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315A -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315A
KR20040088315A KR1020030022460A KR20030022460A KR20040088315A KR 20040088315 A KR20040088315 A KR 20040088315A KR 1020030022460 A KR1020030022460 A KR 1020030022460A KR 20030022460 A KR20030022460 A KR 20030022460A KR 20040088315 A KR20040088315 A KR 20040088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oor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원
정동원
Original Assignee
정성원
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원, 정동원 filed Critical 정성원
Priority to KR1020030022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315A/ko
Publication of KR2004008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3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저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항공, 선박, 출입문에 설치되는 원격 출입 제어 시스템을 단말기로 원격제어 및 도난 방지 위치 확인 차량내의 카메라 설치 및 녹화 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록킹 차량출입문의 록킹을 해제 및 제어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차량 열쇠 및 기존 리모콘을 이중으로 소지하지않고 단말기로 기호번호나 고유번호를 설정 개폐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door-look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 of) a car}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원격 출입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자에서 차량, 항공기, 선박,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원격 출입제어를 하고 도난방지 및 위치 추적, 녹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출입문에 설지되는 차량 도어록킹(Door-lock king)장치는 내부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누구나 록킹 및 그 해제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에 반해 외부에서는 출입자가 열쇠나 기존 단거리 원격 키를 사용하여 록킹을 해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근래에는 단거리 원격 제어키, 번호 입력키와 같은 키를 점진적으로 보급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차량도어 장치 중 열쇠나 단거리 원격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키를 분실 및 보안상의 허점이 크고 열쇠를 항상 휴대해야 하거나 차량도난방지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차량도어 장치들을 유저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외부인이차량의 피해나 도난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없어 차량의 도난 및 교통위반시 차량을 이동해 갔을 시 신속하게 차량 위치 조치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유저가 원격지에서 차량확인 할 수도 있고 외부인이 출입 할시 바로 통신망을 이용 단말기로 연결 유저가 원격지에서 도난차를 확인하여 녹화 할 수 있고 유저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면 이동통신망을 통한 원격출입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 출입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도어록킹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도어록 킹 통신연결제어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도어록 킹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도어록킹 연결신호 110, 210 : 카메라
112, 212: 도어, 영상처리부 114, 214 : 표시부
120, 220: 도난 센서부 122, 222 : 위치기억부
130, 230: 키 조작부 104, 240 : 제어부
150, 250: 통신부 160 : 코드 기억부
170: 도어록킹기구 172 : 액츄에이터
200: 이동통신단말기 300 : 이동통신망
400: 비디오 폰 단말기 500 : 녹화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원격 출입제어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인이 출입할시에는 유저의 단말기로 신호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출입자를 녹화 저장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 출입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 출입 제어 시스템은, 도어록 킹(200)과 이동통신 단말기(300)과 이동통신망(400)과 비디오폰 단말기(500)과 녹화장치(600) 카메라(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록 킹(200)은 제어대상의 출입문에 설치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카메라(210)와 영상처리부(212)와 표시부(214)와 도난센서부(220)와 위치센서부(222)와 통신입출력부(224)와 키조작부(230)와 제어부(240)와 통신부 위치기억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카메라(210)은 차량 내측에 180도 방향 투시하도록 설치되서 도난 및 출입을 영상을 녹화하여 이를 전기적인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처리부(212)는 카메라(210)로부터 출력되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영상데이터로 수신되는 유저(USER)의영상 녹화하고 녹화장비(600)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 "유저"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을 통해 도어록 킹(200)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지칭하며, 상기한 유저는 단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입출력부(224)는 도난 센서부(220)으로부터 입력되는 출입자의 통신 신호 입력을 제어부(240)를 매개로 통신분(250)로 전달하고 통신부(250)로부터 제어부(240)를 매개로 전달받은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도어록킹 코드 기억부(260)로 출력한다.
상기 키조작부(230)는 유저가 출입시 코드기역부(260)의 코드를 매개로 출력한 출입신호를 비롯한 각종의 키가 눌러지면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240)은 키 조작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따라 출입자와 방문을 알리는 메시지를 발생하여 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고유 코드번호(260)로전송하여 통신부(250)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의 호접속이 있으면 출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간에 전송하도록 통신부(250)로 하여 입출력부(224)와 영상처리부(212) 및 통신부(250)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도어 록킹 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도어록킹기구(270)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액츄에이터(2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부(250)은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출입자의 통신신호와 영상신호 및 메시지를 이동통신이 가능한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망(400)으로 송신함과 더불어 이동통신망(400)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다.
