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685A - 수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685A
KR20040085685A KR1020030020474A KR20030020474A KR20040085685A KR 20040085685 A KR20040085685 A KR 20040085685A KR 1020030020474 A KR1020030020474 A KR 1020030020474A KR 20030020474 A KR20030020474 A KR 20030020474A KR 20040085685 A KR20040085685 A KR 2004008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supply device
cover member
coupl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주)이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이지이엔지
Priority to KR102003002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5685A/ko
Priority to JP2006500667A priority patent/JP2006521831A/ja
Priority to CNA2004800087438A priority patent/CN1767778A/zh
Priority to PCT/KR2004/000756 priority patent/WO2004086923A1/en
Publication of KR2004008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복수 벌의 수저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납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는, 수저배출구(22)가 형성되는 케이스부(20)와; 케이스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복수 벌의 수저(50)가 수납되는 수저수납부(30)와; 수저수납부(30)와 결합되며, 수저수납부(30)에 수납된 수저(50)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수저수납부(30)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저를 복수 벌 수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된 수저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기능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저공급장치 {APPARATUS FOR SUPPLYING SPOON AND CHOPSTICK}
본 발명은 수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저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복수 벌의 수저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납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통은 숟가락 및 젓가락 등을 포함한 복수 벌의 수저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수저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수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수저통은 실용성을 겸비한 다양한 패턴디자인으로 여러 종류가 출시되어 있으며, 식탁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수저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수저통으로 크게 구분된다. 통형으로 형성된 수저통은 수저를 수용하는 수저수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박스형 수저통은 수저수납공간 내부에 별도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수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 대부분은 복수 벌의 수저를 수용실에 담아두고 필요시 덮개를 열고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 이용될 경우에는 여러 사람이 수저를 같이 만지게 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한 벌의 수저만을 정확히 인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수저가 자동 인출되는 수저통이 기 출원(명칭:위생 수저통,출원번호:20-1998-0001940)된 바 있으나, 이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별도로 수용·배출되는 형태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기능성 및 실용성이 떨어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수저의 수납 및 배출구조를 개선하여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저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회전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회전조절부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회전조절부 작동에 따른 회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케이스부 22 : 수저배출구
30 : 수저수납부 32 : 회전축
34 : 회전체 36 : 수저수납홈
40 : 회전조절부 42 : 커버부재
43 : 걸림턱 44 : 회전부재
46 : 가압부재 50 : 수저
70 : 가이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저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복수 벌의 수저가 수납되는 수저수납부와; 상기 수저수납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저수납부에 수납된 수저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저수납부가 수용되는 케이스몸체와; 상기 수저수납부에 수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몸체 및 상기 개폐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결합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저수납부는 상기 회전조절부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와; 복수의 수저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수저수납홈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조절레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걸림턱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원스텝(one step)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의 탄력적 상태를 유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턱을 가압하는 가압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홈이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대응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면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부의 수저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공급장치는 수저배출구(22)가 형성되는 케이스부(20)와; 케이스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복수 벌의 수저(50)가 수납되는 수저수납부(30)와; 수저수납부(30)와 결합되며, 수저수납부(30)에 수납된 수저(50)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수저수납부(30)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부(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먼지 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로부터 수저(5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저수납부(30)가 수용되는 케이스몸체(24)와; 수저수납부(30)에 수저(5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케이스몸체(24)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커버(26)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24)는 수저수납부(30)에 수납된 수저(50)가 회전에 의해 유출되지 않도록 수저수납부(30)와 밀착·설치되며, 수저(50) 중 숟가락 수납시 수저수납부(30)의 측부에 위치하는 숟가락의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부가 확경된 형상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개폐커버(26)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몸체(24) 및 개폐커버(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돌기(27)와 대응되는 결합홀(28)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케이스부(20)와 회전조절부(40)의 결합도 결합돌기(27')와 결합홀(28')의 대응 구조이다. 개폐커버(26)의 개폐구조는 필요에 따라 공지기술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수저수납부(30)는 회전조절부(4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2)과; 회전축(32)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34)와; 복수의 수저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체(34)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의 수저수납홈(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저수납공간은 회전체(34)의 외주면상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격벽을 이격 설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축(32)은 회전체(34)에 관통 설치되거나, 회전체(34)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등 그 설치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회전축(32)의 일단은 개폐커버(26)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지지홈(25)에 삽입·지지된다. 회전체(34)는 원통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수저수납홈(30)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케이스몸체(24)의 양측부를 확경하지 않고서도 숟가락의 수납이 가능하다.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에 의해 형성되는 수저수납공간은 수납되는 회전체(34)의 크기, 수저의 종류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그 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부(20)의 수저배출구(22)에는 후크 형상의 가이드부(70)가 구비되어, 수저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는 수저(50)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수저(50)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 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포함한 모든 것을 지칭하는 말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저수납부(30)에는 숟가락, 젓가락 및 숟가락 및 젓가락을 포함한 수저 복수 벌을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회전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작동에 따른 회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절부(40)는 케이스부(20,도1참조)에 결합되는 커버부재(42)와; 커버부재(42)에 내장되어 수저수납부(30)의 회전축(32)과 결합되며, 복수의 걸림턱(43)이 형성되는 회전부재(44)와; 복수의 걸림턱(43)을 각각 가압하여 회전부재(44)를 원스텝(one step)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커버부재(42)에 설치되는 가압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부재(42)는 내부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좌·우커버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회전부재(44)에 형성된 걸림턱(43)은 원스텝 회전에 의해 수저수납부(30)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수저(50,도1참조)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수저수납부(30)에 형성된 수저수납홈(36)의 수와 일치된다.
