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818A -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 Google Patents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818A
KR20040081818A KR1020030016354A KR20030016354A KR20040081818A KR 20040081818 A KR20040081818 A KR 20040081818A KR 1020030016354 A KR1020030016354 A KR 1020030016354A KR 20030016354 A KR20030016354 A KR 20030016354A KR 20040081818 A KR20040081818 A KR 2004008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ain body
port
main
differenti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168B1 (ko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새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새한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새한공조
Priority to KR10-2003-001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1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6Rotary buildings; Buildings with rotary units, e.g.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본체로 건물내에서 다수의 실내를 다중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압력도 일체의 오작동없이 센싱되게 함으로서 화재시에 연기나 가스가 확산되거나 화재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압다중밸브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메인포트와, 상기한 본체에서 상기한 메인포트와 연통되게 1개 또는 그 이상이 위치하는 서브포트들과, 상기한 본체 내부에서 상기한 메인포트와 서브포트들 사이에서 위치하여 상기한 서브포트들을 통해 유입되는 압력을 상기한 메인포트에 일방향으로만 패스되게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차단수단은 서브포트들로부터 유입되는 압력 및 자중에 의해 개폐동작되면서 일방향으로만 압력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multi-way differential pressure valve for smoke-proof system of building}
본 발명은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본체로 건물내에 다수의 실내를 다중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압력도 일체의 오작동없이 센싱되게 함으로서 화재시에 연기나 가스가 확산되거나 화재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고층아파트와 건물의 화재시에 대형의 인명피해가 유발되는 것은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혼합된 혼합물로서 유독성 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연기가 주된 요인이 된다. 이 연기는 화염 및 연소직후의 가스보다는 상대적으로 인명피해의 직접적인 위험도는 적은 편이지만 화재시에 연기가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주된 요인이 되는 것은 건물내의 공조기기 등의 덕트를 통해 피난구역은 물론 건물내에 빠른속도로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화재시에 연기가 피난구역내로 확산되면 대피자들의 피난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진압이 어렵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의 각층에는 방연시스템을 설치하여 화재시에 실내의 연기가 피난구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건물내의 방연(防煙)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건물의 피난구역과 실내가 서로 연통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로 연결하고 이 파이프에 차압(差壓)밸브와 압력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피난구역과 실내의 압력차이를 센싱하게 되고, 상기한 센서는 건물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로 피난구역내에 유입시키는 송풍장치와 연결되어 화재에 의해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승된 압력만큼 상기한 송풍장치에 의해 피난구역에 공기를 강제공급하여 항상 일정한 압력차이가 유지되게 하여 연기가 피난구역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구조이다.
그리고, 상기한 피난구역과 실내의 압력차이는 건물내에 요구되는 방연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50Pa 범위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실내의 대기압력보다 피난구역의 대기압력이 50Pa 범위내로 높게 셋팅되므로 실내의 연기가 피난구역내로 확산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연시스템에 적용되는 차압밸브는 화재시에 실내의 압력이 상승되면 이 압력을 그대로 일방향 패스시켜서 압력센서에 의해 센싱되게 함으로서 화재시에 피난구역과 실내의 압력차이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차압밸브의 일반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1개의 메인포트(main-port)와 1개 또는 2개의 서브포트(serve-port)가 서로 연통된 예를들면, "―" 또는 "T"자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상기한 서브포트들과 메인포트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며, 이 차단부재는 상기한 메인포트와 서브포트들 사이에서 서브포트의 통로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이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접한 서브포트 통로를 차단시킴과 아울러 메인포트에만 압력을 패스시키는 밸브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차단부재는 주로 횡격막이라고 하는 박판(薄板)의 구조를 가지는 다이어프램(diaphramg)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차압밸브를 설치할 때에는 그 구조상 1개의 메인포트에 1개 또는 2개의 서브포트만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의 밸브로 건물의 각층에서 피난구역과 1개 또는 2개의 실내만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다수의 실내가 구비되는 대형의 건물에서는 이에 대응하도록 다수개의 밸브가 설치되어 방연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연시스템용 차압밸브는 단일의 본체에서 1개의 메인포트에 대응하는 서브포트들이 그 구조상 1개 또는 2개만 제한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중제어가 불가능하여 만족할 만한 제어능률을 기대하기 어렵고, 다수의 실내가 구비되는 대형의 건물에 설치될 때에는 다수개가 설치되어야하므로 방연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설치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방연시스템용 차압밸브는 메인포트와 서브포트들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가 박판의 다이어프램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차단부재는 2개의 서브포트에 대응하여 서로 연동되면서 개폐동작되므로 만족할 만한 제어정밀도를 얻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구조상 개폐동작시에 마찰이나 저항이 발생되므로 미압(微壓)을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따르게 되므로 만족할 만한 제어효율과 제어정밀도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이 미압을 제어하지 못하게 되면 화재초기에 방연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여 