상기 코드기억부(260)은, 도어록 킹(200)의 고유의 식별코드를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이 식별코드는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고 도어록킹(200)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된다.
상기 도어록킹기구(270)는 도어록킹(200)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출입문을 및 실내외의 구조물에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기계기구로서 차량 출입문 개방을 위한 수동키(270a)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actuator)(272)는 제어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력을 발생하여 이 발생된 동력에 의해 도어록킹기구(270)을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도어록킹기구(270)는 열쇠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의한 원격 제어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열쇠에 의한 수동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도어록 킹(200)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출입문의 록킹 및 록킹해제의 권한을 갖는 유저가 소지하는 것으로, 복수개일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10)와 영상처리부(312)와 표시부(314)와 도난센서부(320)과 위치센서부(322)와 통신 입출력부(324)와 키조작부(330)와 제어부(340) 및 통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310)은 차량 내에 장착 180도로 각도를 투시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312)는 카메라(31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영상데이터로 변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표시부(314)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각 기능을 표시함과 더불어 도어록킹(2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및 출입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도난 센서부(320)은 전기적인 신호 및 영상처리 도어록 킹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입출력부 (324)는 전기적인 신호 및 영상으로 입출력하여 신호로 전환 입력하며 위치 기억부(322)는 차량의 이동경위를 신호입출력부(324)로 출력하여 신호입출력부(324)로부터 출력되는 출입자의 신호음을 가청주파수로 영상신호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호 입출력부(324)는 도난센서부(320)으로부터 입력되는 유저의 영상신호를 제어부(340)를 매개로 통신부(350)로 전달하고 통신부(350)로부터 제어부(340)를 매개로 전달받은 출입자 영상신호를 위치기억부(322)로 출력한다.
상기 키조작부(330)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의 버튼을 포함하고 유저에 의해 각 버튼이 눌러지면 눌러진 해당 키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340)로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340)은 도어록킹(200)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표시부(314)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키 조작부(330)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따라 통신부(350)를 제어하여 도어록킹(200)과 호접속하고 도어록킹(200)와 신호 입출력부(324)와 영상 처리부(312) 및 통신부(250)를 제어하며 도어 록킹 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통신부(250)를 통해 도어록킹(20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유저의 영상신호 및 도어 록킹 해제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이 가능한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망(400)으로 송신함과 더불어 이동통신망(400)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다.
상기 이동통신망(400)은 도어록킹(200)와 이동통신 단말기(300)간의 영상송수신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기지국과 교환기 및 중계기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폰 단말기(video phone)(500)는 차량 출입문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저가 부재중일 때 안전 유무를 도어록킹(200)로부터 전송되는 출입자를 영상신호로 이동통신단말기(300)으로 전송하여 출입자를 확인하여 녹화할 수 있다.
상기 녹화장치(600)은, 유저가 설정하기에 따라 도어록킹(200)를 통해 획득되는 출입자의 영상을 녹화하는 장치로 도어록킹(200)에 구비된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녹화를 수행한다. 예컨대, 이 녹화장치(600)로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비디오 녹화기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을 저장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도어록킹(200)와 이동통신 단말기(300)간의 원격제어 기능을 활성화 시키게 되는데 이 원격 제어 기능은 유저가 도어록킹(200)의 키조작부(230)의 키를 조작하여 특정 코드를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300)을 도어록킹(200)에 호접속시킨 다음 특정코드를 전송함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다.
부재중일 경우에는 유저가 도어록킹(200)에 원격 제어기능을 활성화 시키게 되는데, 이 원격 제어기능은 유저가 도어록킹(200)의 키조작부(230)의 키를 조작하여 특정 코드를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도어록(200)에 호접속시킨 다음 특정 코드를 전송함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록킹(200)의 제어부(240)는 키 조작부(230)로부터 제어신호가 눌러질 때 발생한는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체크한다.(S10)
이때, 출입자가 도어록킹(200)의 키조작부(230)에서 제어신호을 누르면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가 키조작부(230)로부터 발생하여 제어부(240)로 입력되고, 이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제어부(240)는 출입자의 방문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함과 더불어 코드기억부(260)로부터 도어록킹(200)의 고유 식별코드를 읽어들여 상기메시지에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시킨다.
