해야하는데, 만약 관리시스템의 변경이 있을 경우 모든 개별보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변경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라 보드이력 관리장치의 유지비용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개별 보드가 자신의 이력저장을 위해 대용량의 메모리수단과 관리 프로그램을 별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개별보드관리의 최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보드의 이력을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게 되어 개별보드의 이력데이터가 손상되더라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개별보드이력데이터의 보존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당 보드의 양산 및 수리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해당 보드의 시리얼코드 저장기능을 제어하는 CPU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보드의 시리얼코드를 변환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입출력시키는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로 이루어진 개별보드부와; 상기 개별보드부의 각각에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시리얼코드 및 그에 대응하는 이력정보를 입출력시키는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와,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다수개의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출력하는 보드 이력저장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부로 이루어진 등록시스템부로 구성된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보드이력관리장치에서 현재 이력이 발생된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후에 등록시스템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개별보드의 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를 개별보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와, 상기 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후에 등록시스템이 관리하는 개별보드들중 임의의 보드에서 이력정보의 변경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이력변경 확인단계와, 상기 이력변경 확인단계에 의해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변경이 확인될 경우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새로 갱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변경된 시리얼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로 전송하여 해당 메모리의 내용도 갱신시키는 이력정보갱신단계로 이루어진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송시스템의 이력관리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보드이력관리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력관리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A-N: 개별보드 2 : 메모리부
3 : CPU 4 : 네트워크
5 :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 6 : 개별보드부
7 :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 8 : 데이터베이스
9 : 제어 프로세서부 10 : 등록시스템부
11: 기계스위치 12: 출력장치
13: 키패널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보드(1A-N)의 양산 및 수리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Serial-code)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와, 상기 메모리부(2)에 저장되는 해당 보드(1A-N)의 시리얼코드 저장기능을 포함하여 보드의 특정기능을 제어하는 CPU(3)와, 상기 메모리부(2)에 저장된 해당 보드(1A-N)의 시리얼코드를 변환하여 외부 네트워크(4)를 통해 외부로 입출력시키는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로 이루어진 개별보드부(6)와;
상기 개별보드부(6)의 각각에 외부 네트워크(4)를 통해 접속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시리얼코드 및 그에 대응하는 보드이력정보를 입출력시키는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와,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를 통해 입출력되는 다수개의 개별보드(1A-N)의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8)에 각각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출력하는 보드 이력저장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부(9)로 이루어진 등록시스템부(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별보드부(6)에는 메모리부(2)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시리얼코드값이 저장되는 기계스위치(11)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 프로세서부(9)의 일단에는 이 제어 프로세서부(9)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보드의 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키는 출력장치(12) 예컨대, 모니터나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프로세서부(9)의 다른 일단에는 사용자의 기능설정명령을 입력시키는 키패널부(13)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4)는 인터넷(internet)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리얼코드의 입력은 보드에 구비된 키패널부(13)나 기타 입출력장치를 통해 입력시킬 수도 있고 네트워크(4)를 통해 등록시스템부(10)에 의해서도 입력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S2)로 진행하여 현재 이력이 발생된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S2)후에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S3)로 진행하여 등록시스템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개별보드의 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를 개별보드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S3)후에 기계스위치 설정판단단계(S4)로 진행하여 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로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기계스위치 설정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로 설정할 경우에는 기계스위치 설정단계(S5)로 진행하여 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에 설정시킨다. 그러나, 상기 기계스위치 설정판단단계(S4)중에 판단한 결과 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로 설정하지 않을 경우 이력변경 판단단계(S6)로 진행하여 등록시스템이 관리하는 개별보드들중 임의의 보드에서 이력정보의 변경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이력변경 판단단계(S6)중에 판단한 결과 등록시스템이 관리하는 개별보드들중 임의의 보드에서 이력정보의 변경이 있을 경우 이력정보 갱신단계(S7)로 진행하여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새로 갱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변경된 시리얼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로전송하여 해당 메모리의 내용도 갱신시킨다. 한편, 상기 이력정보 갱신단계(S7)후에 특정보드 이력정보요구판단단계(S8)로 진행하여 특정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요구하는 신호가 외부로부터 설정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특정보드 이력정보요구판단단계(S8)중에 판단한 결과 특정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요구하는 신호가 외부로부터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는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특정보드 이력정보요구판단단계(S8)중에 판단한 결과 특정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요구하는 신호가 외부로부터 설정되었을 경우는 보드이력정보 출력단계(S9)로 진행하여 특정 개별보드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시스템의 DB에 접속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출력시킨다.
