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860A - 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 Google Patents

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860A
KR20040087860A KR1020040002166A KR20040002166A KR20040087860A KR 20040087860 A KR20040087860 A KR 20040087860A KR 1020040002166 A KR1020040002166 A KR 1020040002166A KR 20040002166 A KR20040002166 A KR 20040002166A KR 20040087860 A KR20040087860 A KR 20040087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arp
wheel
dietary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7042B1 (en
Inventor
이시까와히로히꼬
김바라마사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8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8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1/00Selvedge shedding mechanisms not forming part of main shedd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stationery, e.g. writing paper,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6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formation carrying means, e.g. advertis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odors or frag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1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tools for inserting sheets, e.g. labels into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oms (AREA)

Abstract

PURPOSE: A selvage form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not preventing a weaving machine from operating at high speed and expanding an opening of warp for forming a selvage. CONSTITUTION: A selvage forming device of a weaving machine forms a selvage by operation of a first selvage forming harness(11) and a second selvage forming harness(12) reciprocating in opposite direction. The selvage forming device comprises: a first band(23) supporting the first selvage forming harness(11), containing plural power receiving holes in a row and being capable of bending; a second band(24) supporting the second selvage forming harness(12), containing plural power receiving holes in a row and being capable of bending; and a wheel(18) containing plural power transmission teeth(181) engaged with the power receiving holes(231,241) of the first band(23) and the second band(24). The first band(23) and the second band(24) are oppos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wheel(18) in conditions that the first band(23) and the second band(24) are curved.

Description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Forming device for weaving looms {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tary forming apparatus in a weaving machine for forming a recipe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식서형성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식서형성장치에서는, 전동모터에 의해 2차원 크랭크기구를 구동시키고, 2차원 크랭크기구의 구동에 의해 1쌍의 실 가이드요소를 왕복직선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2차원 크랭크기구는 전동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레버와, 레버의 양단부에 연결된 1쌍의 링크로 이루어진다. 1쌍의 링크는 1쌍의 실 가이드요소에 1대1로 연결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dietary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recipe based on the operation of a first dietary warp heald and a second dietary warp heald. In the type form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and a pair of seal guide elements is reciprocally linearly moved by driving of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consists of a lever mount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nd a pair of link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ever. One pair of links is connected one to one to one pair of thread guide elements.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특허공표공보 평10-503563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Hei 10-503563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이 클수록 위사(緯絲:씨실)의 위입(緯入)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쉽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장치에서 최대의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하려고 하면, 레버의 회전반경 (즉, 레버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레버와 링크의 연결위치에 이르는 거리) 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레버의 회전반경을 크게 하면 레버를 회전하기 위해 필요한 토크가 커지고, 전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된다. 이것은 전동모터를 고속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여, 직기의 고속화에 방해가 된다.The larger the opening amount of the warp-wetting warp, the more easily the weft of the weft yarn is carried out. In the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lever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lever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lever and the link) to increase the opening amount of the largest dietary warp warp. . Increasi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lever increases the torque required to rotate the lever and increases the load on the electric motor. This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the electric motor at high speed, which hinders the speed of the loom.

본 발명은 직기의 고속화를 방해하지 않고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식서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etary forming apparatus which can increase the amount of opening of a dietary warp warp without disturbing the speed of the loom.

도 1 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도 2(a) 는 측단면도, 도 2(b) 는 도 2(a) 의 A-A선의 단면도이다.(A) is a side sectional drawing, (b) is sectional drawing of the A-A line | wire of (a).

도 3 은 정단면도이다.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도 4 는 배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5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5 is a front sectional view for illustrating the second embodiment.

도 6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도 7 은 정단면도이다.7 is a front sectional view.

도 8(a), 도8(b) 는 요부측단면도이다.8 (a) and 8 (b) are main part side cross-sectional views.

도 9 는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9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position of heparse seedlings.

도 10 은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position of heparse seedling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 :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harness)11: Harness for the first food preparation warp

12 :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12: heald for the second cooking warp

17, 41 : 전동모터17, 41: electric motor

18 : 휠18: wheel

181 : 동력전달톱니181: Power Transmission Gears

19 ; 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제 1 위치규제체19; First position control body constituting the guide means

20 : 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제 2 위치규제체20: second position control body constituting the guide means

191, 201 : 가이드면으로서의 대향면191, 201: facing surface as a guide surface

193, 203 : 가이드 곡면193, 203: Guide surface

194, 204 : 가이드 평면194, 204: Guide Plane

22 : 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제 3 위치규제체로서의 가이드레일22: guide rail as the third position control body constituting the guide means

221, 222 : 안내홈221, 222: Guide Home

23 : 제 1 밴드23: first band

24 : 제 2 밴드24: second band

231, 241 : 동력수용구멍231, 241: power receiving hole

25, 26, 27, 28 : 연결체로서의 래치 아암25, 26, 27, 28: latch arm as connecting body

38, 39, 40, 41 : 안내수단 및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래치 아암38, 39, 40, 41: latch arms constituting the guiding means and connecting means

We : 식서We: Meal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식서형성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청구항 1 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1 밴드와,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2 밴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동력전달톱니를 갖는 휠을 구비한 식서형성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과 상기 동력전달톱니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휨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휠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켰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ietary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recipe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for reciproc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A first band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formed by supporting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power receiving holes, and supporting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and a plurality of power receiving holes And a second forming band having a flexurally deformable second band and a wheel having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teeth engaged with the power receiv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respectively.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we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wheel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engage the power receiving hole of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wit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톱니와 상기 동력수용구멍의 맞물림위치에서 분리됨에 따라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접근시켜 가고, 이어서 상기 제 1 밴드의 일부와 제 2 밴드의 일부를 인접시켜 평행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 식서형성장치를 구성하였다.In the invention of claim 2,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approached by being separated at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and the power receiving hole, and then, a part of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subsequently approached. A formativ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mean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was constructed so that a part of the two parts we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paralleled.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최대의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은, 왕복회전되는 휠의 편도회전량을 늘림으로써 크게 할 수 있다. 휠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는 휠의 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휠과 맞물리는 휨변형 가능한 밴드는 그 두께를 작게 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경량인 밴드의 채용은 휠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의 저감에 유효하다.In the invention of Claims 1 and 2, the maximum opening amount of the warp action warp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ne-way rotation of the wheel reciprocated. The torque required for rotating the wheel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radius of the wheel, and the band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that engages with the wheel can be made lightweight by reducing its thickness. The use of a lightweight band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torque required to rotate the wheel.

