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195A - 적층 직물 - Google Patents

적층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195A
KR20040085195A KR10-2004-7012671A KR20047012671A KR20040085195A KR 20040085195 A KR20040085195 A KR 20040085195A KR 20047012671 A KR20047012671 A KR 20047012671A KR 20040085195 A KR20040085195 A KR 2004008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abric
adhesive
laminated
lamina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5077B1 (ko
Inventor
사다토히로키
이시이히로카츠
Original Assignee
니뽄 고어-텍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고어-텍스 인크. filed Critical 니뽄 고어-텍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8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8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12Polyvinylhalogenides containing fluorine
    • B32B2327/18PTFE, i.e. polytetrafluoro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25Superposed movable attached layers 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54With chemically effective material or specified gas other than air, N, or carbon dioxide in void-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10T442/3602Three or more distinct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10T442/3602Three or more distinct layers
    • Y10T442/365At least one layer is a preformed synthetic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854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854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3878Fluorinated 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Tef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7Fluorinated 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Teflon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내구성 필름의 한쪽면에 가고정 접착제층을 통해 겉감을 적층시키고, 또한 상기 내구성 필름의 나머지 한쪽면에 내구성 접착제층을 통해 안감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 직물{LAMINATED FABRIC}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우수한 감촉과 방오성, 방풍성, 유연성, 생산성, 내구성 등을 겸비한 적층 직물, 의류품 및 이러한 의류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직물에 접착제를 통해 방수성 필름을 적층시키거나, 방수성 코팅을 실시함으로써 방수성·방풍성의 직물을 제공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 이들 가공의 경우, 옷감에 대하여 용이한 방수성·방풍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옷감의 빳빳한 느낌이나 두께감 등 옷감 본래의 감촉이나 드레이프성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공고 평6-61909호 공보에서는, 데님 기포(基布)의 이면에 비수용성 접착제층을 통해 플라스틱 필름을 점착시키고, 그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측의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로 안감을 점착시켜 얻은 적층물을 재단, 봉제한 후에 수세(水洗)하여 수용성 접착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안감만을 박리시켜 유연한 감촉의 진(jeans)을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고 평6-61909호 공보의 방법에서는 굵은 데니어의 섬유를 사용한 옷감이나 평량이 큰 옷감, 능직, 격자직과 같은 조직, 쟈가드직에 보이는 것과 같은 패션성, 장식성이 있는 옷감 등을 겉감에 사용하는 경우, 옷감 접착면의 요철이 커지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과 겉감을 충분한 접착 강도로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비수용성 접착제의 도포량을 많게 해야 할 필요가 있어 그 결과 얻은 적층 직물의 감촉이 딱딱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결국 감촉을 유연하게 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적층시 접착제 도포량이 증가하는 것은 재료비의 비용 상승으로도 이어진다.
일본 특허 공고 평6-61909호 공보에 의하면, 적층된 안감은 봉제후, 수세에 의해서 수용성 접착제가 제거됨으로써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단독의 구조로 되는데, 이 경우, 그 안감에는 착용이나 세탁에 의해 옷감 결이 꼬이거나 하는 것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크릴 수지의 코팅이나 슬립 방지제에 의한 처리 등의 수지 가공을 미리 실시하거나, 그 안감의 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처치는 안감의 선택 폭을 좁힐 뿐만 아니라, 옷감 그 자체의 가격이 비싸져 버리고, 옷감 질량의 증가, 투습성의 저하, 감촉, 촉감의 악화 등 많은 단점을 생긴다.
의복은 착용함에 따라서 그 겉감 측이 기름이나 진흙의 오염 물질로 오염되어 가는데, 일본 특허 공고 평6-61909호 공보의 적층 직물의 경우, 겉감과 플라스틱 필름이 비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적층 가공되어 항상 밀착 상태로 있어 일단 겉감이 오염되면, 세탁시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액이 플라스틱 필름에 방해를 받아 겉감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단독 천이라면 용이하게 제거되는 오물도 떨어지기 어렵게 되거나, 스며든 떼가 되어 겉감과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남아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물을 떨어뜨리기 위해서 장시간 세탁을 한 경우는 의복의 마찰이촉진되어 의복 그 자체의 수명이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의복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중에, 마모, 찢어짐 등에 의한 손상이나 유행의 변화에 따라 최종적으로 수명을 맞이한다. 수명을 맞이한 의복에 대해서는 재료를 재순환하는 것이 환경 문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재순환에는 재료 재순환과 서멀 재순환이 있는데, 재료의 재순환을 위해서는, 그 재료를 분류하여 회수할 필요가 있다. 즉, 수명이 다 된 의복의 소재를 원재료로서 재순환하기 위해서는, 적층된 옷감과 플라스틱 필름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고 평6-61909호 공보의 적층 직물에서는, 안감은 처음부터 플라스틱 필름과 분리되어 있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지만, 안감보다도 질량 비율이 높은 겉감과 플라스틱 필름은 비수용성 접착제로 강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고, 그 결과 재료의 고수율 회수를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의복을 오토바이용이나 아웃도어용의 웨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방풍성뿐만 아니라 방수성도 중요한 기능이 된다. 일반적으로, 방수성 천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부 (의복의 이면)는 필링 테이프에 의해 방수 가공되지만, 일본 특허 공고 평6-61909호 공보의 적층 직물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부는 수세에 의해 안감이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박리되기 때문에 필링 가공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감촉이 부드럽고, 더구나 제조 비용이 저렴한 고기능성 적층 직물 및 의류품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의류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옷감과 플라스틱 필름 등의 내구성 필름과의 적층 직물에 대해서, 그 감촉, 내구성, 방오성, 방풍성, 방수성, 내구성, 재활용률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겉감이 되는 직물과 내구성 필름을 수용성 접착제 등의 가고정 접착제로 접착하고, 내구성 필름의 또 한쪽의 한쪽면에는 안감이 되는 직물을 비수용성 접착제 등의 내구성 접착제로 접착 가공함으로써 제작되는 적층 직물은 종래에는 생각하지 못한 효과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굵은 데니어의 섬유를 사용한 옷감이나 평량이 큰 옷감, 능직이나 격자직과 같은 조직이나 쟈가드직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보다 의장성이 높은 옷감 등은 그 표면의 요철이 크며, 이러한 옷감과 내구성 필름과의 접착을 수용성 접착제 등의 가고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가공하고, 한편, 안감과 내구성 필름과의 접착에는, 비수용성 접착제 등의 내구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 적층 직물은 이것을 재단, 봉제하여 의류품을 이룬 후, 수세 등의 후가공을 실시하여 필름과 겉감을 박리시키면, 그 겉감의 감촉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보다 유연한 감촉, 드레이프감을 갖는 의류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안감은 내구성 필름과 내구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직물이나 편물이라도, 각각의 실이 필름과 내구성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의 꼬임, 세탁 등에 따른 치수 변화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필요했던 고직밀도화나 결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후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옷감 선택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를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에 기재한 적층 직물, 의류품 및 의류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1) 내구성 필름의 한쪽면에 가고정 접착제층을 통해 겉감을 적층시키고, 또한 상기 내구성 필름의 나머지 한쪽면에 내구성 접착제층을 통해 안감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2) 상기 내구성 필름이 방수 투습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한 적층 직물.
