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336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336A
KR20040082336A KR1020040018191A KR20040018191A KR20040082336A KR 20040082336 A KR20040082336 A KR 20040082336A KR 1020040018191 A KR1020040018191 A KR 1020040018191A KR 20040018191 A KR20040018191 A KR 20040018191A KR 20040082336 A KR20040082336 A KR 20040082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detection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161B1 (ko
Inventor
김윤선
권환준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8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으로 전송되는 제어채널의 수신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정보의 오류검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은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어정보의 오류 여부에 따라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정보에 대하여 발생된 오류검출 정보를 일정 개수로 분할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오류검출 정보들을, 복수의 시간구간들 동안에 일정하게 할당하여,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들의 각각의 제어정보와 함께 부호화하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기지국은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어채널의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하여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의 분할된 일부와 현재 시간구간의 제어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분할된 오류검출 정보를 복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조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어정보에 의해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가 전송하는 제어정보의 수신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정보의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용도에 따라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전형적인 예로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한다.) 방식의 시스템이 있다. 현재 CDMA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IS(International Standard)-95 및 이에 기반한 규격에 따른다. 사용자 요구와 함께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로도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세대 CDMA 2000(CDMA 2000 1x라 칭함)은 음성 서비스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것이며, 1xEVDO(Evolution in Data Only)는 CDMA 2000 1x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가능한 모든 자원을 데이터 서비스에 할당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만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영역(셀이라 칭함)을 커버하는 기지국에서 셀들간을 이동할 수 있는 이동단말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순방향(forward)'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역방향(reverse)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용자 데이터는 역방향의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 이하 'R-TRCH'라 칭함)을 통해 0kbps, 9.6kbps, 19.2kbps, 38.4kbps, 76.8kbps, 153.6kbps 중 하나로 전송된다. 기지국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가능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만 제어하고, 이동 단말은 기지국의 제어하에 상기 가능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미만의 데이터 전송속도들 중 실제로 이용할 데이터 전송속도를 선택한다. 이동 단말이 이용하는 역방향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 즉 역방향 전송속도 지시자(Reverse Rate Indicator: 이하 'RRI'라 칭함)는 역방향 전송율 지시 채널(Reverse Rate Indicator Channel: 이하 'R-RICH'라 칭함)을 통해 기지국으로 보고된다.
도 1은 전형적인 R-RICH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R-RICH(110)의 RRI는 매 26.67ms의 시간구간마다 대응하는 트래픽 채널(120)의 데이터 트래픽과 동일한 시간구간 동안 전송된다. 매 시간구간마다 전송되는 데이터 단위를 프레임(frame)라 칭하면, i번째 프레임(frame)을 운반하는 트래픽 채널에 대한 RRI는 i번째 시간구간 동안에 전송된다. RRI는 3 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기에 나타낸 <표 1>과 같이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속도에 매핑된다.
기지국은 트래픽 채널의 i번째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동일 시간구간(i번째 프레임) 동안에 R-RICH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먼저 수신한 후, 트래픽 채널에 대한 역확산(de-spreading), 채널 역부호화(channel decoding)를 수행한다.
도 2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R-RICH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심볼당 3비트로 이루어진 RRI(Reverse Rate Indicator) 심볼은 매 16슬롯마다 전송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일 부호기(Simplex Encoder)(210)는 3 비트의 RRI 심볼을 부호화하여 부호화 심볼들을 출력하며, 반복기(Codeword Repeater)(220)는 상기 부호화 심볼들을 소정 반복 패턴에 따라 반복하며, 천공기(Puncturer)(230)는 상기 반복기(220)로부터의 심볼들 중 마지막 3개의 심볼들을 천공한다. 시분할 다중화기(Time Division Multiplexer: TDM)(240)는 모두 '0'인 파일럿 채널 입력 시퀀스를 상기 천공기(230)의 출력과 다중화하여 매 슬롯마다 128 이진 심볼들을 출력하고, 신호점 매핑기(Signal Point Mapper)(250)는 상기 다중화기(204)로부터의 출력을 +1/-1로 매핑하고, 왈시 확산기(Walsh Spreader)(260)는 상기 신호점 매핑기(250)로부터의 출력이 R-RI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소정 왈시 부호를 곱하여 확산시킨다.
상기 도 1, 2에 도시화된 R-RICH 및 이와 관련된 트래픽 채널의 특징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신기에서 송신한 R-RICH을 수신할 때, 상기 R-RICH에 대한 복호에 오류가 없을 경우에만 트래픽 채널도 오류 없이 복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R-RICH에 대한 복호에 오류가 있을 경우 기지국 수신기는 트래픽 채널의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인식할 수 없게 되어 오류 없는 복호화가 어려워진다. 상기와 같이 1xEVDO에서는 R-RICH의 수신 성능에 따라 트래픽 신호의 수신 성능도 영향을 받게 되므로, R-RICH의 수신 오류 확률이 충분히 낮도록 적절한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전력제어는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는 R-RICH의 수신 에너지대 잡음비(Bit Energy per Noise: Eb/Nt)가 미리 정해진 기준점(target setpoint)에 근접하도록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내부순환 전력제어(inner loop power control)이다. 두 번째는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점을 상향 조절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기준점을 하향 조절하는 외부순환 전력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이다.
그런데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RICH는 복호된 결과의 오류 여부를판단할 수 있게 해주는 부가정보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은 R-RICH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복호 결과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 단말은 R-RICH에 충분히 큰 송신전력을 배정하여, 기지국이 모든 무선 환경에서도 적어도 일정 한계치보다는 적은 오류 확률로 R-RICH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력제어는 R-RICH의 오류 확률을 필요 이상으로 낮게 하면서 다른 채널에의 간섭을 증가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이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정보의 오류 검출에 관련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의 오류 검출에 의해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는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의해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의 오류 여부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오류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시간 구간의 제어 정보와 함께 부호화 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는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의해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하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어정보의 오류 여부에 따라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하여 발생된 오류검출 정보를 부호화하여 상기 제어채널과 구별되는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전형적인 R-RI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R-RICH 송신기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전송하는 제어채널 송신기의 구조도.