청구항 3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제 1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제 2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서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1쌍의 안내홈을 갖는 제 3 위치규제체를 구비한 상기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1쌍의 안내홈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 부분에 연결체를 각각 고정장착함과 동시에, 일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하고, 타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하였다.In the invention of claim 3,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in contact with the first band and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band and the wheel so as to regulate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band and the wheel. And the guide means having a second position regulat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nd, and a third position regulator having a pair of guide groove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band portions in the pair of guide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is mounted on one of the connectors, and the first connector is mounted on the other connector. 2 heparse warp heald was fitted.

제 1 위치규제체는 제 1 밴드와 휠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제 2 위치규제체는 제 2 밴드와 휠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한다. 제 3 위치규제체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서로 평행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도록 안내한다. 제 1 및 제 2 밴드는 제 1 및 제 2 밴드와 휠의 맞물림 위치부터 안내홈에 이르는 경로에서 휨변형된다.The first positioning regulator ensures engagement of the first band and the wheel and the second positioning regulator ensures engagement of the second band and the wheel. The third position regulator guides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to reciprocate in opposite direction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bands are deflected in a path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wheels with the first and second bands to the guide grooves.

청구항 4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규제체에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위치규제체에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상기 각 가이드면은 상기 휠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하여 서로 대향시켰다.In the invention of claim 4,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band in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and the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nd in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Each guide surface was convex toward the wheel side and opposing each other.

볼록형상의 가이드면은 제 1 및 제 2 밴드와 휠의 맞물림위치부터 안내홈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의 휨변형된 형상을 적정한 형상으로 조정한다.The convex guide surface adjusts the deflection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wheels with the first and second bands to the guide grooves to an appropriate shape.

청구항 5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을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였다.In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wheel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전동모터는 휠을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바람직하다.The electric motor is preferable as a drive source for reciprocating the wheel.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식서형성용 개구장치에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4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1st Embodiment which embodies this invention in the aperture forming opening apparatus is described based on FIGS.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및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왕복구동기구 (13) 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된다.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이동경로는 상하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왕복구동 경로이다.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4)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5) 은 위입된 위사 (도시생략) 를 사이에 끼워 식서 (We) 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12 are driven up and down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13. The moving paths of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12 are reciprocating drive paths parallel to each other extending up and down. The dietary warp yarn 14 passed through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heald (11), and the dietary warp yarn 15 passed through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12) are enclosed wefts (not shown). Is sandwiched between to form a We.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복구동기구 (13) 를 구성하는 박스 (16) 의 내벽 (161) 에는 전동모터 (17) 가 장착되어 있다. 박스 (16) 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전동모터 (17) 의 출력축 (171) 은 내벽 (161) 을 관통하여 박스 (16) 내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 (171) 의 축방향은 위사의 위입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출력축 (171) 의 돌출 단부는 박스 (16) 의 외벽 (162)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박스 (16) 내에 있어서, 출력축 (171) 에는 휠 (18) 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휠 (18) 의 외주에는 복수의 동력전달톱니 (181) 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electric motor 17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161 of the box 16 which comprises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13. As shown in FIG. The top and bottom of the box 16 are open. The output shaft 171 of the electric motor 17 penetrates the inner wall 161 and protrudes into the box 16.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171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indentation direction of the weft thread. The protruding end of the output shaft 17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er wall 162 of the box 16. In the box 16, the wheel 18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171.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heel 18,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teeth 181 are provided.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16) 의 외벽 (162) 의 내면에는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제 2 위치규제체 (20)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제 1 위치규제체 (19)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는 휠 (18)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 박스 (16) 의 외벽 (162) 의 내면에는 장착체 (21)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장착체 (21) 는 제 1 위치규제체 (19)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체 (21) 는 제 1 위치규제체 (19)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191, 201) 에서 이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ar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62 of the box 16.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wheel 18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ounting body 21 is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162 of the box 16. The mounting body 21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The mounting body 21 is spaced apart from the opposing surfaces 191 and 201 of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대향면 (191, 201) 은 휠 (18) 측을 향하여 볼록한 가이드 곡면 (193, 203) 과, 가이드 곡면 (193, 203) 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가이드 평면 (194, 204) 으로 이루어진다. 대향면 (191, 201) 은 휠 (18) 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서로 대향되어 있다. 가이드 평면 (194, 204) 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확장되도록 휠 (18)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고, 가이드 곡면 (193, 203) 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확장되도록 장착체 (21) 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 가이드 평면 (194, 204) 은 각도 α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곡면 (193, 203) 은 원호곡면이다.The opposing surfaces 191 and 201 consist of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convex toward the wheel 18 side and guide planes 194 and 204 smoothly connected to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The opposing surfaces 191 and 201 are convex and opposed to the wheel 18 side. The guide planes 194, 204 are opposed with the wheels 18 interposed so as to extend upward, and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203 ar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bodies 21 so as to extend upward. They are opposed. The guide planes 194, 204 have an angle α.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are arcuate curved surfaces.

장착체 (21) 에는 가이드레일 (22) 이 아래로 드리워진 상태로 고정장착되어 있다.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 (22) 에는 1쌍의 안내홈 (221, 222) 이 서로 등을 맞대고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 (221, 222) 은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왕복구동 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인접해 있다. 안내홈 (221) 은 직기의 앞측 (도 1 및 도 2 에서 우측이 직기의 앞측, 좌측이 직기의 후측) 으로 노출되어 있고, 안내홈 (222) 은 직기의 후측으로 노출되어 있다.The guide rail 22 is fixedly attached to the mounting body 21 in the state which hung down. As shown in FIG. 2 (b), the pair of guide grooves 221, 222 are formed in the guide rail 22 to face each other. The guide grooves 221, 222 are adjacent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ciprocating drive paths of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heald 12. The guide groove 221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of the loom (the right side is the front side of the loom and the left side is the rear side of the loom in FIGS. 1 and 2), and the guide groove 222 is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loom.

안내홈 (221) 에는 휨변형 가능한 제 1 밴드 (23) 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안내홈 (222) 에는 휨변형 가능한 제 2 밴드 (24) 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안내홈 (221, 222) 내의 제 1 밴드 (23) 부분 및 제 2 밴드 (24) 부분은,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왕복구동 경로와 평행하게 왕복구동하도록 인접해 있다.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는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이다.A part of the first band 23 that can be deformed is slidably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221, and a part of the second band 24 that can be deformed is slidably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222. That is, the first band 23 portion and the second band 24 portion in the guide grooves 221 and 222 are reciprocated between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12. Adjacent to the reciprocating drive parallel to the drive path.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are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 reinforced with carbon fibers.