(3) 상기 방수 투습성 필름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한 적층 직물.
(4)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골격 표면이 발수·발유제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한 적층 직물.
(5)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친수성 수지의 연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한 적층 직물.
(6) 상기 겉감의 평량이 상기 안감의 평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 직물.
(7) 상기 겉감이 직물이며, 또한 상기 안감이 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 직물.
(8) 상기 가고정 접착제가 수용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 직물.
(9)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
(10) 상기 의류품의 꿰맨 자리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필링 테이프에 의해 필링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한 의류품.
(11) 상기 의류품이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후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이 박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 또는 (10)에 기재한 의류품.
(12) 상기 가고정 접착제가 수용성 접착제이며, 상기 후처리가 수세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한 의류품.
(13) 상기 의류품이 우의 또는 방한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12)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의류품.
(14)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 직물을 재단, 봉제하여 의류품을 제작한 후, 후처리에 의해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의 제조 방법.
(15)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적층 직물을 재단, 봉제한 후, 필링 테이프에 의해 꿰맨 자리의 필링 처리를 실시하여 의류품을 제작한 후, 후처리에 의해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의 제조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의 봉합부를 필링 처리했을 때의 상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양태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은 내구성 필름, 겉감(표지), 안감(표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겉감은 상기 내구성 필름의 한쪽의 면에 가고정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시키고, 한편, 상기 안감은 상기 내구성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 내구성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의 경우, 그 겉감과 내구성 필름은 의류품으로서 실제로 사용될 때는 박리한 상태이기 때문에, 겉감에 오물이 부착되더라도, 세탁시에 세탁액이 겉감을 통과함으로써 겉감이 세정되기 때문에, 일반 의류품과 같은 레벨로 세탁에 의해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로 만들어진 의류품이 사용하여 낡게 되고 최종적으로 재료 재순환되는 경우, 겉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수율로 재료 회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은 안감이 되는 옷감의 밀도를 매우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안감과 필름이 내구성 접착제로 항상 밀착되어 있으므로 봉제부를 필링 테이프로 필링 처리함으로써 봉제에 의해 발생하는 바늘 구멍을 메워 방풍성, 방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직물(1a)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구조 설명도이다. 이 적층 직물은 겉감(1)과 내구성 필름(3)이 가고정 접착제(2)를 통해 접착 가공되어 있고, 내구성 필름(3)의 이면과 안감(5)은 내구성 접착제(4)를 통해 접착 가공된 것이다.
상기 적층 직물(1a)은 재단, 봉제되어 의류품의 형태로 가공될 때까지는, 겉감, 필름 및 안감이 각각 가고정 접착제, 내구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적층 직물은 겉감(1)과 필름(3)이 가고정 접착제(2)에 의해 가접착되어 있으므로, 겉감(1)과 필름(3)은 필요에 따라서 박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박리된 겉감(1)은 필름(3)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그 감촉, 드레이프성이 필름(3)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겉감 자체의 감촉, 드레이프성이 유지되고 있다.
상기 적층 직물은 재단·봉제까지의 공정을 적층 직물로서 일체 상태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겉감, 안감을 따로따로 재단하고, 이들의 파트끼리를 맞춰 봉제하는 방법보다도 간편한 방법으로 의류품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적층 직물은 그 필름(3)이 내구성 접착제(4)에 의해 안감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 인열 등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응력에 대하여 높은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의 봉제부를 필링 가공한 것의 단면 구조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적층 직물(1a)의 단부의 접음 부분이겉감면끼리를 서로 겹친 상태로 봉제부(7)에 의해 재봉되어 있고, 적층 직물(1a)의 접음 부분의 내측(안감측)은 필링 테이프(6)에 의해 봉제부 및 적층 직물의 단부가 커버되도록 필링 처리되어 있다. 그 결과, 봉제 부분에 뚫린 바늘 구멍으로부터의 물방울이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방풍성,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하는 내구성 필름은 통상의 사용 조건하에서는 변질이나 파손을 용이하게 일으키지 않는 필름이다. 일반적으로는, 고분자 필름이 사용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 필름이나 금속과 고분자 필름과의 복합 필름 등을 사용할 수도 있어 적층 직물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상기 고분자 필름에 있어서, 그 두께는 적층 직물의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는데, 통상 5∼500 ㎛이며, 적층 직물을 의류품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5∼300 ㎛, 바람직하게는 10∼100 ㎛이다.
고분자 필름의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된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불소 함유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그 내부에 충전제, 난연화제, 착색제, 소취제, 항균제, 도전제, 산화방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그 필름은 통기성이나 투습성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을 방수 투습성의 의류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 함유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수 투습성 필름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이 방수성과 투습성 및 그 내구성이 우수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최대 세공 직경은 0.01∼10 ㎛, 바람직하게는 0.1∼1 ㎛이다. 상기 최대 세공 직경이 0.01 ㎛보다도 작으면 막 제조상의 곤란함이 있고, 반대로 10 ㎛을 넘으면, 필름의 내수도가 저하되고, 필름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적층 등의 후속 공정에서의 취급이 곤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공극율은 50∼98%, 바람직하게는 60∼95%이다. 한편, 최대 세공 직경의 측정 방법은 ASTM F-316의 규정, 공극율의 측정 방법은 JIS K 6885의 겉보기 밀도 측정에 준하여 측정한 겉보기 밀도(ρ)로부터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하여 구한 것이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공극율이 50%보다도 작으면 투습성이 낮아지고, 반대로 98%를 넘으면 막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5∼300 ㎛, 바람직하게는 10∼100 ㎛가 적당하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두께가 5 ㎛보다 얇으면 제조시의 취급성에 문제가 생기고, 300 ㎛를 넘으면 필름의 유연성이 손상되는 동시에 투습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필름의 두께 측정은 다이알 게이지로 측정한 평균 두께 (테크록사 제조 1/1000 ㎜ 다이알 시크니스 게이지를 사용하여 본체 스프링 하중 이외의 하중을 걸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함)에 의한다.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은 그 세공내 표면에 발수성 및 발유성 중합체를 피복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중합체로서는, 불소 함유 측쇄를 갖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 및 그것을 다공질 필름에 복합화하는 방법의 상세한 점에 대해서는 WO94/22928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일례를 하기에 나타낸다.
