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789A -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789A
KR20040083789A KR1020030018435A KR20030018435A KR20040083789A KR 20040083789 A KR20040083789 A KR 20040083789A KR 1020030018435 A KR1020030018435 A KR 1020030018435A KR 20030018435 A KR20030018435 A KR 20030018435A KR 20040083789 A KR20040083789 A KR 2004008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riving
battery
rear whee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258B1 (ko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훈 filed Critical 최정훈
Priority to KR10-2003-001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258B1/ko
Priority to PCT/KR2004/000681 priority patent/WO2004085194A1/en
Publication of KR2004008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6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for vehicles comprising converters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in combination with brakes
    • H02K7/1125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clutches and br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다르면, 전기 자동차는 전륜과 후륜의 적어도 일측에 제1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동력이 단속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제2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구동력이 단속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발전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와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구동모터의 부하에 따라 상기 제1,2동력 단속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관성력에 따른 전륜 또는 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관성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실화 현상에 따른 환경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업체와 자동차 관련기관에서는 공해발생의 주범으로 지목 받고 있는 가솔린 자동차를 대신 할 수 있는 무공해 자동차 즉, 전기 자동차, 수소자동차,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와 더블어 무공해 자동차의 주 동력원인 배터리, 수소의 지연폭발, 태양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공해 자동차중 전기 자동차는 주동력원인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로 이루어지거나 화석연료를 이용한 엔진과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하이 브리드 타입 전기자동차가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을 운행하고, 배터리가 소진되면 배터리를 재충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주 동력원이 모터로만 이루어진 자동차의 경우 장거리 주행이 어렵고,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 배터리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2002-0008137호에는 전기 자동차의 자가 발전장치가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기자동차는 차량 양측의 후륜에 고정 장착되고, 축받이에 의해 후륜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장착된 차륜축에 베벨기어 장치가 설치되며, 이 베벨기어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대형회전륜이 설치되고, 이 대형회전륜에 의해 구동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고속 발전기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자동차는 주행과 연계하여 발전기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충전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다.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2000-010126호에는 전기 자동차의 보조 충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의 전방부 또는 양측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포집하는 호퍼와, 호퍼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방생시키는 팬과, 팬의 구동력을 발전기에 전달 및 단락시키는 팬 구동력 단속부와, 팬의 회전수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센세와,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되는 솔라셀을 구비한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주행중에 발생되는 풍력을 이용하게 되므로 자동차의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충분한 배터리 충전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국 공개 특허1998-066829호에는 엔진 또는 발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의 구동축에 발전기가 설치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관성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일회 충전에 따른 주행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의 회전자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회전력으로 발전용량을 키울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길게 가져감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구조적인 취약점을 해결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자동차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발전기와 제2동력 전달수단을 발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전기 자동차의 발전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기 자동차. 20;구동모터
30;배터리
40;발전기
41; 회전자 42; 고정자
50; 제2동력 단속수단
51; 디스크 52;스토퍼 플레이트
60;제어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는,
자동차의 전류과 후륜의 적어도 일측에 제1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동력이 단속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제2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구동력이 단속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발전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와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구동모터의 부하에 따라 상기 제1,2동력 단속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관성력에 따른 전륜 또는 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전륜 또는 후륜의 구동축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을 감싸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자 클러치 수단은 전, 후륜 또는 전, 후륜축에 설치되는 스토퍼 플레이트와,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에 댐퍼들에 의해 지지되어 디스크 상의 회전체에 접촉 및 분리되는 디스크와, 상기 차체 또는 축받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상의 회전자에 밀착시키기 위한 전자석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주행중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륜과 후륜의 가속도가 생기게 되고 이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발생된다. 이 운동에너지에 따른 전륜 또는 후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서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구동모터에 전,후륜의 동력이 차단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 자동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0)는 차체(미도시)에 현가되는 축받이(12)(1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류축(14) 및 후륜축(15)과, 상기 전륜축(14)과 후륜축(1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16)(17)들과 후륜(18)(19)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륜축(14)과 후륜축(15)의 적어도 일측은 구동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구동모터(20)와 구동을 위한 전륜축(14) 또는 후륜축(15)은 제1동력 단속수단(21)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력이 단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20)와 구동을 위한 축은 통상적인 차동기어 유니트에 의해 연결됨은 당연하다.