가압부재(46)는 커버부재(42)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47)과; 버튼(47)의 하단에 마련되어, 버튼(47)의 탄력적 상태를 유지하는 제1탄성부재(48)와; 버튼(47)의 누름동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44)의 걸림턱(43)을 가압하는 가압바아(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바아(49)는 버튼(47)을 1회 누른 뒤 바아스프링(49a)의 탄력적 유동에 의해 회전부재(44)의 걸림턱(43)에 간섭받지 않고 원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커버부재(42) 및 회전부재(44)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지지돌기(6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지지돌기(62)와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홈(64)이 형성되며, 지지돌기(62) 및 지지홈(64)이 버튼(47)의 누름동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대응되어 커버부재(42)에 대한 회전부재(44)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44)의 타측면과 커버부재(42)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6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부재(42)에 형성되는지지돌기(62) 또는 지지홈(64)은 회전부재(44)의 걸림턱(43)과 동일한 수를 가지며, 회전부재(44)에 형성되는 지지돌기(62) 또는 지지홈(64)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수를 가지면 된다. 또한, 지지돌기(62) 및 지지홈(64)의 위치와 제2탄성부재(66)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환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돌기(62), 지지홈(64) 및 제2탄성부재(66)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회전부재(44)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43)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판스프링을 대응 설치함으로써 회전부재(44)의 정확한 원스텝 회전을 유도하는 방법 등 그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탄성부재(48) 및 제2탄성부재(66)는 버튼(47) 및 회전부재(44)의 탄력적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것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회전조절부(40)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커버부재(42)와, 커버부재(42)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조절레버(45)로 구성되어, 기능성 및 사용성은 상대적으로 저하되지만 수동으로도 작동 가능한 형태를 비롯한 여러 다양한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 참조번호 48a과 67은 제1탄성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를, 67은 제2탄성부재(6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수용돌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저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부(20)의 개폐커버(26)를 개방하여 수저(50)를 수저수납부(30)상에 형성된 수저수납홈(36)에 복수개 수납한 후, 개폐커버(26)를 닫는다.
그리고 케이스부(20)에 돌출 설치된 버튼(47)을 1회 누름으로써 회전조절부(40)의 회전부재(44)가 원스텝 회전함과 동시에 수저수납부(30)가 회전되어 수저수납홈(36)과 수저배출구(22)가 일치되는 과정에서 수저(50)가 배출된다. 이러한 작동원리에 의해 버튼(47)을 연속적으로 누름에 따라 수저배출구(22)를 통해 수저(50)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저를 복수 벌 수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된 수저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기존의 수저공급장치에 비해 기능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수저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수저수납부가 회전 배출구조를 지니고 있어, 부피가 작으면서도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수저를 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수저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복수 벌의 수저가 수납되는 수저수납부와;
    상기 수저수납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저수납부에 수납된 수저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저수납부가 수용되는 케이스몸체와; 상기 수저수납부에 수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 및 상기 개폐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수납부는 상기 회전조절부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와; 복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의 수저수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복수의 걸림턱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원스텝(one step)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의 탄력적 상태를 유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버튼의누름동작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걸림턱을 가압하는 가압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홈이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대응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대한 상기 회전부재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면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공급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수저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KR1020030020474A 2003-04-01 2003-04-01 수저공급장치 KR20040085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474A KR20040085685A (ko) 2003-04-01 2003-04-01 수저공급장치
JP2006500667A JP2006521831A (ja) 2003-04-01 2004-04-01 スプーンおよび箸の供給装置
CNA2004800087438A CN1767778A (zh) 2003-04-01 2004-04-01 供应勺子和筷子的设备
PCT/KR2004/000756 WO2004086923A1 (en) 2003-04-01 2004-04-01 Apparatus for supplying spoon and chop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474A KR20040085685A (ko) 2003-04-01 2003-04-01 수저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857U Division KR200324508Y1 (ko) 2003-04-01 2003-04-01 수저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685A true KR20040085685A (ko) 2004-10-08

Family

ID=3674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474A KR20040085685A (ko) 2003-04-01 2003-04-01 수저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85685A (ko)
CN (1) CN1767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17B1 (ko) * 2021-04-01 2021-10-18 박상기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8972B (zh) * 2016-04-21 2018-11-09 马泽 一种防摆动多功能稳定装置、灯具及置物挂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17B1 (ko) * 2021-04-01 2021-10-18 박상기 수저 한 벌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7778A (zh)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9789B1 (en) Cosmetics case with applicator holder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KR101900231B1 (ko) 호환형 잠금장치
KR101589086B1 (ko) 수납용기
KR200324508Y1 (ko) 수저공급장치
KR20040085685A (ko) 수저공급장치
KR200345217Y1 (ko) 수저공급장치
KR102465100B1 (ko) 이쑤시개 디스펜서
KR100384984B1 (ko) 취반기
KR200354725Y1 (ko) 수저공급장치
KR101413471B1 (ko) 냉장고
US6206836B1 (en) Battery-operated device, in particular a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JP2006521831A (ja) スプーンおよび箸の供給装置
KR20170105238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KR200155213Y1 (ko) 반짇고리 보관함
JP2017510386A (ja) 少なくとも1つの美容製品のための包装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包装方法
KR0131848Y1 (ko) 이쑤시개통
JPH0451709Y2 (ko)
KR200246282Y1 (ko) 분통
KR100516116B1 (ko) 안전 노크식 필기구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20000014645U (ko) 다종 곡물용 쌀통
JP7338968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N211112766U (zh) 一种用于洗衣机的排水泵盖弹出结构及洗衣机
KR101914433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