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845A -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845A
KR20040085845A KR1020030020668A KR20030020668A KR20040085845A KR 20040085845 A KR20040085845 A KR 20040085845A KR 1020030020668 A KR1020030020668 A KR 1020030020668A KR 20030020668 A KR20030020668 A KR 20030020668A KR 20040085845 A KR20040085845 A KR 2004008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at
seat back
cargo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586B1 (ko
Inventor
지상우
문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5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V 차량 등과 같은 차종의 2열 및 3열 시트를 전방으로 폴딩시켜 그 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 시킹 후 형성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을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적재장치를 자동차 시트백 후면에 제공함으로써,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고, 화물의 형태 및 길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고정수단에 의해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Loading device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RV 차량 등과 같은 차종의 2열 및 3열 시트를 전방으로 폴딩시켜 그 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 시킹 후 형성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을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적재장치를 자동차 시트백 후면에 제공함으로써,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고, 화물의 형태 및 길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고정수단에 의해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에 맞는 다용도의 기능을 제공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고, 다용도 기능을 강조한 다목적 용도의 차량은 여러 가지의 기능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바, 그 중에서 승객이 승차할 때는 좌석의 역할을 하며 화물 적재시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완전히 접혀서 프론트 시트쪽으로 이동이 가능한 접이식 장치를 구비한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RV 차량 등과 같은 차종의 2열 및 3열 시트는 전방으로 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즉 시트백을 앞으로 젖힘으로써, 2열 및 3열 시트가 설치된 실내공간은 트렁크룸과 서로 개방되어진 상태가 되어, 길다란 화물 등을 트럼크룸과 앞으로 접혀진 시트에 걸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접이식 장치를 구비한 시트의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94672호(2002.12.18)에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자동차용 이중 접이식 시트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뒷자석 승객이 없을시에 자동차 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접이식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분리되어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 시킨 후 그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2-0085286호(2002.11.26)에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의 폴딩 구조”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는 플로어 패널에 장착되는 한 쌍의 센터 힌지브라켓과, 리어 시트백 내부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좌측 및 우측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리어 시트백의 폴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센터 힌지브라켓의 수직 장착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브라켓의 수직판에 형성된 각 핀홀에 힌지핀을 삽입 장착하되, 리턴스프링을 힌지핀과 함께 장착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힌지브라켓을 상기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도록 한 구조로서, 이 역시도 리어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 시킨 후 그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순히 폴딩된 시트백 상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만 마련되어 있을뿐,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순히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시켜 형성된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였을뿐, 이 곳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해 주는 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차량의 급제동시와 같이 차량이 순간적으로 정지하면 시트에 걸쳐적재되어 있는 화물들이 갑작스럽게 앞쪽으로 쏠리면서 프론트 시트의 시트백에 충격을 가해 탑승자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백 후면의 형상을 개조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시트의 미관이 불량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한 것으로서, 시트의 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 시킹 후 형성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을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적재장치를 자동차 시트백 후면에 제공함으로써,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고, 화물의 형태 및 길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고정수단에 의해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가 장착된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3a의 평면도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시트쿠션 4 : 시트백
6 : 고정부 7 : 고정홀
8 : 힌지 9 : 리턴 스프링
10 : 장착홈 11 : 홈
20 : 프론트 시트 21a : 2열 시트
21b : 3열 시트 30 : 화물
40 : 로프 41 : 훅
42 : 망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가 장착된 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장치는, 폴딩 조작 가능한 리어시트(21a,21b)의 시트백(4) 후면에 다수개의 고정부(6)를 장착하되, 상기고정부(6)를 시트백(4) 후면의 네모퉁이 부근에 각각 1개씩 적어도 4개를 장착하고, 고정수단(40)의 양단을 고정부(6)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화물(30)을 시트백(4) 후면 위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6)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그 일단에는 고정수단(4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7)이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8) 체결되어 시트백(4)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0)에서 선택적으로 수납/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6)가 장착홈(10)에 힌지(8) 체결되는 부분에는 고정부(6)가 항상 수납된 상태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리턴 스프링(9)이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10) 일단에는 고정부(6) 인출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으로 양단에 훅(41)이 연결되어 있는 탄력적인 로프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로프 및 망(4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각 시트백(4)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6)에 평행하게 또는 대각선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고정부(6)는 시트백(4) 후면의 상단 및 하단 좌우 끝단에 장착홈(10)을 통해 장착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6)를 시트백(4) 후면의 네모퉁이 부근에 각각 1개씩 적어도 4개를 장착하고, 사용시에는 시트백(4) 후면에서 돌출되게 위치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6)를 사용여부에 따라 힌지(8)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시트백(4)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인출하여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30)을 고정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3a, 3b 및 도 4를 참조하여 고정부의 구조 및 장착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6)는 시트백(4)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0)을 통해 배치되어 지는 바, 상기 고정부(6)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그 일단에는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4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홀(7)이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회동 가능하게 힌지(8)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6)가 장착홈(10)에 힌지(8) 체결되어 있는 부분에는 한 쌍의 리턴 스프링(9)이 이와 함께 장착되어 있어, 이에 의해 고정부(6) 미사용시에는 상기 고정부(6)가 장착홈(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홈(10) 일단에는 고정부(6) 인출시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고정부(6)를 인출할시에는 상기 홈(11)을 통해 고정부(6)의 하단을 지지하며 힌지(8)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부(6)의 고정홀(7)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홈(11)은 고정부(6)의 손잡이를 대신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고정부(6)가 다수개 장착되어 있는 시트(21a,21b)를 전방으로 폴딩시켜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40)에 의해 화물(30)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물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폴딩된 시트(21a,21b) 상부에 화물(30)을 적재 시킨 후 이를 고정할시에는 각 고정부(6)를 힌지(8)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홀(7)이 외부로 돌출되게끔 인출하고 이를 통해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40)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40)을 본 발명에서는 양단에 훅(41)이 장착되어 있는 탄력적인 로프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로프가 연결되어 있는 훅(41) 일단을 고정부(6)의 고정홀(7)에 걸어줌으로써 고정하고, 이와 마주보고 있는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6)의 고정홀(7)에 로프의 타단을 같은 방식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으로 이용된 로프는 훅 및 탄력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묶어서 고정하는 로프를 사용하여 화물(30)을 고정할 수 있고, 로프형식뿐 아니라 망(42) 형식으로도 대체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프를 화물(30) 고정시에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로프는 시트백 후면에 리턴 스프링에 등에 의한 되감김이 가능한 구조(도시하지 않음)로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6)가 시트백(21a,21b) 후면의 상단 및 하단 좌우 끝단에 장착홈(10)을 통해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시트백(21a,21b) 후면의 상단 및 하단 좌우 끝단뿐만 아니라 필요에 의해 어떤 소정위치에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고정부(6)는 화물(30)의 길이와 모양에 구애 받지 않고 이를 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자유자재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30)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거나 비대칭적인 모양일때에도 로프 등과 같은 각 고정수단(40)을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다시 말해 로프의 일단은 2열 시트(21a)의 고정부(6)에 연결하고, 타단은 3열 시트(21b)의 고정부(6)에 연결하는 방식 등으로 자유자재로 적재된 짐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에 의하면, 시트 폴딩후 형성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을 로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시트백 후면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수납/인출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도 수려한 미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의 형태 및 길이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고정수단에 의해 화물을 고정할 수 있다.

