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725Y1 - 수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725Y1
KR200354725Y1 KR20-2004-0008894U KR20040008894U KR200354725Y1 KR 200354725 Y1 KR200354725 Y1 KR 200354725Y1 KR 20040008894 U KR20040008894 U KR 20040008894U KR 200354725 Y1 KR200354725 Y1 KR 200354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case body
rotation control
unit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20-2004-0008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725Y1/ko
Priority to PCT/KR2004/000756 priority patent/WO2004086923A1/en
Priority to JP2006500667A priority patent/JP2006521831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08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 A47F1/10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bottom having mechanical dispensing means, e.g. with buttons o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벌의 수저가 수납되는 복수의 수저수납홈을 갖는 수저수납부와; 수저수납부를 수용하며 수저가 배출되는 수저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몸체와 수저수납부에 수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를 가지며, 수저수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와; 수저수납부의 수저가 수저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수저수납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와; 케이스부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수저수납홈에 수납되는 수저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 벌의 수저를 간편하게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된 복수 벌의 수저를 순차적으로 한 벌씩 정렬하여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저공급장치 {APPARATUS FOR SUPPLYING SPOON AND CHOPSTICK}
본 고안은 수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벌의 수저를 간편하게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된 복수 벌의 수저를 순차적으로 한 벌씩 정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수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저통은 숟가락 및 젓가락 등을 포함한 복수 벌의 수저를 수납·보관할 수 있는 수저수납공간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수저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수저통은 실용성을 겸비한 다양한 패턴디자인으로 여러 종류가 출시되어 있으며, 식탁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수저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수저통으로 크게 구분된다. 통형으로 형성된 수저통은 수저를 수용하는 수저수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박스형 수저통은 수저수납공간 내부에 별도의 받침대를 설치하여 수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저통 대부분은 복수 벌의 수저를 수용실에 담아두고 필요시 덮개를 열고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 이용될 경우에는 여러 사람이 수저를 같이 만지게 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한 벌의 수저만을 정확히 인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수저가 자동 인출되는 수저통이 기 출원(명칭:위생 수저통, 출원번호:20-1998-0001940)된 바 있으나, 이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별도로 수용·배출되는 형태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기능성 및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수납함과 동시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한 벌씩 배출할 수 있는 수저공급장치(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20-2003-0009857호)를 출원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수저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수저를 수저수납부에 수납하는 경우 한 쌍의 젓가락이 'X'자 형상으로 꼬인 상태로 수납될 염려가 많아 수저의 수납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저공급장치로부터 수저를 배출할 때 한 쌍의 젓가락이 'X'자 형상으로 꼬인 상태로 수저배출구를 통해 가이드부로 배출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부로부터 튕겨져 나와 배출되고, 사용자가 수저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 벌의 수저를 간편하게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된 복수 벌의 수저를 순차적으로 한 벌씩 정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수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정렬부의 수저 정렬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회전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회전조절부 작동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회전조절부 작동에 따른 회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저 20 : 케이스부
22 : 케이스몸체 24 : 수저배출구
25 : 개폐커버 29 : 정렬부
30 : 수저수납부 36 : 수저수납홈
40 : 회전조절부 42,42' : 커버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저공급장치에 있어서, 복수 벌의 수저가 수납되는 복수의 수저수납홈을 갖는 수저수납부와; 상기 수저수납부를 수용하며 상기 수저가 배출되는 수저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몸체와 상기 수저수납부에 상기 수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를 가지며, 상기 수저수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수저수납부의수저가 상기 수저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와; 상기 케이스부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수저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수저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수저수납부를 향하는 상기 개폐커버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몸체의 축선을 따라 축경되는 원추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추의 저면을 이루며 상기 개폐커버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에 인접하는 상기 정렬부의 외경은 상기 수저수납부의 수저수납홈의 저부 직경 보다 작게 하므로써, 상기 수저수납부의 수저수납홈에 수납되는 수저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축선과 거의 평행을 이루며 더욱 가지런히 정렬 수납되며, 또한 수저의 배출시 수저는 상기 수저배출구를 통해 정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저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저공급장치는, 수저배출구(24)가 형성되는 케이스부(20)와, 케이스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복수 벌의 수저(10)가 수납되는 수저수납부(30)와, 수저수납부(30)와 결합되며 수저수납부(30)에 수납된 수저(10)가 수저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도록 수저수납부(30)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40)를 가진다.