화재의 초기진압이 어렵게 되고 자칫 대형의 화재로 번질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본체로 다수개의 실내를 용이하게 다중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압력을 일체의 오작동없이 제어함으로서 더욱 향상된 제어능률과 제어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메인포트와, 상기한 본체에서 상기한 메인포트와 연통되게 1개 또는 그 이상이 위치하는 서브포트들과, 상기한 본체 내부에서 상기한 메인포트와 서브포트들 사이에서 위치하여 상기한 서브포트들을 통해 유입되는 압력을 상기한 메인포트에 일방향으로만 패스되게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의 전체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의 전체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도 3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를 이용한 바람직한 건물의 방연시스템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메인포트(4)와, 상기한 본체(2)에서 상기한 메인포트(4)와 연통되게 1개 또는 그 이상이 위치하는 서브포트(6)들과, 상기한 본체(2) 내부에서 상기한 메인포트(4)와 서브포트(6)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한 서브포트(6)들을 통해 유입되는 압력을 상기한 메인포트(4)에 일방향으로만 패스되게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체(2)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는 상기한 서브포트(6)들에 대응하여 1개 또는 그 이상의 통공(8)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통공(8)이 뚫려져서 상기한 1개의 메인포트(4)로 압력이 패스되도록 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본체(2)의 재질은 내구성은 물론이거니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잘 알려진 형태의 표면가공이나 성형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일측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있도록 커버(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커버(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한 본체(2)에 대응하는 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본체(2)의 일측면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2)의 내부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커버(10)가 설치되면 유지보수는 물론이거니와 밸브의 제작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한 커버(10)의 재질은 상기한 본체(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기한 본체(2)의 일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2)와 커버(10) 사이에는 이들이 결합된 후 본체(2)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고무링과 같은 시일부재(G)가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일부재(G)가 설치되면 상기한 서브포트(6)들을 통해 메인포트(4)로 패스되는 압력이 상기한 본체(2)와 커버(10)의 접촉면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본체(2)에 별도의 커버(10)를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본체(2)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에서는 시일부재(G)로 고무링이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타나내지 않았지만 이미 잘 알려진 형태의 시일재가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한 메인포트(4)는 상기한 본체(2)의 일측면에서 이 본체(2)의 통공(6)들에 대응하여 원활하게 압력이 패스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한 본체(2)의 커버(10) 측에 형성되고 소켓이나 니플과 같은 연결부재가 끼워진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체(2)의 커버(10) 측에 메인포트(4)가 형성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메인포트(4)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서브포트(6)는 상기한 본체(2)에서 상기한 메인포트(4)에 대응하여 1개 또는 그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는 본체(2)의 측면에서 상기한 4개의 통공(8)들에 대응하여 4개의 서브포트(6a,6b,6c,6d)가 1조로 구성되고 상기한 메인포트(4)와 동일하게 소켓이나 니플과 같은 연결부재가 끼워진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구조로 본체(2)에 형성되는 4개의 서브포트(6a,6b,6c,6d)들은 상기한 메인포트(4)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메인포트(4) 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셋팅되어야 한다. 만일 상기한 서브포트(6a,6b,6c,6d)들이 상기한 메인포트(4)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후술하는 차단수단에 의한 압력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체(2)에는 상기한 메인포트(2)와 서브포트(6)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통공(8) 사이로 패스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차단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차단수단의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차단수단은, 상기한 본체(2)에서 서브포트(6)들을 통해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면서 통공(8)을 개방하여 압력을 패스시키고 압력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면서 통공(8)을 다시 차단시키는 개폐동작에 의해 서브포트(6)들에 작용되는 압력을 일방향 즉, 메인포트(4) 측으로만 패스시키는 압력판(1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압력판(12)들은 상기한 통공(8)들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박막의 판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한 서브포트(6a,6b,6c,6d)들의 통공(8)들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에서는 4개의 서브포트(6a,6b,6c,6d)들에 대응하는 통공(8)들의 상부에서 이들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4개의 가이드홈(14)이 파여지고 이 가이드홈(14)들에 각각 압력판(12)들이 끼워져서 4개가 1조로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압력판(12)들의 재질은 무게가 가볍고 박막의 형태로 가공되더라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압력판(12)들의 무게는 미세한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이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浮上)하면서 압력이 작용된 통공(8)을 개방하여 메인포트(4)로 패스시키는 것으로서, 대략 5Pa압력에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한다. 만일, 상기한 압력판(12)들의 무게가 너무 무거우면 미세한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너무 얇아도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세한 압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건물내에 요구되는 방연조건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압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져한다.
