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669B1 -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669B1
KR0146669B1 KR1019940017626A KR19940017626A KR0146669B1 KR 0146669 B1 KR0146669 B1 KR 0146669B1 KR 1019940017626 A KR1019940017626 A KR 1019940017626A KR 19940017626 A KR19940017626 A KR 19940017626A KR 0146669 B1 KR0146669 B1 KR 0146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erminal
terminals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방현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669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에 대해 복수의 단말기(30a,…,30n)가 접속된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가 복수의 단말기(30a,…,30n)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태점검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태점검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30a,…,30n)로부터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점검결과를 저장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상태점검된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단말기에 대해 저장된 상태점검결과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다른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네트워크제어유니트 12:제어부
14:운영프로그램저장부 16:인터페이스
18:단말기상태저장부 20:전송라인
30a,…,30n:단말기 32a,…,32n:표시소자
본 발명은 컴퓨터네트워크게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TM 교환기가 적용되어 구성되는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 의해 복수의 단말기를 순차적으로 상태점검하여 그 상태점검결과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상태점검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에 대한 접속상태를 제어하도록 된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네트워크에 관련된 전자기술의 진보적인 발전에 따라 복수의 단말기를 예컨대 ATM교환기와 같은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를 매개로 상호 접속하여 구성된 컴퓨터네트워크시스템이 제안되어 각 단말기에서 처리된 정보를 상호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네트워크시스템에 따르면, 그 구성상 복수의 단말기에서 처리된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다는 이점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의 단말기에 일시에 정보의 교환이라든지 정보의 공유를 위한 요구가 발생되면 그 네트워크제어유니트가 예컨대 다른 단말기와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접속을 행하거나 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그러한 요구에 의한 접속대상이 되는 단말기가 현재 다른 단말기와 정보의 교환을 위한 데이타통신이 실행되는 도중이거나 그 단말기의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그 단말기의 상태정보가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 전송되지 않으면 그 네트워크제어유니트는 접속대상인 단말기에 대한 접속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접속을 위한 대기시간이 무한히 연장되거나 네트워크제어유니트의 단말기 접속을 위한 부하가 가중된다는 불리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서 복수의 단말기를 순차적으로 상태점검하여 그 상태점검결과를 저장해두고,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상태점검결과에 따라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여부를 제어하도록 된 컴퓨터네트워크게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 대해 복수의 단말기가 접속된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가 복수의 단말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태점검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태점검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점검결과를 저장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상태점검된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단말기에 대해 저장된 상태점검결과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태점검신호에는 복수의 단말기에 대해 할당된 ID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ID코드가 포함된 상태점검신호를 수취하면 그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는 단말기로부터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저장하는 반면, 그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불량인 상태로 판단하여 그 상태를 저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접속대상으로 되는 단말기에 대한 상태점검결과에서 양호한 상태이면 그 접속요구에 따른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반면, 그 상태점검결과가 불량인 상태이면 상기 접속요구에 대해 에러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 상기 상태점검결과 양호한 상태로 판단된 단말기에 대해서는 그 각각의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소자를 점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에 따르면,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 대해 복수의 단말기가 접속된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가 복수의 단말기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태점검신호를 전송하고, 그 정송된 상태점검신호에 따라 복수의 단말기에서 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해당 단말기의 상태를 점검하여 저장하며, 상기 상태점검된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상태점검결과에 기초하여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을 제어하게 되므로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운영체계가 효율적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참조부호 10은 소위 'ATM교환기'로 알려진 네트워크제어유니트로서, 컴퓨터네트워크계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2)와, 이 제어부(12)에서 실행하는 컴퓨터네트워크계의 제어 및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상태점검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각 단말기에 대한 ID관리화일을 포함한 운영프로그램이 저장된 운영프로그램저장부(14), 광케이블(20)을 매개하여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30a,…,30n)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 및 상태점검신호의 송신 및 그 단말기(30a,…,30n)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점검신호의 수신신호를 수취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6) 및 ,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각 단말기(30a,…,30n)에 대한 상태점검결과가 데이터베이스형태로 저장되는 단말기상태저장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각 단말기(30a,…,30n)에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ID코드가 할당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태점검신호에 포함된 ID코드가 자신의 ID코드인 경우에 그 상태점검신호에 대한 수신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16)를 매개하여 상기 제어부(12)에 전송하는 한편, 해당 단말기(30a,…,30n)가 양호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LED 소자와 같은 표시소자(32a,…,32n)가 부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에 대해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다른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말기(30a,…,30n)의 전면패널에는 해당 단말기(30a,…,30n)의 정상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LED소자로 이루어진 표시소자(30a,…,30n)가 접속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의 제어부(12)는 단계 40에서 상기 운영프로그램저장부(14)에 저장된 각 단말기에 대한 ID관리화일을 포함하는 운영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기(30a,…,30n)의 ID코드를 포함하는 상태점검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예컨대 광케이블과 같은 전송라인(20)을 매개하여 각 단말기(30a,…,30n)에 순차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각 단말기(30a,…,30n)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전송되는 ID코드를 포함하는 상태점검신호를 수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30a,…,30n)의 ID코드를 포함하는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광케이블과 같은 전송라인(20)을 매개하여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의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상기 제어부(12)에 반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는 단계 42에서 각 단말기(30a,…,30n)로부터 ID코드를 포함하는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응답신호)가 반송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각 단말기(30a,…,30n)로부터 정상적으로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반송되면 각 단말기(30a,…,30n)가 양호한 상태로 판단하여 각 단말기(30a,…,30n)의 상태에 대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단말기상태저장부(18)에 저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의 제어하에 양호한 상태로 판정된 단말기(30a,…,30n)는 단계 46에서 해당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소자(30a,…,30n)를 점등하여 자신이 정상상태임을 표시해주게 된다.
이에 대해, 어떠한 단말기(30a,…,30n)에서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반송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2)는 단계 48에서 해당 단말기가 비정상상태로 판정하여 그 비정상상태의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기상태저장부(18)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송라인(20)을 통해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에 접속된 어느 하나의 단말기(30a,…,30n)로부터 다른 단말기에 대한 접속을 요구하는 신호가 수취되면(단계 50), 상기 제어부(12)는 단계 52에서 상기 단말기상태저장부(18)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접속대상의 단말기(30a,…,30n)가 정상인지를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단계 54에서 접속대상의 단말기를 접속요구한 단말기에 접속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반면, 접속대상의 단말기가 비정상상태로 판단되면 접속요구를 발신한 다말기에 대해 접속대상의 단말기가 비정상상태임을 알리기 위한 에러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에 따르면,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에 복수의 단말기가 접속된 경우에 각 단말기에 대해 ID코드를 포함하는 상태점검을 수행하여 그 상태점검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데이터베이스화된 상태점검결과를 기초로 접속 또는 에러메시지의 전송이 행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비정상인 단말기에 대한 에러적인 접속동작이 방지될 수 있어 컴퓨터네트워크계의 전체적인 부하가 저감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정보의 교환제어가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4)