상기 전기자동차는 구동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30)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륜축(14)(15) 또는 전, 후륜(16-19)에는 상기 전기 자동차(10)의 관성력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30)를 충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전기(40)를 구비한다. 상기 발전기(40)의 구동축은 전,후륜축(14)(15) 또는 전, 후륜(16-19)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제2동력 단속수단(50)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기자동차는 주행중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1,2동력 단속수단(21)(50)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발전기(40)를 구동시킴으로써 배터리를 충전시시키기 위한 제어수단(60)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구동모터(20)의 부하 및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61)과 상기 감지수단(6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제1,2동력 전달수단을 제어하는 데이터 프로세서(62)를 구비한다.
상기 발전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축(14) 또는 후륜축(15)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41)와 상기 회전자(4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차체 또는 축받이에 고정되는 고정자(4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자(41)는 상기 제2동력단속수단(50)에 의해 전륜축 또는 후륜축의 동력을 단속받게 되는데, 상기 디스크 상의 회전자(41)와 밀착되는 전자석(51)과 전,후륜 또는 전,후륜축과 같이 구동되는 디스크(5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52)는 상기 전,후륜 또는 전,후륜축에 설치되는 스토퍼 플레이트(53)에 범퍼(5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2동력 전달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전,후륜 또는 전,후륜축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동력 단속수단과 발전기에는 주행중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링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발전기는 전후륜의 외측에 설치되어 전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차체에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고정하여야 하며, 발전기에 전륜 또는 후륜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축 즉,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는 축에 의해 연결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30)가 충전된 상태에서 구동모터(20)의 구동력을 제1동력전달수단(21)에 의해 전륜축(14) 또는 후륜축(15)에 전달하여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행과정에서 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은 관성력을 받게 되고, 상기 전류(16,17)과 후륜(18,19)은 가속력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주행중 내리막길 또는 평지에서 구동모우터(20)에 가하여지는 부하가 일정량 이상으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수단(61)에 의해 구동모터(30)의 부하와 속도가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가 제어수단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전달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설정된 신호와 비교하여 구동모터(20)의 부하가 설정된 부하 이하가 되면 제1동력 전달수단(21)을 조작하여 구동모터(20)와 전륜 또는 후륜축과의 동력을 차단함과 아울로 제2동력 전달수단(50)인 제2전자클러치에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후륜 또는 전,후륜축과 같이 회전하는 디스크(52)가 디스크 상의 회전자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발전기(40) 회전자(41)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발전기의 구동으로 전기가 발생되면 이 전기는 정류기를 통하여 배터리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속도가 저속으로 떨어지게 되면 설정된 속도 감지수단(61)에 의해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구동모터(2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21)에 의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륜축 또는 후륜측에 전달되도록 하여 계속적인 주행을 행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2전자 클러치의 전자석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댐퍼(54)에 의해 상기 디스크(52)가 회전자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발전기(40)로의 동력이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는 주행중의 내리막 등과 같이 자연적인 관성력을 얻을 수 있는 주행구간에서 관성력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그대로 소모되어 버리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운행중 배터리에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주기를 늘릴 수 있으며, 1회 충전에 따른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대폭 늘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의 1회 충전시 주행거리가 짧아서 자주 충전하여야 하는 불편과 주행거리를 길게 하기 위하여 많은 배터리를 탑재하고 운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차량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전류과 후륜의 적어도 일측에 제1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동력이 단속되는 구동모우터와;
    상기 구동모우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륜 또는 후륜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제2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구동력이 단속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발전기와;
    상기 모우터의 부하와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모우터의 부하에 따라 상기 제1,2동력 단속수단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관성력에 따른 전륜 또는 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전륜 또는 후륜의 구동축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동력 단속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을 감싸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자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 클러치 수단은 전, 후륜 또는 전, 후륜축에 설치되는 스토퍼 플레이트와,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에 댐퍼들에 의해 지지되어 디스크 상의 회전체에 접촉 및 분리되는 디스크와, 상기 차체 또는 축받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상의 회전자에 밀착시키기 위한 전자석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KR10-2003-0018435A 2003-03-25 2003-03-25 전기 자동차 KR10051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35A KR100519258B1 (ko) 2003-03-25 2003-03-25 전기 자동차
PCT/KR2004/000681 WO2004085194A1 (en) 2003-03-25 2004-03-25 An electric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435A KR100519258B1 (ko) 2003-03-25 2003-03-25 전기 자동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871U Division KR200318823Y1 (ko) 2003-03-25 2003-03-25 전기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89A true KR20040083789A (ko) 2004-10-06
KR100519258B1 KR100519258B1 (ko) 2005-10-07

Family

ID=3309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435A KR100519258B1 (ko) 2003-03-25 2003-03-25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19258B1 (ko)
WO (1) WO200408519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033A (ko) * 2005-01-25 2006-07-31 (주)엠파워텍 전동 스쿠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173671B1 (ko) * 2006-07-06 2012-08-13 주식회사 디엠에스 휠 구동장치
KR200484860Y1 (ko) * 2017-05-22 2017-11-02 김양환 이동식 2차 전지 탑재 트레일러
KR20170135621A (ko) * 2016-05-31 2017-12-08 주진관 이차 전지 충방전 모드 전환 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전원 장치
CN110072729A (zh) * 2016-11-24 2019-07-30 挪曼尔特公司 用于将动力组件进行致动的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56967B1 (es) * 2008-11-13 2012-03-23 Antonia Sempere Navarro Veh�?culo eléctrico perfeccionado.