환언하면, 먼저 전송시스템에 내장된 개별보드들중 임의의 개별보드에 현재 이력이 발생되면 등록시스템부(10)가 네트워크(4)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이 정보를 수집할 경우 이 정보는 개별보드(1A-N)의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에 의해 네트워크신호로 변환된 다음 네트워크(4)를 통해 등록시스템부(10)의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는 입력된 네트워크신호에서 보드이력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프로세서(9)는 입력된 보드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8)에 시리얼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그 해당 시리얼코드정보를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를 통해 네트워크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4)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부(6)의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해당 개별보드부(6)의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는 입력된 네트워크신호에서 시리얼코드만을 추출하여 CPU(3)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CPU(3)는 입력된 시리얼코드정보를 메모리부(2)에 저장한다. 이때, 만약 상기 시리얼코드값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스위치(11)를 통해 저장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시리얼코드값을 기계스위치(11)로 설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기계스위치(11)는 개별보드내에서 발생가능성이 있는 모든 전기적사고로부터 이력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값을 보호하게된다.
한편, 상기 이력저장과정후 운용중에 여러 보드들중 임의의 보드에서 보드이력이 변경되었을 경우 예컨대, 특정보드가 수리되었을 경우 그에 관한 이력정보가
네트워크(4)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등록시스템부(10)의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로 수집된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는 입력된 네트워크신호에서 변경된 보드이력정보신호만을 추출하여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프로세서(9)는 입력된 변경 보드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8)에 다른 시리얼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그 해당 변경 시리얼코드정보를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를 통해 네트워크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4)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부(6)의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해당 개별보드부(6)의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는 입력된 네트워크신호에서 변경된 시리얼코드만을 추출하여 CPU(3)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CPU(3)는 입력된 변경 시리얼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메모리부(2)에 저장되었던 시리얼코드정보를 갱신시킨다.
또한, 상기 과정중에 만약 특정 개별보드의 이력을 보기를 원할 경우 입출력장치(도시안됨)를 해당 개별보드의 CPU(3)에 접속하여 이력정보출력명령을 설정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CPU(3)는 메모리부(2)에 저장된 시리얼코드를 읽어 이력정보요구명령신호를 생성하여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5)는 입력된 이력정보요구명령신호를 네트워크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4)를 통해 등록시스템부(10)의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7)는 입력된 네트워크신호에서 이력정보요구명령신호를 분리하여 제어프로세서(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프로세서(9)는 이 입력된 이력정보요구명령신호에 포함된 해당 개별보드의 시리얼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8)에서 해당 보드의 이력정보를 읽어 상기 과정의 역의 과정을 경유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해당 개별보드(1A-N)에 접속된 입출력장치를 통해 운용자는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이력정보의 확인은 운용자가 직접 개별보드에 입출력장치를 접속하지 않고도 등록시스템부(10)를 통해 네트워크(4)를 이용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정보를 출력장치(12) 예컨대, 모니터나 프린터를 통해 출력시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별보드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시리얼코드값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될 경우 기계스위치에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고, 등록시스템부(10)의 데이터베이스(8)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서도 그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 보드의 이력을 시리얼코드로 변환하여네트워크를 통해 등록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개별보드의 이력정보 필요시 개별보드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이용하므로써, 개별 보드가 자신의 이력저장을 위해 대용량의 메모리수단과 관리 프로그램을 별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개별보드관리의 최적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보드의 이력을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게 되어 개별보드의 이력데이터가 손상되더라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개별보드이력데이터의 보존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해당 보드의 양산 및 수리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Serial-code)만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해당 보드의 시리얼코드 저장기능을 제어하는 CPU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보드의 시리얼코드를 변환하여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입출력시키는 보드네트워크 입출력부로 이루어진 개별보드부와;