피복용 중합체로서는, 하기 화학식 1의 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플루오로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얻은 불소 함유 중합체(불소화 알킬 부분은 6∼16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n은 3∼13의 정수이고, R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이 중합체를 사용하여 다공질 필름의 세공내를 피복하기 위해서는, 이 중합체의 수성 마이크로에멀젼 (평균 입경 0.01∼0.5 ㎛)을 불소 함유 계면활성제 (예, 암모늄퍼플루오로옥타노에이트)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그것을 다공질 필름의 세공내에 함침시킨 후, 가열한다. 이에 따라, 물과 불소화 계면활성제가 제거되는 동시에, 불소 함유 중합체가 용융되어 다공질 필름의 세공내 표면을 피복하고, 또한 연속 구멍을유지한, 발수성·발유성이 우수한 다공질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타의 중합체로서, 「AF 중합체」(듀퐁사의 상품명)나, 「사이톱」(아사히 글래스사의 상품명)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를 고분자 다공질 필름의 세공내 표면에 피복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플로리나이트」(3M사의 상품명) 등의 불활성 용제에 이들 중합체를 용해시켜 고분자 다공질 필름에 함침시킨 후, 용제를 증발 제거하면 된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세공내 표면을 상기 유기 중합체로 피복함으로써 그 다공질 필름이 여러 가지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 오염물이 다공질 필름의 내부에 침투하기 어렵게 되고, 다공질 필름의 소수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은 그 한쪽의 면에 친수성 수지 피막을 형성한 복합막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수지로서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아미노산기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고분자 재료로서, 수팽윤성이며 또한 수불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일부가 가교된, 폴리비닐알콜, 초산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중합체나,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는데, 내열성, 내약품성, 가공성, 투습도 등을 고려하면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설폰기, 옥시에틸렌기 등의 친수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에테르계의 폴리우레탄이나 예비중합체가 사용되며, 수지로서의 융점(연화점)을 조정하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류, 이들의 부가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인 예비중합체에 대해서는 2관능 이상의 디올류, 트리올류나 디아민류, 트리아민류를 경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투습성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2관능이 3관능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다공 구조에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친수성 수지를 함침 첨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용제에 의한 용액화, 가열에 의한 융액화를 실시하여 도포액을 만들고, 그것을 롤코터 등으로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에 도포한다. 함침 첨착시키는 데 알맞은 도포액의 점도는 도포 온도에서 20,000 cp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cps 이하이다. 용제에 의한 용액화를 실시한 경우는, 그 용제 조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점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면 도포후, 용액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전체에 확산되고, 전체가 친수성이 되어 방수성에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500 cps 이상의 점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의 측정은, 도오키산교사 제조의 B형 점도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식으로 제작된 복합막은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적어도 한쪽면에 형성된 친수성 수지층에 의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이 체지 또는 기계유, 음료 등의 여러 가지 오염물에 의해 친수화되는 것을 막을 있고, 게다가, 필름의 기계적 강도도 향상시키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에 사용되는 겉감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 직물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겉감의 재료도,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 금속 섬유, 세라믹스 섬유 등이 적절하게 사용되며, 특별히 제약되지 않는다.
상기 겉감은 직포나 편포, 네트 등일 수 있고, 그 외에, 부직포, 펠트 등이라도 좋다. 적층 직물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상기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폴리플루오로카본계, 폴리아크릴계 등의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천연 섬유로서는, 면, 마, 짐승의 털, 견 등의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미관과 강도, 내구성, 비용의 관점에서, 면, 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포가 더욱 바람직하다.
겉감은 가고정 접착제에 의해 필름과 적층 가공한 후,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 필름으로부터 독립된 단독의 옷감으로서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세탁 등의 부하에 의해 결 꼬임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옷감일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세탁에 의한 결꼬임이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 옷감의 평량과 관계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겉감으로서는, 40∼400 g/㎡의 평량을 갖는 옷감이 바람직하고, 60 g/㎡ 이상의 옷감이 보다 바람직하다. 옷감의 평량이 40 g/㎡ 미만이면,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 결꼬임이 발생하거나, 마모 내구성이 부족하여 의류품이 되었을 때에 문제점을 일으킨다. 또한, 400 g/㎡을 넘는 평량에서는 적층 직물의 경량성을 잃고, 또 감촉도 딱딱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겉감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된 발수 처리, 제전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에 사용되는 안감으로서는, 상기 겉감의 경우와 같은 식의 소재가 적절하게 사용되지만, 의류품의 경우는, 특히 편포(編布)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의류품의 경우, 안감은 피부측에 접하는 면에 사용되기 때문에, 겉감과 같이 외관을 그다지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점과, 의류품을 우의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링 테이프를 접착 또는 융착할 때, 접착면인 안감 면에는 결이 거친 소재를 사용한 쪽이 필링 테이프의 시일성이 향상됨으로써 직포 등과 비교하여 결이 거친 편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편포를 사용한 경우에는, 직포 등과 비교하여 적층 직물을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이 저렴하다는 메리트도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에 있어서, 내구성 필름과 겉감을 가고정(가접착)하기 위한 가고정 접착제로서는, 접착후에 양자를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되며, 종래 공지된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물에 의해서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 가열에 의해서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 자외선에 의해서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적층 직물을 의류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물에 의해서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수용성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수용성 접착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성 비닐우레탄계, 전분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접착제를 필름에 도포하는 경우의접착제 점도는 필름에 코팅할 수 있는 범위의 점도면 되며, 통상 실온에서의 점도로, 500 cps∼5,000 cps, 바람직하게는 2,000 cps 부근이다. 실온에서 5,000 cps 이상의 점도라도, 도포 온도를 올림(가열함)으로써 도포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접착제의 고형분으로서는, 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건조후의 고형분이 5 중량% 미만이면, 겉감과 필름의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적층품의 취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재단 등의 가공을 실시할 때 겉감이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면, 그 후의 봉제 공정에서 봉제 가공을 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접착제에는, 첨가제로서 계면활성제, 점착제, 증점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특히, 소수성이 높은 고분자 필름이나 겉감으로의 접착에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접착제에 계면활성제나 점착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고분자 접착제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키거나, 기재로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증점제는 상기 적성 점도에 접착제 점도를 컨트롤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에 있어서 내구성 필름과 안감과의 사이의 접착에 사용하는 내구성 접착제로서는, 통상의 사용 조건에서는 용이하게 접착 강도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면 되며, 종래 공지의 각종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비수용성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비수용성 접착제에는 열가소성 수지 외에, 열이나 빛 등에 의해서 경화되는 경화성 수지가 포함된다.
비수용성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부타디엔계, 고무계,폴리올레핀계 등의 각종 수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서는 특히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의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란, 상온에서 고체형이며,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저점도의 액체가 되지만, 이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또는 더욱 승온시킴으로써 경화 반응을 일으켜 고점도의 액체 내지 고화물로 되는 접착제이다. 이 경우, 가열에 의해 용융했을 때, 즉 안감에 대해 도포하기 이전의 용융액의 점도는 500∼30,000 cps, 바람직하게는 500∼3,000 cps이며, 한편, 그 용융액이 고점도화했을 때, 즉, 그 용융액을 사용하여 필름과 안감을 적층한 시점에서의 용융액의 점도는 500∼20,000 cps, 바람직하게는 10,000 cps 이상이다.