케이스부(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먼지 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로부터 수저(1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저수납부(30)가 수용되는 케이스몸체(22)와, 수저수납부(30)에 수저(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케이스몸체(22)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커버(25)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22)는 수저수납부(30)에 수납된 수저(10)가 회전에 의해 유출되지 않도록 수저수납부(30)와 밀착 설치되며, 수저(10) 중 숟가락 수납시 수저수납부(30)의 측부에 위치하는 숟가락의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양측부가 확경된 형상을 지니고 있다. 케이스몸체(22)의 일측에는 수저수납부(30)에 수납된 수저(10)가 배출되는 수저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커버(25)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몸체(22)에 한 쌍의 결합돌기(27)가 형성되고, 개폐커버(25)에는 결합돌기(27)와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홀(28)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케이스부(20)와 회전조절부(40)의 결합도 결합돌기(27')와 결합홀(28')의 대응 구조이다. 여기서, 개폐커버(25)의 개폐구조는 필요에 따라 공지기술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몸체(22)를 향하는 개폐커버(25)의 판면에는 수저수납홈(36)에 수납되는 수저(10)를 정렬하는 정렬부(29)가 마련되어 있다. 정렬부(29)는 개폐커버(25)의 판면으로부터 케이스몸체(22)의 축선을 따라 축경된 원추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다. 정렬부(29)의 선단 영역에는 후술할 수저수납부(30)의 회전축(32)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지지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추의 저면을 이루며 개폐커버(25)의 판면에 인접하는 정렬부(29)의 외경(φd)은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의 저부 직경(φD)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에 수저(10)를 수납할 때 수저(10)의 말단부가 정렬부(29)의 경사면(29a)에 위치하는 경우, 수저(10)는 정렬부(29)의 경사면(29a)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저(10)의 말단부가 개폐커버(25)의 판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각 수저(10)는 개폐커버(25)의 판면에 인접하는 정렬부(29)의 둘레영역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케이스몸체(22)의 축선과 거의 평행을 이루며 가지런히 정렬되고, 특히 동일 수저수납홈(36)에 수납되는 한 쌍의 젓가락은 'X'자 형상으로 꼬이지 않은 상태로 수납된다. 또한, 수저(10)의 배출시, 이 정렬부(29)에 의해 수저(10)는 수저배출구(24)를 통해 반듯하게 정렬하며 배출된다.
수저수납부(30)는, 회전조절부(4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2)과, 회전축(32)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34)를 가진다. 회전체(34)에는 복수의 수저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체(34)의 외주면상에 일정한 피치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수저수납홈(36)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저수납공간은 회전체(34)의 외주면상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격벽을 이격 설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축(32)은 회전체(34)에 관통 설치되거나, 회전체(34)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등 그 설치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회전축(32)의 일단은 개폐커버(25)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지지홈(26)에 삽입 지지된다. 회전체(34)는 원통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수저수납홈(30)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케이스몸체(22)의 양측부를 확경하지 않고서도 숟가락의 수납이 가능하다.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에 의해 형성되는 수저수납공간은 수납되는 회전체(34)의 크기, 수저의 종류 등과 같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그 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부(20)의 수저배출구(24)에는 후크 형상의 가이드부(70)가 구비되어, 수저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는 수저(10)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수저(10)는 숟가락, 젓가락, 또는 숟가락 및 젓가락을 포함한 모든 것을 지칭하는 말로서, 본 고안에 따른 수저수납부(30)에는 숟가락, 젓가락, 숟가락 및 젓가락을 포함한 복수 벌의 수저를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회전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회전조절부 작동상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회전조절부 작동에 따른 회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절부(40)는, 케이스부(20, 도 1참조)에 결합되는 제1커버부재(42) 및 제2커버부재(42')와, 외주를 따라 복수의 걸림턱(43)이 형성되고 수저수납부(30)의 회전축(32)에 결합되는 회전부재(44)와, 회전부재(44)를 회전시키는 가압부재(46)와, 회전부재(44)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5)를 가진다.
각 커버부재(42,42')는 내부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44)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회전부재(44)에 형성된 걸림턱(43)은 원스텝 회전에 의해 수저수납부(30)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수저(10, 도 1참조)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수저수납부(30)에 형성된 수저수납홈(36)의 수와 일치한다. 한편, 제2커버부재(42')를 향하는 회전부재(44)의 판면에는 방사상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복수의 리브(45)가 마련되어 있다. 각 리브(45) 사이의 간격은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 사이의 피치에 대응하도록 회전부재(44)의 리브(45)는 수저수납홈(36)의 수와 일치한다.