도 5는 상기 도 3의 제어채널 송신기에 대응하는 제어채널 수신기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 및 CRC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제어정보 및 CRC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 1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전송하는 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조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제어채널 송신기에 대응하는 제어 채널 수신기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 및 CRC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1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제어정보 및 CRC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 송신기의 구조도.
도 15은 상기 도 14의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 송신기에 대응하는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 수신기의 구조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 및 CRC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제어정보 및 CRC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이동단말들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랜덤하게 송신하는 CRC를 보인 도면.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복수의 제어채널들에 대한 CRC들을 송신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하는 채널은 트래픽채널의 제어채널이라 칭한다. 상기 제어채널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 정보 외에 복합 자동재전송(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HARQ'라 칭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HARQ란 전송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부정응답(Non-Acknowledge: NAK)이 수신되면 동일한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긍정응답(Acknowledge: ACK)이 수신되면 다음 순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외부순환 전력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에 의해 이동 단말이 전송하는 제어채널의 오류확률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어채널의 복호된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제어채널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하기 위한 가장 단순한 방법은 이동단말이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시간구간을 통해 제어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상기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순환여유 부호(Cyclic Redundancy Code: 이하 'CRC'라 칭함)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면, 기지국은 제어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순환 여유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의 경우 제어정보는 매우 소량의 정보이며 이에 대응하여 CRC는 6비트, 8비트 또는 16비트로 상기 제어정보에 비하면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제어정보와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는 CRC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 실제적으로 제어정보만을 전송할 때와 동일한 성능을 얻게 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CRC를 전송하기 위해 더 높은 송신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송신 전력을 높이는 것은 제어채널로 인하여 발생되는 간섭량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한 예로 8비트의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6비트의 CRC를 추가하여 전송할 경우 제어채널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량은 CRC를 추가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75%만큼 증가하게 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제어 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더라도 제어채널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섭량을 비교적 증가시키지 않도록 하는 두 가지의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두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와 CRC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은 제어채널의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에서는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함께 전송하고,(320) 나머지 시간구간에서는 제어정보만을 전송한다.(310) 상기 제어 정보에 CRC를 추가하는 시간구간은 이동단말과 기지국과의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것이다. 도 3에서는 제어 채널과 함께 전송되는 트래픽 채널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매 4번째 프레임마다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함께 전송한다. 즉, 이동단말은 i+1번째 프레임과 i+5번째 프레임에서만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전송할 뿐 나머지 i, i+2, i+3, i+4, i+6, i+7, i+8 번째 프레임들에서는 제어정보만을 전송한다.
기지국은 이동단말과의 사이에 미리 약속된 i+1번째 프레임과 i+5번째 프레임에서 수신한 제어채널 신호에 대하여는 송신단의 부호화 과정에 대응되는 역부호화과정을 적용하여 제어정보와 CRC를 얻은 후 역부호화된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CRC 검사(Check)를 수행한다. CRC 검사 결과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외부순환 전력제어에 의하여 전력제어 기준점(target setpoint)을 상향조절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외부순환 전력제어에 의하여 전력제어 기준점을 하향 조절한다.
또한 기지국은 i+1번째 프레임과 i+5번째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에서 수신한 제어채널 신호에 대하여 송신단의 부호화 과정에 대응되는 역부호화 과정을 적용하여 제어정보를 얻는다. 상기 i+1번째 프레임과 i+5번째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들에서는 CRC가 추가되어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는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전송하는 제어채널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 정보 생성기(미도시)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8 비트인 것으로 하였다. 상기 제어 정보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 정보 발생기를 통해 발생된다. 상기 8 비트의 제어정보에는 1xEVDO에서와 같은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관련된 정보와 HARQ를 위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8 비트의 제어정보는 CRC와 함께 전송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장치들 410, 402, 430, 440, 450을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장치들 460, 470, 480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상기 도 4에서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도록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CRC 생성기(CRC Generator)(410)는 8 비트의 제어정보에 소정 비트, 예를 들어 6 비트의 CRC를 추가하여 8 비트의 제어정보와 6 비트의 CRC에 해당하는 14 비트가 출력된다. 테일비트 생성기(Tail Bit Generator)(420)는 상기 CRC 생성기(410)의 14 비트 출력에 길쌈(convolutional) 부호화를 위한 8비트의 부호화 테일 비트를 추가하며, 길쌈 부호화기(Convolutional Encoder)(430)는 상기 테일비트생성기(420)의 22 비트 출력을 소정 부호율(code rate) R=1/4로 길쌈 부호화한다. 상기 길쌈 부호화기(430)의 출력은 반복/천공기(Repeater and Puncturer)(440)에 의해 반복 및 천공된 후 왈시 확산기(Walsh Spreader)(450)에 의해 직교부호 확산되어 전송된다.
상기 도 4에서 제어정보만을 전송하도록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블록 부호화기(460)는 8 비트의 제어정보를 소정 부호율 (n, 8)로 블록 부호화한다. 상기 블록 부호화기(460)의 출력은 반복/천공기(470)에 의해 반복 및 천공된 후 왈시 확산기(480)에 의해 직교부호 확산되어 전송된다.
상기에 나타낸 각 장치들은 제어기(490)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특히 상기 제어기(490)는 매 제어정보의 전송시마다 CRC를 추가하여 전송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시간구간에서는 장치들 410, 420, 430, 440, 450을 이네이블하고, 나머지 시간구간에서는 장치들 460, 470, 480을 이네이블한다.
여기서 CRC의 추가 여부에 따라 부호화 방식이 서로 달라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경우, 전송하여야 하는 정보의 총 양은 8 비트의 제어정보와 6 비트의 CRC를 포함하는 총 14 비트이다. 따라서 부호율 1/4의 길쌈 부호화기(430)가 사용되고 있다. 반면 제어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 (n,8)의 블럭 부호화기(460)가 사용되고 있다.