한편, 상기 용융액의 경화 반응은 경화 촉매나 경화제, 수분의 존재하에서 진행한다.
상기한 경화 반응형 접착제는 이미 알려져 있다. 그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습기 (수분)에 의해 경화 반응을 일으키는 우레탄 예비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I)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의 폴리올 성분과, (II)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비스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계의 디이소시아네이트나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이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그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지니고, 습기의 존재하에서 경화 반응을 일으킨다. 이 우레탄 예비중합체에 있어서, 그 용융 온도는 실온보다 약간 높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150℃이다. 이러한 우레탄 예비중합체는, 예컨대 일본 엔에스씨사에서 상품명 「본드마스터」로서 입수할 수 있다. 이 중합체는 70℃∼150℃로 가열함으로써 기재에 대하여 도포 가공이 가능한 점도의 용융액이 되고, 이 용융액을 사용하여 겉감과 고분자 필름을 접합시킨 후, 실온 정도로 냉각함으로써 반고체형이 되고, 접착제의 옷감으로의 지나친 침투 확산이 방지되고, 더구나 습기 경화함으로써 부드럽고 강고한 접착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구성 필름과 안감과의 접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 내구성이 있는 방법이면 되며, 안감 및/또는 내구성 필름을 열에 의해 녹여 열융착시키더라도 좋다.
필름과 겉감을 가고정(가접착)시키는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 예컨대, 롤법, 스프레이법, 솔질법 등이 사용된다.
필름과 겉감과의 가접착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필름에 그라비아 패턴을 실시한 롤로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겉감을 맞춰 롤로 압착하고, 계속해서 가열 건조하는 방법, 필름에 수용성 접착제를 스프레이하고, 그 위에 겉감을 맞춰 롤로 압착하고, 계속해서 가열 건조하는 방법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고정 접착제의 전사량(도포량)은 겉감의 요철, 접착성에 관한 친수성·소수성의 특성, 접착제의 표면 장력, 점도 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하지만, 통상 5∼100 g/㎡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g/㎡이다. 가고정 접착제의 전사량이 5 g/㎡ 미만이면 접착력이 부족하고, 100 g/㎡를 넘으면, 겉감으로부터 접착제가 스며 나와 접착제가 가공 장치의 롤에 부착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도포량이 많은 것은 재료비의 상승으로도 이어진다.
필름과 안감을 내구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각종 방법, 예컨대, 롤법, 스프레이법, 솔질법 등이 사용된다.
필름과 안감과의 내구 접착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필름에 그라비아 패턴을 실시한 롤로 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안감을 맞춰 롤로 압착하는 방법, 필름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스프레이하고, 그 위에 안감을 맞춰 롤로 압착하는 방법등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름과 안감을 열융착하는 경우는, 필름과 안감을 맞춘 상태에서 히트롤에 의해 열융착하는 히트롤법이나 프레임 본딩법 등,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적층 직물에 있어서의 안감과 필름의 접착 가공에 대해서는, 감촉, 접착력, 수율 등의 관점에서, 그라비아 패턴을 실시한 롤로 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안감을 맞춰 롤로 압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안감과 필름을 적층 접착시키는 경우, 안감과 필름과의 접착은 점형 접착이나 선형 접착 등의 부분 접착이며, 그 접착 면적은 10∼95%, 바람직하게는 15∼50%이다. 또, 접착제의 전사량은 안감 표면의 요철, 섬유의 밀도, 접착성,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화해야 하는데, 2∼50 g/㎡, 바람직하게는 5∼20 g/㎡이다. 전사량이 50 g/㎡를 넘으면 적층 직물의 감촉이 지나치게 딱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2 g/㎡ 미만이면 접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세탁에 견딜 수 있을 수 있을 만큼의 내구성을 얻지 못한다.
상기 안감과 필름 사이의 접착 내구성의 평가는 일반 세탁기를 사용하여 반복 세탁함으로써 직물에 생긴 박리 등의 결점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름과 안감과의 적층 직물의 접착 내구성은 ISO 6330에 기재한 B 타입 가정용 세탁기, Kenmore Model 110.20912 (시얼스 로벅 앤 컴파니 제조)를 사용하여, 욕비 1/60, 욕 온도 45℃ 이하, Heavy-Duty 모드에서 세제를 첨가하지 않은 수돗물을 사용하여 연속 교반 세탁을 했을 때, 눈으로 확인하여 박리가 생기기까지의 시간수가 50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시간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적층 직물을 제작하는 순서로서는, 겉감과 필름을 가고정 접착제로 적층 가공하고, 이어서 얻은 필름과 겉감과의 적층 직물에 대하여 안감을 내구성 접착제로 적층 가공하는 방법이나, 안감과 필름을 내구성 접착제로 적층 가공하고, 이어서, 얻은 필름과 안감의 적층 직물을 겉감과 가고정 접착제로 적층 가공하는 방법 어느 것이라도 좋다. 가고정 접착제로서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수분 제거를 위해 가열하기 때문에, 내구성 접착제가 우레탄계의 습기 경화 핫멜트형 접착제이며, 미경화의 상태 등이었던 경우는 열의 영향을 고려해 두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은 각종 의류품용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을 사용하여 의류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재단, 봉제 공정을 포함하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의류품이 방수성이나 방풍성이 요구되는 우의나 방한의인 경우에는, 의류품의 꿰맨 자리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링 테이프에 의해 필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끼리를 재봉시키는 경우, 그 재봉에는 재봉틀 등을 사용한 봉제 가공을 행한다. 봉제사는 면, 견, 마,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폴리노직, 폴리우레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어느 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좋지만, 강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의 굵기는 재봉하는 옷감의 두께와 요구되는 제품 강도에 따라 조정해야 하는데, 일례로서는 겉감 (78 데시텍스의 나일론 타프타)의 한쪽면에 가고정 접착제로 연신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적층 가공하고, 또한, 안감 (25 데시텍스의 나일론 트리코트)을 내구성 접착제로 적층 가공한 구조의 옷감을 재봉하는 경우, 233 데시텍스의 봉제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 방법은 1라인 또는 복수의 실을 사용하여 재봉한다. 스티치 형식으로서는, 본 바느질, 단환 바느질, 이중환 바느질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직선형, 곡선형, 지그재그형 등으로 봉제 가공한다.
상기 필링 테이프로서는, 고융점 수지의 표피와 저융점의 접착 수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융점 수지의 표면에는 니트나 메쉬 등을 적층 가공한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고융점 수지에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 저융점 수지에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사용한 SAN CHEMICAL사 제조의 T-2000, FU-700과 같은 상품, 닛신보이세키사 제조의 MF-12T, MF-12T2, MF-102F와 같은 상품, 고융점 수지에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필름, 저융점의 접착 수지에 폴리우레탄 핫멜트를 사용한, 쟈판고아텍스사 제조의 GORE-SEAMTAPE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링 테이프의 핫멜트 부분의 수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40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200 ㎛이다. 핫멜트층이 25 ㎛ 미만이면 수지의 절대량이 지나치게 적고, 안감끼리 및 재봉부 실의 요철부를 충분한 접착 강도로 접착할 수 없다. 한편, 핫멜트층이 400 ㎛을 넘는 두께가 되면, 테이프를 열압착할 때, 충분히 용해될 때까지 시간이 걸려 가공성이 저하된다. 또한, 열압착 시간을 단축하면, 시트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 접착 가공후의 필링부의 감촉이 딱딱하게 되어 예컨대 의류에 적용한 경우, 필링부에서 단단한 느낌이 나 버린다.