가압부재(46)는 각 커버부재(42,42')의 외부로 돌출되는 버튼(47)과, 버튼(47)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연장된 연장로드(47a)와, 버튼(47)을 탄력적 상태로 유지하는 제1탄성부재(48)와, 버튼(47)의 누름동작에 따라 연동 설치되어 회전부재(44)의 걸림턱(43)을 가압하는 가압바아(49)를 가진다. 가압바아(49)는 버튼(47)을 1회 누른 뒤 바아스프링(49a)의 탄력적 유동에 의해 회전부재(44)의 걸림턱(43)에 간섭받지 않고 원위치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스토퍼(55)는 가압부재(46)의 연장로드(47a)와 접촉 및 이격하는 제1날개부(56)와, 회전부재(44)의 리브(45)와 접촉 및 이격하는 제2날개부(57)를 가지며, 회동가능하도록 제2커버부재(42')에 힌지(58)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55)는 제1날개부(56)가 연장로드(47a)와 접촉하는 작동위치와 제1날개부(56)가 연장로드(47a)와 이격하는 철회위치 사이를 힌지(58)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힌지(58)에는스토퍼(55)를 작동위치에서 철회위치로 이동시키는 토오션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버튼(47)의 누름동작에 의해 연장로드(47a)가 하강하여 스토퍼(55)의 제1날개부(56)에 접촉하면, 동시에 스토퍼(55)의 제2날개부(57)가 회동하여 회전부재(44)의 리브(45)와 접촉하게 되어, 수저수납홈(36)들에 수납된 각 수저(10)들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부재(44)는 일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고 정확하게 원스텝 회전을 하여, 해당 수저수납홈(36)에 수납된 수저(10) 한 벌만 수저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버튼(47)의 누름동작을 해제하면, 제1탄성부재(48)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47)과 함께 연장로드(47a)가 상승하게 되고, 스토퍼(55)는 토오션스프링에 의해 제1날개부(56)와 연장로드(47a)가 이격하는 철회위치로 역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부재(44)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62)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부재(44)와 대향하는 제1커버부재(42)의 일측면에는 지지돌기(62)와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홈(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돌기(62) 및 지지홈(64)이 버튼(47)의 누름동작에 의해 탄력적으로 대응되어 제1커버부재(42)에 대한 회전부재(44)의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44)의 타측면과 제2커버부재(42')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6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커버부재(42)에 형성되는 지지홈(64)은 회전부재(44)의 걸림턱(43)과 동일한 수를 가지며, 회전부재(44)에 형성되는 지지돌기(62)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수를 가지면 된다. 여기서, 지지돌기(62) 및 지지홈(64)의 위치와 제2탄성부재(66)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환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돌기(62), 지지홈(64) 및 제2탄성부재(66)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회전부재(44)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43)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판스프링을 대응 설치함으로써 회전부재(44)의 정확한 원스텝 회전을 유도하는 방법 등 그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탄성부재(48) 및 제2탄성부재(66)는 버튼(47) 및 회전부재(44)의 탄력적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것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번호 48a는 제1탄성부재(4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내며, 지지플레이트(48a)에는 가압부재(46)의 연장로드(47a)가 관통하는 관통공(4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설명된 참조번호 67은 제2탄성부재(6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수용돌기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저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부(20)의 개폐커버(25)를 개방하여 수저수납부(30)상에 형성된 각 수저수납홈(36)에 수저(10)를 수납한 후, 개폐커버(25)를 닫는다.
이 때,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에 수납되는 수저(10)의 말단부가 정렬부(29)의 경사면(29a)에 위치하는 경우, 수저(10)는 정렬부(29)의 경사면(29a)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저(10)의 말단부가 개폐커버(25)의 판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수저(10)는 개폐커버(25)의 판면에 인접하는 정렬부(29)의 둘레영역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케이스몸체(22)의 축선과 거의 평행을 이루며 가지런히 정렬되고, 특히 동일 수저수납홈(36)에 수납되는 한 쌍의 젓가락은 'X'자 형상으로 꼬이지 않은 상태로 수납된다. 이로써, 복수 벌의 수저(10)를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에 간편하게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부(20)에 돌출 설치된 버튼(47)을 1회 누름으로써,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44)에 형성된 지지돌기(62)가 제1커버부재(42)에 형성된 지지홈(64)으로부터 이격하며 걸림해제되어, 회전조절부(40)의 회전부재(44)가 원스텝 회전함과 동시에 수저수납부(30)가 회전하여, 수저수납홈(36)과 수저배출구(24)가 일치되는 과정에서 수저(10)는 수저배출구(24)를 거쳐 가이드부(70)에 반듯하게 정렬하며 배출, 특히 한 쌍의 젓가락은 'X'자 형상으로 꼬이지 않은 상태로 정렬하며 배출된다. 이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47)의 누름동작에 의해 연장로드(47a)가 하강하여 스토퍼(55)의 제1날개부(56)에 접촉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토퍼의 제2날개부(57)는 힌지(58)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부재(44)의 리브(45)와 접촉하게 되어, 수저수납홈(36)들에 수납된 각 수저(10)들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부재(44)는 일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고 정확하게 원스텝 회전을 하여, 해당 수저수납홈(36)에 가지런히 정렬되어 수납된 수저(10) 한 벌만 수저배출구(24)를 통해 반듯하게 정렬하며 배출된다.