도 5는 상기 도 3의 제어채널 송신기에 대응하는 제어채널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에서 제어정보는, 이동단말이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시간구간에서는 장치들 520, 530, 540을 이용하여 수신되고, CRC가 추가되지 않고 제어정보만이 전송되는 나머지 시간구간에서는 장치들 550, 560을 이용하여 수신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이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왈시 역확산기(Walsh Despreader)(510)는 제어채널의 수신 신호를 직교 역확산하며, 결합기(Combiner)(520)는 상기 왈시 역확산기(510)의 출력을 소정 시간 동안 결합한다. 상기 결합기(520)에 의한 결합은 상기 도 4의 반복/결합기(440)에 대응되는 것이며 반복된 심볼들을 다시 결합하는 것이다. 비터비 복호기(Viterbi Decoder)(530)는 상기 결합기(520)의 출력을, 상기 도 4의 길쌈 부호기(430)의 부호율 R=1/4에 대응하도록 복호하여 제어정보와 CRC를 출력한다. 그러면 CRC 검사기(540)는 상기 출력된 CRC를 검사하여 상기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며, 기준점 제어기(Target Setpoint Controller)(580)는 상기 CRC 검사기(5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력제어 기준점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준점을 감소시킨다.
상기 도 5에서 이동단말이 제어정보만을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결합기(550)는 상기 왈시 역확산기(510)의 출력을 소정 시간 동안 결합한다. 상기 결합기(520)에 의한 결합은 상기 도 4의 반복/결합기(470)에 대응되는 것이다. 블럭 복호기(Block Decoder)(560)는 상기 결합기(550)의 출력을, 상기 도 4의 블럭 부호기(460)의 부호율 (n,8)에 대응하도록 복호하여 제어정보를 출력한다.
상기에 나타낸 장치들은 제어기(570)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특히 상기 제어기(570)는 매 제어정보의 수신시마다 CRC가 추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정보에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시간구간이 이동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미리 약속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570)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CRC를 이용하여 제어정보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적절히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CRC 추가 여부 판단 결과 CRC가 수신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장치들 510, 520, 530, 540, 580을 이네이블하고, 나머지 시간구간에서는 장치들 510, 550,560을 이네이블한다. 상기 도 5의 수신기에 의해 획득된 제어정보는 기지국에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수신시에 데이터 전송속도 및 HARQ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 및 CRC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과정 610에서 제어채널에 실을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과정 620에서 현재 시간구간이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할 시간구간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620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할 시간구간이 아닐 경우, 이동단말은 장치 460, 470, 480을 이네이블시켜 과정 630에서 제어정보를 블록 부호화하여 과정 640에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반면 상기 과정 620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할 시간 구간일 경우, 이동단말은 과정 650에서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단말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장치 410, 420, 430, 440, 450을 이네이블시켜 과정 660에서 현재 시간구간의 제어정보와 상기 생성된 CRC를 길쌈 부호화한 후, 과정 670에서 상기 길쌈 부호화된 제어정보 및 CRC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제어정보 및 CRC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 710에서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그런 후, 과정 720 현재 시간구간이 오류검출정보를 수신할 시간구간인지를 판단한다. 기지국이 이러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6의 과정 620에서 이동단말이 오류검출 정보를 어느 시간구간에서 전송할지 결정하는 규칙을 기지국에서도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즉, 오류검출정보가 어느 시간구간에서 전송되어야 하는지는 기지국과 이동단말 사이에 공통적으로 약속된 규칙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과정 720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시간구간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730에서 상기 도 5의 장치 550, 560만을 이네이블시켜 상기 제어채널에 수신 신호를 복호하여 제어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과정 740에서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이전 시간구간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반면 상기 과정 720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구간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750에서 상기 도 5의 장치 520, 530, 540을 이네이블시켜 상기 제어채널의 수신 신호를 복호하여 현재 시간구간의제어정보와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얻는다. 그리고 기지국은 과정 760에서 상기 획득된 CRC를 검사하여, 과정 770에서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770의 CRC 검사결과,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없는 경우, 즉 CRC OK인 경우 과정 780에서 기지국은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이전 시간구간에 비하여 소정 단위만큼 감소시킨다. 반면 상기 과정 770의 CRC 검사 결과,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즉 CRC FAIL인 경우 과정 790에서 기지국은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이전 시간구간에 비하여 소정 단위만큼 증가시킨다.
이상에서는 8 비트의 제어정보에 6 비트의 CRC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만일 제어정보가 CRC보다 더 적은 비트 수를 가지게 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CRC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CRC 생성기(410)는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정보를 누적하여 입력받고 상기 누적된 하나 이상의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CRC를 현재의 제어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CRC 생성기(410)에 의해 부가되는 CRC는 현재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가 아니라 최근에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변형된 형태로써 한 개 또는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CRC를 생성한 뒤 복수개의 프레임에 이를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즉, 이동단말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대하여 CRC를 생성한 뒤 이를 복수개의 프레임에 나누어 함께 전송하는 방식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된 CRC가 복수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채널로 나누어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생성된 CRC를 복수개의 프레임을 통해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즉, 생성된 CRC는 분리되어 다수의 프레임으로 전송된다.