이들 필링 테이프는 테이프의 핫멜트 측에 열풍을 가하여 수지를 용융시킨 상태에서 비접착체에 가압 롤로 압착 적층하는 기존의 핫에어 실러로 융착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쿠인라이트덴코세이코사 제조의 쿠인라이트 Model QHP-805 또는, 더블유. 엘. 고어 앤 어쏘시에이츠사 제조의 MODEL 5000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짧은 재봉부를 보다 간편히 융착 가공하기 위해서는, 시판되는 다리미로 필링 가공을 하더라도 좋다. 이 때는 테이프를 재봉부에 겹친 상태에서 그 위부터 열을 가한다.
상기 필링 테이프의 열압착 조건은, 테이프에 사용되는 핫멜트의 융점, 방수 옷감의 두께, 재질, 융착 스피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그 필링 테이프의 열압착의 일례를 들면, 겉감 (78 데시텍스의 나일론 타프타)의 한쪽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을 적층 가공하고, 또한, 안감 (25 데시텍스의 나일론 트리코트 니트)을 비수용성 접착제로 적층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직물에 있어서, 그 나일론 트리코트면끼리를 상기 필링 테이프로 열압착하는 경우, 필링 테이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핫멜트, 유동치가 180℃에서 40∼200×10-3㎤/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3㎤/s, 두께가 25∼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 ㎛)를 핫에어 실러에 장착하고, 핫멜트 수지의 표면 온도가 150℃∼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가 되도록 설정하여 열압착한다. 이어서, 그대로 가열 부분이 실온으로 되돌아갈 때까지 방냉하여 열압착을 완료시킨다. 핫멜트의 유동치는 지나치게 낮으면 접착력이 부족하고, 지나치게 높으면 봉제 구멍으로부터 수지가 배어나와 감압 롤 등에 부착되어 버린다. 또한 핫멜트 수지의 표면 온도는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히 융해되지 않아 접착력 부족을 일으키고, 너무 높으면 유동성이 높아져 재봉부로부터 수지가 배어나오는 문제가 발생하는 동시에, 핫멜트 수지 자체가 열분해를 일으켜 접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의류품은, 그 의류품의 제작후, 그 내구 필름과 겉감 사이를 박리시키기 위해서 후처리를 한다. 이 경우, 그 후처리는 필름과 겉감 사이를 가접착하고 있는 가고정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실시하면 된다. 예컨대, 그 가고정 접착제가 물의 작용에 의해 그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라면, 물로 세정하면 되고, 열의 작용에 의해 그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라면, 열처리하면 되며, 자외선의 작용에 의해 그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라면, 자외선 처리하면 된다.
가고정 접착제로서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 적층 직물로 이루어지는 의류품의 경우, 그 후처리는, 일반적인 수계의 세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세탁 공정이 제조 단계에 포함되는 진을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세탁 공정을 그대로 필름과 겉감과의 박리 공정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그 수용성 접착제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 물에 호발제(糊拔劑) 등의 세정 첨가제를 가하더라도 좋다. 또한, 효소 표백, 스톤워시와 같은 공정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류품에는 각종 형상의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장갑, 상의, 하의, 모자, 양말, 스팻, 목도리, 천기저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은, 의류품용 소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 외에, 커튼지나, 이불, 시트, 침낭, 텐트, 각종 커버용 소재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방수 투습성의 내구성 필름으로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33 g/㎡인 연신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 (공극율 80%, 최대 세공 직경 0.2 ㎛, 평균 두께 30 ㎛)과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의 복합막의 폴리우레탄 막면에, 표면 커버율 45%의 그라비아 롤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산와유시사 제조, 포팔 세탁풀)에 계면활성제(메이세이가가쿠사 제조, AG 스타빌라이저S) 0.1 중량%를 혼합한 액(수용성 접착제)를 18 g/㎡의 전사량으로 실온에서 전사한 후, 그 표면에 겉감으로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170 g/㎡, 밀도가 종, 횡 각각 174 라인/인치, 94 라인/인치, 섬도가 종, 횡 각각 56 데시텍스, 71 데시텍스인 폴리에스테르 평직 옷감을 롤로 압착하고, 110℃로 가열한 열풍 오븐에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으로부터 수분을 증발시켜 접착 가공하였다. 또한, 이 겉감을 적층한 복합막의 또 한쪽의 한쪽면에는 비수용성 접착제인 우레탄계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일본 엔에스씨사 제조, 본드마스터, 170-7254)를 사용하여 접착제 온도를 120℃로 하고, 접착제 전사량이 5 g/㎡가 되도록 필름 위에 그 용융액을 점형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단위면적당 질량이 33 g/㎡, 25 데시텍스의 나일론 트리코트 니트를 겹쳐 롤로 압착함으로써 적층 가공하였다. 얻은 적층물은 60℃, 80% RH의 항온 고습 챔버에 24 시간 방치하여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와 같은 식으로 적층 직물(1)을 얻었다. 이것은 가위나 커터 나이프로 재단하는 경우에도 박리를 일으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었다. 또한, 재단 조각끼리의 재봉틀에 의한 봉제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내구성 필름으로의 수용성 접착제의 전사량을 12 g/㎡로 하고, 겉감에 단위면적당 질량이 67 g/㎡, 밀도가 종, 횡 각각 120 라인/인치, 88 라인/인치, 섬도가 종, 횡 각각 78 데시텍스인 나일론 평직 옷감을 사용하며, 그 밖의 재료, 가공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적층 직물(2)을 작성하였다. 얻은 적층 직물(2)은 가위나 커터 나이프로 재단하는 경우에도 박리를 일으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었다. 또한, 재단 조각끼리의 재봉틀에 의한 봉제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내구성 필름으로의 수용성 접착제의 전사량을 12 g/㎡로 하고, 겉감에 단위면적당 질량이 52 g/㎡, 밀도가 종, 횡 각각 153 라인/인치, 122 라인/인치, 섬도가 종, 횡 각각 44 데시텍스인 나일론 평직 옷감을 사용하며, 그 밖의 재료, 가공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적층 직물(3)을 작성하였다. 