이어서, 버튼(47)의 누름동작을 해제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48)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재(46)의 연장로드(47a)가 상승하게 되고, 스토퍼(55)는 토오션스프링에 의해 제1날개부(56)와 연장로드(47a)가 이격하도록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44)에 형성된 지지돌기(62)가 제1커버부재(42)에 형성된 지지홈(64)에 걸림 유지되어 회전조절부(40)의 회전부재(44)는 회전하지 않으며, 이에 수저수납부(3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에, 복수 벌의 수저를 수저수납부(30)의 수저수납홈(36)에 간편하게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작동원리에 의해 버튼(47)을 1회씩 누름에 따라 수저(10)를 순차적으로 한 벌씩 반듯하게 수저배출구(24)를 통해 정렬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배출된 수저(10)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저를 정렬하는 정렬부가 수저수납부를 향하는 개폐커버의 판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정렬부는 수저수납부를 향하는 회전조절부의 제1커버부재의 판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정렬부는 케이스부의 개폐커버 및 회전조절부에 상호 대향하게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 벌의 수저를 간편하게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된 복수 벌의 수저를 순차적으로 한 벌씩 정렬하여 배출하며, 사용자가 배출된 수저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는 수저공급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수저공급장치에 있어서,
    복수 벌의 수저가 수납되는 복수의 수저수납홈을 갖는 수저수납부와;
    상기 수저수납부를 수용하며 상기 수저가 배출되는 수저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몸체와 상기 수저수납부에 상기 수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개폐커버를 가지며, 상기 수저수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수저수납부의 수저가 상기 수저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수저수납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회전조절부와;
    상기 케이스부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수저수납홈에 수납되는 상기 수저를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수저수납부를 향하는 상기 개폐커버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몸체의 축선을 따라 축경되는 원추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원추의 저면을 이루며 상기 개폐커버 및 상기 회전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면에 인접하는 상기 정렬부의 외경은 상기 수저수납부의 수저수납홈의 저부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공급장치.
KR20-2004-0008894U 2003-04-01 2004-03-31 수저공급장치 KR200354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94U KR200354725Y1 (ko) 2004-03-31 2004-03-31 수저공급장치
PCT/KR2004/000756 WO2004086923A1 (en) 2003-04-01 2004-04-01 Apparatus for supplying spoon and chopstick
JP2006500667A JP2006521831A (ja) 2003-04-01 2004-04-01 スプーンおよび箸の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894U KR200354725Y1 (ko) 2004-03-31 2004-03-31 수저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725Y1 true KR200354725Y1 (ko) 2004-07-01

Family

ID=4943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894U KR200354725Y1 (ko) 2003-04-01 2004-03-31 수저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7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24B1 (ko) * 2021-07-06 2022-02-09 (주)미래주방 젓가락 분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24B1 (ko) * 2021-07-06 2022-02-09 (주)미래주방 젓가락 분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RU2424000C2 (ru) Ингалятор сухого порошка
KR101329663B1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0007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WO2006080703A1 (en) Rotation tray type cosmetic case
CN208742073U (zh) 一种过滤组件及应用其的净水器
KR102465100B1 (ko) 이쑤시개 디스펜서
KR200352880Y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US8540448B2 (en) Cover structure for enclosing a removeable fluid-dispensing reservoir between the cover and an exterior surface of a toothbrush
KR200354725Y1 (ko) 수저공급장치
KR20150047080A (ko) 수납용기
KR200345217Y1 (ko) 수저공급장치
KR200324508Y1 (ko) 수저공급장치
JP548484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20040085685A (ko) 수저공급장치
KR101180737B1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JP2006521831A (ja) スプーンおよび箸の供給装置
US20080250605A1 (en)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US6206836B1 (en) Battery-operated device, in particular a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JP5390323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09506914A (ja) 鉛筆芯用ボックス
KR100768494B1 (ko) 회동 인출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20120001911U (ko) 이쑤시개와 꽂이 및 면봉용 멀티 수납케이스
KR200387666Y1 (ko) 물티슈 수납용 개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