상기 도 3에서 이동단말이 i, i+1, i+2, i+3번째 프레임들에서 2비트씩 전송하는 CRC는 한 개의 프레임 또는 복수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생성한 8비트의 CRC를 4등분한 것이다. 한 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를 생성할 경우 i번째 프레임에 전송된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된 8비트의 CRC가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서 각각 2비트씩 전송된다. 또한 복수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를 생성할 경우 i-3, i-2, i-1, i번째 프레임에 전송된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된 8비트의 CRC가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서 각각 2비트씩 전송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전송하는 제어채널 송신기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 9에서는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8비트이고, 매 4프레임마다 총 8비트의 CRC가 전송되는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상기 도 9에서 매 프레임마다 발생되는 8비트의 제어정보는, 발생 후 제어정보 저장장치(910)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정보를 제어정보 저장장치(910)에 저장하는 이유는 복수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CRC를 생성할 때 이용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CRC가 생성되는 것이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CRC일 경우 하나의 제어정보만을 저장하게 된다. 반면 생성된 CRC가 복수개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CRC일 경우 상기 제어정보 저장장치는 해당 수신된 복수개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CRC 생성기(CRC Generator)(950)는 매 4프레임마다 가장 최근 4프레임에서 발생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8비트의 CRC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8비트의 CRC는 CRC 저장장치(960)에 입력되어 다음 CRC가 생성될 때까지 저장된다. 이후에 부호화기(920)에 입력되는 신호 중 제어정보를 제외한 2비트는 상기 CRC 생성기(950)에서 생성한 8비트의 CRC가 4개로 분할된 후, 상기 분할된 CRC중 선택된 일부이다.
상기 도 9에서 매 프레임마다 전송되는 제어정보 8비트는 이전 프레임에서 생성된 CRC 중 아직 전송되지 않은 2비트와 함께 부호화기(920)에 입력되어 부호화된다. 상기 부호화기(920)에 입력되는 정보는 해당 프레임에서 발생된 8비트의 제어정보와 이전 프레임에서 생성된 8비트의 CRC 중 2비트이다. 한 예로 i-3, i-2, i-1, i번째 프레임의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CRC를 생성한 후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서 이를 나누어 전송할 경우 i번째 프레임에는 8비트의 제어정보와 8비트의 CRC 중 첫째, 둘째 비트가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또한 i+1번째 프레임에는 8비트의 제어정보와 8비트의 CRC 중 셋째, 넷째 비트가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또한 i+2번째 프레임에는 8비트의 제어정보와 8비트의 CRC 중 다섯째, 여섯째 비트가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또한 i+3번째 프레임에는 8비트의 제어정보와 8비트의 CRC중 일곱째, 여덟째 비트가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상기 부호화기(920)에서 출력된 신호는 반복/천공기(repetition and puncturer)(930)에 의해 반복 및 천공된 후 왈시 확산기(Walsh Spreader)(940)에서 직교확산되어 전송된다.
도 10은 상기 본 발명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수신하는 제어채널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 10에서는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8비트이고, 매 4프레임마다 2비트씩 총 8비트의 CRC가 전송되는 경우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상기 도 10에서 제어채널의 수신 신호는 왈시 역확산기(Walsh Despreader)(1010)의 직교 역확산 과정을 거친 후 결합기(combiner)(1020)에서 결합(combining)이 수행된다. 상기 결합기(1020)에서 수행되는 결합과정은 상기 도 9의 반복/천공기(930)에서 수행된 반복 및 천공과정에 대응되는 것이며, 반복된 비트들을 다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결합기(1020)에서 출력된 신호는 복호기(Decoder)(1030)에 입력되어 복호과정을 거친다.
상기 블록 복호기(1030)에서 복호된 결과는 8비트의 제어정보와 CRC 중 일부이다. 상기 8비트의 제어정보와 CRC 중 일부는 각각 CRC 저장장치(1040)와 제어정보 저장장치(1080)에 입력되어 저장된다. 상기 CRC 저장장치(1040)와 제어정보 저장장치(1080)가 필요한 이유는 매 프레임마다 2비트씩 전송되는 CRC를 8비트가 될 때까지 저장한 후 CRC 검사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도 8의 i, i+1, i+2,i+3번째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채널로 8비트의 CRC가 2비트씩 분산되어 전송되었을 경우 기지국 수신기는 CRC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서 2비트씩 수신된 CRC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8비트의 CRC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제어정보 역시 CRC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채널로 8비트의 CRC가 2비트씩 분산되어 전송되었고 이러한 8비트의 CRC가 i번째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하였다고 할 경우, 기지국 수신기는 i+3번째 프레임을 수신한 후 CRC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때까지 i번째 프레임에 전송된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만약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채널로 8비트의 CRC가 2비트씩 분산되어 전송되었고 이러한 8비트의 CRC가 i-3, i-2, i-1, i번째 프레임에 전송된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하였다고 할 경우, 기지국 수신기는 i+3번째 프레임을 수신한 후 CRC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때까지 i-3, i-2, i-1, i번째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도 10의 기지국 수신기는 8비트의 CRC를 수신 완료할 경우 이에 대한 CRC 검사를 CRC 검사기(1050)에서 수행한다. 상기 CRC 검사기(1050)에서 수행된 CRC 검사 결과는 기준점 제어기(Target Setpoint Control)(1060)에 입력되어 외부순환 전력제어을 위한 기준점을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도 10의 제어기(controller)(1070)는 장치 1040, 1050, 1080에서 수행하는 CRC 저장, 제어정보 저장, CRC 검사와 관련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를 생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할 경우에도 한 개의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를 생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이용하여 일정한 수신 오류확률을 얻을 수 있다. 한가지 차이점은 CRC를 한 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할 경우 CRC 검사를 수행하여 발생되는 CRC pass 와 CRC fail 은 한 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오류 여부를 나타낸다. 그러나 CRC를 복수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하여 생성할 경우 CRC 검사를 수행하여 발생되는 CRC 검사결과는 복수개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동일한 수신오류 확률을 얻기 위해서 외부순환 전력제어의 목표 오류 확률을 몇 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CRC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조절되어야 한다.