제 1 밴드 (23) 는 휨변형된 상태로 장착체 (21) 와 제 1 위치규제체 (19) 의 대향면 (191) 의 간극을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밴드 (24) 는 휨변형된 상태로 장착체 (21)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201) 의 간극을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밴드 (23) 는 휠 (18) 과 제 1 위치규제체 (19) 의 대향면 (191) 사이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밴드는 휠 (18) 과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201) 사이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first band 23 extends upward beyond the gap between the mounting body 21 and the opposing surface 191 of the first position regulating body 19 in a bending deformation state. The second band 24 extends upward beyond the gap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21 and the opposing surface 201 of the second position regulating body 20 in a state of bending deformation. The first band 23 also extends upwards between the wheel 18 and the opposing face 191 of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and the second band 23 is the wheel 18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It extends upwards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201 of 20.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에는 복수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이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동력수용구멍 (231, 241) 에는 동력전달톱니 (181) 가 맞물려 있다. 즉,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는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과 동력전달톱니 (181) 를 맞물리도록 휨변형된 상태에서 휠 (18)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A plurality of power receiving holes 231 and 241 are formed in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A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meshes with the power receiving holes 231 and 241. That is,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are deflected so as to engage the power receiving holes 231 and 241 and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of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In this state, the wheels 18 are opposed to each other.

제 1 밴드 (23) 의 동력수용구멍 (231) 과 동력전달톱니 (181) 의 맞물림 위치에 있어서, 제 1 위치규제체 (19) 의 대향면 (191 ; 가이드 평면 (194)) 에는 도피홈 (19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41) 과 동력전달톱니 (181) 의 맞물림위치에 있어서,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201 ; 가이드 평면 (204)) 에는 도피홈 (20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밴드 (23) 의 동력수용구멍 (231) 에 맞물려 있는 동력전달톱니 (181) 는 도피홈 (192) 내에 들어가 있고,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41) 에 맞물려 있는 동력전달톱니 (181) 는 도피홈 (202) 내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제 2 위치규제체 (20) 와 동력전달톱니 (181) 가 간섭되는 경우는 없다.I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wer receiving hole 231 of the first band 23 and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the facing surface 191 (guide plane 194) of the first positioning regulator 19 is provided with an escape groove ( 192 is formed. I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wer receiving hole 241 of the second band 24 and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the facing surface 201 (guide plane 204) of the second positioning regulator 20 is provided with an escape groove ( 202 is formed.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engaged with the power receiving hole 231 of the first band 23 is contained in the escape groove 192 and is engaged with the power receiving hole 241 of the second band 24. The tooth 181 is in the escape groove 202. Thereby, the 1st position control body 19 and the 2nd position control body 20 and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do not interfere.

또한, 이하에서는 동력수용구멍 (231, 241) 과 동력전달톱니 (181) 의 맞물림 위치를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 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below,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wer accommodation holes 231 and 241 and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may be made into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bands 23 and 24 and the wheel 18. FIG.

제 1 밴드 (23) 에는 1쌍의 래치아암 (25, 26) 이 고정장착되어 있고, 제 2 밴드 (24) 에는 1쌍의 래치아암 (27, 28) 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연결체로서의 1쌍의 래치아암 (25, 26) 에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이 래치 지지되어 있고, 연결체로서의 1쌍의 래치아암 (27, 28) 에는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래치 지지되어 있다. 즉, 제 1 밴드 (23) 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을 지지하고, 제 2 밴드 (24) 는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을 지지하고 있다.The pair of latch arms 25 and 26 is fixedly attached to the first band 23, and the pair of latch arms 27 and 28 are fixed to the second band 24. The pair of latch arms 25 and 26 serving as the connecting body are latch-supported for the first dietary warp yarn, and the pair of latch arms 27 and 28 serving as the connecting body are latch-supported for the second eating warp. The heald 12 is latched. That is, the 1st band 23 supports the 1st preparatory warp heald, and the 2nd band 24 supports the 2nd preparatory warp heald.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전동모터 (17) 의 출력축 (171) 이 왕복회전하여, 휠 (18) 이 왕복회전한다. 휠 (18) 의 왕복회전은 동력전달톱니 (181) 와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의 맞물림을 통해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가 안내홈 (221, 222) 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한다. 제 1 밴드 (23) 는 가이드면으로서의 대향면 (191 ; 가이드 곡면 (193) 및 가이드 평면 (194))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왕복구동하고, 제 2 밴드 (24) 는 가이드면으로서의 대향면 (201 ; 가이드 곡면 (203) 및 가이드 평면 (204))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왕복구동한다. 즉, 제 1 위치규제체 (19) 는 제 1 밴드 (23)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제 1 밴드 (23) 에 접하고, 제 2 위치규제체 (20) 는 제 2 밴드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제 2 밴드 (24) 에 접한다.The output shaft 171 of the electric motor 17 reciprocates, and the wheel 18 reciprocates.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wheel 18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and the power receiving holes 231, 241. Thereby, the 1st band 23 and the 2nd band 24 drive up and down inside guide grooves 221, 222 mutually. The first band 23 reciprocate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pposing surface 191 (guide curved surface 193 and guide plane 194) as a guide surface, and the second band 24 is opposing surface 201 as a guide surface; The guide curved surface 203 and the guide plane 204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reciprocating drive. That is,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and 23 to regulate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band 23 and the wheel 18,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 Abut the second band 24 to regulate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wheel 18 with the wheel 24.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가 안내홈 (221, 222) 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하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및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한다. 이에 의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4 ; 도 1 참조)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5 ; 도 1 참조) 이 위입된 위사 (도시생략) 를 사이에 끼워 식서 (We ; 도 1 참조) 를 형성한다.When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drive up and down inside the guide grooves 221, 222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 12) moves up and down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the dietary warp yarn 14 (refer FIG. 1) passed through the 1st dietary warp heald heald (11), and the dietary warp warp (15; FIG. 1) which passed through the 2nd dietary warp heald. The interposed weft yarn (not shown) is sandwiched between them to form an expression (We; see FIG. 1).