  1. 단일의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의 대해 복수의 단말기(30a,…,30n)가 접속된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가 복수의 단말기(30a,…,30n)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태점검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태점검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30a,…,30n)로부터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근거로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점검결과를 저장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상태점검된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단말기에 대해 저장된 상태점검결과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점검신호에는 복수의 단말기(30a,…,30n)에 대해 할당된 ID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단말기는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ID코드가 포함된 상태점검신호를 수취하면 그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제어유니트(10)는 단말기로부터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저장하는 반면, 그 상태점검신호의 수취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불량인 상태로 판단하여 그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요구가 발생되면 그 접속대상으로 되는 단말기에 대한 상태점검결과에서 양호한 상태이면 그 접속요구에 따른 단말기 상호간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반면, 그 상태점검결과가 불량인 상태이면 상기 접속요구에 대해 에러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게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태점검결과 양호한 상태로 판단된 단말기에 대해서는 그 각각의 단말기에 설치된 표시소자를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KR1019940017626A 1994-07-21 1994-07-21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KR0146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626A KR0146669B1 (ko) 1994-07-21 1994-07-21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626A KR0146669B1 (ko) 1994-07-21 1994-07-21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6669B1 true KR0146669B1 (ko) 1998-09-15

Family

ID=1938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626A KR0146669B1 (ko) 1994-07-21 1994-07-21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72B1 (ko) * 1999-10-02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렉토리 서버에서 단말기 동작 판단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72B1 (ko) * 1999-10-02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렉토리 서버에서 단말기 동작 판단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0992B2 (en) Address assignment method for at least one bus device that has recently been connected to a bus system
CN100514314C (zh) 网络设备系统
KR900016876A (ko) 공통 버스제어방법 및 시스템
EP0652523B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KR0146669B1 (ko) 컴퓨터네트워크계에서 단말기의 상태점검방법
KR980013088A (ko)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네트워크 시스템
KR100274848B1 (ko)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망관리 방법
JP2823710B2 (ja) ビル管理システム
JP2746961B2 (ja) 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JP3156102B2 (ja) 電力系統情報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0143970B1 (ko)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일 프로세서의 통신포트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0182695B1 (ko) 호스트교환기와 원격교환기간의 운영방법
JPH07222267A (ja) 状態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状態管理システム
JP3174663B2 (ja) 多重化サーバ方式における通信システム
JP2000224184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19990050462A (ko) 다중 브랜치 프로세서 시스템의 관리방법 및 장치
KR100249859B1 (ko) 차세대지능망 지능형정보제공시스템 지능망응용프로토콜 시험장치
JPH04156739A (ja) 通信システム
KR20000042793A (ko) 이중화된 프로세서의 상태 관리 방법
JP2746201B2 (ja) バス接続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386942B1 (ko) 원칩마이콤을 구비한 로컬유닛 네트워크시스템 및그제어방법
JPH06224975A (ja) 結合したモジュールをリセット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るシステム
JP2640784B2 (ja) センター網制御装置
JP2747248B2 (ja) 通信データ分割送信方法および装置
KR20200124903A (ko) 피엘씨 네트워크의 마스터 모듈과 슬래이브 모듈 간의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