상기 외부순환 전력제어의 목표 오류 확률을 몇 개의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CRC를 생성하였느냐에 따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N개의 프레임에 대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CRC를 생성하였고, 원하는 수신오류 확률이경우 외부순환 전력제어의 목표 오류 확률 Outer_PC_Error_Rate 은 다음의 수식과 같다.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외부순환 전력제어의 목표 오류 확률을 설정한 후 CRC 검사를 수행하여 오류가 발생할 경우 xdB 만큼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상향조절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x÷(1÷Outer_PC_Error_Rate_Rate-1)dB 만큼 하향조절함으로써 수신 오류 확률을로 수렴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 및 CRC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를 참조하면, 과정 1110에서 이동단말은 제어채널에 실을 제어정보를 결정한다. 제어정보를 결정한 후 이동단말은 결정된 제어정보를 과정 1120에서 저장한다. 상기 과정 1120에서 제어정보를 저장한 것은 CRC를 생성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프레임들에서 전송된 제어정보를 이용할 경우를 위함이다. 복수개의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CRC를 발생시키는 시점까지 해당 복수개의 프레임에서 전송된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정 1120에서 제어정보가 저장된 후 이동단말은 과정 1130에서 현재의 프레임이 CRC를 생성할 시점(timing)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현재의 프레임에서 CRC를 생성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과정 1160에서 생성된 CRC는 과정 1170에서 저장된다. 또한 과정 1180에서는 상기 생성된 CRC가 일정 개수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CRC의 일부는 해당 프레임에서 제어정보와 함께 부호화된다. 그리고, 과정 1190에서 제어채널로 전송된다.
상기 과정 1130에서 현재의 프레임이 CRC를 생성할 시점이 아닌 것으로 결정될 경우 이동단말은 이전 프레임에서 생성한 후 저장하고 있던 CRC의 일부를 과정1140에서와 같이 제어정보와 함께 부호화된 후 과정 1150에서 제어채널로 전송된다.
상기 과정 1140 또는 1180에서 제어정보와 함께 부호화되는 CRC의 일부는 생성된 CRC의 일부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8비트의 CRC를 생성하여, 이를 4개의 프레임에 나누어 보낼 경우 8비트의 CRC 중 2비트가 제어정보와 함께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제어정보 및 CRC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과정 1210에서 기지국은 이동단말이 송신한 제어채널을 수신하고 과정 1220에서 제어채널에 대하여 복호화를 수행하여 제어채널에 실린 제어정보와 CRC의 일부를 얻는다. 기지국 수신기는 이후 복수개의 프레임에 나뉘어 전송된 CRC에 대한 수신을 완료했는지 판단한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에 나뉘어 전송된 CRC에 대한 수신을 완료했다는 것은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i, i+1, i+2, i+3번째 프레임에 CRC가 나뉘어 전송되었을 경우 i+3번째 프레임을 수신완료 하였음을 의미한다.
상기 과정 1130에서 복수개의 프레임에 나뉘어 전송된 CRC에 대한 수신을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1180과 같이 수신한 제어정보와 CRC의 일부를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상기 과정 1180과 같이 수신한 제어정보와 CRC의 일부를 저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프레임에 나뉘어 전송된 CRC의 일부들이 모두 수신된 후에는, 상기 수신된 각각의 CRC의 일부들을 이용하여, 분할되기전의 CRC를 복구한다. 그리고는 상기 복구된 CRC를 이용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CRC 검사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정 1130에서 복수개의 프레임에 나뉘어 전송된 CRC에 대한 수신을 완료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1140과 같이 수신한 제어정보 및 CRC의 일부와 이전 프레임에서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던 제어정보 및 CRC의 일부를 이용하여 오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CRC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과정 1140에서 수행한 CRC의 결과가 오류를 검출할 수 없다는 의미의 CRC pass일 경우 기지국 수신기는 과정 1170과 같이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하향 조절한다. 반면에 과정 1140에서 수행한 CRC의 결과가 오류가 검출되었다는 의미의 CRC fail일 경우에는 기지국 수신기는 과정 1160과 같이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상향 조절한다.
<<제2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정보와 CRC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은 제어채널을 통해 매 프레임마다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한편 별도의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미리 정해진 프레임 주기마다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전송한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제어정보는 매 프레임마다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CRC는 매 4 프레임마다 오류 검출 채널(1310)을 통해 전송되고 있다. 여기서 제어채널은 8 비트의 제어정보만을 전송하며 CRC를 전송하지는 않는다. 즉, 제어채널의 모든 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정보량은 일정하므로 부호화 방식도 동일하다. 오류검출 채널은 제어채널과는 별도의 채널로서 동일한 시간 구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이동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3의 경우 이동단말은 CRC가 전송되는 구간에서는 제어채널과 CRC를 함께 부호화하여 전송하지만, 도 13의 경우 이동단말은 CRC가 전송되는 구간에서 제어채널과 CRC를 별도로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i+1번째 프레임과 i+5번째 프레임에서는 제어정보와 CRC가 각각 제어채널과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나머지 시간구간에서는 제어정보만이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오류검출 채널이 사용되지 않는다.
i+1번째 프레임과 i+5번째 프레임은 같은 시간구간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프레임들에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i+1번째 프레임에서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CRC는 i-2, i-1, i, i+1번째 프레임들 동안에 전송된 제어정보에 대한 것이고, i+5번째 프레임에서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CRC는 i+2, i+3, i+4, i+5번째 프레임들 동안에 전송된 제어정보에 대한 것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 송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8 비트인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8 비트의 제어정보에는 1xEVDO에서와 같은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관련된 정보와 HARQ를 위한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8 비트의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장치들 1410, 1420, 1430이 이용된다. 또한 오류검출 채널로는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하여 발생된 6 비트의 CRC가 전송된다. 상기 6 비트의 CRC를 송신하기 위하여 장치들 1440, 1450, 1460, 1470이 이용된다.
모든 시간구간에서, 블럭 부호화기(1410)는 8 비트의 제어정보를 소정 부호율 (n1,8)로 블럭 부호화한다. 상기 블럭 부호화기(1410)의 출력은 반복/천공기(1420)에 의해 반복 및 천공된 후 왈시 확산기(1430)에 의해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직교부호 확산된다.
또한 CRC를 전송하도록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CRC 생성기(1440)가 더 동작되어 현재의 제어정보를 비롯하여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이에 대한 6 비트의 CR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블럭 부호화기(1450)는 상기 CRC 생성기(1440)로부터의 출력을 소정 부호율 (n2,6)로 부호화한다. 상기 블럭 부호화기(1450)의 출력은 반복/천공기(1460)에 의해 반복 및 천공된 후, 왈시 확산기(1470)에 의해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직교부호 확산된다.