가이드레일 (22) 은 서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1쌍의 안내홈 (221, 222) 을 갖는 제 3 위치규제체이다. 제 1 위치규제체 (19), 제 2 위치규제체 (20) 및 가이드레일 (22) 은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성한다. 이 안내수단은 동력전달톱니 (181) 와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의 맞물림 위치에서 분리됨에 따라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를 접근시켜 간다.이어서 안내수단은 제 1 밴드 (23) 의 일부와 제 2 밴드 (24) 의 일부를 인접시켜 평행하게 되도록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를 안내한다.The guide rail 22 is a third position regulator having a pair of guide grooves 221 and 222 which guide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and the guide rail 22 constitut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This guiding means approaches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as it is separated at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and the power receiving holes 231 and 241. The guiding means then accesses the first band.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are guided so that a part of the band 23 and a part of the second band 24 are adjacent and parallel.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1) 휠 (18) 을 왕복회전시키면,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가 휨변형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고,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한다. 최대의 식서제작 날실용 개구량은, 왕복회전되는 휠 (18) 의 편도회전량을 늘림으로써 적절하게 크게 할 수 있다. 휠 (18) 의 편도회전량이란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을 왕동(往動) 또는 복동 (復動) 의 1 스트로크 만큼만 이동시키기 위한 휠 (18) 의 회전량을 말한다. 휠 (18) 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는 휠 (18) 의 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휠 (18) 과 맞물리는 휨변형 가능한 밴드 (23, 24) 는 그 두께를 작게 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경량의 밴드 (23, 24) 의 채용은 휠 (18) 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의 저감에 유효하다.(1-1) When the wheel 18 is reciprocally rotated,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are recipr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in a state where the warpage is deformed, and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is 11 )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12) reciproc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maximum amount of opening for warp-producing warp yarns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ne-way rotation of the wheel 18 to be reciprocated. The one-way rotational amount of the wheel 18 refers to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wheel 18 for moving the hemming healds 11 and 12 for the Western-style warp yarn by only one stroke of reciprocating or double-acting. The torque required to rotate the wheel 18 can be made smaller by reducing the radius of the wheel 18, and the warp-deformable bands 23 and 24 engaged with the wheel 18 can be made lighter by making the thickness smaller. can do. Employment of the light weight bands 23 and 24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torque required to rotate the wheel 18.

(1-2) 휠 (18) 의 동력전달톱니 (181) 가 도피홈 (192, 202) 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동력전달톱니 (181) 가 밴드 (23, 24) 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에 맞물려 있어, 이 상태에서는 동력전달톱니 (181) 가 동력수용구멍 (231, 241) 에서 빠지는 일은 없다. 도피홈 (192) 을 구비한 제 1 위치규제체 (19) 는 제 1 밴드 (23) 와 휠 (18) 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도피홈 (202) 을 구비한 제 2 위치규제체 (20) 는 제 2 밴드 (24) 와 휠 (18) 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한다.(1-2)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of the wheel 18 enters the escape grooves 192 and 202,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is the power receiving hole 231 and 241 of the bands 23 and 24. ),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181 does not fall out of the power receiving holes 231 and 241 in this state.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19 with the escape groove 192 ensures engagement of the first band 23 with the wheel 18, 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20 with the escape groove 202. ) Ensures engagement of the second band 24 with the wheel 18.

(1-3)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는 휠 (18) 과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측을 향하여 떨어짐에 따라 접근해 가고, 이어서 인접하여 평행해지도록 안내된다.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부분은 가이드 곡면 (193, 203)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각도 α를 이루는 가이드 평면 (194, 204) 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부분은 직선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경로에서 휨변형된다.(1-3)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are approached as they fall from the engaged position with the wheel 18 toward the dietary warp healds 11 and 12, and then adjacent to each other. To be parallel. The first and second bands (sliding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in sliding contact with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and in sliding contact with the guide planes 194 and 204 forming an angle α) 23, 24) portion is a straight stat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are deflected in a path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wheels 18 with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to the guide grooves 221 and 222.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위치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된 형상은 각도 α를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적정한 형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적정한 형상이란 위치규제체 (19, 20) 와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 및 가이드레일 (22) 과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한 휨변형형상을 말한다.The warp-deforme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from the engaged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to the wheels 18 to the guide grooves 221 and 222 is appropriate for the angle α. It can adjust to a suitable shape by selecting so that it may be selected. The proper shape here is a bending deformation shape for reducing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position regulators 19 and 20 and the bands 23 and 24 and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guide rails 22 and the bands 23 and 24. Say

(1-4)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된 형상은, 원호곡면인 가이드 곡면 (193, 203) 의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어느 정도 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가이드 곡면 (193, 203) 은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휨변형된 형상을 적정한 형상으로 조정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가공형성이 용이한 원호곡면은 가이드 곡면 (193, 203) 으로서 바람직하다.(1-4) Flexurally deforme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24 from the engaging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24 to the wheels 18 to the guide grooves 221, 222. Can be considerably changed to some extent b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which are circular arc curved surfaces.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are defl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from the enga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23 and 24 to the wheels 18 to the guide grooves 221 and 222. It contributes to adjusting the shape to an appropriate shape. Further, circular arc curved surfaces which are easily formed may be preferable as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1-5)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확장되어 가는 밴드 (23, 24) 부분의 형상은 직선형상이다. 이와 같은 직선형상은 위치규제체 (19, 20) 와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 및 가이드레일 (22) 과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적게 하는 데에 유효하다.(1-5) The shape of the band 23, 24 part extended upward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1st and 2nd band 23 and 24 and the wheel 18 is linear shape. Such a straight line shape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position regulators 19 and 20 and the bands 23 and 24 and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guide rails 22 and the bands 23 and 24.

(1-6) 일반적으로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은, 직포형성용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종광틀 중, 직기 앞측의 종광틀을 떼어내 그 빈 공간에 배치되거나 혹은 종광틀의 가장 후방에 배치된다.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을 종광틀의 전방에 배치한 경우, 직기의 전후방향에서의 래치아암 (25, 26) 의 배치위치와 래치아암 (27, 28) 의 배치위치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최후미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틀의 위치가 직기의 후방측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최후미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틀의 상하의 스트로크량이 커져 종광틀의 구동에 불리하다. 또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을 종광틀의 최후방에 배치한 경우는,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개구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큰 토크의 모터가 필요하게 되어 불리하다.(1-6) In general, the hemp seedlings 11 and 12 for planting warp are arranged in the empty space after removing the seedling frame in front of the loom among the seedling frames for forming the woven fabric forming inclined opening. Is placed at the rearmost of the. When arranging the warp-healing healds 11 and 12 in front of the heald frame, the distance between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latch arms 25 and 26 and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latch arms 27 and 28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loom. The larger the position becomes, the farther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end-of-day cooking warp frame is mov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loom. For this reason, the stroke amount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end seedling frame for a dietary preparation warp becomes large, and it is disadvantageous for driving a seedling fra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rranging the planting warp healds 11 and 12 at the rear of the seedling frame, the opening amount of the planting warp healds 11 and 12 needs to be increased, so that a large torque motor is required. It is disadvantageous.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의 밴드 (23, 24) 는 휨변형시킴으로써, 서로 평행한 밴드 (23, 24) 부분 (가이드레일 (22) 의 안내홈 (221, 222) 내에서의 부분) 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직기의 전후방향에서의 래치아암 (25, 26) 의 배치위치와 래치아암 (27, 28) 의 배치위치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수 있다. 이것은 최후미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틀의 스트로크량을 작게 하는 것에 기여한다.Bands 23 and 24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reinforced with carbon fibers are flexibly deformed so that the bands 23 and 24 are parallel to each other (parts in the guide grooves 221 and 222 of the guide rail 22). The spacing of can be made small.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latch arms 25 and 26 and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latch arms 27 and 28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loom can be reduced. This contributes to reducing the stroke amount of the rear end seedling frame for food preparation warp.