얻은 적층 직물(3)은 가위나 커터 나이프로 재단하는 경우에도 박리를 일으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었다. 또한, 재단 조각끼리의 재봉틀에 의한 봉제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우레탄계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의 전사량을 10 g/㎡로 하고, 안감으로서 단위면적당 질량이 67 g/㎡, 밀도가 종, 횡 각각 120 라인/인치, 88 라인/인치, 섬도가 종, 횡 각각 78 데시텍스인 나일론 평직 옷감을 사용하였다. 그 밖의 재료, 가공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적층 직물(4)을 작성하였다. 얻은 적층 직물(4)은 가위나 커터 나이프로 재단하는 경우에도 박리를 일으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었다. 또한, 재단 조각끼리의 재봉틀에 의한 봉제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겉감, 내구성 필름, 안감을 사용하고, 겉감과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비수용성 접착제인 우레탄계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고 (전사량은 18 g/㎡, 커버율 45%), 안감이 되는 니트와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용성 접착제(10 g/㎡)를 사용하여 적층 직물(11)을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겉감, 내구성 필름, 안감을 사용하고, 겉감과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비수용성 접착제인 우레탄계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고 (전사량은 10 g/㎡, 커버율 45%), 안감이 되는 니트와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용성 접착제(10 g/㎡)를 사용하여 적층 직물(12)을 얻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겉감, 내구성 필름, 안감을 사용하고, 겉감과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비수용성 접착제인 우레탄계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전사량은 8 g/㎡, 커버율 40%)하고, 안감이 되는 니트와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용성 접착제(10 g/㎡)를 사용하여 적층 직물(13)을 얻었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내구성 필름으로의 수용성 접착제의 전사량을 10 g/㎡로 하고, 겉감에 단위면적당 질량이 39 g/㎡, 밀도가 종, 횡 각각 140 라인/인치, 133 라인/인치, 섬도가 종, 횡 각각 33 데시텍스인 나일론 평직 옷감을 사용하고, 그 밖의 재료, 가공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적층 직물(14)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겉감, 내구성 필름, 안감을 사용하고, 겉감과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비수용성 접착제인 우레탄계 경화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고 (전사량은 10 g/㎡, 커버율 45%), 안감이 되는 옷감과 내구성 필름의 접착에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수용성 접착제(10 g/㎡)를 사용하여 적층 직물(15)을 얻었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겉감, 내구성 필름, 안감을 사용하고, 안감의 접착에서 비수용성 접착제의 전사량을 5 g/㎡로 하고, 그 밖의 재료, 가공 방법은 실시예 4와 동일한 적층 직물(16)을 작성하였다.
성상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에서 얻은 각 적층 직물에 관해서, 그 성상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절단성 및 봉제성
각 적층 직물은 모두 가위나 커터 나이프로 겉감, 내구성 필름, 안감이 각각 박리되지 않고서 일체로 절단할 수 있었다. 또한, 재단 조각끼리의 재봉틀에 의한 봉제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2) 직물 평량
각 적층 직물의 질량 중, 수용성 접착제의 질량을 뺀 값을 직물 평량으로서 산출하였다.
(3) 감촉 시험
전처리
각 적층 직물을 20 cm 사방의 정방형으로 자르고, 외주를 재봉틀로 봉제하고, 가정용 전자동 세탁기(내셔널사 제조, NA-F70PX1)로 수돗물(세제를 포함하지 않음)을 사용한 자동 운전에 의해 세탁 처리하고, 실온에서 널어 건조하여 시료를 작성하였다.
감촉치
상기 전처리한 각 시료의 감촉에 관련한 물리 특성에 대해서, 굽힘 특성의 평가를 순수 굽힘 시험기(KATO TECH사 제조, KES-FB2, PURE BENDING TESTER)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손에 닿는 느낌
상기 전처리한 각 시료를 각각 손에 닿는 느낌으로 감촉의 순위를 붙였다. 순위 붙임은 대략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 대단히 유연하다.
○ : 약간 유연하다.
△ : 약간 강직이다.
× : 대단히 강직이다.
(4) 세탁후의 결꼬임 상태
각 적층 직물을 35 cm×70 cm의 장방형으로 잘라, 풀림 방지를 위해 외주를 재봉틀로 봉제하고, 가정용 전자동 세탁기(내셔널사 제조, NA-F70PX1)로 수돗물(세제를 포함하지 않음)을 사용한 자동 운전에 의해 세탁 처리하고, 실온에서 널어 건조하였다. 건조한 시료의 겉감, 안감을 관찰하고, 결꼬임 등의 외관 이상이 없는지 눈으로 확인함으로 체크하였다. 외관 체크는 상기 세탁 사이클을 10회 수행한 후에 널어 건조한 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안의 숫자는 눈으로 확인함으로 발견된 손상 부위수를 나타낸다. 또, 전면에 손상이 있었던 것에 대해서는 다수라 표기하였다.
(5) 오염 제거성 시험
각 적층 직물을 38 cm 사방의 정방형으로 자르고, 외주를 재봉틀로 봉제하고, 가정용 전자동 세탁기(내셔널사 제조, NA-F70PX1)로 수돗물(세제를 포함하지 않음)을 사용한 자동 운전에 의해 세탁 처리하고, 실온에서 널어 건조하여 오염 제거 시험용의 시료를 작성하였다. 이 옷감의 표면의 중앙에 미네랄 오일(간토가가쿠사 제조) 0.2 ㎖를 적하하고, 그 위에 글라신 페이퍼(니혼세이시사 제조, 엷은 백색 글라신)를 얹고, 또한 그 위에 직경 6.4 cm, 2,268 g의 철제 추를 얹고, 60초 경과한 후, 추를 없애고 오염 시료를 작성하였다.
이 오염 시료를 상기 가정용 전자동 세탁기로 오염 시료와 부하 천 [JIS L0803에 규정하는 3호(면)]이 1.8 kg이 되도록 조정하고, 가정용 세탁 세제(카오사 제조, 어택)를 20 g 투입하여 전자동 모드로 1회 세탁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널어 건조하였다. 얻은 시료의 오염 제거 상황을 AATCC TEST METHOD 130-1981 [SOIL REREASE : OILY STAIN REREASE METHOD의 STAIN REREASE REPLICA]와 눈으로 확인하여 비교하여 5 단계로 클래스를 나눴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수치는 5가오염 제거성이 가장 우수하고, 반대로 1이 가장 열악한 것을 나타낸다.