US9187083B2 (en) 2009-09-16 2015-11-17 Polaris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n on-board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P2308708B1 (de) 2009-09-16 2016-08-17 swissauto powersport llc Elektrofahrzeug mit Reichweitenverlängerung
KR20130089022A (ko) * 2012-02-01 2013-08-09 김경수 전기차의 구동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707715A (zh) * 2012-06-18 2012-10-03 苏州欧拓电子科技有限公司 电动车辆电机控制器测试装置
CN104442440A (zh) * 2014-11-27 2015-03-25 冯军 一种电动汽车动力系统及电动汽车
US10300786B2 (en) 2014-12-19 2019-05-28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IL296644B2 (en) 2016-06-14 2023-12-01 Polaris Inc Hybrid vehicle
US10780770B2 (en) 2018-10-05 2020-09-22 Polaris Industries Inc. Hybrid utility vehicle
US11370266B2 (en) 2019-05-16 2022-06-28 Polaris Industries Inc. Hybrid utility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4403A (ja) * 1985-10-29 1987-05-14 Isuzu Motors Ltd 車両駆動装置
US5264764A (en) * 1992-12-21 1993-11-23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range extender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KR19980033648A (ko) * 1998-05-06 1998-07-25 한현섭 전기자동차 및 전동차용 자가전기발전 및 동력발생전달장치
KR20010001627A (ko) * 1999-06-07 2001-01-05 한호수 자가 충전식 전기 자동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033A (ko) * 2005-01-25 2006-07-31 (주)엠파워텍 전동 스쿠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173671B1 (ko) * 2006-07-06 2012-08-13 주식회사 디엠에스 휠 구동장치
KR20170135621A (ko) * 2016-05-31 2017-12-08 주진관 이차 전지 충방전 모드 전환 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전원 장치
CN110072729A (zh) * 2016-11-24 2019-07-30 挪曼尔特公司 用于将动力组件进行致动的方法和装置
CN110072729B (zh) * 2016-11-24 2023-03-03 挪曼尔特公司 用于将动力组件进行致动的方法和装置
KR200484860Y1 (ko) * 2017-05-22 2017-11-02 김양환 이동식 2차 전지 탑재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5194A1 (en) 2004-10-07
KR100519258B1 (ko)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258B1 (ko) 전기 자동차
US5680908A (en) Electric powered vehicle
JP4137136B2 (ja) 二次電池制御装置
US20080084071A1 (en) Vehicle Wheel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KR20000010126A (ko) 전기자동차의 보조 충전장치
CN101376335B (zh) 混合动力车
CN107415705A (zh) 一种风能动能复合增程补偿式电动汽车
CN201092263Y (zh) 风力太阳能组合动力电动车
CN102069798A (zh) 一种并联式轻度混合动力摩托车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5917304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powered vehicles
CN101462498A (zh) 一种利用多能源的机动发电装置
KR200318823Y1 (ko) 전기 자동차
US5890555A (en) Electric vehicle
CN1652430A (zh) 一种利用机动车车轮发电的方法及发电装置
KR19990073281A (ko) 전기자동차의자가발전장치
KR200268814Y1 (ko) 풍력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전력공급장치
KR102396088B1 (ko) 자동차 바퀴를 이용하는 발전시스템
JPH0922430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CN106627169A (zh) 供能系统及新能源汽车
CN211655968U (zh) 一种电磁无极变矩器
KR200351511Y1 (ko) 맞바람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20050107864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풍력발전장치
JP2014134100A (ja) 車載用発電ユニット、及び車両
JP2010246362A (ja) 電動発電機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JPH10313505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