(1-7) 제 1 밴드 (23) 는 금속제의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금속제의 가이드레일 (22) 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제 2 밴드 (24) 는 금속제의 제 2 위치규제체 (20) 및 금속제의 가이드레일 (22) 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과 금속의 슬라이딩 접촉 저항은 작다.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은 휨변형 가능한 밴드 (23, 24) 의 재질로서 바람직하다.(1-7) The first band 23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metal first position regulator 19 and the metal guide rail 22, and the second band 24 is the metal second position regulator ( 20) and the metallic guide rail 22 in sliding contact. The sliding contact resistance of the fiber-reinforced plastic and metal reinforced with carbon fiber is small. Fiber-reinforced plastics reinforced with carbon fibers are preferred as the material of the bands 23 and 24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1-8) 직기구동모터 (도시생략) 로부터 독립되어 각종 식서조직의 형성에 대응가능한 전동모터 (17) 는 휠 (18) 을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바람직하다.(1-8) The electric motor 17 which is independent from the linearly driven motor (not shown) and can cope with the formation of various dietary structures is preferable as a driving source for reciprocating the wheel 18.

다음으로 도 5 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Next, 2nd Embodiment of FIG. 5 is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의 왕복구동기구 (13A) 에서는 전동모터 (17) 가 보조판 (32) 을 통해 박스 (16) 에 장착되어 있다. 전동모터 (17) 의 출력축 (171) 에는 구동기어 (29)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박스 (16) 의 내벽 (161) 과 외벽 (162) 에는 지지축 (30)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 (30) 에는 휠 (18) 및 피동기어 (31)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구동기어 (29) 는 피동기어 (31) 에 맞물려 있고, 출력축 (171) 의 왕복회전이 구동기어 (29) 와 피동기어 (31) 의 맞물림을 통해 지지축 (30) 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지지축 (30) 및 휠 (18) 이 일체적으로 왕복회전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In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13A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electric motor 17 is attached to the box 16 via the auxiliary plate 32. The drive gear 29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171 of the electric motor 17. The support shaft 3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161 and the outer wall 162 of the box 16, and the wheel 18 and the driven gear 31 are fixedly mounted on the support shaft 30. The drive gear 29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31, and the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171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shaft 30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drive gear 29 with the driven gear 31. As a result, the support shaft 30 and the wheel 18 reciprocate integrally.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구동기어 (29) 와 피동기어 (31) 의 잇수의 비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증속기구나 감속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전동모터 (17) 의 토크특성에 따라 증속비나 감속비를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초래한다.If the ratio of the number of teeth of the drive gear 29 and the driven gear 31 is selected suitably, a speed increase mechanism or a deceleration mechanism can be comprised. Such a configuration brings about the advantage that the speed increase ratio or the reduction ratio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rqu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motor 17.

다음으로 도 6∼도 10 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Next, 3rd Embodiment of FIGS. 6-10 is demonstrat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component part as 1st and 2nd embodiment.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및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왕복구동기구 (33) 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된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복구동기구 (33) 를 구성하는 박스 (34) 내에는 기본 틀 (35) 이 지지축 (36, 37) 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36, 37) 의 축방향은 위사의 위입 방향이다.As shown in Fig. 6,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heald 12 are driven up and down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33. As shown in FIG. 7, in the box 34 constituting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33, the base frame 35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is the indentation direction of the weft thread.

도 8(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틀 (35) 내에는 연결축 (38)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축 (38) 의 축선은 지지축 (36, 37) 의 축선과 직교한다. 연결축 (38) 에는 T형의 연결구 (39) 가 결합고정되어 있고, 연결구 (39) 에는 다른 연결축 (40) 이 결합고정되어 있다. 연결축 (38) 의 축선과 연결축 (40) 의 축선은 직교한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connecting shaft 38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base frame 35. The axis of the connecting shaft 38 is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support shafts 36, 37. A coupling shaft 39 of a T-shape is coupled and fixed to the coupling shaft 38, and another coupling shaft 4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coupling shaft 39. The axis of the connecting shaft 38 and the axis of the connecting shaft 40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박스 (34) 의 상측벽 (341) 의 상면에는 전동모터 (41) 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모터 (41) 의 출력축 (411) 은 상측벽 (341) 을 관통하여 박스 (34) 내에 돌출되어 있고, 출력축 (411) 의 선단부에는 앵글부재 (42)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앵글부재 (42) 에는 연결축 (40) 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 (411) 이 회전하면 연결축 (40) 이 출력축 (411) 의 축선 둘레를 공전한다. 연결축 (40) 이 출력축 (411) 의 축선 둘레를 공전하면, 연결축 (38) 이 지지축 (36, 37)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된다. 연결축 (38) 의 요동은 기본 틀 (35) 을 통해 지지축 (36, 37) 에 전달되어, 지지축 (36, 37) 이 왕복회전한다. 앵글부재 (42), 연결축 (40), 연결구 (39), 연결축 (38), 기본 틀 (35) 및 지지축 (36, 37)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구성한다. 지지축 (37)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왕복출력축이 된다.The electric motor 4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341 of the box 34. The output shaft 411 of the electric motor 41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side wall 341 and protrudes into the box 34, and an angle member 42 is fixed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output shaft 411. The connecting shaft 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angle member 42. When the output shaft 411 rotates, the connecting shaft 40 revolves around the axis of the output shaft 411. When the connecting shaft 40 revolves around the axis of the output shaft 411, the connecting shaft 38 is oscillated about the axes of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The swing of the connecting shaft 38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via the base frame 35 so that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reciprocate. The angle member 42, the connecting shaft 40, the connecting tool 39, the connecting shaft 38, the base frame 35, and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constitute a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The support shaft 37 becomes a reciprocating output shaft of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 (37) 은 박스 (34) 의 앞측벽 (342) 으로부터 박스 (34) 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지지축 (37) 의 돌출 단부에는 구동기어 (44)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박스 (34) 의 앞측벽 (342) 에는 커버 (45) 가 고정장착되어 있고, 커버 (45) 의 앞측벽 (451) 과 박스 (34) 의 앞측벽 (342) 에는 지지축 (46)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46) 에는 피동기어 (31) 및 휠 (18) 이 고정장착되어 있고, 피동기어 (31) 에는 구동기어 (44) 가 맞물려 있다. 구동기어 (44) 의 잇수는 피동기어 (31) 의 잇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shaft 37 protrudes from the front side wall 342 of the box 34 to the outside of the box 34, and the drive gear 44 is fixed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shaft 37. It is installed. The cover 45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wall 342 of the box 34, and the support shaft 46 is rotated on the front wall 451 of the cover 45 and the front wall 342 of the box 34. Possibly supported. A driven gear 31 and a wheel 18 are fixedly mounted to the support shaft 46, and a drive gear 44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31. The number of teeth of the drive gear 44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eeth of the driven gear 31.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1st and 2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전동모터 (41) 의 출력축 (411) 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출력축 (411) 의 한쪽 방향의 회전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에 의해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구성하는 지지축 (37) 이 왕복회전한다. 지지축 (37) 이 왕복회전하면 구동기어 (44) 가 일체적으로 왕복회전하고, 구동기어 (44) 의 회전이 피동기어 (31) 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지지축 (46) 은 지지축 (37) 의 회전속도보다 큰 회전속도로 구동기어 (44) 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왕복회전한다. 지지축 (46) 이 왕복회전하면 휠 (18) 이 일체적으로 왕복회전되고,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된다.The output shaft 411 of the electric motor 4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one direction of the output shaft 411 is converted into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by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That is, the support shaft 37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reciprocates. When the support shaft 37 reciprocates, the drive gear 44 reciprocates integrally, and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44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31. Thereby, the support shaft 46 rotates reciprocal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gear 44 at a rotation speed larg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support shaft 37. When the support shaft 46 reciprocates, the wheel 18 reciprocates integrally, and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reciprocate in opposite directions.