(6) 재순환율
각 적층 직물의 질량 중, 수용성 접착제의 질량을 뺀 값(직물 평량)에 대한, 박리 가능한 옷감의 질량 비율을 계산하여, 재순환율로 하였다. 얻은 계산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7) 세탁 내구성
각 적층 직물을 35 cm×70 c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 풀림 방지를 위해 외주를 재봉틀로 봉제하고, ISO 6330에 기재된 B 타입 가정용 세탁기, Kenmore Model 110.20912(SEARS ROEBUCK AND CO사 제조)를 사용하여, 욕비 1/60, 욕온도 45℃ 이하, Heavy-Duty 모드로 세제를 첨가하지 않은 수돗물을 사용하여 50시간 연속 교반 세탁을 했을 때,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비수용성 접착제를 통해 적층 가공한 필름과 겉감 또는 안감에 박리가 생기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박리가 없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8) 필링부의 방수성 시험
각 적층 직물을 도 2와 같이 봉합하고, 또한 시판되는 필링 테이프(선케미컬사 제조, T-2000)에 의해 재봉부를 필링 가공하였다. 필링 가공한 부분을, 상기 전자동 세탁기로 수돗물(세제를 포함하지 않음)을 사용한 자동 운전에 의해 1회 세탁 처리하고, 실온에서 널어 건조하여 필링부의 방수성 시험에 사용하였다. 방수성 시험은 JIS L 1092A법(저수압법)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그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평가 결과
직물 평량
표 1로부터, 실시예 2와 비교예 2는 각각 평량이 138 g/㎡, 143 g/㎡로, 실질적으로 거의 같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2에서는, 경량인 안감의 니트가 세탁에 의해 결꼬임을 일으키기 때문에, 실제로는 사용할 수 없다. 한편 비교예 5에서는, 비교예 2와 같은 안감의 결꼬임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평량은 177 g/㎡가 되어 실시예 2와 비교하면 3할 가까이 무거운 옷감으로 되어 버린다.
감촉
표 1로부터, 실시예의 적층 직물로부터 얻은 물성은 겉감, 안감이 모두 동일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경우, 굽힘 모멘트가 비교예를 100으로 한 경우, 20%∼50% 저하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감촉이 유연한 적층 직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표 1로부터 상기 굽힘 모멘트와 같은 결과가 손에 닿는 느낌에의한 감촉 평가로부터도 얻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탁후의 결꼬임 상태
표 1로부터, 세탁후의 결꼬임은 보다 경량인 옷감일수록 일어나기 쉽고, 비수용성 접착제로 적층되어 있지 않은 33 데시텍스의 옷감이 세탁된 경우 (비교예 4), 10회의 가정 세탁에 의해 옷감에 4곳의 손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비수용성 접착제로 적층되어 있지 않은 25 데시텍스의 나일론 트리코트 니트가 세탁된 경우 (비교예 1∼3), 세탁에 의해 니트에 다수의 손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세탁후의 결꼬임은 겉감의 경우 적어도 33 데시텍스보다도 큰, 예컨대 44 데시텍스의 옷감이라면 옷감의 손상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안감의 경우는, 비수용성 접착제로 적층되어 있으면 안감의 손상은 개선되기 때문에, 안감의 사용에 특별히 제한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오염 제거성
표 1로부터, 겉감이 내구성 필름과 겹쳐져 있을 뿐인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직물은 동일한 종류의 겉감이 비수용성 접착제로 내구성 필름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직물과 비교하여 오염 제거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에서는 오염 제거성의 클래스가 4인데 대하여, 비교예 2에서는 클래스 3이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클래스 3인데 대하여, 비교예 3에서는 클래스 2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경우, 겉감이 내구성 필름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세탁되기 때문에, 세탁액이 겉감을 용이하게 통과함으로써 오염 제거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재순환율
표 1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에서의 재료 재순환이 가능한 옷감 비율이 나타나 있다. 이것을 보면, 동일한 겉감과 안감으로 구성되는 적층 직물끼리 비교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직물은 모두 재순환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재순환율 약 70%인데 대하여, 비교예 1에서는 약 13%이어서 재순환 가능한 질량 비율이 크게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겉감의 평량이 저하됨에 따라 그 차는 작아지지만, 77 데시텍스의 겉감이라도, 그 재순환율은 약 2배가 되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재순환율이 대폭 향상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세탁후 박리 상태
표 1에 50 시간 세탁후의 직물의 박리 상태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는, 안감의 접착에 비수용성 접착제를 10 g/㎡ 사용하여 합격이지만, 비교예 6에서는, 비수용성 접착제의 사용량이 5 g/㎡이기 때문에, 접착 내구성이 부족하여 실패이다.
필링부의 방수성
표 2에, 실시예 1∼3 및 비교예 5의 적층 직물로 작성한 필링부의 방수성 시험 결과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에서는 어느 쪽의 적층 직물도 20 ㎪ 이상의 내수도를 갖고 있고, 방수성은 양호하지만, 비교예 5에서는 5 ㎪에서 누수가 보여 방수성이 불량이다. 이것은, 안감의 밀도가 높고, 필링 테이프의 접착제가 충분히 안감 속까지 침투하지 않고, 내구성 필름과의 간극을 물이 통과해 버리기 때문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은 겉감과 내구성 필름이 가고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또한 내구성 필름의 또 한 쪽의 한쪽면이 내구성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구조를 지님으로써, 다음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1) 내구성 접착제의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경량성이 우수하고, 또한 겉감의 감촉을 변화시키는 일없이 유연성이 우수하다.
(2) 안감이 내구성 필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의 안감을 사용하더라도 세탁 등에 의한 옷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감이 되는 옷감의 선택 폭이 넓어진다.
(3) 겉감이 내구성 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세탁되기 때문에, 오염 제거성이 우수하다.
(4) 겉감이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 재순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우수한 효과를 갖는 의류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내구성 필름의 한쪽면에 가고정 접착제층을 통해 겉감을 적층시키고, 또한 상기 내구성 필름의 나머지 한쪽면에 내구성 접착제층을 통해 안감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구성 필름이 방수 투습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투습성 필름이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골격 표면이 발수·발유제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친수성 수지의 연속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의 평량이 상기 안감의 평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이 직물이고, 또한 상기 안감이 편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접착제가 수용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직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적층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품의 꿰맨 자리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필링 테이프에 의해 필링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품이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후처리가 실시되어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이 박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접착제가 수용성 접착제이며, 상기 후처리가 수세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품이 우의 또는 방한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적층 직물을 재단, 봉제하여 의류품을 제작한 후,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을 박리시키는 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의 제조 방법.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한 적층 직물을 재단, 봉제한 후, 필링 테이프에 의해 꿰맨 자리의 필링 처리를 실시하여 의류품을 제작한 후, 상기 겉감과 상기 내구성 필름을 박리시키는 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품의 제조 방법.