따라서, 상기 CRC를 전송하도록 정해진 시간구간에서는 CRC 뿐만 아니라 상술한 블록 부호화기(1410), 반복/천공기(1420), 왈시 확산기(1430)를 거친 제어 정보가 출력된다.
상기에 나타낸 각 장치들은 제어기(1480)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특히 상기 제어기(1480)는 매 프레임마다 CRC를 전송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CRC를 전송할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장치들 1440, 1450, 1460, 1470을 이네이블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1480)은 약속에 의해 그를 판단한다.
도 15는 상기 도 14의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 송신기에 대응하는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5에서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장치들 1510, 1520, 1530이 이용되고,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CRC를 수신하기 위하여 장치들 1540, 1550, 1560, 1570이 이용된다.
상기 도 15을 참조하면, 모든 시간구간에서 왈시 역확산기(1510)는 제어채널의 수신 신호를 직교 역확산하며, 결합기(1520)는 상기 왈시 역확산기(1510)의 출력을 소정 시간 동안 결합한다. 상기 결합기(1520)에 의한 결합은 상기 도 14의 반복/결합기(1420)에 대응되는 것이며 반복된 심볼들을 다시 결합하는 것이다. 블럭 복호기(1530)는 상기 결합기(1520)에 의해 결합된 출력을, 상기 도 14의 블럭 부호화기(1410)의 부호율 (n1,6)에 대응하도록 복호하여 제어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CRC를 전송하도록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왈시 역확산기(1540)는 오류검출 채널의 수신 신호를 직교 역확산하며, 결합기(1550)는 상기 왈시 역확산기(1540)의 출력을 소정 시간 동안 결합한다. 상기 결합기(1550)에 의한 결합은 상기 도 14의 반복/결합기(1560)에 대응되는 것이며 반복된 심볼들을 다시 결합하는 것이다. 블럭 복호기(1560)는 상기 결합기(1550)에 의해 결합된 출력을, 상기 도 14의 블럭 부호화기(1450)의 부호율 (n2,6)에 대응하도록 복호하여 CRC를 출력한다. CRC 검사기(1570)는 상기 출력된 CRC를 검사하여,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동안에 상기 블럭 복호기(1530)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며, 기준점 제어기(1590)는 상기 CRC 검사기(157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전력제어 기준점을 조절한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준점을 감소시킨다.
상기에 나타낸 장치들은 제어기(1580)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특히 상기 제어기(1580)는 매 프레임마다 CRC가 수신되는 시간구간인지를 확인하여, 만일 그러한 경우 오류검출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들 1540, 1550, 1560, 1570, 1590을 이네이블한다. 상기 도 15의 수신기에 의해 획득된 제어정보는 기지국에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수신시에 데이터 전송속도 및 HARQ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CRC가 전송되는 구간의 부호화 방식은 CRC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의 부호화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CRC 검사를 수행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운영할 경우 CRC가 전송되는 구간에 대하서만 원하는 수준의 일정한 오류확률을 갖게 되는 반면, 부호화 방법이 다른 구간 즉, CRC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오류확률은 원하는 수준에 유지하기 불가능하다.
반면 제2 실시예와 같이 CRC를 별도로 부호화하고 제어정보를 CRC의 전송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한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경우, 별도의 채널을 운영하여야 한다는 부담이 발생하지만, CRC가 수신된 구간에서 CRC 검사를 수행하여 오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운영함으로써 제어채널의 오류확률을 모든 시간 구간에서 원하는 수준의 일정한 오류확률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는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는 동일한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고 비연속적으로 전송되는 CRC는 별도의 부호화 방식을 이용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CRC 검사에 의한 성능 평가가 모든 시간구간에 적용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CRC가 전송된 시간구간의 제어채널 오류 확률을 1%로 유지하게 되면, 곧 나머지 구간에서도 오류 확률도 1%로 유지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 및 CRC를 송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6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과정 1610에서 제어채널에 실을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과정 1620에서 현재 시간구간이 오류검출 채널을 사용할 시간구간인지를 판단한다. 오류검출 채널을 사용할 시간구간이 아닐 경우, 이동단말은 과정 1630에서 제어정보를 부호화하여 과정 1640에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반면 상기 과정 1620의 판단 결과,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채널을 사용할 시간구간일 경우, 이동단말은 과정 1650에서 미리 정해진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하여 CRC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동단말은 상기 도 14에 도시된 장치 1410, 1420, 1430 뿐만 아니라, 장치 1440, 1450, 1460, 1470도 이네이블시켜 과정 1660에서 현재 시간구간의 제어정보와 상기 생성된 CRC를 각각 부호화한 후 과정 1670에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 및 상기 부호화된 CRC를 각각 제어채널과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제어정보 및 CRC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과정 1710에서 현재 시간구간이 오류검출 채널을 사용할 시간구간인지를 판단한다. 기지국이 이러한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16의 과정 1620에서 이동단말이 오류검출 채널을 어느 시간구간에서 사용할지 결정하는 규칙을 기지국에서도 공유하고 있어야 한다. 즉, 오류검출 채널이 어느 시간구간에서 사용되어야 하는지는 기지국과 이동단말 사이에 공통적으로 약속된 규칙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과정 1710에서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채널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구간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1720에서 상기 도 15의 장치 1510, 1520, 1530만을 이네이블시켜 제어채널의 신호만을 수신하고 과정 1730에서 상기 제어채널의 수신 신호를 복호하여 제어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과정 1740에서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이전 시간구간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반면 상기 과정 1710에서 현재 시간 구간이 오류검출 채널이 사용되는 시간구간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지국은 과정 1750에서 상기 도 15의 장치 1510, 1520, 1530 뿐만 아니라 장치 1540, 1550, 1560, 1570 또한 이네이블 시켜 제어채널 및 오류검출 채널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과정 1760에서 상기 제어채널의 수신 신호와 상기 오류검출 채널의 수신 신호를 각각 복호하여 현재 시간구간의 제어정보와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한 CRC를 얻는다. 그리고 기지국은 과정 1770에서 상기 획득된 CRC를 검사하여, 과정 1780에서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 1780의 CRC 검사결과,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없는 경우, 즉 CRC OK인 경우 과정 1790에서 기지국은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이전 시간구간에 비하여 소정 단위만큼 감소시킨다. 반면 상기 과정 1780의 CRC 검사 결과, 상기 최근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즉 CRC FAIL인 경우 과정 1200에서 기지국은 내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이전 시간구간에 비하여 소정 단위만큼 증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하나의 CRC가 단지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구간을 점유하여 전송된다. 그런데 후술되는 변형된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CRC를 복수의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시간구간을 점유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이란 오류검출 채널의 전송주기에 따른 한 주기의 프레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하나의 CRC는 네 개의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시간구간을 점유하며 전송되고 있다. 즉, i+1번째 프레임에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위한 CRC는 i+1번째 내지 i+4번째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시간구간을 점유하여 전송된다.