상기한 가이드홈(14)들은 상기한 본체(2)의 통공(8)들을 충분히 수용하여 상기한 압력판(12)들이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는 평면의 시트부(16)가 형성될 수 있는 크기범위를 가지며 일정한 깊이로 파여질 수 있으며, 이 가이드홈(14)들 사이사이에는 상기한 서브포트((6a,6b,6c,6d)들을 통해 발생된 압력이 상기한 메인포트(4)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며 유도홈(18)들이 형성된다.
상기한 가이드홈(14)들이 상기한 본체(2)에 파여질 때에는 상기한 압력판(12)들이 원활하게 부상하여 통로를 개방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가이드홈(14)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상기한 압력판(12)들의 개방동작에 제한을 주게 되어 압력이 원활하게 패스될 수 없으며, 상기한 가이드홈(14)들의 깊이가 과다하게 깊으면 상기한 압력판(12)들이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될 때에 뒤집어지거나 수평한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므로 원래의 위치로 리턴될 때에 시트부(16)에서 압력판(12)들과 통공(8)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차단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압력판(12)들의 표면과 시트부(16)의 표면은 이들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접촉되어 밀폐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공시에 표면가공을 정밀하게 행하여야 한다. 만일, 상기한 표면들이 거칠게 가공되면 도리어 상기한 메인포트(4)에 작용하는 피난구역내의 압력이 역류될 수 있다.
상기한 본체(2)의 유도홈(18)들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고형의 방습제(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방습제(20)들이 설치되면 본체(2) 내부는 물론이거니와 상기한 서브포트(6)나 메인포트(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습기나 수분 등이 상기한 압력판(12)들과 시트부(16) 사이로 스며들어서 이들의 점도에 의해 상기한 압력판(12)들이 시트부(16)에 밀착되어 미세한 압력이 작용될 때에 압력판(12)들의 개방동작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체(2) 내부에 방습제(20)를 설치할 때에는 서브포트(6)들로부터 메인포트(4)로 패스되는 압력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플로우될 수 있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에서는 방습제(20)가 본체(2) 내부의 유도홈(18) 표면에 삽입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메인포트(4)나 서브포트(6) 또는 이들 포트(4,6)들에 연결되는 파이프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의 바람직한 작용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M은 피난구역을 지칭하고 R1,R2,R3,R4는 각각의 실내들을 지칭한다.
상기한 메인포트(4)는 상기한 피난구역(M)과 파이프와 같은 연결관(P1)으로 연결되고, 상기한 서브포트(6a,6b,6c,6d)들은 상기한 실내(R1,R2,R3,R4)들과 각각 연결관(P2)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한 피난구역(M)과 메인포트(4)를 연결하는 연결관(P1)에는 상기한 메인포트(4)를 통해 패스되는 압력을 센싱하는압력센서(22)가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압력센서(22)는 건물의 방연시스템에 이미 널리 알려진 형태의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센서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압력센서(22)는 첨부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한 피난구역(M)에 설치된 송풍장치(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포트(4)를 통해 패스되는 압력이 센싱되면 송풍장치(24)를 작동시켜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한 피난구역(M)내에 강제 공급되도록 셋팅된다.
이때, 상기한 압력센서(22)는 센싱된 압력만큼 상기한 피난구역(M)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한 송풍장치(24)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피난구역(M)과 실내(R1,R2,R3,R4)들의 대기압력차는 건물에 요구되는 방연조건들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40Pa∼60Pa 범위내로 압력차가 유지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연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관련하는 차압다중밸브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R1)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실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는 서브포트(6a)를 통해 상승된 압력이 유입되어 차단수단 즉, 압력판(12)이 다음과 같이 작동되면서 상기한 메인포트(4) 측으로 압력을 패스시킨다.