3차원 크랭크기구 (43) 가 도 8(a) 의 배치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1 밴드 (23) 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상동작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제 2 밴드 (24) 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하동작위치에 있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가 도 8(b) 의 배치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2 밴드 (24) 가 쇄선으로 나태내는 최상동작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제 1 밴드 (23) 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하동작위치에 있다.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in the arrangement state of Fig. 8 (a), the first band 23 is at the highest operating position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most operation indicated by the second band 24 i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position. 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8 (b), the second band 24 is at the highest operating position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nd the first band 23 is shown by the broken line. It is in the operating position.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1) 도 9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E1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하고, 또한 전동모터 (41) 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도 9 의 그래프에서의 횡축 (θ) 은 직기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높이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9 에서 횡축 (θ) 으로서 기재된 라인은 직기의 워플라인의 높이위치와 일치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E1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E2 로 표시된다.(1-1) The curve E1 in the graph of FIG. 9 uses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and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motor 41 is constant, the first formulated warp heald 11 Indicates a change in position. In the graph of FIG. 9, the horizontal axis θ represents the loom rotation angl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height position. In addition, the line described as horizontal axis (theta) in FIG. 9 corresponds with the height position of the warline of the loom.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second formulated warp heald 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used is represented by a curve E2 similar to a curve in which the curve E1 is inverted up and down on the horizontal axis θ.

도 9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D1 은 종래의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하고, 또한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위치변화를 나타낸다.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D1)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D2 로 표시된다.Curve D1 in the graph of FIG. 9 shows the change of position of the 1st preparatory warp seedstone 11 when the conventional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s used and the rotation speed of an electric motor is made constant.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second formulated warp heald when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s used is represented by a curve D2 similar to the curve in which the curve D1 is inverted up and down on the horizontal axis θ.

도 9 의 예는 1/1 의 식서 조직을 형성하는 예이다. 즉,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직기 1회전마다 상하 교체된다.The example of FIG. 9 is an example which forms the planting structure of 1/1. In other words, the first dietary warp seed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seed heald 12 are replaced up and down every turn of the loom.

곡선 E1, E2 와 곡선 D1, D2 를 비교하면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왕복직선운동의 사점(死点)측에서의 위치변화가 작은 범위 (소위 정류범위) 는,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정류(停留)범위에 비하여 넓어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최상위 위치 (H1) 와, 최상위위치 (H1) 에 가까운 높이 위치 (H2) 사이의 높이 위치범위에 대응하는 직기 회전각도의 범위를 정류범위로 한다. 또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최하위위치 (L1) 와, 최하위위치 (L1) 에 가까운 높이위치 (L2) 사이의 높이 위치범위에 대응하는 직기 회전각도의 범위를 정류범위로 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정류범위는 (Te1+Te2) 나 (Te3+Te4) 로 표시되고,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정류범위는 (Td1+Td2) 나 (Td3+Td4) 로 표시된다.Comparing curves E1 and E2 with curves D1 and D2, the range where the change in position at the dead point side of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cultivation warp healds 11 and 12 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used ( The so-called commutation range is wider than the commutation range in the case of using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ange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loom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sition range between the highest position H1 of the planting warp healds 11 and 12 and the height position H2 close to the highest position H1 is determined. Shall be. In addition, the range of the loom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position range between the lowest position L1 of the planting warp healds 11 and 12 and the height position L2 close to the lowest position L1 is taken as the rectification range. That i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mmutation range of the seedling warp healds 11 and 12 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used is represented by (Te1 + Te2) or (Te3 + Te4), and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The commutation range of the seedling warp healds 11 and 12 in the case of using is represented by (Td1 + Td2) or (Td3 + Td4).

즉,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최대의 개구량에 가까운 개구량의 식서제작용 날실 (경사) 의 개구상태는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보다 길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state of the Western-induced warp warp (inclined) of the opening amount close to the maximum opening amount in the case of using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can be kept longer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3-2)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전동모터를 왕복회전시켜 2차원 크랭크기구를 구동하고 있으나, 전동모터를 짧은 주기로 왕복회전시키려고 하면, 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크게 하기가 곤란하다. 이 곤란성은 직기의 고속화에 방해가 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전동모터 (41) 에 의해 구동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모터 (41) 를 한쪽 방향으로만 연속하여 회전하면 되어, 전동모터 (41) 의 회전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전동모터 (41) 의 회전속도를 크게 할 수 있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채용은 직기의 고속화에 유리하다.(3-2) In the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s driven by reciprocating the electric motor.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motor when the electric motor is to be reciprocated in a short cycle. This difficulty hinders the speed of the loom. In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41, the electric motor 41 only needs to rotate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motor 41 can be increased. . The adop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which can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motor 41 is advantageous for speeding up the loom.

(3-3)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본 발명에서는 1/1 식서 조직의 형성인 경우에는 전동모터 (41) 를 가감속시키지 않고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정류범위를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토크의 전동모터 (41) 의 채용이 가능하다. 이것은 전동모터 (41) 의 비용의 저감을 초래한다.(3-3)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n the case of the formation of the 1/1 planting structure, the rectification range of the planting warp healds 11 and 12 without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the electric motor 41. Since it is possible to widen, the electric motor 41 having a small torque can be adopted. This results in a reduction in the cost of the electric motor 41.