다음, 제어부(24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50)를 제어하고, 통신부(25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망(400)을 매개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20).
이와 더불어, 제어부(240)는 카메라(210) 및 영상 처리부(212)를 동작시켜 출입자의 영상을 입력받는다(S30). 이때, 유저가 출입자의 영상을 녹화하도록 미리 설정한 경우에는, 제어부(240)가 영상 처리부(212)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녹화장치(600)로 전송하고 녹화장치(600)는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 의해 출입자의 영상을 녹화한다.
여기서, 유저가 설정하기에 따라 출입자의 영상 이외에 행동도 포함하여 녹화하거나 설정하여 도어록킹(200)의 키 조작부(230)을 통해 설정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키 조작부(330)를 통해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출입자에 대해 녹화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유저가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키조작부(330)를 통해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에만 해당 출입자의 영상 녹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텝(S20)에서 도어록킹(200)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300)의 표시부(314)에 표시되는데, 이 표시부(314)상에는 출입자의 알림 사실과 함께 도어록킹(200)의 고유 식별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메시지가 수신되어 표시되면, 유저는출입자를 확인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S40)출입자를 확인하지 않겟다고 선택한 경우 유저가 아무런 동작도 취하지않음으로써 현재까지의 원격 제어과정은 종료된다.
만약, 상기 스텝(S40)에서 출입자를 확인하고자 한는 경우에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특정 버튼(예컨대, 통화버튼)을 누르면, 제어부(340)가 이를 인식하여 도어록킹(200)에 호접속하도록 통신부(35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어록 단말기(200)의 고유번호가 제어부(340)에 미리 등록되어 있거나, 도어록킹(200)로부터 전송되어온 메시지의 고유 식별코드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이동통신망(400)을 매개로 도어록킹(200)에 호접속하고, 도어록킹(200)가 상기 호접속에 응답함으로써, 도어록킹(200)와 이동통신 단말기(300)간에는 통신로가 형성된다.(S50)
상기와 같이 통신로가 형성되면, 도어록킹(200)의 제어부(240)는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영상처리부(212)로부터 입력되는 출입자의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망(400)을 매개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60)
상기 도어록킹(200)로부터 전송되어온 출입자의 영상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40)에 의해 표시부(314)상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유저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을 통해 출입자의 영상을 볼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텝(S70)에서 유저가 출입자를 영상으로 공개하고자 하는 경우에 키 조작부(330)의 특정버튼을 누르면, 제어부(340)가 이를 인식하여 카메라(310)와 영상처리부(312)를 동작시켜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입력한다.
상기 카메라(310)와 영상처리부(312)를 통해 입력되는 유저의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50)를 통해 이동통신망(400)을 매개하여 도어록킹(200)로 전송된바(S70).
상기 도어록킹(200)로부터 전송되어온 출입자의 영상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40)에 의해 표시부(314) 상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유저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출입자의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입자의 영상과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유저는 도어록킹(200)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할지를 판단하게 되고(S80), 차량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냥 종료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스텝(S80)에서 차량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키 조작부(330)에서 특정 버튼을 조작하면 제어부(340)가 이를 인식하여 도어 록킹 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340)에 의해 발생된 도어 록킹 해제 제어신호는 통신부(350)를 통해 이동통신망(400)을 매개하여 도어록킹(200)로 전송되고(S90), 도어록킹(200)의 제어부(24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어온 도어 록킹 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액츄에이터(272)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272)는 도어록킹통신부(350)로 도난 및 위치 추적센서에 의한(S100)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수신되어 도난 및 위치를 파악 입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수동키, 단거리전자키 의한 중심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분실 및 열어게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제어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출입자가 차량 도어록 킹 키 조작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 입력된 비밀번호를 도어록킹 제어부가 미리 기억된 비밀번호와 대조하여 그 대조결과에 따라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저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출입문에 설치되는 도어록 킹의 신호연결을 통해 출입자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확인 녹화할 수 있고, 유저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차량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열쇠 및 단거리 유도장치를 소지하거나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이용이 편리하고 코드번호를 입력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 및 여러개의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롭지 않다. 또 유저가 부재중인 상태에서도 출입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출입자의 영상녹화 또는 위치 추적함으로서 도난발생시 범죄를 색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출입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이동통신단말기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유저의 이동통신단말기 고유 코드번호를 매개하며, 유저로부터 도어록킹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록킹과 출입자가 키조작을 통해 도어록킹해제를 제어신호로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영상송신하며 녹화를 할 수 있는 시스템.