상기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오류검출 채널을 송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점들은 하기와 같다. 첫째, CRC가 점유하는 시간구간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에 의한 오류검출 채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킨다. 둘째, 오류검출 채널의 신호가 여러 프레임들에 걸쳐 분산됨에 따라 오류검출 채널에 의한 간섭도 여러 프레임에 걸쳐서 분산되어, 복수의 이동단말들이 동시에 오류검출 채널을 송신하는 경우에 역방향의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이동단말들로부터 제어정보와 CRC의 전송을 보인 도면으로서, 하나의 기지국과 통신하여 역방향의 제어채널과 오류검출 채널을 송신하는 이동단말들은 그룹1, 그룹2, 그룹3, 그룹4로 나뉘어지며, 상기 나뉘어진 이동단말들은 해당하는 그룹에 할당된 시간구간에서 오류검출 채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들이 송신하는 오류검출 채널의 시간구간을 가능한 한 다르게 하면, 오류검출 채널에 의하여 발생되는 간섭량을 분산시켜 역방향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랜덤하게 송신하는 CRC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동단말은 제어정보를 매 프레임마다 전송하면서, CRC를 정해진 프레임 주기 내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프레임에서 전송한다. 즉, 매 프레임 주기(여기에서는 4 프레임들)마다 CRC를 전송되는 프레임이 랜덤하게 변화한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이 CRC를 랜덤하게 송신하게 되면, 복수의 이동단말들이 오류검출 채널들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특정 시간구간에서 동시에 많은 이동단말들이 CRC를 전송할 가능성이 감소하게 되어 오류검출 채널에 의한 간섭이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이 CRC를 전송하는 프레임을 선택하는 규칙은 기지국과의 사이에 미리 약속되어 있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검출 가능하여야 한다.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복수의 제어채널들에 대한 CRC들을 송신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이 전송하는 제어채널은 서로 다른 확산코드로 구별되는 제어채널1과 제어채널2로 구성된다. 이는 보다 많은 제어정보를 전송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제어채널들이 전송되며 각각의 제어채널들이 별도의 부호화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이동단말은 두 개 이상의 제어채널들을 위해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오류검출 채널들을 전송한다. 상기 도 14에서 제어채널1을 위한 CRC는 i+1번째 및 i+5번째 프레임들에서 전송되며 제어채널2를 위한 CRC는 i+3번째 및 i+7번째 프레임들에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어채널들을 위해 오류검출 채널에 할당된 프레임 구간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과 이동단말 사이에 미리 약속된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이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상기 제어채널 또는 별도의 오류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이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에 의해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9)

  1.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이 아닌 나머지 시간 구간에서는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소정의 주기내에 상기 오류 검출 신호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를 함께 부호화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를 제어채널과 구별되는 오류 검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오류 검출 채널들을 램덤하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오류 검출 채널들은
    각 이동단말이 해당하는 그룹에 할당된 시간 구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검출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정보의 오류검출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오류검출정보를 생성할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된 제어 정보에대하여 오류검출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상기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어 정보는 하나이상의 제어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발생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오류검출정보 생성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이 아닌 나머지 시간 구간에서는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소정의 주기내에 상기 오류 검출 신호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동안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를 함께 부호화하는 부호화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를 제어 정보와는 별도로 부호화하는 부보화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되는 오류 검출 신호들을 램덤하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오류검출신호들은 각 이동단말이 해당하는 그룹에 할당된 시간 구간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7.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동안에 상기 제어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이 아닌 나머지 시간 구간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오류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소정의 주기내에 상기 오류 검출 신호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오류검출정보와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를 제어채널과 구별되는 오류 검출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오류 검출 채널들을 랜덤하게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3. 제 17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오류 검출 정보는
    이동 단말이 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시간 구간 내에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오류 검출 채널들은
    각 이동단말이 할당된 시간 구간에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5. 제 17항에서,
    상기 오류 발생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6. 제 17항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이 아닌 나머지 시간 구간에서 제어 채널의 수신신호를 복호하여 제어정보를 발생하고, 외부 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방법.
  27.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에서 수신된 상기 제어정보와 오류검출정보를 복호하는 제1 복호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아닌 나머지 시간구간에서 상기 제어정보를 발생하는 제 2복호기와,
    상기 오류 검출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오류 검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신장치.