도 10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E3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도 10 의 그래프에서의 횡축 (θ) 은 직기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높이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 에서 횡축 (θ) 으로서 기재한 라인은, 직기의 워플라인의 높이 위치와 일치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E3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E4 로 표시된다.Curve E3 in the graph of FIG. 10 shows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irst formulated warp seedling 11 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used. In the graph of FIG. 10, the horizontal axis θ represents the loom rotation angl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height position. In addition, the line described as horizontal axis (theta) in FIG. 10 corresponds with the height position of the warline of the loom.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second formulated warp heald whe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s used is represented by a curve E4 similar to a curve in which the curve E3 is inverted up and down with the horizontal axis θ as a boundary.

도 10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D3 은 종래의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D3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D4 로 표시된다.Curve D3 in the graph of FIG. 10 shows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irst formulated warp seedling 11 when the conventional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s used.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2nd ceremonial warp heald when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is used is represented by a curve D4 similar to a curve in which the curve D3 is inverted up and down with the horizontal axis θ as a boundary.

도 10 의 예는 2/2 의 식서 조직을 형성하는 예이다. 즉,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직기 2회전마다 상하 교체된다.The example of FIG. 10 is an example of forming a 2/2 dietary tissue. In other words, the first dietary warp seed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seed heald 12 are replaced up and down every two revolutions of the loom.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2/2 식서 조직의 형성에서는, 곡선 D3, D4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모터를 왕복회전시키려고 하면 전동모터의 정지 및 급격한 가감속이 필요하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2/2 식서 조직의 형성에서는 곡선 E3, E4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모터 (41) 를 왕복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동모터 (41) 의 급격한 가감속이 필요없다. 또 전동모터 (41) 를 정지 및 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작은 토크로 충분하다.In the formation of a 2/2 patterned structure in the case of using the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when the electric motor is to be reciprocally rotated as shown by curves D3 and D4, the electric motor is stopped and the rapi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re required. In the formation of a 2 / 2-row structure in the case of using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41 is necessary because the electric motor 41 does not need to be reciprocally rotated as shown by curves E3 and E4. none. In addition, a small torque is sufficient even when the electric motor 41 is stopped and started.

또한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구동원으로서 전동모터 (41) 를 사용하면, 1/3 식서 조직의 형성과 같은 복잡한 조직의 형성도 전동모터 (41) 를 급격하게 가감속시키지 않고 가능하다. 1/3 식서 조직의 형성에서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상하 교체된 후에 직기 3회전 후에 상하 교체되거나, 그 후의 직기 1회전후에 상하 교체된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motor 41 is used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the formation of a complex structure such as the formation of a 1/3 phylogenous structure can also be performed without rapidly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the electric motor 41. In the formation of the 1/3 dietary tissue,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heald 11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heald 12 are replaced up and down after three turns of the loom after being replaced up and down, or after one turn of the loom thereafter. It is replaced up and down.

즉, 직기 구동모터 (도시생략) 로부터 독립하여 각종 식서 조직의 형성에 대응가능한 전동모터 (41) 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구동원으로서 바람직하다.That is, the electric motor 41 which can respond to formation of various eating patterns independently of the loom driving motor (not shown) is preferable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3-4) 지지축 (46) 의 왕복각 (β)[도 8(a) 에 도시] 이 클수록, 식서제작용날실 (14, 15) 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최대개구량이 커진다. 이것은 위사의 위입에 유리하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에서는 왕복회전하는 지지축 (36, 37) 의 왕복각 (γ)[도 8(a) 에 도시] 을 크게 하기는 어렵다. 구동기어 (44) 및 피동기어 (31) 로 이루어지는 증속(增速)기구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로부터의 출력을 증속시켜 휠 (18) 에 전달한다. 즉, 구동기어 (44) 및 피동기어 (31) 로 이루어지는 증속기구는, 지지축 (46) 의 왕복각 (β) 을 왕복각 (γ) 보다 크게 한다. 이와 같은 증속기구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채용에서 최대개구량을 크게 하는 데에 유효하다.(3-4) The larger the reciprocating angle beta (shown in Fig. 8 (a)) of the support shaft 46 is, the larger the maximum opening amount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ordinal warps 14 and 15 is. This is advantageous for weaving the weft. In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t is difficult to enlarge the reciprocation angle (gamma) (shown in FIG. 8 (a)) of the support shafts 36 and 37 which reciprocally rotate. The speed increase mechanism composed of the drive gear 44 and the driven gear 31 speeds up the output from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and transmits it to the wheel 18. In other words, the speed increasing mechanism composed of the drive gear 44 and the driven gear 31 makes the reciprocating angle β of the support shaft 46 larger than the reciprocating angle γ. Such a speed increasing mechanism i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maximum opening amount in the adop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실시형태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1)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곡면 (193, 203) 을 원호곡면 이외의 곡면으로 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may be curved surfaces other than the arcuate curved surface.

(2)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곡면 (193, 203) 을 생략해도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guide curved surfaces 193 and 203 may be omitted.

(3)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제 2 위치규제체 (20) 로서 각각 롤러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롤러는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위치에서의 밴드 (23, 24) 부분을 휠 (18) 을 향하여 누르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 맞물림 위치와 가이드레일 (22) 사이의 범위의 밴드 (23, 24) 부분에 롤러를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3) You may use a roller as the 1st position control body 19 and the 2nd position control body 20,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rollers so as to press the bands 23 and 24 at the engaging positions of the bands 23 and 24 and the wheels 18 toward the wheels 18. However, the roller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nds 23 and 24 in the range between this engagement position and the guide rail 22.

(4)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로서 휨변형 가능한 띠형상의 금속판을 사용해도 된다.(4) A band-shaped metal plate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may be used as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5)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를 휠 (18) 의 상부측 둘레에서 연결되도록 일체로 해도 된다.(5) The first band 23 and the second band 24 may be integrated so as to be connected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wheel 18.

(6)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3차원 크랭크기구 대신에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해도 된다.(6) In the third embodiment, a two-dimensional crank mechanism may be used instead of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7)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스 (34) 를 오일탱크로 하고, 박스 (34) 내에 윤활유를 넣어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윤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동모터 (41) 가 박스 (34) 의 상측에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 (41) 의 내부에 윤활유가 침입되지 않도록 박스 (34) 를 구성하기가 쉬워진다.(7)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ox 34 may be an oil tank, and lubricant may be put into the box 34 to lubricate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43.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ic motor 41 is located above the box 34, the box 34 can be easily configured so that lubricating oil does not enter the inside of the electric motor 41.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The technical idea grasped | ascertained from the said embodiment is described below.