    상기 도어록킹과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은 출입자가 이동통신망을 코드번호를 사용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키조작 및 출입자의 통신신호를 전기적인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가정의 통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입출력 수단과 상기 차량출입문을 록킹하도록 이루어진 도어록킹 기구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록킹기구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키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따라 출입자의 제어신호를 알리는 메시지를 발생하여, 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코드번호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이 있으면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통신이 수행되도록 상기 통신입출력 수단과 상기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도어록킹 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도어록킹 기구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 출입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은 출입자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입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것을 특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 출입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에는 상기 영상입력 수단을 통해 획득된 출입자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장치가 추가로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제어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저의 영상이 수신되면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록킹은 통신신호에 해당 차량 도어록킹은 고유의 식별코드를 더 첨부하여 전송함으로써 복수개의 차량도어킹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차량도어킹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유저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도어록킹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입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제어시스템
  8. 차량출입제어방법에 있어서, 출입자가 차량출입문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록킹 제어부의 키조작을 임의로 할때 상기 도어록킹제어부에서 출입자를 알리는 고유 코드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리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도어록킹 제어부로부터 고유메시지를 수신받아 표시하고 유저가 도러록킹 제어부에 대한 호접속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도어록킹 제어부에 호접속하는 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도어록킹 제어부가 출입자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통신을 매개로 하는 스텐봐 유저가 키조작을 통해 도어록킹 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어록킹을 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도어록킹 제어부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도어록 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어록킹 제어부는 상기 차량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원격출입제어방법.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도어록킹로부터 수신메시지를 수신받아 표시하고 유저가 상기 도어록킹에 대한 호접속을 선택하면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도어록킹에 호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호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도어록킹과 출입자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스텝과 유저가 키조작을 통해 도어록 해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어록킹 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망 매개로 상기 도어록킹으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도어록킹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도어록킹은 상기 출입문의 록킹을 해제하는 스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제어 방법.
  9. 제3항과 4항에 있어서 출입자가 도어록킹 키조작을 할 경우 출입자의 영상과 통신을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 및 녹화장치전달 자동녹화하며 도난방지 예방할 수 있고, 위한 영상입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제어시스템.
  10. 제8항과 9항에 있어서 영상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여 차량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180도로 투시하며 도어록킹에서 출입자가 키조작을 할 경우, 도어록킹의 액츄에이더의 통신센서의 작동으로 실내의 카메라의 자동녹화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출입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킹 제어부 내의 위치 추적시스템을 입력통신부를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연결차량의 위치를 추적 전송함으로써 매개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 원격 출입 제어방법 .
KR1020030022460A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40088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60A KR20040088315A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60A KR20040088315A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315A true KR20040088315A (ko) 2004-10-16

Family

ID=3737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460A KR20040088315A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3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57B1 (ko) * 2006-08-29 2008-09-05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인터폰을 이용한 차량용 홈오토메이션 보안장치
KR101424270B1 (ko) * 2006-11-29 2014-07-3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화학 증폭형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57B1 (ko) * 2006-08-29 2008-09-05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인터폰을 이용한 차량용 홈오토메이션 보안장치
KR101424270B1 (ko) * 2006-11-29 2014-07-3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화학 증폭형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94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WO2006038760A1 (en) Videophone having multi-function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40109683A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4406981B2 (ja) セキュリティ電話機及び監視機能付き携帯電話機及び異常監視方法及び異常監視装置
KR101198512B1 (ko) 디지털 도어락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4020768A1 (en) Electronic door lock
JP4599987B2 (ja) 表札表示装置
KR20100092642A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040088315A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차량원격출입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279106B1 (ko) 도어폰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16540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6033558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7191915A (ja)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4018764B (zh) 电子遥控录像报警防盗门
KR19990026477A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KR2003004247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도어개폐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10108894A (ko) 지능형 도어비디오폰 및 이를 이용한 도어원격개방시스템
KR20040082508A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원격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55761B1 (ko) 키 입력부가 불필요한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 방법
JP499478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防犯設定システム
KR200255553Y1 (ko) 홈 관제 시스템
KR20030078139A (ko) 방문자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