  28. 제 27 항에서,
    상기 오류 검사기에 의해 출력된 오류결과에 따라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조절하는 기준점 제어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인지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아닌 나머지구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복호기 또는 제 2복호기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복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은
    소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1.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동안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제어정보를 복호하는 제1 복호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정보를 오류 검출채널을 통해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제2복호기와,
    상기 오류 검출 채널을 통해 수신된 오류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사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복호기는
    랜덤하게 수신되는 오류 검출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복호기는
    각 이동단말에 할당된 시간구간에 상기 오류 검출 채널들을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사기에 의해 출력된 오류결과에 따라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조절하는 기준점 제어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5.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동안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오류검출정보와 상기 결정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정보를 생성하는 시점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7. 제 35항에 있어서,
    오류 검출 정보와 제어정보를 부호화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을 통해 , 상기 오류 검출 정보는 오류 검출 정보 채널을 통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9.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제어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저장하는 오류검출정보 저장장치와,
    상기 생성된 오류 검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동안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오류검출정보와 상기 결정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오류 검출 정보와 제어정보를 부호화하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을 통해 , 상기 오류 검출 정보는 오류 검출 정보 채널을 통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2.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 분할하여 수신된 오류 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하여 수신된 오류 검출 정보가 모두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오류 검출 정보와 제어정보를 부호화된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오류 검출 정보는 오류 검출 정보 채널을 통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 판단기의 결과에 따라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6.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상기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마다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어정보 저장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 검출 정보를 미리 정해진 구간 동안 분할하여 수신된 오류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오류검출정보저장장치와,
    상기 분할하여 수신된 오류 검출 정보가 모두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오류 검출 여부를 판단하는 오류 검출판단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오류 검출 정보와 제어정보를 부호화된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오류 검출 정보는 오류 검출 정보 채널을 통해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출 판단기의 결과에 따라 외부순환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점을 조절하는 기준점 제어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40018191A 2003-03-17 2004-03-1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594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6455 2003-03-17
KR1020030016455 2003-03-17
KR20030021661 2003-04-07
KR1020030021661 2003-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336A true KR20040082336A (ko) 2004-09-24
KR100594161B1 KR100594161B1 (ko) 2006-06-28

Family

ID=3611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191A KR100594161B1 (ko) 2003-03-17 2004-03-1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98727B2 (ko)
JP (1) JP2006520121A (ko)
KR (1) KR100594161B1 (ko)
AU (1) AU2004220995B2 (ko)
BR (1) BRPI0408495A (ko)
CA (1) CA2508936A1 (ko)
RU (1) RU2313908C2 (ko)
WO (1) WO2004084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61B1 (ko) * 2008-05-28 2011-06-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08936A1 (en) * 2003-03-17 200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ntro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10318068B4 (de) * 2003-04-17 2009-08-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ket-orientierten Übertragen sicherheitsrelevanter Daten
US8098721B2 (en) * 2004-12-13 2012-01-17 St-Ericsson Sa Reception of a signal transmitted over a transmission link comprising coded channels
US7826498B2 (en) * 2007-01-24 2010-11-0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MY148998A (en) 2007-04-30 2013-06-28 Interdigital Tech Corp Feedback signaling error detection and checking i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9041785A2 (en) * 2007-09-28 2009-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39013B2 (en) * 2007-09-28 2014-05-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8309B1 (ko) * 2007-09-28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US8346160B2 (en) 2010-05-12 2013-01-01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measuring uplink traffic in signal repeating systems
CA2801007C (en) 2010-06-08 2016-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xing control and data information from a user equipment in mimo transmission mode
US20130142094A1 (en) * 2011-12-02 2013-06-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frame filtering and for enabling frame filtering
KR20140099135A (ko) * 2013-02-0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부분 프레임을 업데이트 하는 시스템 온 칩 및 그 동작방법
JP6741065B2 (ja) * 2016-05-13 2020-08-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7073952B2 (ja) * 2018-07-09 2022-05-24 横河電機株式会社 データ収集システム及びデータ収集方法
DE102020113451A1 (de) * 2020-05-18 2021-1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endeeinheit und Empfangseinheit zum Senden und Empfangen von Datenpaket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9434A (en) * 1996-05-31 1999-06-01 Qualcomm Incorporated Bright and burst mode signaling data transmission in an adjustable ra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89037B1 (en) * 1997-02-24 2001-09-11 At&T Wireless Services Inc. Out of channel cyclic redundancy code method for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CN1153378C (zh) * 1998-02-14 2004-06-09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专用控制信道的移动通信系统的数据通信装置和方法
US6058107A (en) * 1998-04-08 2000-05-02 Motorola, Inc. Method for updating forward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864367B2 (ja) * 2000-07-17 2006-12-27 静岡製機株式会社 精殻機
JP3464649B2 (ja) * 2000-12-27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421166B1 (ko) * 2001-02-19 2004-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외부순환전력제어를 위한 전용 물리 채널 다중화 장치 및방법
KR20020071226A (ko) * 2001-03-05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송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A2508936A1 (en) * 2003-03-17 200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ntro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61B1 (ko) * 2008-05-28 2011-06-22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161B1 (ko) 2006-06-28
RU2313908C2 (ru) 2007-12-27
AU2004220995A1 (en) 2004-09-30
US7298727B2 (en) 2007-11-20
BRPI0408495A (pt) 2006-04-04
CA2508936A1 (en) 2004-09-30
US20040199814A1 (en) 2004-10-07
JP2006520121A (ja) 2006-08-31
RU2005129087A (ru) 2006-01-27
WO2004084438A1 (en) 2004-09-30
AU2004220995B2 (en)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8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전송률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66973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ack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941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이용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제어정보에 대한 오류검출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472173B2 (ja) マルチセルhsdpa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チャネル品質認識子伝送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AU200230050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formation about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codes assigned to user data in a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2319919B2 (en) Revers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throughput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1106418A (zh) 无线通信系统中的接收装置和数据接收方法
JP2005229628A (ja) 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データ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圧縮モードに基づく複合再伝送を遂行する方法
MXPA04007853A (es) Metodo de codificacion para informacion de calidad de un canal para hs-dpcch.
KR20030035407A (ko) 순방향 공통 전력 제어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KR10081926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20110107A1 (en) Channel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KR1009697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제어채널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KR20060087244A (ko) 패킷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신뢰도높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Ghosh et al. Air-interface for 1XTREME/1xEV-DV
KR200901025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18728B1 (ko) 멀티 셀 hsdp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인식자 전송용 물리제어채널의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35538A (ko) 상향 링크를 통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