Claims (6)

  1. 폴딩 조작 가능한 리어시트(21a,21b)의 시트백(4) 후면에 다수개의 고정부(6)를 장착하되, 상기 고정부(6)를 시트백(4) 후면의 네모퉁이 부근에 각각 1개씩 적어도 4개를 장착하고, 고정수단(40)의 양단을 고정부(6)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화물(30)을 시트백(4) 후면 위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는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그 일단에는 고정수단(4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7)이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8) 체결되어 시트백(4)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0)에서 선택적으로 수납/인출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3. 제 1 항 내지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가 장착홈(10)에 힌지(8) 체결되는 부분에는 고정부(6)가 항상 수납된 상태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리턴 스프링(9)이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10) 일단에는 고정부(6) 인출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5. 제 1 항 내지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으로 양단에 훅(41)이 연결되어 있는 탄력적인 로프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로프 및 망(42)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6. 제 1 항 내지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각 시트백(4)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부(6)에 평행하게 또는 대각선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KR10-2003-0020668A 2003-04-02 2003-04-02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KR10051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668A KR100513586B1 (ko) 2003-04-02 2003-04-02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668A KR100513586B1 (ko) 2003-04-02 2003-04-02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845A true KR20040085845A (ko) 2004-10-08
KR100513586B1 KR100513586B1 (ko) 2005-09-09

Family

ID=3736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668A KR100513586B1 (ko) 2003-04-02 2003-04-02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04B1 (ko) 2014-11-21 2016-02-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워크인 레버 조립체
KR101591461B1 (ko) 2014-10-24 2016-02-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리어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461B1 (ko) 2014-10-24 2016-02-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리어시트
KR101587904B1 (ko) 2014-11-21 2016-02-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워크인 레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586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367B2 (en) Vehicle load floor assembly for a seatback
US7628438B2 (en) Rear seat cushion underside storage flap
US9050913B2 (en) Vehicle load floor assembly
JP2010535656A (ja) 車両のシート配置システム及びキャビン
JP3712880B2 (ja) 自動車のシート
JP4474673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100513586B1 (ko)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JPS63173736A (ja) 自動車の後部座席構造
JP2008239001A (ja) 車両の車室内構造
KR100264900B1 (ko) 자동차에 장착되는 착탈식 테이블
US20120193952A1 (en) Seat or bench for a motor vehicle
JP4737080B2 (ja) 車両のフック配置構造
JP2008230288A (ja) 車両の車室内構造
JP2000192693A (ja) 自動車の後部延長構造
KR100405465B1 (ko) 자동차용 폴딩시트의 래치구조
JPS6076435A (ja) 車載用簡易シ−ト
KR0120362Y1 (ko) 자동차리어시트어셈블리
KR100569947B1 (ko) 차량 시트백의 익스텐디드 보드 자동설치구조
GB2412640A (en) Vehicle parcel shelf
JP2008230286A (ja) 車両の車室内構造
KR100851854B1 (ko) 차량의 스크린 장치
KR0115377Y1 (ko) 웨건 차량의 시트 브래킷
JPH11278155A (ja) 車両の荷室構造
JPH09118158A (ja) 自動車用補助座席
JP3161270B2 (ja) 自動車の巻取り式トノ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