상기한 압력판(12)은 화재가 발생된 실내(R1)에서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면서 통공(8)을 개방하여 압력을 패스시켜서 상기한 압력센서(22)에 의해 패스된 압력이 센싱되게 하고, 상기한 서브포트(6a)에 압력이 소멸되면 자체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방된 통공(8)을 다시 차단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한 압력판(12)들은 상기한 서브포트(6a,6b,6c,6d)들에 대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동작되므로 상기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어 이에 해당하는 압력판(12)이 개방되면서 상승된 압력을 패스시킬 때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다른 실내의 압력판(12)들을 시트부(16)에 더욱 밀착시키게 되므로 패스되는 압력이 다른 서브포트(6b,6c,6d)들로 스며들어서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고 메인포트(4)로만 패스시키게 되므로 상승된 압력이 일체의 오차없이 그대로 압력센서(22)에 의해 센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력센서(22)에 의해 상기한 메인포트(4)를 따라 유입된 압력이 센싱되면, 이 압력센서(22)는 상기한 송풍장치(24)를 작동시켜서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피난구역(M)내로 공급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R1)의 대기압력보다 피난구역의 대기압력을 셋팅된 차압범위 만큼 상승시켜서 화재시에 연기가 피난구역(M)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와 같이 피난구역(M)과 실내(R1,R2,R3,R4)들 사이에 셋팅된 압력차이가 유지되지 못하면 실내 (R1,R2,R3,R4)의 화재시에 연기가 피난구역(M)내로 쉽게 확산되어 피난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진압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므로 대형의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는 상기와 같은 압력제어작용에 의해 화재시는 물론이거니와 평상시에도 건물의 피난구역(M)과 실내(R1,R2,R3,R4)의 대기압력의 차이를 항상 셋팅된 범위내로 유지되게 하여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는, 센싱된 압력을 제어하는 차단수단의 압력판들이 박막의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브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압력 및 자체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방 또는 차단동작되면서 압력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개폐동작시에 물리적인 마찰이나 진동없이 일방향만으로 제어를 행함으로서 일체의 오작동없이 최적의 압력제어효율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서브포트들에 대응하여 압력판들이 독립적으로 개폐동작되므로 다른 서브포트를 통해 압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제어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는, 그 구조상 단일의 본체에 1개의 메인포트와 다수개의 서브포트들이 연결되므로 1개의 밸브로 다중제어가 가능하여 제어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다중제어구조는 건물의 방연시스템 설치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메인포트와, 상기한 본체에서 상기한 메인포트와 연통되게 1개 또는 그 이상이 위치하는 서브포트들과, 상기한 본체 내부에서 상기한 메인포트와 서브포트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한 서브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압력을 상기한 메인포트에 일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한 차단수단은 상기한 서브포트들의 통로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고 독립적으로 개폐동작되면서 압력을 패스시키는 박막의 압력판들로 구성되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에는 상기한 차단수단의 압력판들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개폐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한 서브포트들의 통로에 대응하여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들 사이사이에는 서브포트로부터 압력판들을 통해 패스되는 압력을 상기한 메인포트로 유도되게 하는 유도홈들이 형성되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홈들은 상기한 본체에서 상기한 압력판들의 직경길이보다 짧은 길이범위내로 파여지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에는 이 본체의 내부를 개방가능하게 밀폐시키는 커버가 설치되고, 이 커버와 본체 사이에는 시일재 또는 고무링이 설치되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 내부에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고형의 방습제가 설치되고, 이 방습제는 압력이 패스되는 통로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KR10-2003-0016354A 2003-03-17 2003-03-17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KR10049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354A KR100498168B1 (ko) 2003-03-17 2003-03-17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354A KR100498168B1 (ko) 2003-03-17 2003-03-17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832U Division KR200322096Y1 (ko) 2003-03-17 2003-03-17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818A true KR20040081818A (ko) 2004-09-23
KR100498168B1 KR100498168B1 (ko) 2005-07-01

Family

ID=3736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354A KR100498168B1 (ko) 2003-03-17 2003-03-17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8548A (zh) * 2018-12-06 2019-01-25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调节阀及燃气灶
CN109340408A (zh) * 2018-12-06 2019-02-15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阀及燃气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8548A (zh) * 2018-12-06 2019-01-25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调节阀及燃气灶
CN109340408A (zh) * 2018-12-06 2019-02-15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阀及燃气灶
CN109268548B (zh) * 2018-12-06 2024-01-23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调节阀及燃气灶
CN109340408B (zh) * 2018-12-06 2024-01-23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阀及燃气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8168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3718B1 (en) Pressure regulating piston with built in relief valve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303332B1 (ko)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CN109667520B (zh) 一种用于消防通道的门结构
JP2007225136A (ja) 換気装置
KR100498168B1 (ko)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JPH0126011B2 (ko)
KR200322096Y1 (ko) 방연시스템용 차압다중밸브
KR101812771B1 (ko) 방화댐퍼가 구비된 자동 역류 방지형 환기장치
KR20010012931A (ko) 유체로 구동가능한 차단장치
KR101383144B1 (ko)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20170020154A (ko) 선박 기관실의 벤트 덕트 시스템
RU248541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корости утечки через щелевидное отверстие
KR101680617B1 (ko) 안전방출밸브와 이것이 구비된 점화요인 차단용 안전장치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654596B1 (ko)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JP2662846B2 (ja) セキュリティ−ル−ム
JP2007109647A (ja) 消火システム用フロースイッチ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706261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2271948B1 (ko) 슬라이딩 타입 방화문
CN106958337B (zh) 一种排气道隔烟性能的检测方法
JP2014118696A (ja) ドア
KR100414955B1 (ko) 디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