    상기 개별보드부의 각각에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시리얼코드 및 그에 대응하는 이력정보를 입출력시키는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와, 상기 시스템네트워크 연결장치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다수개의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출력하는 보드 이력저장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부로 이루어진 등록시스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2. 보드이력관리장치에서 현재 이력이 발생된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그에 대응하는 시리얼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단계후에 등록시스템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 개별보드의 이력정보에 대한 시리얼코드를 개별보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와, 상기 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후에 등록시스템이 관리하는 개별보드들중 임의의 보드에서이력정보의 변경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이력변경 확인단계와, 상기 이력변경 확인단계에 의해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변경이 확인될 경우 등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새로 갱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변경된 시리얼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개별보드로 전송하여 해당 메모리의 내용도 갱신시키는 이력정보갱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정보 갱신단계후에 특정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요구하는 신호가 외부로부터 설정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특정보드 이력정보요구 판단단계와, 상기 특정보드 이력정보요구 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특정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요구하는 신호가 외부로부터 설정되었을 경우는 특정 개별보드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시스템의 DB에 접속하여 해당 개별보드의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출력시키는 보드이력정보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보드 시리얼코드저장단계후에 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로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계스위치 설정판단단계와, 상기 기계스위치 설정판단단계중에 판단한 결과 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로 설정할 경우개별보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시리얼코드에 대응하는 값을 기계스위치에 설정시키는 기계스위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22678A 2003-04-10 2003-04-10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1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78A KR100511666B1 (ko) 2003-04-10 2003-04-10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78A KR100511666B1 (ko) 2003-04-10 2003-04-10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92A true KR20040088692A (ko) 2004-10-20
KR100511666B1 KR100511666B1 (ko) 2005-08-31

Family

ID=3737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678A KR100511666B1 (ko) 2003-04-10 2003-04-10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680A (ko) * 2018-12-04 2020-06-12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자동열차제어장치 디코더보드 부품의 잔여수명 확인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디코더보드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680A (ko) * 2018-12-04 2020-06-12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자동열차제어장치 디코더보드 부품의 잔여수명 확인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디코더보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666B1 (ko)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524A (en) System for transferring character information between two processing systems having different coding schemes by building a conversion table of corresponding character code addresses
AU2002238136A1 (en) Methodology and mechanism for remote key validation for ngio/infinibandtm applications
US11500573B2 (en) Multiple interface data exchange application for use in process control
CN107078806A (zh) 光收发机设备和方法
CN112313641A (zh) 信息提供系统和信息提供方法
US7894723B2 (en) Optical transmission control circuit
KR100511666B1 (ko) 전송시스템의 보드이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407139A (zh) 用于传输hart变量的方法和外围组件及cpu单元
KR20000046131A (ko) Cdma 시스템에서 교환기와 tmn 중계기 간 다량의 구성데이터를 일치시키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580974B (zh) 在控制器的设备中存储规定地址的方法
AU717845B2 (en) Time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for digital exchange
JP2007026122A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JP3910184B2 (ja) 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編集装置
KR100422150B1 (ko) 광대역 디씨에스의 운영코드관리방법
JP6776191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により実行されるデータアクセス方法、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トローラにより実行されるデータアクセス方法
KR100462895B1 (ko) 엑스 엠 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한 명령어 선택적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6438626B1 (en) System implementing a state transition having an interface storing a new next state of a self block and exchanging the state information with other block
KR0146669B1 (ko)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KR100345153B1 (ko) 변속기 제어유닛의 튜닝 및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3828352B2 (ja) フィールドバス制御システム
CN115967731A (zh) 数据传输装置、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H058272A (ja) 射出成形機の情報管理方式
CN116909976A (zh) 基础设施管理系统和方法
JP2000049491A (ja) 電子交換機における回路基板の更新履歴管理装置および更新履歴管理方法
JP2000023205A (ja) 光配線盤の配線データ構築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