[1]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면은 가이드 평면과 가이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는, 상기 가이드 평면에 접하여 상기 가이드 평면과 상기 휠 사이에 끼워지는 조직에서의 식서형성장치.[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each of the guide surfaces comprises a guide plane and a guide curved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bands are in contact with the guide plane and inserted into the structure between the guide plane and the wheel. Forming device.

[2]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곡면은, 원호곡면인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curved surface is an arc curved surface.

[3]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휠을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왕복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tion in one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into a reciprocating motion to reciprocally rotate the wheel.

[4] 상기 [3]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기구는 크랭크기구를 포함하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includes a crank mechanism.

[5] 상기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기구는 3차원 크랭크기구인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crank mechanism is a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6] 상기 [5]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기구는,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로부터의 출력을 증속시켜 상기 휠에 전달하는 증속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6] The dietary forming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includes a speed increasing mechanism that speeds up the output from the three-dimensional crank mechanism and transmits it to the wheel.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및 상기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인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7]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1] to [6], where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made of fiber-reinforced plastic reinforced with carbon fibers. .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기의 고속화를 방해하지 않고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식서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oviding a dietary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opening amount of a dietary warp warp without disturbing the speed of the loom.

Claims (5)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에 있어서,In the dietary forming apparatus in the loom which forms a recipe based on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1st writing warp heald and the 2nd writing warp heald, which reciprocate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1 밴드와,A first band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ower receiving holes in support of the first formulated warp heald;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2 밴드와,A second band capable of bending deformation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ower receiving holes in support of the second type of preparation warp heald;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동력전달톱니를 갖는 휠을 구비하고,And a wheel having a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teeth engaged with the power receiv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respectively.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과 상기 동력전달톱니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휨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휠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킨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An apparatus for forming a weaving machine in a loom facing the wheel wit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deflected so as to engage the power receiv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톱니와 상기 동력수용구멍의 맞물림위치에서 분리됨에 따라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접근시켜 가고, 이어서 상기 제 1 밴드의 일부와 제 2 밴드의 일부를 인접시켜 평행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approached by being separated at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tooth and the power receiving hole, and then a part of the first band and a part of the second b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 apparatus for forming a weaving machine in a loom having guide mean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so as to be parall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제 1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제 2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서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1쌍의 안내홈을 갖는 제 3 위치규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안내홈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 부분에 연결체를 각각 고정장착함과 동시에, 일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하고, 타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한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guiding means includes: a first position regulator contacting the first band to regulate an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band and the wheel, and to regulate an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band and the wheel. And a third position regulator having a second position regulat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nd, and a third position regulator having a pair of guide groove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band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xed assembly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band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first dietary warp heald is attached to one of the connectors, and the second dietary warp heald is attached to the other connector. Forming apparatus in the loom equipped wi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규제체는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제 2 위치규제체는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각 가이드면은 상기 휠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서로 대향되어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osition regulator has a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band, the second position regulator has a gu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nd, each guide surface is the wheel side Forming apparatus in the loom facing each other and convex and facing each othe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을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heel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KR10-2004-0002166A 2003-04-08 2004-01-13 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KR1005170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4136A JP3994905B2 (en) 2003-04-08 2003-04-08 Ear forming device in loom
JPJP-P-2003-00104136 2003-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60A true KR20040087860A (en) 2004-10-15
KR100517042B1 KR100517042B1 (en) 2005-09-26

Family

ID=3286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66A KR100517042B1 (en) 2003-04-08 2004-01-13 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67007A1 (en)
JP (1) JP3994905B2 (en)
KR (1) KR100517042B1 (en)
CN (1) CN100347366C (en)
TW (1) TWI24706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8248B2 (en) * 2005-06-06 2011-07-0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Ear weaving device
JP2007107128A (en) * 2005-10-13 2007-04-26 Toyota Industries Corp Selvedge shedding device in loom
BE1017768A3 (en) * 2007-09-26 2009-06-02 Toyota Jidoshokki Kk Training device using the crowd edge son in a loom.
CN101906694B (en) * 2010-08-26 2012-05-30 广东丰凯机械股份有限公司 Selvage device of weaving machine
KR101186783B1 (en) 2012-07-16 2012-09-27 임진홍 Side yarn open-closed compact devices
CN103243461B (en) * 2013-05-20 2014-08-13 苏州华毅机械有限公司 Edge weaving device of weaving machine
CN209555469U (en) 2017-04-28 2019-10-29 爱世伴公司 The heddle (heald) system and actuator system of loom and loom
DE202018103292U1 (en) * 2018-06-12 2018-07-20 Gebrüder Klöcker GmbH Clamping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harness cord with a lifting arm of a leno binding device
KR102071141B1 (en) * 2018-07-06 2020-01-29 신상대 Lenovo device for jacquard loo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9375A6 (en) * 1995-05-29 1997-02-04 Picanol Nv Edge device for looms.
JPH11279890A (en) * 1998-03-27 1999-10-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Selvage-forming device of l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7007A1 (en) 2004-10-13
CN100347366C (en) 2007-11-07
CN1536114A (en) 2004-10-13
JP2004308064A (en) 2004-11-04
KR100517042B1 (en) 2005-09-26
TWI247062B (en) 2006-01-11
TW200424380A (en) 2004-11-16
JP3994905B2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2665B1 (en) Device for modulating a first rotational motion of an input shaft to a second,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al motion of an output shaft in textile machines
KR100517042B1 (en) 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JP6131377B1 (en) Loom transmission
EP1731640A2 (en) Selvage device
JP2004339655A (en) Shedding motion of loom
JP2004300637A (en) Opening device of loom
CN101074512A (en) High-speed rapier loom
CN105463660A (en) Direct-drive type active cam shedding mechanism
CN2483403Y (en) Active type can opening device for water spraying weaving machine
EP0896075A2 (en) Weft yarn presenting device for weaving looms
US3955603A (en) Looms provided with means for making movement thereof uniform
CN110997996B (en) Circular weaving machine
CN102286822B (en) Electronic opening device capable of casually opening at multiple positions
CN202099473U (en) Griffe transmission mechanism of electronic jacquard machine
CN204918941U (en) Hydraulic loom of hank mode of knitting
CN109554808A (en) A kind of picking motion and braider
JP2003089940A (en) Electric opening apparatus of loom
CN217869313U (en) Jacquard faucet and shuttleless ribbon loom
JP2002105793A (en) Shedding motion in loom
CN115369553B (en) Variable-stroke beating-up device of circular loom and circular loom
CN102277673B (en) Transmission mechanism of double-gearbox electronic jacquard machine
KR840001519B1 (en) Heold driving mechanism on a loom
CN101736494B (en) Drive mechanism
EP0077866B1 (en) Mechanical assembly for reciprocately driving the pliers bearing tape in a textile loom
KR101000400B1 (en) Reed needle operation system of water jet l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