KR1020047012671A 2002-02-14 2003-02-14 적층 직물 KR100725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7147 2002-02-14
JP2002037147A JP4015434B2 (ja) 2002-02-14 2002-02-14 積層布帛
PCT/JP2003/001566 WO2003068495A1 (fr) 2002-02-14 2003-02-14 Tissu contreco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195A true KR20040085195A (ko) 2004-10-07
KR100725077B1 KR100725077B1 (ko) 2007-06-08

Family

ID=2767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671A KR100725077B1 (ko) 2002-02-14 2003-02-14 적층 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20050208854A1 (ko)
EP (1) EP1486323B1 (ko)
JP (1) JP4015434B2 (ko)
KR (1) KR100725077B1 (ko)
CN (1) CN100486803C (ko)
AU (1) AU2003211994A1 (ko)
CA (1) CA2476487C (ko)
WO (1) WO2003068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3991B2 (ja) * 2004-02-26 2013-02-27 日本ゴア株式会社 防水透湿性複合フィルムおよび防水透湿性複合生地
JP4007994B2 (ja) * 2005-03-10 2007-11-14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繊維製品
US7344619B2 (en) * 2005-05-25 2008-03-18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Method of making water repellent laminates
US20080092980A1 (en) * 2005-08-26 2008-04-24 Bryan Wilson Seam for papermachine clothing
JP4837346B2 (ja) * 2005-09-20 2011-12-14 日本ゴア株式会社 目止め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5154045B2 (ja) 2006-09-14 2013-02-27 日本ゴア株式会社 耐摩耗性に優れた布帛、複合布帛、および、繊維製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IT1390970B1 (it) * 2008-07-28 2011-10-27 Fra-Ser S P A Nastro per la termosaldatura
US9241853B2 (en) * 2009-04-23 2016-01-26 Tamarack Habilitation Technologies, Inc. Multiple ply managed friction material surface with smooth bonded seams
CN102083618B (zh) * 2009-06-01 2015-04-08 东洋纺高机能制品贸易株式会社 透湿防水性布料及其制备方法
US8454571B2 (en) 2009-06-04 2013-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frangible bonding agent
US8753467B2 (en) 2009-06-04 2014-06-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intaining a fastener in a folded configuration
US20100313340A1 (en) * 2009-06-12 2010-12-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tective chitosan laminates
JP5372654B2 (ja) * 2009-08-10 2013-12-18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透湿防水性布帛
US9186862B2 (en) 2009-11-16 2015-11-17 The Glad Products Company Multi-layered lightly-laminated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218248B1 (ko) 2011-07-21 2013-01-03 김성훈 방수 및 발수성 데님옷 제조방법
US8597760B2 (en) * 2012-03-30 2013-12-03 Swnr Development, Llc Stitched multi-layer fabric
CN103315430A (zh) * 2013-06-27 2013-09-25 江苏华艺服饰有限公司 新型多功能运动装复合面料
CN103485038A (zh) * 2013-09-30 2014-01-01 常熟市立丹纺织品有限公司 一种易吸水的牛仔布
CN104015414A (zh) * 2014-06-18 2014-09-03 航天海鹰(镇江)特种材料有限公司 一种使用水性粘结剂的气凝胶复合布料及其制备方法
TWI588308B (zh) * 2014-08-20 2017-06-21 False twisting machine with front shaft
WO2016125043A1 (en) * 2015-02-06 2016-08-11 Lonati S.P.A. Method for making assembled textile products
TWI605880B (zh) * 2016-07-05 2017-11-21 國立臺北科技大學 破碎塗佈方法及破碎塗佈機
PT109869A (pt) * 2017-01-20 2018-07-20 Heliotextil Etiquetas E Passamanarias S A Elementos termo colantes aplicados por processo de transferência térmica para colagem e selagem de materiais têxteis
GB201709925D0 (en) * 2017-06-21 2017-08-02 Royal College Of Art Composite structure
IT201700117330A1 (it) * 2017-10-17 2019-04-17 Intellectual Sport Gear S R L Tessuto a maglia strutturato e relativo sistema di realizzazione.
CN108813773A (zh) * 2018-07-26 2018-11-16 山东如意毛纺服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织物、服装及服装生产方法
IL261855A (en) * 2018-09-20 2018-11-04 Shenkar College Of Eng And Design No-sew adhesive tape containing a fixed number of adhesive cells
US11697035B2 (en) * 2019-03-22 2023-07-11 Polo Custom Products, Inc. Chemical protective poncho system
JP2021049679A (ja) * 2019-09-24 2021-04-01 豊田合成株式会社 霜耐性を有する撥水膜及びその製造方法
GB202006967D0 (en) * 2020-05-12 2020-06-24 Glassford Adam Protective garments
FR3115491A1 (fr) 2020-10-27 2022-04-29 Arkema France Structure multicouche imper-respirante
JP7279111B2 (ja) 2021-06-21 2023-05-22 デサントジャパン株式会社 積層布地製造方法
WO2023163036A1 (ja) * 2022-02-28 2023-08-31 東レ株式会社 接着加工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7186A (en) * 1943-11-12 1951-09-11 Minnesota Mining & Mfg Inverse method of forming particulate coated sheets
US4333980A (en) * 1978-03-20 1982-06-08 Facemate Corporation Multi-ply fabric structure including interliner
US4809447A (en) * 1987-11-13 1989-03-07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breathable sock
US4961985A (en) * 1988-07-06 1990-10-09 W. L. Gore & Associates, Inc. Fabrics for protective clothing
US5204156A (en) * 1989-10-17 1993-04-20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US5364678A (en) * 1989-10-17 1994-11-15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US5268212A (en) * 1989-10-17 1993-12-07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DE68926789T2 (de) * 1989-10-18 1996-11-14 Toray Industri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off mit überlappenden lamellen
JPH0661909B2 (ja) * 1991-08-01 1994-08-17 倉敷紡績株式会社 ジーンズ用積層布地
US5335372A (en) * 1992-03-12 1994-08-09 Rotecno Ag Article of clothing, in particular for the medical or chemical field
EP0636065A1 (en) * 1992-04-16 1995-02-01 W.L. Gore & Associates, Inc. Soft stretchable composite fabric
CA2217123A1 (en) * 1995-05-02 1996-11-07 Steven Ray Stopper Nonwoven-film laminates
KR19990000421A (ko) * 1997-06-05 1999-01-15 고경찬 라미네이팅 투습방수포
KR100244926B1 (ko) * 1997-12-24 2000-03-02 윤종용 반도체 클린룸용 방진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EP0982119B1 (en) * 1998-08-28 2012-08-01 Mmi-Ipco, Ll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US20030044563A1 (en) * 2000-02-18 2003-03-06 Kocinec James A. Waterproof seam sealing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8854A1 (en) 2005-09-22
AU2003211994A1 (en) 2003-09-04
CA2476487A1 (en) 2003-08-21
EP1486323A1 (en) 2004-12-15
US20100306900A1 (en) 2010-12-09
CN100486803C (zh) 2009-05-13
US20080050555A1 (en) 2008-02-28
US20100311297A1 (en) 2010-12-09
EP1486323A4 (en) 2010-06-23
WO2003068495A1 (fr) 2003-08-21
CN1646307A (zh) 2005-07-27
KR100725077B1 (ko) 2007-06-08
CA2476487C (en) 2011-07-26
EP1486323B1 (en) 2012-10-17
JP2003236963A (ja) 2003-08-26
US20080047654A1 (en) 2008-02-28
JP4015434B2 (ja)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077B1 (ko) 적층 직물
KR101304033B1 (ko)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섬유 제품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CN107028256B (zh) 包括聚合物组合物的衣服带
JP5179231B2 (ja) ランニングシューズ
JP4048229B2 (ja) 防水透湿性繊維製品用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711

Effective date: 200704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